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수성훈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

        이상희 ( Sang Hee Lee ),정민정 ( Min Jung Ju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감수성 훈련이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감수성 훈련이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칠 것인가와 둘째, 감수성 훈련이 대학생들의 자기의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설계모형은 감수성훈련을 실험적 처치로 하여, 감수성훈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 간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을 비교하는 사전사후 통제 집단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천안에 소재한 N대학교 1곳에 재학중인 대학생 중 실험집단15명, 통제집단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먼저 대인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문선모(1980)가 Guerney(1977)의 관계 변화 척도를 번안한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Fenigstein 등(1975)이 개발한 자기의식검사(Self Consciousness Scale)를 김득란(1980)이 번안하고 한국 실정에 맞게 몇 가지 문항을 추가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사전 검사, 감수성훈련 실시,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는데, 2006년 9월 27일부터 11월 28일까지 10주 동안 N대학교 ‘감수성훈련’ 수업시간 중에 10회의 감수성훈련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의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점수의 사전?사후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감수성훈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점수가 사전과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통제집단의 대학생들의 자기의식 점수의 사전?사후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감수성훈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점수가 사전과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감수성훈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자기의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nsitivity Training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The design of experiment for this study i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consist 30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in the same university. All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Sensitivity Training-experienced members and control group which had 15 non Sensitivity Training-experienced members. I did Sensitivity Training on experimental group ten times, made certain of the chang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Sensitivity Training, and compared the result with control group. SPSS(statistic package) was used to analysis collected data, and t-test was employed to know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the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showed highly positive change on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2.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showed highly positive change on the score of self-consciousness. As those results,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takes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improvement for university students. In conclusion, the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improv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sciousness.

      • KCI등재후보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이향숙(Lee Hyang Suk),신애자(Shin Ae Ja)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도관의 참여경험과 참여경험에 대한 구조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교도관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7단계 절차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7의 주제와 15개의 주제묶음, 그리고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집단 상담에서의 경험은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적응과정’, ‘교도관의 스트레스’, ‘개인내적 심리 변화’, ‘대인관계에서의 변화’, ‘교도관으로서의 태도와 역할 변화’로 파악 되었다. 둘째, 집단상담 참여경험의 구조와 관련하여, ‘교도관의 스트레스’는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교도관의 감수성훈련 적응과정’은 ‘개인내적 심리변화’와 ‘대인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내적 심리변화’와 ‘대인관계의 변화’는 ‘교도관으로서의 태도와 역할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각 범주에 포함되어 있던 주제묶음들이 서로 상호작용적으로 연결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감수성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도관의 참여경험과 참여경험에 대한 구조를 알아봄으로써, 그들의 교정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 교도관들의 정서안정을 도모하는 다양한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of jailer participating in sensitivity training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five jailer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seven step procedure presented by Colaizzi (1978). The results of the analysis, 87 themes, 16 theme clusters and 6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experience of sensitivity training group counseling of jailer are as follows: ‘life as a jailer’, ‘adaptation process of ‘sensitivity training of jailer’, ‘change of perspective’, ‘change of mind and body’, ‘change of attitude and role as a jaile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Second, the structure of participation experience of sensitivity group counseling of jailers was revealed that ‘life as a jailer’ affects ‘the process of adapting the sensitivity training of the jailer’, ‘the process of adapting the sensitivity training of the jailer’ and ‘change of mind and body’. ‘Change of perspective and change of mind and body’ have an effect on ‘attitude and role change as a jailer’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lso, ‘change of perspective’ and ‘change of mind and body’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attitude and role change as a jailer’ were foun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e theme clusters included in each category are interactively connected and influencing each other. This study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 to achieve their goal of correction and will b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 for emotional stability by finding out the structure of participant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of jailers who participated in sensitivity training group counseling program.

