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운영 실태 분석 및 연수 참여자의 인식

        임일영(Lim Il-Young),권리라(Kweon Li-Ra),이혜숙(Lee Hye-Suk),박미진(Park Mi-Jin),류상희(Ryu Sang-Hee)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의 발전적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2000년 이후부터 실시되었던 6년간의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연수에 참여한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사항을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내용은 연수자의 일반적 사항, 참여한 연수에 대한 만족도, 자격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사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Win ver 10.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카이검증, t-검증, 그리고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는 최근 6년간 5개 연수 기관에서 총 10회 실시되었다. 개설된 전공 영역의 과목뿐만 아니라 강좌 수(11개~29개)와 배정 시간(111시간~136시간)이 연수 기관 및 동일 기관의 연수 실시 년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의 요구가 가장 높았던 교과교육에 대한 교과목(1개~7개) 개설 역시 차이가 크다. 이것은 연수기관 및 동일 기관의 연수 실시 년도에 따라 자격연수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의 편차가 심한 것은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 담당자가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직 교육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질적 수준 유지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 주체가 있어야 할 것이며, 이 주체는 가능한 한 연수 참여자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 그리고 지속적인 평가로 프로그램의 발전을 꾀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둘째, 연수에 대한 만족도는 자격 연수 일반, 내용, 구성, 방법, 평가의 5개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최저 3.08점에서 최고 3.72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수 내용을 잘 반영하지 못한 평가 내용 및 평가 방법(3.08)에 대하여 가장 만족하지 않았다. 셋째, 연수에 대한 요구는 가정과 교육 전문가에 의한 교육과정 편성과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과 교육 영역에 대한 교과목 개설이 있었다. 특히 교과 교육 영역의 가정과 교수 학습 방법과 교과 내용 영역에서의 인간 발달과 가족관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각 영역별로 요구가 높은 단원은 식생활에서는 식생활 관리, 의생활에서는 합리적인 의복 선택, 주생활에서는 새로운 주거문화, 인간발달과 가족 관계에서는 가족 문제, 자원관리와 소비자에서는 청소년과 소비생활이었다. 이외에도 학급당 26~30명 편성, 현장 학습으로 수업 진행, 수업 시 이론과 실습의 3:1 비율 운영, 절대 평가에 의한 합격여부 판정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교사의 현장 요구를 적극 수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연수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수 기관이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즉, 어느 연수 기관에서 연수를 받았느냐에 따라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p<.05). 즉 교과교육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운영하였던 기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현직 교사들의 요구가 많았던 교과교육에 대한 교과 개설이 확대된 표준화된 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ources to the first-grade Home Economics Regular Teacher Qualification Program (FGHERTQP) in order to improve its operation plans. For the study, the three methods were carried out: an analysis on the curricula of FGHERTQP over six years since 2000, a questionnaire asking their satisfaction degrees and needs on the programs which was answered by the home economics teachers who were the participants of FGHERTQP, and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a descriptive-test, a X²?test, a t-test, and one way ANOVA by using SPSS Win ver 10.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FGHERTQP has been operated ten times by five training centers during resent six years. Subject matters (1~7), whole numbers of lectures (11~29), and their allotted working hours (111~136) vary with individual training centers and operation years. Secondly, when using 5 point likert scales, Contents and Methods of evaluation marked 3.08 which were the lowest scores, and Qualification Training in General marked 3.72 which was the highest score among five fields of Qualification Training in General, Contents, Organizations, Methods and Evaluation. The overall scores were low. Thirdly, in needs analysis on offering subject matters, the participants wanted to study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ore than that of subject contents. Looking about the highest needs classified by domains, Food Principles & Meal 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in Foods. And Consumer Issues in Clothing & Textiles in Textiles, Upcoming Housing Cultures in Housing, Family Relationship in Child Development & Family Relationship, Juveniles and their daily life as a consumer in Family & Consumer Resources Management. Fourthly, training centers lectures availab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degre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variations of the participants. That is, as a training center offers more lectures in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 than those of subject contents, the participa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degrees (p<.05).

