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체계론적 가족치료 통합모델의 적용

        이남옥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1 가족과 상담 Vol.1 No.1

        "체계론적 가족치료는 일반적으로 가족구성원인 내담자의 건강과 가족체계 안에서 발생하는 가족구성원들 간 관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치료방법이다. 체계론적 가족치료의 관점에서 보는 가족은 문제가 있는 내담자, 그 문제로부터 영향을 받는 사람들 그리고 그 문제 해결에 관심을 갖는 사람, 모두를 포함하는“실질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관계체계”라고 정의하며 변화의 대상은 개인이나 개인간의 관계 또는 체계자체의 구조나 기능이 되기도 한다. 체계론적 치료 또는 가족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체계를 이루고 있는 개별 구성요소의 행동을 그 요소의 고유 특성이 아니라 그 요소와 다른 요소들과의 관계, 그 요소와 체계 환경과의 관계로 설명하는 이른바 체계론적 사고(systemic thinking)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체계론적 가족치료의 역사와 함께 체계이론의 소개 및 체계론적 치료의 전반적인 소개가 이루어진다. 체계론적 가족치료는 정신역동적, 인지행동주의적, 그리고 인간 중심주의적 심리치료방법과 함께 유럽, 미국 등에서 세계적으로 그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체계론적 치료의 사회적, 직업적 지위는 그 명성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체계론적 가족치료는 기존의 치료법을 보완하는 것으로서 일부 지역 또는 사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더 많은 가족치료자들의 관심과 활용을 기대해 본다. 서구에서 발전된 심리치료의 방법인 만큼 정확한 소개를 통해 한국적 토착화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다문화가족정책의 서비스 전달체계 분석

        김춘희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13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10 No.1

        본격적인 다문화 시대를 맞아 다문화가족의 증가추세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특히 전달체계의 문제점으로 인한 양질의 서비스는 물론 적시에 서비스가 전달되지 않음으로 인해 많은 다문화 가족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착안하여 복지정책의 분석틀로 널리 알려진 길버트와 스펙트(Gilbert & Specht)의 분석틀 중에서 특히 전달 체계에 중점을 두어 전달체계의 개선방향을 살펴보았다. 전달체계의 개선 부문은 정부 부처 간 협조체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협력강화, 전문 인력의 양성, 민간기관의 지원 등으로 제시하고 있기도 하지만 본 연구에 서는 정부주도형 전달체계와 민간주도형 전달체계를 살펴보고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살펴보아 효과적인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전달체계 개발 측면을 제시하고 있다. 전달체계의 일반적 원칙으로 제시되는 전문성, 적합성, 포괄성, 지속성, 통합성, 평등성, 책임성, 접근용이성 등에서 종합하여 통합성과 효율성 측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각기 다른 정책을 결정하고 전달하는 중앙 정부부처의 전달체계의 통합성 개발과 공적전달체계와 민간전달체계의 효율성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심유화,정미경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군사회복지학 Vol.8 No.2

        본 연구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기혼 직업군인 262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2015년 5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PASW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모든 생태학적 체계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유기체 변인은 직업군인의 군복무기간이 짧을수록, 월 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맞벌이를 할수록 기능적이었다. 미시체계변인은 결혼생활과 직무에 만족할수록 기능적이었고, 중간체계변인은 이웃과의 유대가 강하고, 동네조직에 덜 참여할수록 기능적이었다. 외체계변인은 사회로부터 평가적 지지가 많을수록 기능적이었고, 지역의 공식적인 모임에서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수록 기능적이었다. 거시체계변인은 직업군인에 대한 공직성과 군직성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기능적이었다. 둘째, 직업군인의 전체적인 가족기능과 3개의 하위 영역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생태체계 변인군은 미시체계 변인군이었다. 이는 미시체계가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가장 중요한 생태학적 체계임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면, 생태학적 모든 체계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생태체계는 미시체계 변인군이다. 본 연구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생태체계적 접근을 통해 탐색하였다는 점과,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보다 내실 있고 명실상부한 군인가족복지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variables influencing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by employing Bronfenbrenner’s Eco-systematic approach. 262 married professional soldi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re done by using PASW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eco-systematic variables influence on the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In terms of the organism factors, the family has better function when it has shorter period of service, higher income per month, and a dual income. Regarding the microsystem variables, the family has better function when it has higher satisfaction on the marriage and the job, and for the mesosystem variables, it shows better function when it has stronger bond with its neighborhood and participates less in community organization. Besides, for the exosystem variables, the better family function can be predicted by having better social evaluation and less responsibility on any official community meeting, and when it comes to the macro system, higher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dentified as the predictor. Second, the microsystem variables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overall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its three subsets. The result could be interpreted in the sense of Eco-systematic perspective that all of the system have the effect on family function while the microsystem has the highest level out of the oth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determine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its relative effect by employing Eco-systematic approach.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practical and political direction can be further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family welfare of professional soldiers.