      • KCI등재

        감수성훈련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 분석

        이윤주,유동수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rapeutic factors of improve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on sensitivity training group counseling. 10 of improvement group and 10 of comparison group on self identity, meanings of life,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were selected, and therapeutic factors were analyzed on their postscripts by contents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mprovement group showed much more therapeutic factors than comparison group. Second, Most of therapeutic factors of improvement group were found on emotional and behavioral realm, all therapeutic factors of comparison group were found on cognitive and emotional realm. Third, improvement group's postscripts showed self understanding, acceptance, interpersonal learning, inspiration of hope, and comparison group's postscripts showed guidance, acceptance. Fourth, Improvement group's self disclosure was lead to acceptance and catharsis, and then improvement group experienced self understanding, interpersonal learning, cohesion, and hope for future. 본 연구에서는 감수성훈련집단의 성과에 따라 집단의 치료적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마라톤 감수성훈련집단의 성과변인인 자아정체감, 삶의 의미, 삶의 만족도, 주관적 행복에서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정적 변화가 큰 향상집단과 부적 변화가 크거나 변화가 거의 없는 비교집단 각 10명 중 소감문을 작성한 집단원들에 대해서 집단 종결 후 작성한 소감문에 나타난 치료적 요인에서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소감문에 나타난 치료적 요인을 질적 분석하여 감수성훈련집단의 치료적 요인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모든 측정변인에서 향상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2배에서 5배 더 많은 치료적 요인이 나타났다. 둘째, 향상집단은 대부분의 치료적 요인이 정서, 행동 영역에서 발견된 반면 비교집단은 인지, 정서 영역에서만 치료적 요인이 발견되었다. 셋째, 향상집단은 2/3 이상의 소감문에서 자기이해, 수용의 치료적 요인이, 그 외 1/2 이상의 소감문에서 대인관계 학습, 희망의 고취의 치료적 요인이 발견되었으며 비교집단은 1/2 이상의 소감문에서 지도, 수용의 치료적 요인이 발견되었다. 넷째, 소감문에 대한 추가의 질적 분석을 통해 상기 결과를 더 깊이 확인할 수 있었다. 향상집단의 소감문에서는 자기노출 경험 후 집단으로부터 수용되고 감정이 정화되는 경험을 하며 이를 통해 자기이해와 대인관계학습을 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 응집성과 이타심을 체험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감수성 훈련을 적용한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조윤숙(Cho, Yun-Suck),이윤주(Lee, Yoon-Joo)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감수성 훈련을 적용한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한국형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확립하고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10명의 부모와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형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및 요구 분석을 실시하여 실제적 필요성을 확인한 후,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설정, 기존 프로그램 분석, 내용 선정 및 구성, 전문가 타당성 검토, 프로그램 예비 실시, 프로그램 수정ㆍ보완 및 구체화, 프로그램 실시, 프로그램 평가 등의 9단계를 거쳐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요 영역은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녀수용, 상호피드백, 긍정발견, 행동변화, 성격이해, 자신감 획득이었으며, 부모교육을 자발적으로 희망하는 28명의 부모들 중 14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 배정한 후, 실험집단에게 1회기에 180분, 주 2회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평가에 의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감수성 훈련을 적용한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들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부모-자녀 상호작용,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Korean style parental education program in which sensitive training was applied thorough developing it and carrying it out. For this purpose, a preced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Korean style parental education an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its program. Based on that need, a research on the actual need of parents for parental education was done and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actual need was confirmed. With that confirmation, Korean style parental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nine stages such as setting goals and purposes of the program, analyzing the existing programs, selecting and organizing of contents, expert checking of its validity, a preliminary implementation, modification and revision of the program as well as giving concrete form to it, carrying out the program, evaluating etc. Measurement methods used for verify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way are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self-esteem scale. 28 parents who have need for this program volunteered and 14 out of them were randomly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4 to a control group. Major contents of the program are 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child-acceptance, mutual feedback, finding out positive attitude, behavior change, personality understanding, and building self-confidenc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eight times in total, twice a week, 180 minutes for each time. Results show that Korean style parental education improved parent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ir child and their self-esteem. Finally, this paper deals with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Korean style par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this study.

      • KCI등재후보

        문화간 훈련의 이론과 방법

        정진경,양계민 한국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4 No.1

        Intercultural contact in rapidly increasing as the world becomes globalized. In Korea, successful cultural adaptation is gaining more and more importance with the increase in various types of intercultural contact. This paper reviews the theory and methods of intercultural training which was developed to help people prepare for the intercultural contact, culture shock and conflict. It has been well established in the literature that intercultural training leads to better acceptance, understanding, and enjoyment of cultural diversity.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training, related areas, historical development, major theories and methods,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and concludes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for the area. 전 세계가 점점 세계화, 국제화 되어감에 따라 문화간 접촉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 역시 다양한 문화적 접촉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성공적인 문화적 적응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 서로 접촉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충격과 그로 인한 오해와 갈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전에 준비시키는 문화간 훈련의 이론과 방법에 대한 최근까지의 논의들을 개관하였다. 문화간 훈련이 다양성을 수용하고 이해하고 향유하는 좀더 적응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게끔 도와준다는 것은 많은 연구결과들이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간 훈련의 개념과 관련 분야, 문화간 훈련의 역사, 문화간 훈련의 주요 이론과 방법, 국내의 문화간 훈련 현황에 대해 논의하였고, 결론에서 앞으로 문화간 훈련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사회복지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연구