      • KCI등재후보

        가정과교육(家庭科敎育)의 정체성(正體性)으로서의 문화교육(文化敎育)에 대한 연구

        송진숙 ( Jin Suk S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의 교육원리에 입각한 교육의 정체성으로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가정과교육에서 인간생활의 현상을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으로 인식하여 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가정과교육은 교과로서의 가치와 정체성의 혼돈과, 시대가 요구하는 융통성 있고 진취적인 사고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재를 양성하는데 역부족을 실감하고, 가정교과의 정체성을 회복함과 동시에 가정과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총체적으로 현대사회를 바르게 이해하고 적응해가도록 문화교육에 주안점을 둔다. 가정과교육은 인간이라는 존재와 인간 형성의 터전이고 생활의 공간인 가정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삶의 문제를 총체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를 성숙한 인간으로 육성하는데 그 근본적인 목표를 두고, 가정과 교과의 목적이 ‘가정생활의 개선’, ‘개인 및 가족의 복지 증진’으로 교육과정 원리에 입각하여 내용면에서 문화적인 소재의 다양성을 활용하여 여러 방법으로 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가정과교육은 교육 내용의 구성과 교육방법에 있어서의 획기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가정생활, 사회생활과 연관된 자아의식과 사회의식 등을 기르는 가치관 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으로 나아가도록 교과 내용을 재구성 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대안적인 문화교육의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가정과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은 주로 복식문화와 관련된 내용과 식생활 문화, 소비문화 등으로 이들의 특징은 각각의 문화현상의 변화를 기술하고, 그 현상을 설명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앞으로의 가정과교육에서는 교과서에서도조차 의·식·주·가족관계·소비 생활 등으로 나누어 교과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역사적·사회적 맥락에 의한 복식문화, 식문화, 주거문화 등으로 변화된 것을 제시해야 한다. 즉 가정과교육이 민족적·역사적·사회적 배경에 관심의 초점을 두고 문화적 의미를 해석하는 능력과 그 사회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이해하고 평가하며 존중하는 태도를 습득하게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과교육에서는 교과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철학을 가지고 교수학습의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하며, 교과교육의 중요한 교육매체인 교과서도 문화교육의 관점에 입각하여 기술되어야 한다. 특히 학습자에게 민족이나 인종에 대한 편견 없이 다문화의 관점으로서 문화는 각 사회 특유의 세계관과 관계되며 문화의 우열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는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identity and cultural educ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hich is a new home economics education paradigm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image of home economics. First, the ident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the byproduc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peration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had the characteristics in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ime. Second, home economics education had been organized in efficiency-centered curriculum to attribute and to be possibility to make a student be a cultured man, which is home economics education aims, based on theories and methods of culture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ird, the reason of crisi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s faced with that culture has not been treated intensively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even though the center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s life. Basic and essential contents that is suitable for bring up the cultured student leading creative changes should be found and presented. Fourth, the curriculum and content organization should be reexamined. The prescriptive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brought about a serious question on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contemporary home economics education as the cultural education. Finally,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past and present about the contents more than acquiring limited contents, develop the skill to draw the future, and further more improve their intellectual mind understand deeply other culture as well as our culture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 KCI등재