      •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Ⅱ

        김은지,김동식,최인희,선보영,김나연,정다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 한부모가족의 정책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지역사회 지원체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청소년한부모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확대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청소년한부모들은 정책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체계적으로 정책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전달체계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미혼모부자 거점기관 등 주요 전달체계에 대한 청소년한부모들의 접근성을 살펴보고, 이들 기관과 타 기관과의 연계가 얼마나 활성화되고 있는지, 전체적인 정책패키지로서 전달체계간의 통합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청소년한부모들이 주로 이용하는 전달체계는 공공복지 전달체계와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이었으며, 미혼모부자 거점기관은 이용율이 크게 낮아 주요한 정보제공 창구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경우에는 담당자들의 태도와 편견으로 인한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나, 담당인력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은 다른 기관으로의 연계도 가장 많이 이루어진 편이었지만 정보제공과 서류작성 도움 수준에 그치고 있어 연계기능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모?부자 거점기관은 일차적인 정보접근 게이트웨이로는 활용되지 못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기능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상담기관의 경우 이용율이 매우 낮고, 서비스 제공자들도 청소년한부모 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다. 이와 같이 시설중심의 정책전달, 공공복지전달체계의 낮은 친화력, 재가 한부모서비스 전달체계의 부족, 청소년전달체계와의 괴리는 한국 청소년한부모 정책전달의 주요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안한다. 공공복지전달체계에서 여성?가족 전담팀?인력을 배치하고,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은 정보제공과 연계기능을 강화한다. 미혼모 전담 온라인 상담창구를 설치하는 한편, 미혼모부자 거점기관의 기능을 강화하여 연계네트워크를 활성화한다. 나아가 청소년상담기관과는 CYS-net과의 연계강화를 통한 정책간 칸막이를 낮춘다. 이와 같은 영역별 전달체계를 통해 청소년한부모의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지역사회지원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지연,좌동훈,박세경,한미경,최수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사회보장, 사회서비스, 평생사회안전망의 맥락에서 현행 아동·청소년·가족보호체계를 진단하고 정책개선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현황 및 여건 분석, 둘째, 공공복지 전달체계 현황 및 여건 분석, 셋째, 보호체계 관련 국내·외 사례 및 현황 고찰, 넷째,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 등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선행연구와 행정자료를 분석하고, 자치구 단위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업무 추진여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2차 자료분석과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대상 실태조사, 전문가 의견조사(AHP),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전문가자문,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콜로키움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보호체계가 분절적으로 구성·운영되어 있어 보호대상 아동·청소년․가족의 진입관문(gate-way)이 어디인지에 따라 지원내용과 서비스에 차별이 발생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18세 미만 아동·청소년 가운데 보호지원이 필요한 아동은 10명 중 2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보호체계에 진입하더라도 보호조치를 담당하는 아동복지전담공무원의 배치기준이 부재하여 보호조치 시 전문성이 담보되지 않고, 아동복지시설 이외의 시설에서 대안돌봄 중인 아동·청소년은 보호조치를 위한 심의대상에서도 제외되는 등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시·군·구 단위 아동·청소년·가족 보호·복지 통합게이트웨이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현행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이용범위 확대와 취약계층 발굴을 위한 공통사정도구 개발·활용, 사례관리 전담인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치구 단위의 통합사례관리업무를 포함한 공공, 민간의 다종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조정하고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보호사무와 관련하여 지방정부의 사업설계 자율권을 보장하고 기존 운영방식을 전면 개편하는 방안으로, 중앙정부 사회보장사업 중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사업목적과 기능을 고려하여 포괄보조(block grants)가 가능한 사업군을 도출하고 성과관리체계와 연동하여 시행가능성을 면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법률 개정, 아동·청소년·가족 보호기반 강화, 제도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세부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ystem of the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tasks for policy and practice improvement in the context of Social Security, Social Service and Social Safety Ne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urrent project involves the following these components: 1.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condition of th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2. Examining the present state and situation of the public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3. Evalua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and cases of protection system; 4. Identifying policy and practice task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for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government report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ources were utilized to address these four components. In addition, sever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administrative data, a survey with participants of Hope Welfare Support Team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ocus Group Interview (FGI), Expert Advice, Policy Researchers Conference and Colloquium were employed to better understand the current challenges and needs of the local government agencies. The research identified the several major challenges and areas of improvement to reform the protection system and to promote the well-being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The first major finding is that based on the current structure, each protection system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is separa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As a result, discrepancy exists in the level of support and services depending on where the children, youths and families“Gate-Way”are. This may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urgent improvement areas in the current protection system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streamlined services. The second major finding is when children in need, enter the protection system, receiving adequate professional support is not guaranteed. This is a serious concern since it is estimated that two out of ten children under 18 years are subject to need for the protection support. The lack of professional support in the system can be attributed to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there is no systematic national standard for a Child Welfare Dedicated Public Official who is in charge of protection support. In addition, children and youths who receive the alternative care from the institution are not considered as a target for protection support under the current system. Therefore, to address the current challenge,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work toward establishing the Integrated Gate-Way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lso, expanding the range of current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developing common assessment instrument to detect risk of harm to vulnerable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case management professionals are critical to improve the protection system. Especially, a strategy to reinforce functions of Control Tower that operate and adjust various public and private social service including tasks for integrated case management is essential. The third finding is the necessity of making changes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For instance,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reorganize the existing operation method and to ensure autonomy for local government to have a business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protection system relevant to them. Also, based on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protection system, certain programs and services within Central Government-Controlled Social Security Services can be identified as potential programs for Block Grants. Thus, in conjunction with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t is critical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Block Grants programs for local government to develop locally relevant social services. Bas

