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학습에서의 개인차에 대한 이해

        윤미선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1

        이 글에서는 학업성취 관련 개인차변인들에 관한 주요 국?내외 연구 결과들을 통해 학교학습에서의 개인차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인차’의 개념적 정의와 분류를 고찰한 후, ‘개인차 연구’의 기원과 학업성취를 주제로 하는 국내대학의 최근 10년간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경향성 분석을 통해 교육적 적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선행연구 결과들을 기초로 학교학습과 관련된 주요 개인차 변인들의 영향력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특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으며, 최근 개인차 변인으로 중요성이 부각된 스타일(양식)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수업 설계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개인차 변인들의 중요성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개인차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마무리하였다. 그러나 학교학습에서 야기되는 모든 개인차 변인을 고려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육장면에서의 실제적 중요성과 학문적 최신성에 의해 변인 선택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제한하였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strength of the effects of major individual difference dimension on important outcome variables at school including academic performance. First, the concept and terminology of individual difference were explained and the previous studies that used empirical data were reviewed. This reviews evidences on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differences in relation to research on learning. Usually the focus of individual difference at school has been on cognition. However, many important student aptitude and non-cognitive aspects may better be contributed. This study emphasizes research on affective and conative functions in school learning, including motivation/interest, self-efficac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learning/thinking styles. It also suggest how researchers can use the evidence and methods of differential psychology to design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t school.

      • KCI등재

        교양기초중국어 수업에서 학생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전략연구 - 학생 보조 교사의 활용

        신부영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3

        In this article, we discussed how to use student proctor as a way to solve the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in liberal basic Chinese language classes. The trend of future education is that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cooperation among classmates is becoming important considering students’ various individual differences. This article focuses on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hinese language and students’ satisfaction by considering the various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to check and diagnose the degree of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Chinese language classes. Second, this article explained how to use student proctor to help students with difficulties in learning through group cooperative study. Third, it offers a concrete example of class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 using student proctor in class. Based on this, I am going to suggest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for liber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이 글에서는 대학교 교양기초중국어 수업에 존재하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생 보조교사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 미래교육의 추세는 학생의 다양한 개인차를 고려하여 급우간의 협동을 통한 협동학습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중국어 수업을 진행할 때 어떻게 하면 학생간의 다양한 개인차를 고려하여 모든 학생들이 만족하며 중국어 학습효율을 높이느냐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중국어 수업시간에 존재하는 학생개인차 정도를 확인하고 진단하는 조사를 실시하였고, 둘째, 조별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에 곤란함이 있는 학생의 학습보조를 위해 학생 보조교사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셋째, 실제적인 수업시간에 학생 보조교사를 활용한 개인차 수업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양중국어교육의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광학적으로 유발된 망막흐림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와 인식 대비도의 변화

        김상엽,문병연,조현국 한국안광학회 2014 한국안광학회지 Vol.19 No.1

        We were aim to investigate individual difference of visual acuity (VA) decrease and the change ofcontrast threshold (CT) according to the level of optically induced retinal defocus. Methods: A total of 69 eyeswere examined using consist of ten-graded decimal vision chart (Landolt's ring). After conducted full correctionof subject’s refractive error, a monocular VA and CT were measured according to sequential increase by 0.25 Deach time. Results: VA gradual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etinal defocus level. Individualdifference of VA decrease was range from 1.2 to 0.6 in retinal defocus induced by +0.25 D. When retinal defocuswas induced as much as +0.50 D and +0.75 D, it was in the range of 1.0 to 0.3 and 0.9 to 0.1 respectively. With+1.00 D, some participants didn't even recognize the 0.1 in the chart. With +1.75 D, whole participant did notrecognize the 0.1. Also, CT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e of the retinal defocus level. Conclusions:Examiners should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decrease of VA according to the level of residualrefractive error when determining final prescription of a patient. 광학적으로 유발된 망막흐림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와 대비도의 변화에 따른 개인차를 알아보았다. 방법: 전체 69안을 대상으로 소수시력 각 단계별로 10단계의 다른 대비도로 구성된 시표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굴절이상을 완전교정한 후 눈 앞에 +0.25 D씩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망막흐림을 유발한 다음 각 시표에 대한단안시력과 인식대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유발된 망막상의 흐림이 증가됨에 따라 시력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0.25 D 부가하여 유발된 망막흐림에서 시력저하의 개인차는 1.2~0.6의 범위로 나타났다. +0.50 D와 +0.75 D 부가되었을 경우 각각 1.0~0.3과 0.9~0.1 범위의 개인차를 보였다. +1.00 D가 부가되었을 때 일부 0.1 시표를 인식하지못하는 대상안이 나타났고, +1.75 D 부가된 경우 모든 대상안들이 0.1 시표를 인식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망막흐림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인식 대비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최종적인 굴절이상 교정값을 결정할 때 잔여굴절이상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상사의 구조적 및 희생적 행동이 대인지향 행동에 이르는 과정에서 감정노동의 역할

