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어조사에 나타나는 대우표현 : 「の」「が」 를 중심으로

        한미경 한국일어일문학회 1984 日語日文學硏究 Vol.4 No.1

        韓國語と日本語は文法の構造や語の配置など, 多くの共通点を持っている. なお, 言語生活を營む時, 常に相手との關係を考慮し, その待遇意識によって相手にふさわしい言葉を選んでいる. なお, 待遇意識によって待遇表現をするという点においては共通しているが, 實際の用法においては多くの相違点が見られる. その一つに韓國語の場合, 助詞にも待愚表現が現われるが, 日本語の現代語の場合は助詞には何の敬意も現われない. ところが, 日本語の場合も時代を逆れば, 待遇意識による助詞の使い分けがあったという. 現代語の「の」「が」は連體格助詞, 主格助詞としてその機能を果しているが, 中世には相手を敬まって話す時は「の」を用い,「が」は卑下する時や, 親しみを表わす場合に使ったという. 中世の說話集『宇治捨遺物語』の「さたが衣」の例とか, ロドリゲスの『日本文典』などの資料によって中世には文法上の機能よりも待遇意識による使い分けが優先していたというのは否定できない. その用法がいつ, どういう過程を經て現代語のように文法上の機能のみが殘るようになったのかについては明らかにされていない. 本論文では近世後期から近代にかけて從來の槪念による「の」「が」の用法が消滅していく過程, およびそれがいつ頃どういうふうに消滅したかについて調べてみた. 資料として用いたのは, 近世後期の作品として式亭三馬作の『浮世風呂』, 近世末期の作品は二世梅暮里谷我作の人情本『春色連理の梅』, 近代の作品は二葉亭四迷作の『浮雪』, 現代小說として川端康成作の『雪國』である. 資料に現われる人稱代名詞や人物に關する名詞などを取り上げ, 使われている場面や待遇意識との係わりを調べてみた. 以上, 調べたのをまとめてみると, (1)「の」「が」の待遇意識による使いわけがなくなる時期は, ①主格用法 近世後期の作品『浮世風呂』においてすでに「が」が用いられている.「の」の例も若干あるが, いずれも連文節中の主格助詞として使われたものである. なお, その後の作品『春色連理の梅』『浮雲』『雪國』の場合も連文節中の主格助詞「の」の用法を除いてはもっぱら「が」が使われている. 以上から, 主格助詞「が」の確立時期は近世後期よりもっと以前のことと認められる. ②連體格用法 近世後期には待遇意識による從來の使いわけと, 文法機能による使いわけとが共存し,「の」「が」の用法が激しくゆれているが, 近世末期にはほとんど文法上の機能によって整理され, 近代語に近づいてくる. しかし, 一方では「の」「が」の用法の亂れと從來の用法の名殘りが見られるので, 從來の待遇意識による使いわけは近世末期遲くまで殘っていたと思われる. その後, 近代の作品においての連體格助詞は「の」のみで, 亂れの例は現われない.なお, 現代の作品においても連體格助詞は「の」の例しかない.以上から, 從來の槪念による使い分けが完全になくなるのは近世から近代に變っていく時期だと言える. (2)「の」「が」の待遇意識による使い分けがなくなる原因は, ①近世後期より以前にすでに擡頭していた文法上の機能による使い分けの必要性が待遇意識による用法を勝ってくる. その後も「が」は品のない言葉づかいには殘っており,「の」は柔らかいニュアンスのために品のある言葉づかいをする人人に受け入れられたと思われる. 文法上の必要性と上品な言葉への志向が一體となって連體格助詞として「の」は一般化していったといえる. なお, 時代が變っていくにつれて人稱代名詞も變り, 從來は「が」が用いられていた人稱代名詞は使われなくなり, 新しく現われる代名詞には文法上の機能だけが동き「の」が用いられた. 特に近代に入っては明治維新によって社會制度の變革とともに待遇意識が變り, 從來の複雜なん人稱代名詞は簡單に整理されていく. 同時に「の」「が」の用法ももっぱら文法的な機能によって使い分けられるようになるのである. 以上のように, 言語生活の變遷などの要因と文法上の必要によって近代以後は文法上の機能のみで, 主格助詞は「が」, 連體格助詞は「の」の用法が確立したといえよう.

