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MDCT에서의 Convolution Kernel 종류에 따른 공간 영역 필터링의 영상 평가

        이후민(Hoo-Min Lee),유병규(Beong-Gyu Yoo),권대철(Dae-Cheol Kweo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1

        T 영상은 커널의 종류와 재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관심 영역의 CT감약계수 및 노이즈는 정밀도에 영향을 준다. 커널의 종류에 따른 노이즈, 공간분해능 및 MTF를 측정하여 영상을 평가하였다. 다중채널CT 스캐너를 이용하여 팬텀 및 복부를 스캔 하였고, 커널은 B10(very smooth), B20(smooth), B30 (medium smooth), B40(medium), B50(medium sharp), B60(sharp), B70(very sharp), B80(ultra sharp)으로 재구성하여 물, 공기, 간의 실질 조직, 근육, 지방 부위를 ROI 기능을 이용하여 평균의 CT감약계수와 표준편차인 노이즈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영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CT 감약계수는 물(1.1~1.8HU), 공기(-998~-1,000HU)이고, 물에서의 노이즈(5.4~44.8HU), 공기(3.6~31.4HU)이다. 인체에서 간 실질 조직과 지방, 근육의 CT 감약계수와 노이즈를 커널에 따라 측정하였다. 지방의 CT 감약계수(-2.2~0.8HU), 간의 실질 조직에서 CT감약계수(60.4~62.2HU), 노이즈(7.6~63.8HU), 근육의 CT감약계수(53.3~54.3HU), 노이즈(10.4~70.7HU) 사이에서 분포하였고, 커널이 높아질수록 노이즈도 증가하였다.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부위에 따라 노이즈를 감소하기 위해 적절한 커널을 선택하여 CT 검사를 하여야 한다.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image of spatial domain filtering as an alternative to additional image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kernels in MDCT. Derived from thin collimated source images were generated using water phantom and abdomen B10(very smooth), B20(smooth), B30(medium smooth), B40 (medium), B50(medium sharp), B60(sharp), B70(very sharp) and B80(ultra sharp) kernels. MTF and spatial resolution measured with various convolution kernels. Quantitative CT attenuation coefficientand noise measurements provided comparable HU(Hounsfield) units in this respect. CT attenuation coefficient(mean HU) values in the water were 1.1~1.8HU, air(-998~-1000HU) and noise in the water(5.4~44.8HU), air(3.6~31.4HU). In the abdominal fat a CT attenuation coefficient(-2.2~0.8HU) and noise(10.1~82.4HU) was measured. In the abdominal was CT attenuation coefficient(53.3~54.3HU) and noise(10.4~70.7HU) in the muscle and in the liver parenchyma of CT attenuation coefficient(60.4~62.2HU) and noise (7.6~63.8HU) in the liver parenchyma. Image reconstructed witha convolution kernel led to an increase in noise, whereas the results for CT attenuation coefficient were comparable. Image scanned with a high convolution kernel(B80) led to an increase in noise, whereas the results for CT attenuation coefficient were comparable. Image medications of image sharpness and noise eliminate the need for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kernels in the future. Adjusting CT various kernels, which should be adjusted to take into account the kernels of the CT undergoing the examination, may control CT images increase the diagnostic accuracy.

      • Convolution Kernel의 종류에 따른 CT 감약계수 및 노이즈 측정에 관한 연구

        권대철,유병규,이종석,장근조,Kweon, Dae-Cheol,Yoo, Beong-Gyu,Lee, Jong-Seok,Jang, Keun-Jo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2007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9 No.1