        지성호,강은정,강영순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3

        Emotional labor, one of the main concepts to investigate service provider’s response in service encounter, consists of bot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It is extensively used in service encounter research area, while it has been applied to only a few studies in organizational context in terms of contemporary organizations. Emotional labor is also frequently shown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 in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management. Thus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r can be applied to understand supervisor and subordinate’s behaviors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as an antecedent researcher was considered to the role of supervisor which is classified with initiative behavior and self-sacrifice behavior. In this case, the effect caused by emotional labor was likely to influence interpersonal behaviors.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effects produced by supervisor’s emotional labor and then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interpersonal behaviors – deviance behavi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individual level. It also verify the roles of mediation by emotional labor between supervisors' behaviors and interpersonal behavio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it collected data from state-owned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 in Jeju, Korea. A total of 222 valid questionnaires, out of 250 distributed, were utilized for analysis. In regards to the demographic profile for respondents, the total comprised 125(56.3%) male and 97(43.7%) female. A total of 51(23%) respondents were aged between 20 and 29, and 105(47.3%) respondents were aged between 30 and 39. The rest 66(29.7%) were aged more than 40.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itiative behavior is associated with surface acting and deviant behaviors positively. And sacrificed behavi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deep acting and extra-role behaviors. However, initiative behavior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ep acting and extra-role behaviors. Sacrificed behaviors are related to surface acting and deviant behaviors. In regards to the mediation result, four paths: initiative behavior-surface acting-deviant behavior; initiative behavior-deep acting- extra-role behavior; sacrificed behavior-surface acting-extra-role behavior; and sacrificed behavior-deep acting-extra-role behavior are significantly mediated in parts. Moreover,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subordinates’ emotional labor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supervisors’ behavior. In terms of interpersonal behaviors,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facilitate different types of interpersonal behaviors. These results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in terms of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labor to organizational environment. 감정노동은 소비자와 서비스 제공자의 관계에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을 조직에서 상사와 부하의 관계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은 구조적 및 희생적 행동으로 구분되는 상사 행동 유형의 감정노동(심층행동, 표면행동)에 대한 영향력, 감정노동(심층행동, 표면행동)의 대인지향 행동(일탈행동, 개인차원 시민행동)에 대한 직접효과, 상사 행동 유형(구조적, 희생적)과 대인지향 행동(일탈행동, 개인차원 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심층행동, 표면행동)의 매개효과 검증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기업 및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한 문항을 제외한 총 222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상사의 구조적 행동은 표면행동과 일탈행동을 촉진하는 원인이 되며, 상사의 희생적 행동은 심층행동과 개인차원 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반면에 구조적 행동은 심층행동과 개인차원 시민행동을 저감하게 하는 원인이 되며, 희생적 행동은 표면행동과 일탈행동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감정노동과 대인지향 행동의 관계에서 표면행동은 일탈행동에, 심층행동은 개인차원 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면행동은 개인차원 시민행동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양자관계에서 매개효과는 구조적-표면-개인차원 시민행동, 구조적-심층-개인차원 시민행동, 희생적-표면-개인차원 시민행동, 희생적-심층-개인차원 시민행동의 경로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사의 행동유형에 따라 부하가 보이는 감정노동 유형에 차이가 있고, 감정노동 유형에 대한 대인지향 행동 유형에도 차이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마음 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 관련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박현옥(Park, Hyun Ok) 한국자폐학회 2008 자폐성 장애연구 Vol.8 No.1