      • KCI등재

        『사소절』 현전본에 대한 연구

        한미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3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lassifies 61 pieces of hereditary Sasojeol versions in possession of 8 libraries in Korea and 3 libraries in the US and Japan and compares them with one another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61 pieces of Sasojeol, it was found out that the hereditary versions are classified into 5 kinds including Cheongjangkwan Sasojeol, Sashojyeol of Korean version, Hyunto Sasojeol and Sasojeoljijeol. The detailed investigation proves that Sasojeol and Sasojeonjijeol are imparted to the present most often, that Sashojyeol of Korean version is the traslated from printed version of Sasojeol, that Hyunto Sasojeol is the Korean editings of printed version of Sasojeonl, and the Sasojeoljijeol is the ummarized version of Cheongjangkwan Sasojeol. Secondly, the comparison of Cheongjangkwan Sasojeol possessed by major libraries proves that the version in National Library of Korea's and Jangseogak's possession are similar to each other by and large and that the comparison of Sasojeol possessed by each institution proves that the version in Kyonggi University's possession copied the former generally fine. Thirdly, the comparison of Sasojeoljijeol and Cheongjangkwan Sasojeol proves that Sasojeonjijeol is the summarized version of redrafted Cheongjangkwan Sasojeol and traces of 22 sentences being added to. 이 연구는 국내 8개 도서관과 미국과 일본의 3개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61종의 『사소절』 현전본을 계통 분류하고, 주요 도서관 소장본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1종의 『사소절』 조사 결과, 현전본의 종류는5종(『청장관사소절』, 『사소절』, 『쇼졀』, 『현토사소절』, 『사소절지절』)으로 계통 분류된다. 상세 조사결과, 『사소절』과 『사소절지절』이 가장 많이 현전하고 있으며, 언문본 『쇼졀』은 활자본 『사소절』을 언문으로 번역하였고 『현토사소절』은활자본 『사소절』을 현토하였으며, 『사소절지절』은 정고본 『청장관사소절』을 산정한 것임을 밝혔다. 2) 주요 도서관의 『청장관사소절』 소장본 비교 결과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소장본이 대체로 유사하며, 『사소절』 소장본 비교 결과 경기대소장본이 비교적 양호하게 전사하였음을 분석하였다. 3) 『사소절지절』과 『청장관사소절』을 비교한 결과 『사소절지절』은정고본 『청장관사소절』의 ‘사전편’ 요약본이며, 22장의 문장이 추가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외국인 임직원의 조직 내 이문화 적응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미경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미래교육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임직원들이 국내 조직에서 경험하는 이문화와 이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경험의 장면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애 국내 조직에서 다양한 문화 차이를 경험한 세 사람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그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참여자들과 면담을 진행했으며, 이들이 경험한 주요한 이문화와 성찰적 경험들을 듣고 분석했다. 면담을 통해 한국으로 오게 된 과정과 한국에서의 일 경험 속에서 적응과 학습의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한국에서의 일 경험을 알 수 있는 기회는 우연하게 주어졌다. 그러나 그들이 한국으로 이끌린 내면에는 글로벌 인재 확보를 중시하는 사회적 상황에 따른 시대적 요구, 장기적 경력개발의 디딤돌로서 국제적인 일 경험에 대한 개인적 동기, 그리고 한국 문화에 대한 정서적 호감이 영향을 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일터에 진입하면서부터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경험했다. 조직 내에서 경직된 위계질서, 업무 처리 방식 등의 업무 문화 차이와 한국의 정 문화,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소외, 의사소통 표현의 차이 등의 업무 외에서의 문화 차이를 경험했다. 참여자들은 단순한 업무와 한국어 습득뿐만 아니라 동료와 상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름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일터에서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 모두 외국인 임직원에 대한 더욱 특성화된 교육제도와 경력개발제도 등의 조직적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조직 차원의 관리제도가 그들의 수월한 적응과 학습을 위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국인 임직원이 일터의 이문화 적응 과정에서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은 학습으로 이어졌다. 일을 함으로써 한국말을 익히고 업무의 범위와 소속감도 함께 커진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터에서 구성원들과의 지속적인 참여와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적 학습을 경험했다. 또한 이문화 적응 과정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재인식하고 이문화를 바라보는 자신의 내부 시각을 성찰할 수 있었다. 다른 업무, 다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역할에 대한 인식과 다양성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총체적인 전망을 키워나갔다. 연구 참여자들은 조직 내에서 경험한 다양한 문화 차이에 단순한 동화가 아닌 통합의 관점으로 적응하고 학습하며 글로벌 인적자원으로서 한 단계 더 성숙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ways foreign employees adapt to different culture and learn in the workplace. The following have been asked to see what kinds of different culture foreign employees experience and how they adjust and learn in workplace in Korea. First of all, what brought the foreign employees to work in Korea? Second, what kinds of cultural differences do foreign employees experience in their new workplace? Third, how they adjust and learn while they work in Korea? To analyze the adjustment and learning experiences of foreign employees in Korea, three foreign employees were selected. Through interviewing three foreign employees working in Korea, their experiences have been col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terviewees have different background to come to Korea but have a thing in common. They came to Korea for personal reasons to have international career experiences. They have gained not only the knowledge and skills in their career but also have gained good relationships and the skills to adjust to new different culture. Secondly, they experience a variety of different culture while they are working in the workplace in Korea. Once is a business cultural difference such as an uncomfortable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 and business process and the other is non-business cultural disparity such as Korean' s affection culture and prejudice, alienation to foreign employees and communication distinction. Other than simple tasks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the participants have understood the dissimilarity and led their life independently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ir colleagues and superiors. In addition, they insist that setting up organized management plans like characterized learning system and career development plan for foreign employees is essential. Also it is found that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system will be led to their initial settlement smoothly in Korea and learning the cultural differences. Lastly, when they get used to the cultural differences at workplaces, the interaction with colleagues has led to learning. By working at their workplaces, they learn Korean language and enhance their work scopes and sense of belonging. The experience via introspective thought will be kept in their minds as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foreign employees have acquired communicational learning going by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reciprocal action with other members. Furthermo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y have recognized their roles again and taken some time for introspection with regards to their internal perception. By doing so, they develop their overall prospects in order to see their new roles and diversities. These factors which are limitation and agitation that the foreign employees felt within Korea's workplace become the growth element and they secure their career development on their own. They adapt themselves to the organization as a united standpoint not a simple assimilation and they grow to maturity as global human resources. Also this study brings significant implication in business perspective. The company that hires foreign employees should try to have better cross-cultural training, career development plans, and etc. for the better adjustment and learning for the foreign employees.