        영상 획득과 재구성 방법에 따라 CT 감약계수는 다양성을 보이고 관심 영역의 노이즈는 정밀도에 영향을 준다. 인체에서 간 실질조직과 위장의 물의 CT 감약계수와 노이즈를 커널에 따라 측정하였다. 다중채널 CT 스캐너를 이용하여 복부를 스캔 하였고, 커널은 B10 (very smooth), B20 (smooth), B30 (medium smooth), B40 (medium), B50 (medium sharp), B60 (sharp), B70 (very sharp), B80 (ultra sharp)으로 재구성하여 간의 실질 조직과 물이 들어 있는 위장 부위를 ROI 기능을 이용하여 평균의 CT감약계수와 표준편차인 노이즈를 측정하여 영상을 비교하였다. 간의 실질 조직에서 CT감약계수는 커널에 따라 60.4에서 69.2 HU사이에서 분포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노이즈는 커널(7.6$\sim$63.8 HU)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물의 CT감약계수는 -2.2 HU에서 0.8 HU사이에서 측정되었고, 노이즈는 커널(10.1$\sim$82.4 HU)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 부위에 따라 노이즈를 감소하기 위해 적절한 커널을 선택하여 CT 검사를 하여야 한다.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CT attenuation coefficient and noise of spatial domain filtering as an alternative to additional image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kernels in abdominal CT. Derived from thin collimated source images was generated using abdomen B10 (very smooth), B20 (smooth), B30 (medium smooth), B40 (medium), B50 (medium sharp), B60 (sharp), B70 (very sharp) and B80 (ultra sharp) kernels. Quantitative CT coefficient and noise measurements provided comparable HU (hounsfield) units in this respect. CT attenuation coefficient (mean HU) values in the abdominal were 60.4$\sim$62.2 HU and noise (7.6$\sim$63.8 HU) in the liver parenchyma. In the stomach a mean (CT attenuation coefficient) of -2.2$\sim$0.8 HU and noise (10.1$\sim$82.4 HU) was measured. Image reconstructed with a convolution kernel led to an increase in noise, whereas the results for CT attenuation coefficient were comparable. Image medications of image sharpness and noise eliminate the need for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kernels in the future. CT images increase the diagnostic accuracy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CT various kernels, which should be adjusted to take into account the kernels of the CT undergoing the examination.

      • KCI등재

        『黃帝內經』 “陰陽俱不足者 甘藥治之”에 대한 고찰

        류정아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2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4

        Objective : 『黃帝內經』에 쓰인 “陰陽俱不足者 甘藥治之” 의미를 연구하여 ‘침으로 낫게 할 수 없고, 甘藥을 써서 다스려야만 할 경우’의 임상적 의미를 提高하고자 하였다. Method : 『靈樞』 「邪氣藏府病形」, 「根結」, 「終始」, 「經脈」, 「九鍼論」 편의 해당 내용을 氣血・陰陽・形氣・形精・形志, 脈과 症候, 治法과 治方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傷寒雜病論』에 담겨있는 後漢 말 동아시아 의료에 『황제내경』 “陰陽俱不足者 甘藥治之” 원리가 적용·응용된 정황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탐색하였다. Result : “陰陽俱不足者 甘藥治之” 명제에서 ‘陰陽’은 五臟과 六腑, 血과 氣, 形과 氣, 形과 精, 形과 志 등으로 치환될 수 있다. 氣血·陰陽이 다 부족한 환자에서 맥의 폭이 작은[小] 맥상과 목구멍(咽) 및 목구멍 아래(嗌)에 病症이나 목마름, 목쉰 소리가 나는 外候를 관찰할 수 있다. 甘藥은 氣血·陰陽을 생산·유지하는 水穀의 精, 脾胃, 中氣, 土氣를 보충하는 치료법으로써, 氣血·陰陽이 모두 부족한 證에는 반드시 선택되어야 하고 刺鍼, 灸, 砭石(瀉血), 按摩, 導引, 熨, 醪藥, 至劑 등 다른 치료법으로 대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Conclusion : 甘藥은 土德을 지녀 인체 氣血·陰陽을 모두 고르게 보충할 수 있음으로써 『황제내경』 저작 당시 일반적인 침과 뜸으로 다스릴 수 없었던 咽喝, 脈少 症候을 나타내는 질환에 적용되었다. 이후 점차 그 쓰임이 늘어나 氣血·陰陽 부족을 동반한 다양한 질환에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됨으로써 의료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특히 약물치료의 보편화에 크게 기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The Study on the Attenuation of X-ray and Imaging Quality by Contents in Stomach