        가정과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박미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home economics class on self-esteem and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inventor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Y city of Gyeonggi province and 165 data copies were used for analyses.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α, t-test, corelation and dependent t-test using SPSS/PC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ositive self-esteem was 2.74 and that of negative self-esteem was 1.90 on a 4 Likert scale. The range of stress level was 1.88~2.48 on a 5 Likert scale. Life satisfaction was 3.90 and helpfulness of home economics class was 3.89 on a 5 point Likert scale, which means moderately high. Second, examining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regarding family for both pre- and post-tests. Third, helpfulness of home economics cla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self-esteem and stress, which means that home economics class enhance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self-esteem and lessen negative self-esteem and stress of middle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s, positiv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helpfulness of home economics class increased statistically after home economics classes, while stress regarding school life decreased statistically. Even though students’ growth and changes resulting from learning other subjects were not controlled, it was meaningful that effectiveness of home economics class were examined and helpful information for enhancing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provided. 본 연구는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의한 일상적인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와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경기도 Y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년간 일상적인 가정과수업을 실시하면서 사전, 사후 설문 조사를 하였다. SPSS 18.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한 중학생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2.74,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1.90(4점 만점)이었으며, 스트레스의 범위는 5점 만점에서 1.88~2.48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3.90,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3.8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가족에 의한 스트레스만 남학생이 사전・사후 조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외의 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중학생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가족 스트레스와 친구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부적으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사후조사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와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와는 약한 상관이 있었다. 넷째, 중학생들은 일상적인 가정과수업 후에 긍정적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성장과 타교과목의 학습에 따른 변화를 통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따른 일상적인 가정과수업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가정과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여 가정과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로 가정과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따른 가정과수업의 효과를 살필 수 있는 대규모 종단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시의적 고찰

        전세경(Jeon Se Ky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3

        이 연구는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을 이해하고 이를 돕기 위해 관련된 다양한 논의를 전개한 것이다. 진행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주제와 관점에서 진행된 가정과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이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가를 모색하였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쟁점으로서 초·중등 교과 명칭의 상이함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과정의 문제,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가정과의 교과 위상 확인에 대한 문제, 실과는 기술과와 가정과를 통합한 교과인가의 문제, 실과가 기술과와 가정과를 통합하기 위한 조건과 그 가능성 탐색의 문제, 가정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미래 사회에 대비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적 요구와 가정과의 대응, 가정과의 교육적 역할과 책임, 미래사회에 대비한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등장하는 쟁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을 통해 가정과의 역할과 사명을 다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또한, 이 연구가 차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구체적 자료가 되고, 가정과 내외의 모든 구성원들이 가정과교육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의 역할을 하게 되기를 기대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various related discussions to understand and help the development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ahead of the next revision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discussion proceeded as follows. First, we explored what implications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ducted from various themes and perspectives have on the development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Second, as the issues related to the revision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problem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ame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ubjects, the problem of the subject s status in the practical arts (technica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problem of accreditation that integrates the curriculum, the problem of exploring the conditions and possibilities for integrating the technical with the home economics, and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dealt with. Finall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was explored. Specifically,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educational needs and responses to future social changes, education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ome economics, and the direction for the next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In this study, it was expected that the role and mission of the home economics subject could be fulfilled by the next home economics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ssues that emerged in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serve as a specif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curriculum and serve as a basic data for all members inside and outside of the home economics to understand home economics education.

      • KCI등재후보

        가정과 교육에서의 평생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전세경,장명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5 No.4

        가정과 교육에서의 평생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학교교육과 가정과 교육의 관련성 및 의의 고찰, 가정과 교육의 관점에서 본 학교를 통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생교육 지도자로서 가정과 교사의 역할과 취득 가능한 자격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과교육의 관점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과 방향성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평생교육 관련 문헌과 전국 16개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보고서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된 가정과 교육에서의 평생교육 기본방향 및 활성화 방안의 6가지 측면은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은 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계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2. 프로그램은 기관별, 학교급별, 지역별로 특색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3. 프로그램은 목적에 따라 분류되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4. 프로그램은 주부나 성인여성만이 아닌 가족원 모두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5. 가정과교사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에 따르는 보상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6. 가족생활교육사로서의 자격을 갖추고자 하는 가정과교사에게 다양한 교육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등 가정과 교과서의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제와 대안적 교수-학습 전략