      • KCI등재

        재혼가족에 대한 체계론적 분석 -경계와 역할개념을 중심으로-

        김연옥 ( Kim Yoon O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44 No.-

        본 연구는 가족체계론적 관점에서 재혼가족의 체계 특성을 경계와 역할 개념에 근거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재혼해체를 예방하고 재혼가족의 적응과 기능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개입의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재혼가족의 경계는 재혼의 “이중핵가족”체계와 “새로운 확대가족”의 특성 에서 비롯되는 가족경계의 모호성, 개인의 재량적 선택에 의해 규정되는 가족지위로 인한 경계유동성, 전혼의 존재와 같은 외부의 영향에로의 지속적 노출로 인한 경계침투성, 초혼과 다른 가족하위체계의 발달순서 등의 본질적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근거하여 초혼핵가족신화의 포기, 점진적·발달적 과제로서 경계와 역할수립의 수용, 가족체계의 중심축으로 부부하위체계 경계확립, 전 혼 배우자와의 적정 경계수립 등을 실천적 지침으로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perspective of family system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of boundary and role functions in stepfamilies. Results suggest that boundary ambiguity is very prevalent in stepfamily systems and partially come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remarriage such as “the binuclear family” or “the new extended family.” The description of boundaries defining who is in and who is out of the system is not clear. Also, the family ties are characteristically discretionary in stepfamilies, which brings about boundary fluidity. The existence of the first spouse and the non-custodial children results in boundary permeability in stepfamily sys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lin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A primary implication is the need for education for stepfamilies to inform the fallacies of hope and fantasies such as the myth of nuclear family. Second, a clinician would inform the stepfamilies that the family life cycle for remarried families passes through stages according the establishment of boundaries and role definitions. Third, remarried couples need to be helped to strengthen their newly formed union through the creation of appropriate boundaries of spouse systems. Also, the permeability of boundary due to the ex-spouse should be controled.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 가족복지서비스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정수경 ( Soo Kyung J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24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가족복지서비스 분류체계와 그 적용 현황을 분석해 봄으로써, 현 분류체계의 유용성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아 새로운 분류체계 개발을 위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문헌고찰을 하여 유용한 분류체계의 조건들을 탐색하고, 그 조건들을 중심으로 보건복지부의 분류체계를 분석해 본 후, 복지관의 분류체계 적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현 분류체계는 기준범주의 부재, 유형에 대한 상세설명의 불충분성, 중복가능성 그리고 포괄성을 담보할 수 없는 점, 실용성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지관에서의 적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분류체계를 적용하는 정도가 저조하였고, 적용하는 경우에도 지침에 부합되게 적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사업을 구성하는 유용한 준거틀로 기능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가족복지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분류체계 개발 과제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가족복지서비스의 분류체계를 재정비함으로써, 복지관에서의 가족복지서비스를 새로운 틀에서 구조화하고 계획하고 평가하게 하여, 복지관에서의 가족복지서비스가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립되도록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fulness of a typology used for family servi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This article has a brief review of the requirements necessary for a typology to be useful. Then, there is a critical review of the typology currently used to classify family services according to requirements. The final conclusion is that the present typology shows an absence of clear criteria, lack of detailed descriptions and clarity, and the possibility of overlap. It also does not cover all the family servi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Analyzing 292 community welfare centers on the basis of the Korean typology,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 typology does not work as a framework to organize family services. Only 24 percent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use the Korean typology as a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fidelity rate is low. Discussion on critical issues in developing a new typology followed.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 useful typology by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that is responsive to changing contexts and to helping social workers effectively organize, plan, and evaluate all family services provided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 KCI등재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가족체계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김요완 한국가족치료학회 2012 가족과 가족치료 Vol.20 No.1

