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개별성-관계성의 하위집단에 따른 갈등해결전략이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류정화(Jung-hwa Ryu),정남운(Nam-woon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개별성-관계성 발달수준에 따라 형성된 하위집단을 탐색하고, 각 집단별 갈등해결전략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별성-관계성이 긍정적-부정적 갈등해결전략을 매개로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과 대학원생 485명을 대상으로 개별성-관계성 척도, 갈등해결전략 척도(MADS: Managing Affect and Differences Scale), 이성 관계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개별성-관계성 발달수준에 따른 하위집단을 군집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개별성-관계성이 이성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군집분석 실시 결과 4개의 집단(개별성·관계성 발달집단, 개별성·관계성 미발달 집단, 개별성 부분발달 집단, 관계성 부분발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관계성은 긍정적인 갈등해결 전략과 정적 상관을, 부정적인 갈등해결 전략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개별성은 긍정적인 갈등해결 전략에서만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갈등해결 전략 6개 요인과 이성 관계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넷째, 개별성과 관계성 수준이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관계성 요인은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부정적 갈등해결전략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성 관계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별성 요인은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에만 정적 영향을 보였고, 이성관계 만족도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개별성·관계성 불균형 발달을 이룬 사람들이 상담 장면에 온다면, 미발달된 개별성과 관계성의 성장을 촉진하고, 갈등해결전략이라는 관계적 요소를 개입함으로써 이성 관계 만족도를 증가시켜 이성 관계에서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ubgroups form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viduality-relatedness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r each group, and confirm the effect of individuality-relatedness on romanticl relationship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role positive- negativ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Methods The three measures were employed: (a) Individuality - Relatedness scale, (b) Managing Affect and Differences scale, (c)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The sub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vidualityrelationship development was identified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the effect of individuality-relationship on the opposite-sex relationship was confirm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Results indicated, first, that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s four clusters: Undeveloped group of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Developed group of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Partially developed group of relatedness, Partially developed group of individuality. Second, depending on individuality - relatedness each level, different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were used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our groups. Third,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ty - relatednes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latedness increase use of positiv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reduce use of negativ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nd have no influence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Meanwhile, individuality enhances positiv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Lastly, this study ends with discussion of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 that if people with unbalanced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development come to the counseling center, they can promote the growth of undeveloped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help to maintain healthy relationships by intervening thei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o increas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 KCI등재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평가와 갈등해결전략의 매개 효과

        길예진,김영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본 연구는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평가와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그리고 두변인의 관계를 인지적 재평가와 갈등해결전략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 및 경상도 지역의 중년기 남녀 407명을 대상으로 생활사건 스트레스, 인지적 재평가, 갈등해결전략, 중년기위기감 관련 변인에 대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과 표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중년기 위기감은 정적 상관을, 인지적 재평가와 중년기 위기감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적응적인갈등해결전략과 중년기 위기감은 부적 상관을, 부적응적인 갈등해결과 중년기 위기감은 정적 상관을 나타났다. 둘째,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평가는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부적응적인 갈등해결전략의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넷째,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평가와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다섯째,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평가와 부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중년기 위기감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인지적 재평가와 적응적인 갈등해결전략을 증진시키고 부적응적갈등해결전략은 감소시키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동료와의 갈등해결기술 수행 및 갈등해결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

        이신령,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ituation-based conflict resolution program on the performance of conflict resolu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4 middle schools. A group of 12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t had participated in a situation-based conflict resolution program w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 of 12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15 sessions, 2-3 times a week in a social skill class. The program includes as follows: the training of conflict resolution skill including a problem solving strategy, anger management, peer mediation in peer conflict situation; offering positive self-esteem activities; instructing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is study, the conflict resolution skill video scale and the conflict strategy constructiveness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performance of conflict resolution skill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video scale included 4 peer-conflict situations: peers‘ verbal teasing; peers’ physical bullies; isolating in class activities; peers’ unreasonable reques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interview of the confliction resolution skill process immediately followed after the presentation of each situation. Students' responses were classified on the strategy constructiveness scale.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conflict resolution skills and us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conflict resolution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performance of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nhancing conflict resolution capacitie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who will transit to high schools and adulthood.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 후 지적장애 학생의 동료와의 ‘갈등해결기술 수행’과 ‘갈등해결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4개교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 24명(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갈등해결기술 사전 점수와 학교를 고려하여 구성된 12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15회기의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결과는 첫째,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갈등해결기술 수행 점수는 통제집단 학생들의 갈등해결기술 수행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갈등해결전략 사용 점수는 통제집단 학생들의 갈등해결전략 사용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황중심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의 동료와의 갈등해결기술 수행과 갈등해결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현장의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상황별 갈등해결 교수가 희박한 현 시점에서, 학생들 사이의 갈등상황을 중심으로 갈등해결을 지도하고, 그 결과를 갈등상황 동영상을 통해 학생들의 갈등해결기술 수행과 갈등해결전략 사용을 평가한 첫 실험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지적장애 중학생의 통합 증진과 고등학교와 성인기로의 성공적 전환에 갈등해결 능력 증진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아동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과 인터넷 중독 위험성