        박경아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서울에 위치한 사회복지관 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에 관하여 조사한 연구이며, 조사 결과에 따른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심리적 부분을 중점으로 제시한 논문이다. 급변하는 사회에 가장 민감한 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복지관 조직이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만족을 위한 최대의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감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 이다. 왜냐하면 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가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17개 기관을 선정하여 총 267명을 대상으로 현재 담당하고 있는 직무에 대한 만족도, 동료 및 상급자와의 업무 협조 관계, 자기 발전의 가능성, 자긍심, 복지관의 복지후생제도, 합당한 대우의 정도, 업무 양, 보수수준, 직장 내에서의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에 관련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관의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는 전체 3.43의 평균값이 나왔다. 사회복지관 구성원이 느끼는 직무에 대한 만족감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의 결과를 보여준 것은 동료들과의 업무협조정도에 대한 만족감이었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업무의 양 및 복지 후생제도, 보수수준의 만족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사회복지관이 아직까지는 근무환경 및 조건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조직의 구성원들의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 및 자신의 일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직접적은 인사제도 및 보수를 포함한 복지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제고시키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겠으나, 좀 더 장기적이고 거시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는 조직발전(OD)을 통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직발전은 체험학습에 의거, 개인의 태도나 행태의 변화에 중점을 두는 교육훈련의 방법으로서, 훈련기법으로는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 게슈탈트 심리치료(Gestalt therapy) 등이 있다. 감수성 훈련 및 게슈탈트 심리치료 기법은 기관의 근무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법이기보다는 개인적인 행동변화 및 심리치료를 위한 기법으로써 사고, 감정, 행동의 전체성과 통합을 위한 노력을 통해 현재의 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갖게 함으로써 직무만족도를 높여주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job satisfaction felt by the members of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presents the schemes to enhanc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asp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sensitive ones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job satisfaction felt by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should be given the first priority in order to render superior services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the clients. It is becaus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felt by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can have effects on rendering services. So, for this research, survey by questionnaires on 267 members of 17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was conducted with regard to the cooperative work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uperiors, the possibility of self-improvement, self-esteem, the welfare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the degree of appropriate treatment, workload, pay levels, and the degree of stress felt in human relations within the workplac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mean value of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felt by the entire members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was 3.43.I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felt by the members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the item that showed the highest mean value in job satisfaction was the cooperative work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and the items that showed the lowest mean value in job satisfaction were the workload, the wellbeing and welfare system, and the pay level. This can be said to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 our country still have many difficulties in work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So, in order to enhan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felt by the membe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our country with their organizations and their jobs, directly and in the short-term, the welfare system including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and remuner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but in the more long-term and macroscopic approach,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should be enhanced through organization development(OD).The organization development is the method of education and training that focuses on the changes of the individuals’attitude and behavior based on work-study programs, and as the training techniques there are the sensitivity training and the Gestalt therapy.The techniques of the sensitivity training and the Gestalt therapy, which are the techniques for personal behavioral changes and psychotherapy, rather than the techniques for chang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organizations, can be said to have the effect of enhancing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by changing the recognition of the present problems through the efforts for the totality and integration of thinking, emotion, and behavior.

      • 감수성 훈련이 인간 관련 직무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

        김현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06 論文集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how much sensitivity training reduced job stress. The participants of this experiment were 42·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0 in the control group.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pre-post experiment design and t-test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reduction of job stress related to humans was measured by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abi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Does sensitivity training influence communicative ability?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ensitivity training on the communicative ability due to the participants' age and academic background? 3. Does sensitivity training affect personal relationship?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ensitivity training on the personal relationship due to the participants' age and academic background? The result showed that sensitivity training was related to communicative abi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and academic background.