        Objectives: This case study explored the family system of a juvenile sex offender, the in-depth causes of his behavior, and the effects of family counseling. Method: Therapeutic procedures were analyzed in detail using Grounded Theory’s system of open coding. Results: Ten dysfunctional family-systems categories were identified, some of which were indicated as causes of the sex-offender’s behaviors, including family trauma, repressive communication, and undifferentiated family systems. Through family counseling, the participants’ interactions and the rigid family rules were changed, and detriangulation was promoted. Conclusion: Family counseling is needed for radical psychological change of juvenile sex offenders. 본 연구는 성폭력을 행한 청소년의 가족체계의 특징이 어떠한지를 탐색한 단일 상담사례 연구이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 가족에게서 발견되는 가족체계의 특징은 무엇인가, 연구참여자에게 발견된 성폭력을 행한 원인은 무엇인가,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가족상담의 과정과 효과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자는 12회기 동안 상담을 진행하였고, 가족상담 이론적 관점으로 연구참여자 가족을 평가하였으며, 청소년으로 하여금 성폭력 가해를 하게 한, 가족체계와 심층 원인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연구참여자 가족에게서 10가지의 특징적인 가족체계를 발견하였는데, 이는 언어-비언어 불일치, 부정적 감정을 회피, 트라우마 억압, 외출 통제, 삼각관계, 분리를 저해, 원가족 눈치를 살핌, 원가족의 강요를 자식에게 강요, 자녀보다 부모를 돌봄, 형제에 대한 차별 등이다. 이러한 체계를 3가지 상위개념, 즉 억압적인 의사소통, 원가족과의 미분화, 형제차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가족 내에서 경험한 트라우마, 비밀을 유지하게 한 억압적인 의사소통, 미분화된 가족체계를 연구참여자의 성폭력 가해의 심층적인 원인으로 보았다. 가족세우기, 가계도 작성, 탈삼각화와 같은 가족상담 기법의 체험과 공생관계 체험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는 문제행동이 세대에 걸친 가족간의 상호작용 때문임을 통찰하였고 문제행동의 근본적인 해결과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 원인이 청소년의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원인뿐만 아니라 그들이 속한 가족의 역기능적인 가족체계에도 있음을 증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전달 기관의 정책 수행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향희(Hyang-Hee, Yun),전세경(Se-Kyung, Jeo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8