        Kyung-Rae Dong(동경래) · Youn-Sang Ji(지연상) · Chang-Bok Kim(김창복) · Seong-Kwan Choi(최성관) · Sang-In Moon(문상인) · Kevin Dieter(디터 케빈)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인체의 40~50%인 연부조직에 X선을 조사하면 연부조직의 두께에 따라 투과선량이 감소하며 영상에도 질적 저하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복부 촬영시 위장내 내용물에 따라 X선 감약 및 화질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실제 위의 조직과 비슷한 조직등가물질 phantom을 제작하여 실제 위장내 내용물에 따른 X선의 감약 변화와 DR (Digital Ridiography)의 ROI수치를 비교해보았다. 단백질 두께가 증가할수록 X-선 감약에 의한 투과선량이 감소되었으며(p < 0.001), Film과 DR 영상에서의 ROI Mean값의 변화도 감소하였다(p < 0.001). Film과 DR 영상에서의 ROI Mean값에 대한 비교는 Film이 DR 영상에 비해 단백질 두께에 따른 농도의 변화 값이 크게 나타났다(p < 0.001).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DR system 촬영 보다는 필름을 사용하는 단순촬영에서 금식(NPO ; nothing by mouth)의 필요성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the attenuation of X-rays with the ROI (Region of Interest) in DR (Digital Radiography) according to the stomach contents by manufacturing a tissue equivalent material phantom to simulate real stomach tissu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some attenuation of X-rays and a difference in imaging quality according to the stomach contents. The transit dosage by the attenuation of X-rays decreased with increasing protein thickness, which altered the average ROI values in the film and DR images. A comparison of the change in average ROI values of the film and DR image showed that the image in film caused larger density changes with varying thickness of protein than the image by DR. The results indicate that NPO (nothing by mouth) is more important in film system than in DR system.

      • KCI등재

        나선형영상획득에서 Pitch에 따른 CT 감약계수와 잡음의 변화

        강성진(SungJin Kang)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Pitch의 변화에 따른 CT 감약계수(CT Number)와 잡음(Noise)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자체 제작한 맞춤형 팬텀(Customized Phantom)을 사용하였다. 팬텀을 이용한 영상의 획득을 위해 팬텀 내부는 멸균증류수로 가득 채웠다. 유리관 내부에는 생리식염수와 조영제의 비율을 각각 생리식염수 100%, 400:1, 200:1, 100:1, 50:1로 희석한 용액을 담은 후 영상화하였고, 이때 용액의 희석비율별로 pitch를 0, 0.35, 0.7, 1.05, 1.4의 단계로 나누어 각각 영상화하였다. 희석비율별로 모든 ROI에서 측정한 CT number와 noise 값의 평균이 pitch의 변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Analysis)과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각 희석비율별 pitch의 변화에 대한 CT number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noise 값은 pitch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선형 영상획득 방식은 pitch에 따라 noise가 유의한 수준으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나선형 영상획득 방식을 적용한 CT 영상의 화질평가 항목과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a self-made customized phantom was use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change in CT number and noi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pitch. In order to acquire an image using the phantom, the inside of the phantom was filled with sterile distilled water. Inside the glass tube, a solution obtained by diluting the ratio of normal saline and contrast medium to 100%(NS), 400:1, 200:1, 100:1, 50:1, respectively, was placed and imaged. At this time, the pitch was divided into steps of 0, 0.35, 0.7, 1.05, and 1.4 for each dilution ratio of the solution and imaged, respectively. One-way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mean of the CT number and noise values measured in all ROIs by dilution rati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pitch.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CT number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itch for each dilution ratio, but the noise value tende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pitch,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iral image acquisition of CT, noise can be changed to a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pitch.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set the quality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for CT images using the spiral image acquisition method.

      • KCI등재

        팔꿈치관절 CT검사에서 환자 자세 및 호흡에 따른 화질평가

        임종천(Jong-Chun Lim),박상현(Sang-Hyun Park),이인재(In-Jae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7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4 No.7

        팔꿈치관절 CT 검사 시에 골절 등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팔을 거상하지 못할 때에 주로 선 감약이 많이 되는 복부 장기 및 요추에 중복된 상태로 검사하여 영상의 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판독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선량 증가로 인해 환자의 피폭이 많아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복부 장기와의 중복을 피하고 상대적으로 선 감약이 적은 폐야와 중복되어 광자량을 증가시켜 영상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실험 방법은 환자의 오른쪽 팔꿈치관절을 대상으로 하여 환자를 바로 누운 자세에서 팔꿈치관절을 L2-3 level에 위치시킨 방법과 바로 누운 자세에서 왼쪽으로 30도 정도 돌려서 폐야와 중첩하고 완전한 흡기 상태에서 비교하여 진행하였다. 16, 128채널 각각 5회씩 측정하여 나온 데이터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구한 뒤 신호 대 잡음 비(SNR), 대조도 대 잡음 비(CNR), 평균대 표준편차 비(MSR)를 각각 측정하여 평가를 시행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NR, MSR을 통계 분석하였고 각각의 인자가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팔꿈치관절 CT 검사 시 환자의 자세와 흡기를 통하여 검사하는 방법은 피폭선량을 최소화하고, 영상의 질을 향상하는 방법으로서 의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Because the arm can’t be sutured due to fracture during a elbow CT scan, a CT scan is proceeded in a state of abdomen and L-spire are overlapped which beam hardening artifact is done many times, and it often lowers the quality of elbow CT images. So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ading and due to increase in radiation dose from it, the number of patient"s exposure keeps increasing. In this research, it pl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mages by avoiding overlap with abdomen,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photon overlapped with lung field which the line attenuation is relatively small. The way of experiment is based on patient"s right elbow and place him as head first position, then place his elbow at L2-3 level in supine position, turn about 30 degrees to the left in non-control breathing and in supine position, and compared with full inspiration after overlapping with lung. After figuring out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data using Image J program 5 times each for 16, 128 channels, the evaluation is proceeded by measuring each of CNR, MSR a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refore, through positioning and inspiration during elbow CT scan, the way of inspection minimized the exposure radiation dose, and seems to be meaningful in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mages.