        최선옥 ( Sun Ok Choi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9 아동복지연구 Vol.7 No.1

        연구에서는 거의 매일 인터넷을 접하는 아동이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노출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변인으로 아동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다 아동의 친구 간 갈 등해결전략의 하위 변인들 중 인터넷 중독 위험성과 관련된 변인은 무엇이며, 그것들이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동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이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을 병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대한 아동 개인적 변인(성별, 부모학력, 경제수준, 학교성적)의 영향에 대한 탐색도 이루어 졌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 아동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 위험성음 살펴본 결과 성별과 학교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이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의 하위변인 중 절충 및 협력 전략과 지배 전략이 아동의 인터넷 중독 위험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 타났다. 아동의 개인적 변인과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아동 개인적 변인의 영향력을 제거하고서도 친구 간 갈등해결 전략 하위변인 절충 및 협력 전략과 지배 전략이 인터넷 중독 위험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성별이 남아이고 자신이 지각한 학교성적이 하위권이며 친구와 갈등상황에서 절충 및 협력 전략을 적게 사용하고 지배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더 노출 되어 있음을 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인터넷 중독에 대 한 예방프로그램이나 치료를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자 한다 또한 아동이 친구와 갈등상황에 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게 하며 문제 상황에서 적절한 해결방법을 찾아 인터넷 중독에 노출될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is research examined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their friendship as a variable which can protect their exposure to risk of internet addi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amination on risk of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children`s personal variables proved that it was affected by gender and school work achievement. Second, it was proved that compromise between subordinate variable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their friendship, compromising -integrating strategy, and dominating strategy are the variables which estimate risk of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Third, general research on children`s personal variable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proved that compromise between subordinate variable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their friendship, compromising-integrating strategy, and dominating strategy are the variables which estimate risk of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even regardless of effect of their personal variables.

      • KCI등재
      • KCI등재

        갈등해결 집단상담이 아동의 갈등해결전략과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송주연,은혁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9 초등상담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갈등해결 집단상담이 아동의 갈등해결전략과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학생 36명으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8명 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처치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재구성한 갈등해결 집단상담을 주 2회 50분간 11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하지원(2005)의 갈등해결전략 척도와 이은해와 고윤주(1999)의 친구관계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양적자료가 갖는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 회기별 집단참여일지와 집단상담 종료 후 평 가문항의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갈등해결 집단상담은 아동의 갈등해결전략 중 절충 및 협력전략과 양보전략을 향상, 지배전략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갈등해결 집단상담은 아동의 친구관계의 긍정적 기능을 향상과 친구관계의 부정적 측면을 감소 그리고 친구관계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갈등해결 집단상담은 아동의 갈등해결전략의 변화뿐만 아니라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 또한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conflict resolution program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friendship quality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higher-grade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Out of the students, 18 were in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rest were into the control-group. The experimental design wa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he 50-minutes conflict resolution program was trea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per week (a total of 11 sessions). The scale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presented by Ha Ji Wean (2005) and the scale of friendship quality of children presented by Rhee Un Hai and Koh Yun Joo (1999)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In order to supply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data, the journals of group participation of each session and the participation report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hypotheses verification were as follows; First,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conflic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nhancement of the compromising-integrating strategy and the obliging strategy, and reduction of the dominating strategy. Second, friendship qual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nhancement of the friendship positive function, and friendship satisfaction, and in reduction of the friendship negative aspec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affected both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the friendship quality of children.