        마음이해 능력은 유아기에 습득해야 하는 주요 발달 요소이다. 본 연구는 마음이해 능력에서의 개인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다양한 발달적 요소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자폐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마음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 연구들은 대부분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관계 및 사회적 상호작용 등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제시된 결과들은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적 관계 및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은 마음이해 능력과 높은 상관이 있고 결과적으로 마음 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능을 비롯한 전반적 인지 능력도 마음 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고 자폐증의 진단 특성들과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마음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에 대한 논의를 실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하교육에서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서보억,권영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敎員敎育 Vol.25 No.1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thods of specifying teaching and learning that can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geometr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realizing the methods in schoo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Basic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were set up,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has been developed and lesson plans have been made accordingly. The basic principles and directions are as follows: assistance by the teacher and the peers, teacher-student conversation, student-student conversation, independent tas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se principles and directions,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pecified as lesson preparation stage, introduction stage, understanding stage, consolidation stage, and application stage has been developed. And ten geometry lesson plans were made.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lesson plans were evaluated by mathematics education experts and the result was analyzed with weighted Kappa coefficient. And all the experts agreed that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lesson plans were meaningful for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geometry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교 기하교육에서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세 가지 기본 방향과 원칙을 설정하였다. 둘째, 수립된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은 수업준비단계, 수업도입단계, 수업전개단계, 수업정착단계, 수업발전단계로 세분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되어진 교수-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수업안을 작성하여 수학교육전문가에 의해 평가를 받아 수정 확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교수-학습 모형과 수업안을 통해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이 실현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덩이글 읽기 시 글의 난이도와 인지 능력 개인차의 상호작용 효과: 안구 운동 추적 연구