      • KCI등재

        복합 부가필터 종류에 따른 선량 및 화질 분석

        명노범,임소연,유세종,김성호,전민철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에서는 복합 부가필터(Composite added filtration) 4가지 종류(알루미늄, 니켈, 구리, 아연)를 두께별 로 조합하여 X-선 감약에 따른 선량감소와 최적의 영상을 평가하였다. 선량과 화질을 평가는 RQR9 표준 선질을 설정 한 X선 발생장치, 면적선량계 그리고 ICY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화질평가 항목(PSNR, RMSE, SSIM)에서는 PSNR값 이 30 dB 이상이 되는 영상들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량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조합은 3 mmAl + 0.6 mmNi (0.16μGym2)이었고, 화질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필터는 0.9 mmAl (PSNR 34.24dB, RMSE 79.52, SSIM 0.24)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량적 측면과 화질적 측면이 언급되었기에 향후 환자의 피폭선량과 최적의 영상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four types of composite added filtration (aluminum, nickel, copper, and zinc) were combined for each thickness to evaluate dose reduction and optimal images due to X-ray attenuation. To evaluate dose and image quality. X-ray generators, Dose Area Product(DAP) and ICY programs with RQR9 standard quality were used. In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element (PSNR, RMSE, SSIM), only images with PSNR value of 30 dB or mor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best combination in dose evaluation was 3 mmAl + 0.6 mmNi (0.16μGym2), and the best filter in image quality evaluation was 0.9 mmAl (PSNR 34.24dB, RMSE 79.52, SSIM 0.24). In this study, the dose aspect and the image quality aspect are mentioned, So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studies on patient's exposure dose and optimal image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 토모테라피 시 종양의 위치에 따른 피부선량 검증

        윤보름,박수연,박병석,김종식,송기원,Yoon, Bo Reum,Park, Su Yeon,Park, Byoung Suk,Kim, Jong Sik,Song, Ki Wo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4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6 No.2