      • KCI등재

        중국의 중의문헌학 교육 현황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6 No.-

        This paper was written with a view to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eduction, which is being educated in the area of basic medicine science of Chinese medicine. China’s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eduction was launched in 1950s when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Beijing opened the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course for the first time and when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Nanjing organized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research team which did not exist before. Afterwards, as ‘Regulation on Management of Research, Organization, and Publication of Old and Rare Books’ got legislated in 1980s,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earnestly became China’s new and unique study area, which began to be educated as part of China’s policy of training of Chinese medicine’s philology experts. This study investigated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Beijing,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Shanghai,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Nanjing, and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Shandong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In the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research center and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books and culture Institute of these universities are playing leading roles in teaching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to the undergraduate, graduate, PhD, and post doctorate students as part of the curriculum or major, while awarding degrees to them. As a result of review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which is a course book planned on national level, it was found out that they educate the main contents on 543 kinds of Chines medicine books classified into 16 types (or 20 types) and bibliographical education of Chinese medicine records. Through the above review, this study propose the expansion of bibliographical study area,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amalgative study area of bibliography field, setting of foundation for bibliographical studies for researches by subjects, building of the union catalogue of nation-wide old and rare books and bibliography by areas of expertise. 이 논고는 중의학의 기초의학 영역에서 교육되는 중의문헌학의 교육 현황 조사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중국의 중의문헌학 교육은 1950년대에 북경중의대학에서 처음으로 교과로 개설하고, 남경중의약대학에서 최초로 중의문헌연구팀을 구성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1980년대에 ‘중의고적 연구정리출판 관리세칙’이 법제화되면서 중의문헌학은 전문가 양성의 한 시책으로 본격적으로 교육되기 시작한 중국특유의 새로운 학문분야라고 할 수 있다. 중의문헌학 교육기관으로 북경중의대학, 상해중의약대학, 남경중의약대학 및 산동중의약대학을 조사하였다. 이들 대학의 중의문헌연구소와 중의문헌․문화연구원 등이 중의문헌학 또는 중의의사문헌학의 교육주체가 되어 학사와 석․박사학위과정 및 박사후 연수과정의 교과목 또는 전공으로 교육되고 학위가 수여되고 있다. 국가급계획교재인 『중의문헌학』을 대상으로 교육내용을 살펴본 결과 중의문헌에 대한 서지학적 교육과 16류(또는 20류)로 분류한 534종의 의서류 문헌을 교육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지학분야 교육영역의 확장, 서지학분야의 융복합적 연구영역의 개발과 확장, 주제별 연구자를 위한 서지학적 연구 기반마련, 전국적 고문헌 연합목록과 전문분야별 서지구축을 제언하였다.