      • 군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창현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18 사회융합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both theoretical aspects and moral quality program. A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development of military moral quality. To do this study, it proposes military moral quality through researching a documents. As a result, after 1990s’ military moral quality has been improved but it is still not enough because of lack of contents. Another problem is that the lecture is leaded by only trainer. Therefore it needs to adopt variety ways of development of organization to improve military moral quality. This study proposes emotion training, human potential developing training, MANITO(secret friends) program, humane studies., etc.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헌조사방법을 통하여 인성교육 및 군 인성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발전시켜야 할 군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제안을 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군 인성교육은 1990년대 이후 많은 진보가 있어 왔지만 아직 인성교육 컨텐츠가 미비하고 지휘관의 강의 중심의 교육에 머물러 효과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군 인성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조직개발기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감수성 훈련, 인간 잠재력 개발훈련, 마니또 프로그램, 인문학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N포세대의 감정 풍속도

        서연주 대중서사학회 2019 대중서사연구 Vol.25 No.1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real meaning behind the stories in which the N-po Generation (Millennial Generation) is depict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entertainment programs, TV series, and movies. This could be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emotional customs of our era, which have been described by television media as portraying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reality in the most mundane and popular manner while influencing the public. Problems with youth unemployment, the polarization of life, and instability are not only global issues but situations that specifically occur in South Korea. It is thus vital to pay attention to the inner side of the N-po Generation who enjoy Sohwakhaeng (small but certain happiness) by eating alone as the placebo effect of this tough reality. This is an agenda that should be viewed as a problem in the fundamental design of South Korean society.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shown in the TV series <Drinking Solo> has been drawing attention. The TV series Because <This is My First Life> depicts a love narrative that concentrates on emotions in a relationship that started between housemates due to poverty and housing problems, leading to marriage. Thus, the TV series persuasively dramatized ‘confluent love’ in the N-po Generation. In the movie <Microhabitat>, Miso can be regarded as a symbol that represents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of cultural sensitivity. There is a suggestion in the sequence of <Microhabitat> that identifies the pursuit of taste with the discovery of identity. The TV series <Hello, My Twenties!> is a growth narrative that deals heavily with youth unemployment, temporary workers, fragmented families, and dating violence. The housemates in <Hello, My Twenties!> fi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nd courageously approach their individual problems. In the process, images of women, who are empathetic towards others and are willing to jointly solve their problems, are calmly depicted to reveal a story of growth revolving around a ground emotional community. The current problem that South Korean society should contemplate is how to be fully human beyond mere survival, and how to further seek the conditions of human existence. In that sense, what we should pursue is a notion of ‘publicness’, which can put several generations together. Because of the reality that confliction between generations must be triggered, in order to make a passage of sympathizing, mass media’s sensitivity training becomes more important. This may be the duty of mass media. 본고에서는 한국의 N포세대가 그려지는 사회적 맥락을 최근의 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우리 시대의 풍속도를 분석해 보고 대중매체가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해 타진해 보았다. 그 결과 전 지구적인 청년실업과 삶의 양극화, 불안정성, 성과사회의 각박한 현실에 혼밥하는 것으로 잉여자가 된 자신을 위무하며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하는 N포세대의 내면에 주목하게 되었고(드라마 <혼술남녀>, <식샤를 합시다>), 주거고민이 결혼 기피로까지 이어지는 N포세대가 추구하는 ‘합류적 사랑’의 경향을 엿볼 수 있었다.(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영화 <소공녀>)는 문화적 감수성의 새로운 세대 출현이 진행되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진정성 있는 삶에 대한 성찰을 던져주었다. 드라마 <청춘시대>는 청년 실업, 비정규직, 파편화된 가족, 데이트 폭력 등을 비중있게 다루면서 타인의 상처에 대해 공감하고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실천하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이 감정공동체의 성장담으로 그려졌다. 살펴본 작품들은 지금 한국사회가 숙고해야 할 문제는 결국 생존 자체를 넘어선 사람답게 사는 것, 사람됨의 조건을 찾아가는 것이란 성찰을 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공공성이다. 때문에 세대별 갈등이 촉발될 수밖에 없는 현실 가운데 공감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대중매체의 감수성 훈련이 긴요해진다. 이에 대한 고민을 끊임없이 공론화하는 것이 또한 대중매체의 책무가 아닐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