        목 적 :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방사선치료 시 종양의 위치 변화에 따른 피부선량을 알아보기 위해 Gafchromic EBT3 film을 이용하여 피부선량을 측정하고, 치료계획 선량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피부선량 측정을 위한 팬톰은 I'm RT Phantom(IBA Dosimetry, Germany)을 사용하였으며, 2.5 mm CT영상을 획득한 후 Pinnacle(ver9.2, Philips Medical System, USA)을 이용하여 종양의 위치와 피부 선량 측정 점을 설정하였다. 종양(40.75 cm3)의 위치는 팬톰의 중앙과 표면으로부터 5 mm, 10 mm 거리로, 토모테이블 감약을 고려하여 팬톰의 천장과 바닥방향으로 대칭하게 각각 설정하였으며, 피부 선량의 측정점은 표면으로부터 3 mm, 5 mm 두께로 3회 반복 측정하였다. TomoHD(TomoHD treatment system, Tomotherapy Inc., Madison, Wisconsin, USA)를 이용하여 토모테라피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Gafchromic EBT3 필름을 팬톰 내 삽입하여 3회 반복 측정한 뒤 측정된 피부 선량과 치료계획 선량을 비교하였다. 결 과 : 팬톰의 상부 측 피부선량은 종양이 중앙에 위치한 경우 5 mm, 3 mm에서 7.53 cGy, 7.25 cGy였으며, 천장 측 피부로부터 5 mm 떨어져 위치한 경우 각각 18.06 cGy, 16.89 cGy, 10mm 떨어진 경우 각각 20.37 cGy, 18.27 cGy의 값을 나타내었다. 팸톰 하부 측 피부선량은 종양이 중앙에 위치한 경우 5 mm, 3 mm에서 각각 8.82 cGy, 8.29 cGy였으며, 하부 측 피부로부터 5mm 떨어져 위치한 경우 각각 21.69 cGy, 19.78 cGy, 10mm 떨어진 경우 각각 20.48 cGy, 19.57 cGy로 나타났다. 종양이 중앙에 위치한 경우의 피부 선량은 치료계획 시보다 3.2~17.1%이상 증가한 반면, 종양이 천장 측 5 mm에 위치한 경우 2.8~9.0%로 감소하였고, 토모테이블 방향으로 피부선량은 치료계획 선량에 비해 평균 11%이상 증가함을 보였다. 결 론 : 이번 연구 결과 토모테라피를 위한 치료 계획 시 피부선량은 실제 피부선량과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토모 테이블 방향으로의 피부 선량은 치료계획상의 피부선량보다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토모 테이블과 근접하여 위치한 종양의 치료 시 정확한 선량 계산 시스템과 피부선량의 검증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verify the skin dose in Tomotherapy-based radiation treatme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umor locations, skin dose was measured by using Gafchromic EBT3 film and compared with the planned doses to find out the gap between them.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skin dose, I'm RT Phantom(IBA Dosimetry, Germany) was utilized. After obtaining the 2.5mm CT images, tumor locations and skin dose measuring points were set by using Pinnacle(ver 9.2, Philips Medical System, USA). The tumor location was decided to be 5mm and 10mm away from surface of the phantom and center. Considering the attenuation of a Tomo-couch, we ensured a symmetric placement between the ceiling and floor directions of the phantom. The measuring point of skin doses was set to have 3mm and 5mm thickness from the surface. Measurement was done 3 times. By employing TomoHD(TomoHD treatment system, Tomotherapy Inc., Madison, Wisconsin, USA), we devised Tomotherapy plans, measured 3 times by inserting Gafchromic EBT3 film into the phantom and compared the measurement with the skin dose treatment plans. Results : The skin doses in the upper part of the phantom, when the tumor was located in the center, were found to be 7.53 cGy and 7.25 cGy in 5mm and 3mm respectively. If placed 5mm away from the skin in the ceiling direction, doses were 18.06 cGy and 16.89 cGy; if 10mm away, 20.37 cGy and 18.27 cGy, respectively. The skin doses in the lower part of the phantom, when the tumor was located in the center, recorded 8.82 cGy and 8.29 cGy in 5mm and 3mm, each; if located 5mm away from the lower part skin, 21.69 cGy and 19.78 cGy were respectively recorded; and if 10mm away, 20.48 cGy and 19.57 cGy were recorded. If the tumor was placed in the center, skin doses were found to increase by 3.2~17.1% whereas if the tumor is 5mm away from the ceiling part, the figure decreased to 2.8~9.0%. To the Tomo-couch direction, skin doses showed an average increase of 11% or over, compared to the planned treatment.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gaps between planned skin doses and actual doses in the Tomotherapy treatment planning. Especially to the Tomo-cocuh direction, skin doses were found to be larger than the planned doses. Thus, during the treatment of tumors near the Tomo-couch, doses will need to be more accurately calculated and more efforts to verify skin doses will be required as well.

      • KCI등재

        저농도 조영제를 사용한 CT검사에서 저관전압 기법에 따른 유용성 평가

        정강교(Kang Kyo Jung),조평곤(Pyong Kon Ch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1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검사(computed tomography; CT)에서 저농도 조영제와 저관전압 기법이 선량과 영상에 미치는 유용성을 팬텀으로 평가하였다. 조영제 농도별로 희석정도를 달리하여 실험팬텀에 삽입 후 관전압과 관전류를 단계적으로 변화하여 촬영하였고, 획득된 팬텀영상을 통해 선량과 HU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준조건(350 mgI/ml, 120 kV)보다 저농도 조영제와 저관전압 조건(300 mgI/ml, 100 kV)설정이 체적선량평가(CTDIvol;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vol)에서 평균 21% 감소하였다. SNR은 저농도 조영제와 저관전압 조건이 팬텀에서 측정한 모든 깊이(center, 4.5cm, 2.25cm)의 조영제와 생리식염수를 1:10, 1:20으로 희석한 실험에서 각각 12.2(26%), 6.2(17%) 증가하였다. CNR은 각각 11.5(32%), 6.3(26%) 증가하였다. CT 검사에서 조영제 부작용 감소를 위한 저농도 조영제의 사용과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저관전압 사용으로 영상에서 높은 감약계수를 통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uted tomography contrast agent at low concentrations and low tube voltage techniqu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n the phantom image. By varying the degree of mixture by the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it was inserted in phantom. It was taken by changing the tube voltage and tube current step by step, and to evaluate the dose and the CT value obtained from the phantom image. As a result, low-contrast, low tube voltage(300 mgI/ml, 100 kV) was reduced by an average 21%(CTDIvol;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vol) more standard condition(350 mgI/ml, 120 kV). SNR was increased at all depths of the phantom, respectively 1:10 and 1:20(by diluting a contrast agent and normal saline) 12.2(26%) 6.2(17%). CNR was increased at all depths of the phantom, respectively 1:10 and 1:20(by diluting a contrast agent and normal saline) 11.5(32%), 6.3(26%). Research work on the CT scan is necessary in a variety of studies on the low contrast concentration and low tube voltage techniques for dose reduction and reducing of side effects the contrast agent.