      •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갈등해결 교육의 효과

        김진영(Jinyoung Kim)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논총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인 갈등해결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사회적인 갈등해결 능력의 구성 요인으로 정서조절, 사회적 기술, 공감능력, 사회적 성향, 대인 관계 능력을 선정하였고, 갈등해결 전략은 절충 및 협력, 양보, 회피, 지배전략 중 절충 및 협력 전략을 증가 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경기도에 위치한 모 초등학교 2학년 두 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 나머지 한 개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고, 실험을 시작할 시점에 실험집단 아동은 40명, 통제집단 아동은 39명이었으나, 전학을 가거나 설문지를 누락시킨 부분이 많은 아동은 배제하여 실험집단 아동 37명, 통제집단 아동 36명만 통계적 처리를 하였다.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경우에는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사전검사 점수의 영향을 배제한 공변량분석(ANCOVA) 을 실시함으로써 갈등해결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였다.<BR>  연구의 결과 공감 능력은 p<.01 수준, 대인관계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었고, 정서조절, 사회적 기술, 사회적 성향은 p<.001 수준에서 통계적인 의의가 있었다. 이연구 결과는 인지적 영역과 마찬가지로 정의적인 영역도 학교교육을 통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의 기초가 되는 갈등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있는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학교교육과정 중에 가르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갈등해결교육 결과 갈등해결전략의 경우는 ‘절충 및 협력’ 전략과 ‘회피’전략에서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고, ‘양보’전략과 ‘지배’전략에서는 통계적인 의의를 보이지 않았다. ‘양보’ 전략과 ‘지배’전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연구결과는 저학년 아동의 자기 중심적인 경향이 단기간의 교육으로 학습되기 어려운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저학년 아동의 경우 갈등해결 전략교육에서 자기중심성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내용에 대한 단계별 연구의 필요성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onflict-resolv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 developed 12 sets of social conflict-resolving program. The social conflict-resolving program consisted the students" abilities of emotional control, social skill, sympathy, social attitude, personal relation, and conflict resolving strategy.<B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executed the multivariate analysis and ver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 by the subordinate elements of each area.<BR>  The result of the study are follows:<BR>  Firs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social conflict-resolution than control group.<BR>  Second, the experiment group did not show higher conflict resolving strategy than control group.<BR>  As a conclusion the social conflict-resolving educ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conflict-resolving but partially effective in elements of conflict resolving strategy.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친구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한유정,김순혜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friendship of the early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370 students of the 5th grade and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using SPSS 20.0 and AMOS 1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empathy h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econdly,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friendship. Third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friendship of early adolescent was fully mediated by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is result implied that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s a variable that can be influenced by empathy, thereby proposing a possibility of an indirect developmental path for friendship through empathy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갈등해결전략, 친구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여 공감과 친구관계 사이에서 갈등해결전략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0.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초기 청소년의 공감은 갈등해결전략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 청소년의 갈등해결전략은 친구관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친구관계의 사이에서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갈등해결전략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감이 친구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갈등해결전략을 통할 때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초기 청소년의 친구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갈등해결전략을 사용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미혼커플의 자기자비가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을 적용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방초아 ( Choa Bang ),신희천 ( Hee Cheon Shi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6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7 No.-

        본 연구는 자기자비가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Kenny, 1996)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총 115쌍의 20-30대 커플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수준이 적응적 갈등해결전략 및 관계만족과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의 자기자비는 남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여성의 자기자비는 남녀 모두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남녀 모두의 관계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여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여성 자신의 관계만족에만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남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남녀 모두의 자기자비와 남녀 모두의 관계만족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자신의 자기자비와 관계만족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ssibl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us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Kenny, 1996). For the purpos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mpassion levels, relationship satisfactions and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115 couples. Results are as followed. While the male self-compass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men``s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female self-compass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both men and women``s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n both men and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the fe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positive effects only on 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Finally, the 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ully mediated both men and women``s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 other hand, the fe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the full mediation between women``s self-compassion and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실외놀이에서 유아의 또래갈등 원인과 해결전략, 이후의 놀이변화

        이지선,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실외놀이에서 발생하는 또래갈등 원인과 또래갈등 해결전략, 이후의 놀이변화 탐색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료는 강원도에 위치한 다은유치원 만 5세 정운반의 유아 18명(남아 7명, 여아 11명)과 교사 1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총 21회의 참여관찰 및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실외놀이에서 유아들의 또래갈등 원인은 물리적 원인과 관계적 원인으로 양분되었다. 물리적 원인은 고정놀이기구 선점권과 한정된 놀잇감 소유권, 놀이구성물 훼손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적 원인은 지식과 경험에 대한 의견충돌, 상대가 원하지 않는 장난, 신체적 접촉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이 실외놀이에서 발생한 또래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갈등해결전략은 일방향적인 해결전략, 상호적인 해결전략, 제3자 개입전략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갈등해결전략 사용 후 유아들의 놀이변화는 놀이 확장, 놀이틀로 복귀, 놀이소멸로 나타났다. 놀이틀로 복귀는 완전한 갈등해결을 통한 놀이복귀와 불완 전한 갈등해결을 통한 감정 표출하기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실외놀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한 또래갈등의 전 과정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또래갈등 연구에 대한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래갈등의 시작과 전개, 종결과 이후 상황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교사의 개입과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causes of peer conflict, peer conflict-solving strategies, and subsequent changes in play that occur in the outdoor play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otal of 21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18 young children (7 boys and 11 girls) and 1 teacher in the 5-year-old Jeong-un class at Daeun Kindergarten located in Gangwon-do,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auses of peer conflict among young children in outdoor play were divided into physical causes and relational causes. Physical causes were the preoccupation with play equipment, ownership of a limited amount of toys, and damage to play components. Relational causes were conflicts of opinion on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unwanted mischief and physical contact. Second, the conflict-solving strategies used by young children to solve peer conflicts that occurred in outdoor play were one-way resolution strategies, mutual resolution strategies, and third-party intervention strategies. Finally, after using the conflict-solving strategies, the changes in play of young children were found to be expansion of play, return to play framework, and extinction of play. Return to play framework was classified as a subcategory of returning to play through complete conflict resolution and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through incomplete conflict resolution. This study can help broaden the scope of peer conflict research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entire process of peer conflict that occours in outdoor play.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think the teacher’s role in conflict res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