        본 연구는 국가의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이 어떠한 전달 체계를 통하여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의 실태를 살펴보고 드러난 문제점을 토대로 그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만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연구를 전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연구와 각 중앙 부처 및 대전광역시 관내 관련 기관의 간행물 및 홈페이지 자료 등의 문헌정보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정책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여러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별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의 전달체계와 수행실태의 문제점은 중앙부처간의 전달 체계 혼선으로 인해 대전광역시 전달 체계 역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 및 다문화교육센터가 각각의 상위기관의 업무지침에 따라 유사한 정책내용을 독립적인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그 내용이 중복적이다 보니 과잉의 예산이 투입되는 등의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전광역시청의 총괄조정 기능은 매우 미흡할 수밖에 없는 전달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관들 간에 역할분담이 불분명하고 경쟁적인 사업 추진, 즉흥적, 일회성 사업으로 인해 예산낭비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정부에 다문화가족 지원과 외국인관련 정책을 총괄할 수 있는 전담부서의 설치와 다문화가족 지원체계의 재정비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로의 대폭적인 정책 수립과 집행의 권한 이양, 대전광역시청에 전담 부서 설치 및 지원협의회의 활성화, 지역 역량 강화 및 프로그램의 다양화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improvements of delivery system and implementation for multicultural support policies base on the problems revealed through investigating about how the multicultural support policies are being carried out via what delivery system. In this study, In-depth research for the only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carried out. To this end, we examined and analyzed relevant prior researches and bibliographic information such as publications and websites materials from each agency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Deajeon city. Especially, relevant agency workers who were working at Daejeon City Governmen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and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ing Agencies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is study is that the delivery system of Daejeon city was too inefficient because of the confus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delivery system, For this reason, simila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independently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of the parent institution by the Daejeo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ing agenc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he policy have been duplicated and the problems such as the budget is put in the surplus have been occurring. Nevertheless, Daejeons general adjustment function was very insufficient due to the above delivery systems. As a result, there is unclear divisions of roles between agencies, and the promotion of competitive projects and the implementation of improvised, one-off projects led to problems such as the wasting of the budge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installation of a dedicated office in the government to overse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nd foreign policy,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ystem. It also proposes the transferral of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to local governments, the installation of dedicated departments in Deajeon, the activation of council support, the reinforcement of local regional capacity, and the diversification of building and diversification of programs in order to mak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more efficient.

      • KCI등재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체계의 해체와 재결합 과정에 대한 연구 -이혼과 재결합을 경험한 부부의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최춘화 ( Cui Chun Hua ),문혜린 ( Moon Hye Rin ),배영윤 ( Bae Yeong Yun ),박태영 ( Park Tai-yo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4

        본 연구에서는 가족생활주기에서 나타난 가족체계의 해체와 재결합 과정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하여 주제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 전 단계에서는 불안정한 부부체계의 형성, 부부체계의 갈등 발현, 자녀의 부적응 발현, 가족체계의 갈등 증폭, 가족체계의 갈등 폭발과정이 나타났다. 둘째, 이혼 단계에서는 합의되지 않은 별거와 소송이혼으로 인한 부부체계의 해체과정이 나타났다. 셋째, 이혼 후 가족 단계에서는 독립을 향한 노력, 불안의 증폭으로 인한 자녀의 단절, 독립의 좌절이 나타났다. 넷째, 재결합 단계에서는 첫 번째 우발적 재결합 시도의 실패, 재결합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 새로운 관계 형성 시도, 부부체계의 재결합, 자녀체계의 재결합 과정이 나타났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es of divorce and reunion of a couple based on their family life cycle. Methods: This research used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o analyze implicit and explicit ideas from the counseling transcript and counseling log. We employed the thematic analysis to display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arriage stage, the client couple had an unstable marital relationship, marital discord, children’s maladjustment, family conflict, and aggravation and explosion of family conflict. Second, in the divorce stage, the client couple underwent separation without consent and family dissolution through divorce suit. Third, the post-divorce family stage was characterized by struggles for independence, children’s cutting off their parents due to increased anxiety, parents’ confusion caused by failure to achieve independence, and loneliness and regrets about the lost family. Fourth, the reunion stage included the failure of the initial, impulsive attempt to reunite, the conflict between the fear of failure to reunite and the desire to restore family, insight into conflicts in the previous marriage and changes, and planning for a new life, and the reunion of the couple and the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