      • KCI등재

        듀얼에너지 CT(kvp switching)의 임상 적용: MAR(Metal Artifact Reduction) 알고리즘의 적용

        김명성,정종성,김명구,Kim, Myeong-Seong,Jeong, Jong-Seong,Kim, Myeong-Goo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11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6 No.2

        본 논고의 목적은 듀얼 에너지 시스템의 금속 인공물 감약 (MAR) 기법을 팬텀과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하여보고 그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사용한 장비는 GE사(社)의 750HD CT이고 AW 4.5 볼륨 share 4 워크스테이션에서 영상 분석을 하였다. 팬텀으로는 victoreen사(社)의 사람 모형 흉부팬텀을 사용하였고 사람 대상은 2010년 12월 20일부터 2011년 2월 10일까지 금속물질이 삽입된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목 부위와 복부 부위에 MAR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사용한 파라미터는 복부검사의 경우 GSI-4Body-Large 0.9 sec 40 mm이고 목 부위에서는 GSI-3Body-Medium 0.5 sec 40 mm를 선택하여 시행하였다. 영상시험은 국립암센터 CT영상실에서 기본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프로토콜에 MAR 옵션을 적용하여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영상분석은 MAR기법을 적용한 영상과 적용하지 않은 영상에서 검은색 인공물과 줄무늬 인공물이 있는 부위에 관심부위 (ROI)를 설정한 후 hounsfield unit(HU)과 노이즈를 이용한 정량적 평가를 하였고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사와 방사선사가 CT영상에 대한 평가를 하여 MAR 알고리즘에 대한 유용성을 비교하였다. 환자 대상 시험 결과 MAR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서 금속 인공물이 있는 부위에서의 검은색 인공물(금속이 있는 부위) 과 줄무늬 인공물이 있는 영상에서 HU의 p값이 각각 p=0.01과 p=0.04를 보였지만 금속 인공물의 영향에서 벗어난 부위에서의 노이즈는 오히려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p=0.05). 그리고 그 외의 영상(금속이 있는 부위에서 1 cm 떨어진 단면 영상) 에서 검은색 인공물과 줄무늬 인공물 부위의 HU와 노이즈의 p값에 대해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만족하지 못하였지만 대체적으로 MAR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서 금속인공물 발생이 감약 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금속 물질이 삽입된 환자의 경우에 MAR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서 조직의 선예도가 적용하지 안했을 때보다 증가하였고 검은색 인공물 발생 또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O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value of the metal artifact reduction (MAR) algorithm by Dual energy(kVp switching) CT (Computed Tomography) for non using MAR and we introduced new variable Dual energy CT applications through a clinical scan. The used equipment was GE Discovery 750HD with Dual-Energy system(kVp switching). CT scan was performed on the neck and abdomen area subject for patients. Studies were from Dec 20 2010 to Feb 10 2011 and included 25 subject patients with prosthesis. We were measured the HU (Hounsfield Unit) and noise value at metal artifact appear(focal loss of signal and white streak artifact area) according to the using MAR algorithm.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In patient subject case,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showing HU was p=0.01 and p=0.04 respectively. At maximum black hole artifact area and white streak artifact area according to the using MAR algorithm. However noise was p=0.05 and p=0.04 respectively; and not the affected black hole and white streak artifact area. Dual Energy CT with the MAR algorithm technique is useful reduce metal artifacts and could improve the diagnostic value in the diagnostic image evaluation of metallic implants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