        이수희(Lee Soo-Hee)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새 가정과 교과서의 질적 분석을 통해,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내재된 철학과 그것에 기초한 새 가정과 교과서의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제를 파악하고, 파악된 과제에 대한 대안적 교수-학습 전략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과 이 교육과정에 기초해 집필된 중학교 1학년 가정과 교과서 12권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가정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내재된 철학을 살펴 본 결과, 비판 과학에 기초한 교육과정 관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둘째, 새 가정과 교과서의 현상과 양미경이 제시한 교과서 구성 방식에 대한 4가지 기준에 의거해 과제가 검토되었다. 그 결과, 분석 대상 교과서들은 교사들이 관점 있는 수업, 학생들로 하여금 깊이 있는 사고를 하도록 이끄는 수업, 학생들로 하여금 주체적이고 비판적 사고를 하도록 이끄는 수업,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실천적 추론 수업을 하는데 무리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파악된 과제에 대한 대안적 교수-학습 전략을 탐색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hilosophy embedded in the newly revised 2007 Home Economics curriculum. Furthermore, it analyses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s of textbooks in view of that philosophy. With this analysis it tries to give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making the best use of the existing textbooks. This study deals with the newly revised 2007 Home Economics curriculum. It also analyses the twelve sorts of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in secondary schools, which are supposed to be based on that curriculum.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takes a qualitative approach. As follow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n the character and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is embedded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Second,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s of the textbooks are analysed with the criteria by Yang, mi-kyung about textbook construction. And we have ascertained the following problems. The current textbooks are not well designed so that teachers have the appropriate orientation, encourage students to nurture th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nd urge students to employ practic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ety, history and culture. Third, this study proposes five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making the best use of the current textbooks in order to tackl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 KCI등재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와 가정과교육의 방향

        왕석순(Wang Seok-Soon) 교육종합연구원 2006 교육종합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이 21세기의 보다 전망있는 교과로 거듭나기 위하여, 지향해야 할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함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가정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교육내용의 변화를 고찰, 분석하였다. 둘째, 외국의 교육과정 문서를 수집, 분석하여, 동시대의 가정과교육 방향 정립을 위한 지표의 하나로 활용하였다. 세째, 가정과교육이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에서 중요한 교과로 다루어져야 하는 당위성과 필요성을 교육의 본질적 측면의 요구, 사회 및 가정생활 변화에 따른 요구, 인간발달적 측면의 요구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이상의 고찰과 논의의 결과, 첫째, 가정과 교육은 기존의 의․식․주 등의 가정적 자원인 대상에 대한 교육에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주체에 대한 교육, 즉 인간육성의 교육으로 그 무게 중심이 옮겨져야 할 것이다. 둘째, 가정과교육은 보통교육에서 교양교육과 직업교육으로 이원화가 전제되어야 하고, 이러한 이원화를 전제로 할 때 보통교육에서는 인간육성이라는 측면이 강화되어 개인 및 가족이 생활을 통하여 부딪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갈 수 있는 “살아가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생태학적인 패러다임의 적극적 도입을 통하여 개인과 가족의 복지향상을 위한 가족복지 및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을 강화하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의 3가지 방향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tudy the new cours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take in order to be reborn as a more competitive subject matter in the 21st century. To this end, the nature/objectiv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changes in teaching content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based on Home economics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data. Second, overseas national curriculum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identify and set up the route that the contemporary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follow. Third, the reasons (need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why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treated as an important realm in the 21st century characterized by a knowledge-based society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intrinsic nature of education, changes in social and home life, and human development. Such research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shift its focus from home resources such as food, clothing, and housing to humans themselves in order to reinforce human-centered education. Second,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dichotomized into gener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the common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is premise, human-centered education can be strengthened in the general education where learners must be able to develop the capability to resolve daily life issues and ultimately sustain human life. Third, by actively introducing the ecological paradigm, the curricula should stress the needs for a link to family welfare and communities to enhance individual and family welfare.