      • 1990년대의 히피패션에 관한 연구

        한미경,은영자 복식문화학회 2001 服飾文化硏究 Vol.9 No.2

        In 1990's, many collections, showing trends of restoration, took the hippie fashion as their main them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pects of the hippie trend focusing on style, materials, colors shown in Milan Collection, New York Collection, London Collection, Paris Collection, Tokyo Woman's Collection, and street fashions. 1.In style, the collections and street fashions exhibited layered look. 2.In materials, natural fibers were preferred as in 1960's. 3.In colors, natural hues such as black, white, and brown were primarily used, whereas vivid colors were used as accent. 4.In patterns, floral patterns were most extensively used as the flower is the symbol of Hippie. Animal patterns were also used. 5.In accessories, the Indian bead, a symbolic accessory of Hippie, was used with various materials. The hippie fashion in 1990's appeared not as a total fashion, but as an ancillary associate has the role of accentuation like hair-style, make-up, accessaries, etc. Key words : 1990's(1990년대), hippie fashion(히피 패션), style(스타일), material(소재), color(색상)

      • KCI등재

        조선의 수학자 관련 문헌에 대한 연구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50 No.-

        국가의 경제를 담당하는 호조에 예속되어 각종 국가의 재정 및 회계 관련 업무를 수행하였던 算員, 즉 당시의 수학자 관련 문헌은 전하는 것이 별로 없다. 다만 대표적으로 호조의 취재에 합격한 입격자 명단인 「籌學入格案」, 인사기록물 성격의 전문족보인 「籌學先生案」, 팔세보인 「籌學八世譜」, 그리고 종합보인 「姓源錄」 등을 통하여 그들의 신상정보를 살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이후 수학자, 중인 직위와 가계, 수학 관련 연구 등의 기초 자료로서 참고가 되고, 역사기록물의 현대적 활용과 지식정보 콘텐츠화에 일조가 되기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1) 수학자 관련 문헌의 간행과 「籌學入格案」, 「籌學先生案」, 「籌學八世譜」, 「姓源錄」에 대한 성격과 소장상황을 조사 고찰하였다. 2) 수학자에 대한 1차적인 정보원인 입격안과 3종의 선생안을 대상으로 수록범위, 수록인수, 내용구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입격안은 입격년도별 인물정보원이고 선생안은 단계별 승진기록을 상세히 다루고 있는 인사기록 성격의 인물정보원임을 밝혔다. 3) 국내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 및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의 선생안의 성명, 본관, 가계, 입사년 및 승진사항의 내용기술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미국 의회도서관의 「주학선생안」이 가장 체계적이며 광범위하고 상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난호어목지」와 「전어지」의 비교 연구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서유구의 대표적인 물고기관계문헌인 「난호어목지와 「전어지」를 대상으로 조선닷컴 홈페이지상의 관련 기사를 조사 분석하고 나아가 두 문헌의 강어부분을 서지적으로 비교하였다. 기사의 분석 결과 잘못된 문헌의 인용, 서명의 오기, 내용의 그른 해석 등의 심각한 오류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난호어목지」와 「전어지」에 대한 정확한 서지적 연구가 선행되지 않았거나 일부 기존의 선례를 따르거나 참고함으로 발생된 문제로 생각된다. 「난호어목지」와 「전어지」의 관계와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성과 편성 외에 강어부분을 비교한 결과 51개 어류 중에서 280개의 차이와 문제를 발견하였다. 즉, 1) 문자의 차이, 2) 오류의 발생, 3) 수정과 변경, 4) 양자의 오류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난호어목지」는 서유구가 편찬하고 「전어지」는 아들 서우보가 교정편찬에 참여하면서 보다 더 정확하게 수정 및 변경된 반면 일부 또 다른 오류를 발생시키거나 기존 「난호어목지」의 문제를 그대로 답습하였음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웹 기반 중국인물정보원의 현황 조사와 분석 연구

        한미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Web-based biographical information sources. Henc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Web-based biographical sources in China, Taiwan, Japan, and the U.S. It also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family names from the subject dictionary and Biography of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reference books of China and the Chinese Historical Biographical Database and the 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 (CBDP) of the U.S. Furthermore, the problems related to status investigation and analyses of the Chinese biographical sources were studied. In this study,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management and usability of those biographical information sources in China and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