        성은진,이윤형,최원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ext difficulty and readers’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ies affect eye movements while reading.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given texts and to respond a question for each text. They were also administrated a battery of individual-difference tasks measuring abilities of language, short-term/working memory capacity, and executive control.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xt difficulty negatively influenced on reading speed. Second,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ognitive abilities affected reading speed. Specifically, higher language ability and bigger capacity of short-term/working memory were associated with faster reading speed. Finall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ext difficul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were emerged such that those who had better language skills and bigger working memory size read easy texts faster than those who had not did. However, such abilities did not have effects on reading speed of difficult tex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on the current find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독자들이 덩이글을 읽을 때, 글의 난이도와 독자들의 개인차 특성이 실시간 안구운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 참여자들은 먼저 주어진 덩이글을 읽고 각 글의 핵심 주제를 묻는 질문에 답하였다. 그 후, 언어 능력, 단기 및 작업 기억 능력, 그리고 집행통제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일련의 개인차 과제들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첫째, 글의 난이도는 읽기 속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독자들의 언어 및 인지 능력의 개인차가 글을 읽는 속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언어능력이 높을수록, 단기 및 작업 기억의 용량이 클수록 글을 읽는 속도가 빨랐다. 그리고 글의 난이도와 개인차 변수 사이의 상호작용도 나타났는데, 언어 능력이 좋고, 작업 기억 용량이 클수록 읽기 속도에 대한 글의 난이도의 효과가 컸다 흥미롭게도 언어 능력이 좋고 작업 기억 용량이 큰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쉬운 글을 읽는 속도가 훨씬 빨랐다. 하지만 이러한 능력들은 어려운 글을 읽는 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와 관련된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들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화학 R&E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신동선(Shin Dong-Seon),김봉곤(Kim Bong G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자기 주도적 R&E 프로그램은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학·과학/기술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는 목적으로 설립된 과학고에서 매우 의미 있는 학습활동이다.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경험을 선행지식과 개인차에 의해서 다양하게 인식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고등학교의 R&E 학습활동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 화학 R&E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인차에 따른 R&E 프로그램의 여러 학습 단계에서 학습자의 인식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1~2019년 동안 G 과학고에서 화학 R&E를 수행한 학생 중에서 특정 3개년 동안 R&E를 수행한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들의 개인차는 Sternberg 사고 양식과 Kolb 학습양식 검사지로 조사하였다. R&E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과 목적, 문제 인식(주제 선정), 문제 해결(과제 해결, 협력, 끈기/몰입) 및 효과(결과) 등 4가지 영역의 인터뷰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조사하였다. 각종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 결과, R&E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인식은 과정적 지식과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개념/사실적 지식(9.3%), 과정적 지식(55.6%), 메타 인지(22.2%), 정의적 영역(가치/태도, 59.3%).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은 연구과제의 친숙도/난이도에 따라서 응답 차이를 보였다: 어려운 과제를 수행한 팀은 과제 해결 항목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쉬운 과제를 수행한 팀들은 협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R&E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팀 구성원의 개인차 요인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연구조원 구성에서 창의적 사고유형이 많거나, 다양한 학습양식으로 구성된 팀들이 그렇지 않은 팀보다 R&E 효과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The self-directed R&E programs are very meaningful learning activities in science high schools. Students perceive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various ways based on prior knowledge and individual dif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of chemistry R&E activit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R&E learning activities in science high school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learners perceptions in various learning stages of R&E programs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 students who conducted R&E in chemistry at the G Science High School during 2011-2019, who performed R&E for a specific three years. Individual differences of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the Sternberg thinking style and the Kolb’s learning style indicators. Perception of R&E was investigated by developing interview protocols in four areas: necessity and purpose, problem-aware (subject selection), problem-solving (task solving, cooperation, persistence/immersion), and effects (result). Various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5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 showed positive responses in the areas of procedural knowledge and an affective domain: concept/factual knowledge (9.3%), procedural knowledge (55.6%), meta-cognition (22.2%), value/attitude (59.3%). Perception of problem-solving showed differences in response according to the familiarity/difficulty of the research projects: Teams that performed difficult tasks were highly aware of the task-solving items, and teams that performed easy tasks showed positive awareness of cooperation item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 difference factor of the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had a big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the R&E effect. In other words, in the composition of the research team, the teams with many creative thinking styles or the composition of various learning styles show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R&E effect than the other teams.

      • KCI등재

        교양일본어수업에서 Moodle의 활용 -학습자의 개인차를 반영하여-

        조선영 ( Joe Sun-you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8

        교양일본어 수업 중 어학관련 수업은 주로 초급일본어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이미 초급일본어를 습득한 수강생과 그렇지 않은 수강생이 함께 수강하는 즉 학습자간의 개인차가 크다는 점이다. 또한 몇 개의 분반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분반 간에 수강생의 구성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 이 점은 개인적인 문제라고 인식되어 왔지만, 보다 적극적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기 위하여 LMS중 하나인 Moodle을 활용해 보았다. 먼저 오프라인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상에서 추가적인 부담을 주는 Moodle이 잘 활용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부터 시작하였다. Moodle의 활용으로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상이한 과제의 부과 및 퀴즈응시를 시도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정기시험 성적과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Moodle의 활용을 통하여 학습자간의 개인차를 반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분반간의 차이도 온라인 상에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제안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과제로서 학습자의 개인차에 따른 추가학습의 기회를 Moodle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Among language-related lessons in liberal arts education, Japanese language classes are mainly conducted at the beginner level. The challenge in this learning environment is the big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ho have taken beginner-level Japanese and those who have not. In addition, if there are several divided classes,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students of each class. In the past, this was regarded as a personal problem, but this study used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solve the problem in a face-to-face class. This research examines how I used Moodle to resolve the challenge of the students` different language ability levels. In my use of Moodle, I assigned different tasks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s and required all the students to take a quiz. Then I compared the students` scores on Moodle with their off-line test scores. This study concluded that Moodle could be customized to the students` different language ability levels . The results suggest that online resources such as Moodle can resolve the challenge of having students with different language levels.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could examine ways in which Moodle can provide additional learning opportunities for learners with different abilitie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