      • KCI등재

        기술・가정(실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 가정 분야를 중심으로 -

        최유정,채정현,박미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n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the HE teacher efficacy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perspectives on HE curriculum and the HE teacher efficac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 500 HE teacher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nation. 215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HE teachers had the biggest interest in interpretative perspective and some teachers had a interest in critical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a few teachers only had a interest in technical curriculum perspective. Second, HE teachers who worked in the big cities tended to be more interested in interpretative perspective than those who worked in small cities. HE teachers from 25 to 40 years olds tended to be more interested in critical perspective than those who were more than 50 years old. Also, HE teachers with less than 15 years of experience tended to be more interested in critical perspective than those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15 years. Third, the average of the HE teacher efficacy level was 3.69. The efficacy level of studying support was the highest. Then came class support, environment support, instruction strategy, and demands alternation in order. Fourth, there was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pretative perspective on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 HE teachers and teacher efficacy level in comparison with other curriculum persp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은 주로 어떤 유형인지,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은 어떤 수준인지, 그리고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과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가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1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검증,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세 가지 교육과정 관점에 대한 전체적인 성향을 조사해본 결과,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해방적 관점, 기술적 관점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별 경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가정(假定)과 지식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방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가정(假定)과 사회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육과정 관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 모두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 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가 군·읍·면 소재 학교의 교사에 비해 해석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의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관점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이 모두 강한 성향을 보였다. 해방적 관점의 경우, 또한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지식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지식에 대한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해방적 관점의 경우,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집단이 군·읍·면 소재 학교의 교사집단에 비해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과 교사의 전체 효능감은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하위 영역별 효능감은 학습지원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학급운영 효능감, 환경지원 효능감, 교수전략 효능감, 요구대처 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사 효능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 중 해석적 관점이 다른 관점에 비해 교사 효능감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의 하위영역에서도 해석적 관점의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요구대처 효능감에서만 기술적 관점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가정과 교사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에 대한 인식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이인숙,박미정,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그리고 실행 실태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의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과 편의 표집을 하여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18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주로 Hall(1987)이 개발한 혁신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그 외는 선행연구를 기초하여 개발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SPSS/window(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는 정보적 관심 단계(85.51)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개인적 관심 단계(85.18), 운영적 관심 단계(81.88), 지각적 관심 단계(82.15), 강화적 관심 단계(68.80), 협동적 관심 단계(61.97), 그리고 결과적 관심단계(59.76)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수준은 기계적 실행 수준(수준 3; 21.4%)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탐색 수준(수준 1; 20.9%), 정교화 수준(수준 5; 17.1%), 사용하지 않는 수준(수준 0; 15.0%), 준비 수준(수준 2; 10.2%), 통합 수준(수준 6; 5.9%), 갱신 수준(수준 7; 4.8%), 일상화 수준(수준 4; 4.8%) 순이었다. 셋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반 이상의 가정과 교사(56.1%)는 가정과 수업에서 인성 교육에 치중하고 있으며, 31.0%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을 모두 실행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소수의 교사(6.4%)는 창의성 교육을 실행한다고 응답하였고 같은 수의 교사(6.4%)는 창의성과 인성 교육 어느 것도 실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가정과 교사의 창의․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를 조사한 결과, 창의․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은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76이었고 창의성 요소의 평균은 3.59, 인성 요소의 평균은 3.94로 보통보다 높았다. 창의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에 대해서, 개방성/민감성(3.9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문제해결능력(3.79), 호기심/흥미(3.73), 비판적 사고(3.68), 논리/분석적 사고(3.63), 문제발견능력(3.61), 독창성(3.57), 유추성(3.47), 유창성/융통성(3.46), 정교성(3.46), 상상력(3.37), 몰입/공감(3.37)의 순으로 실행하였다. 인성 교육 요소는 실천력(4.0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협동/배려/공정(4.06), 자기관리능력(4.04), 시민의식(4.04), 진로개발능력(4.03), 환경친화능력(3.95), 책임(감)/소유(3.94), 의사결정능력(3.89), 신뢰/정직/약속(3.88), 자율성(3.86), 글로벌역량(3.55)의 순으로 실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할 때 어려운 점으로, 많은 가정과 교사(64.71%)는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할 수업 자료가 부족한 데 있다고 하였으며, 40.11%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의 연수 기회가 적은데 있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38.50%의 가정과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설정하거나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25.67%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 방법을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창의․인성 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 ‘창의․인성 교육과 관련된 학생들의 체험활동의 확대’(4.34), ‘창의성과 인성을 중시하는 가정과 수업 문화 조성’(4.29), ‘학생 발달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ge of concern, the level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regard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HE) classe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hrough mails and e-mails to middle-school HE teachers in the whole country selected by systematic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Questionnaires of the stages of concern and the levels of use developed by Hall(1987) were used in this study. 1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using SPSS/window(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First, for the stage of concerns of HE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information stage of concerns(85.51) was the one with the highest response rate and the next high in the following order: the management stage of concerns(81.88), the awareness stage of concerns(82.15), the refocusing stage of concerns(68.80), the collaboration stage of concerns(61.97), and the consequence stage of concerns(59.76). Second, the levels of use of HE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highest with the mechanical levels(level 3; 21.4%) and the next high in the following order: the orientation levels of use(level 1; 20.9%), the refinement levels(level 5; 17.1%), the non-use levels(level 0; 15.0%), the preparation levels(level 2; 10.2%), the integration levels(level 6; 5.9%), the renewal levels(level 7; 4.8%), the routine levels(level 4; 4.8%). Third, for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HE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HE teachers(56.1%) mainly focused on personality education in their HE classes; 31.0% of the HE teachers performed bo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 small number of teachers(6.4%) focused on creativity education; the same number of teachers(6.4%) responded that they do not focus on neither of the two. Examining the level and type of performance HE teachers applied, the average score on the performanc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3.76 out of 5.00 and the mean of creativity component was 3.59 and of personality component was 3.94, higher than standard.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openness/sensitivity(3.97) education was performed most and the next most in the following order: problem-solving skill(3.79), curiosity/interest(3.73), critical thinking(3.63), problem-finding skill(3.61), originality(3.57), analogy(3.47), fluency/adaptability(3.46), precision(3.46), imagination(3.37), and focus/sympathy(3.37).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erformed in order from most to least: power of execution(4.07), cooperation/consideration/just(4.06), self-management skill(4.04), civic consciousness(4.04), career development ability(4.03), environment adaptability(3.95), responsibility/ownership(3.94), decision making(3.89), trust/honesty/ promise(3.88), autonomy(3.86), and global competency(3.55). Regarding what makes perform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difficult, most HE teachers(64.71%) chose the lack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40.11% of participants chose the lack of seminar and workshop opportunity. 38.5% chose the difficulty of developing an evaluation criteria or an evaluation tool while 25.67% responded that they do not know any means of perform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Regarding the better way to support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HE teachers chose in order from most to least: ‘expansion of hands-on activities for students related to educ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4.34), ‘development of HE classroom culture putting emphasi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4.29), ‘a proper curriculum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at goes along with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4.27), ‘securing enough human resource and number of professors who will conduct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4.21), ‘estab...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인간발달․가족」분야에 대한 20년 연구 동향 분석;성과와 과제

        조병은,이현정,이종희,주현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whi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ast 20 years. A total of 93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area of nature and philosophy of Hom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and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Research topics mainly examined in the area of curriculum development,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 and family relations. Reviews in methodological issues result in the heavy usage of survey metho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venient sampling and descriptive studies. Although research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Home Economic Education has increased in quantity, there are greater needs to develop studies with representative subjects, various research method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to capture the rich complex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and family life. Limitations on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실린 인간발달과 가족분야에 관한 논문을 교과교육학(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과내용학(인간발달, 가족학)으로 나누어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3편의 논문을 5영역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연구는 다른 주제의 연구에 비해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주로 가정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가정교과의 당위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과 교육과정의 체계, 가정과 교육과정과 수업과의 관계,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주된 연구는 가정교과 교과서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였다. 이론을 적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주로 출판사별로 비교하거나 외형적인 분석을 하고 교과내용의 구성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가정과 교수ㆍ학습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가정과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수ㆍ학습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정과 평가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정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가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인간발달과정에서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발달 특성과 문제를 다루고, 부모됨과 부모역할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역할을 주로 다루어 대부분의 연구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한 가정과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가족관계와 가족문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족환경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보다 적어 가정과 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편의표집으로 설문지를 통한 한사람의 응답으로만 수행된 조사연구가 많아 다양한 연구방법, 현장적용연구의 확대 등의 문제는 향후연구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