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정과교육(家庭科敎育)의 정체성(正體性)으로서의 문화교육(文化敎育)에 대한 연구

        송진숙 ( Jin Suk S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의 교육원리에 입각한 교육의 정체성으로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가정과교육에서 인간생활의 현상을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으로 인식하여 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가정과교육은 교과로서의 가치와 정체성의 혼돈과, 시대가 요구하는 융통성 있고 진취적인 사고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재를 양성하는데 역부족을 실감하고, 가정교과의 정체성을 회복함과 동시에 가정과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총체적으로 현대사회를 바르게 이해하고 적응해가도록 문화교육에 주안점을 둔다. 가정과교육은 인간이라는 존재와 인간 형성의 터전이고 생활의 공간인 가정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삶의 문제를 총체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를 성숙한 인간으로 육성하는데 그 근본적인 목표를 두고, 가정과 교과의 목적이 ‘가정생활의 개선’, ‘개인 및 가족의 복지 증진’으로 교육과정 원리에 입각하여 내용면에서 문화적인 소재의 다양성을 활용하여 여러 방법으로 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가정과교육은 교육 내용의 구성과 교육방법에 있어서의 획기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가정생활, 사회생활과 연관된 자아의식과 사회의식 등을 기르는 가치관 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으로 나아가도록 교과 내용을 재구성 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대안적인 문화교육의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가정과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은 주로 복식문화와 관련된 내용과 식생활 문화, 소비문화 등으로 이들의 특징은 각각의 문화현상의 변화를 기술하고, 그 현상을 설명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앞으로의 가정과교육에서는 교과서에서도조차 의·식·주·가족관계·소비 생활 등으로 나누어 교과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역사적·사회적 맥락에 의한 복식문화, 식문화, 주거문화 등으로 변화된 것을 제시해야 한다. 즉 가정과교육이 민족적·역사적·사회적 배경에 관심의 초점을 두고 문화적 의미를 해석하는 능력과 그 사회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이해하고 평가하며 존중하는 태도를 습득하게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과교육에서는 교과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철학을 가지고 교수학습의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하며, 교과교육의 중요한 교육매체인 교과서도 문화교육의 관점에 입각하여 기술되어야 한다. 특히 학습자에게 민족이나 인종에 대한 편견 없이 다문화의 관점으로서 문화는 각 사회 특유의 세계관과 관계되며 문화의 우열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는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identity and cultural educ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hich is a new home economics education paradigm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image of home economics. First, the ident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the byproduc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peration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had the characteristics in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ime. Second, home economics education had been organized in efficiency-centered curriculum to attribute and to be possibility to make a student be a cultured man, which is home economics education aims, based on theories and methods of culture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ird, the reason of crisi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s faced with that culture has not been treated intensively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even though the center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s life. Basic and essential contents that is suitable for bring up the cultured student leading creative changes should be found and presented. Fourth, the curriculum and content organization should be reexamined. The prescriptive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brought about a serious question on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contemporary home economics education as the cultural education. Finally,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past and present about the contents more than acquiring limited contents, develop the skill to draw the future, and further more improve their intellectual mind understand deeply other culture as well as our culture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의 생활문화와 관광체계

        송진숙 ( Jin Suk Song ),이영관 ( Young Kwan Lee ),왕홍기 ( Hong Ki Wang ),김영이 ( Young Yi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우리의 전통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한국의 전통마을들은 물질만능주의와 외래문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한국인들에게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은 조선 초기에 형성되기 시작했고, 조선 중기에 마을공동체로서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하회마을은 풍산류씨 가문에 의해 형성된 동성마을이고, 양동마을은 월성손씨와 여강이씨의 가문에 의해 형성된 양성마을이다. 우리의 전통마을들이 보편적으로 씨족사회 중심으로 마을을 형성하고 발전시켜 왔음을 보여주는 증좌가 된다. 두 마을 모두 풍수지리적인 여건을 중시해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중시했고, 주거지와 경작지 외에도 배후지와 물길을 포함하는 생활여건을 두루 갖춘 곳에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은 마을을 호위하고 있는 뒷산이 마을 주위를 좌우로 감싸고 있으며, 맞은편의 경작지와의 조화도 돋보인다. 하회마을은 풍수적으로 태극형 또는 연화부수형이고, 두 종가가옥이 마을중심에 위치하고 민가(民家)들이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형국이다. 양동마을은 물(勿)자형의 길지에 형성되었는데, 고지대에는 양반들의 살림집이 자리잡았고 저지대에는 소작인이나 노비층의 가람집이 위치하여 지형적인 위계로 표출되는 구조를 띄고 있다. 두 마을은 또한 정치·휴식 중심으로서의 공동체 공간과 공동생활 중심으로서의 공동체 공간 및 유교적·민속적 의례 공간을 갖추고 있지만, 양동마을은 민속적 제의공간이 미약하다. 반면 하회마을은 제의적 예법과 관련 시설들이 잘 갖추어져 있다. 다만 관광문화의 고유성 차원에서는 양동마을이 하회마을보다 관광개발이 미흡한 관계로 민속문화의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따라서 두 마을 모두 문화관광 개발에 따른 순기능을 높이면서도 역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관광체계의 종합적인 진단과 대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This study purposed to find identities, natural landforms and principl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through presenting the process that the location and space of HAHOE villages and YANGDONG villages were formed. And also the elements of home life culture through traditional villages were derived planning guidelines applicable to tour system. Both traditional villages, HAHOE village and YANGDONG village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idea of harmony with nature and have been maintained by supplement of location and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philosophy of home life culture. An understanding the landscape of traditional villages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way of home life from the harmony with nature as the factor of life wisdom for tour system in modern time. The landscape of traditional villages seems to human relationship with all the living things on the world, which mean human life style of adaptation into natural features.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 principle of landscape to the distribution of traditional villages is that the location of traditional villages regards a geographical feature not as a separated one but as a integrated one. This spatial composition of traditional villages seems to create familiarity and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for human beings. That is, the meaning of landscape of traditional villages is the life culture in harmony with nature, which recognizes human and nature identically.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진영(Song Jin-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5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 KCI등재후보

        가정과교육(家庭科敎育)의 효(孝) 교육(敎育) 실천(實踐)을 위한 탐색적(探索的) 연구(硏究)

        송진숙 ( Jin Suk S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의 목표체계 및 내용에 입각한 효 윤리체계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가정교과를 통한 효 교육을 실현하여 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효사상은 사회와 가정을 지키고 안정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가족 구조의 변화와 서구적 가치관의 유입으로 가족의 화합과 부모에 대한 효의 개념이 점차 퇴색되고 있다. 특히 중등학교 시기의 청소년은 정서적·심리적으로 불안정한 특성 때문에 부모와 자녀관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이에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기대와 부모의 역할이 새롭게 인식 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부모와 자녀의 새로운 긍정적 관계 형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육 현장에서 청소년들에게 가정과교육을 통해 효 사상을 고취시키고 효의 실천을 실현시킴으로서 청소년들에게 지속적으로 효를 지도하여 바른 품성 함양의 기초인 효의 실천 인이 되게 하고, 진취적인 인간상을 정립하고자 함이다. 그러나 오늘날 효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효를 낡은 윤리 의식이나 진부한 도덕적 규범 정도로만 생각할 뿐 효를 내면화하고 실천하기 위한 효 교육을 체계화하지 못하였으며, 그 내용 또한 지극히 빈약하여 실질적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또한 학교교육에서도 각 교과에서 일관되지 못한 지도와 지시 또는 주입식만으로 학생들의 흥미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데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더욱이 가정교육의 실종과 더불어 가정과 학교에서의 지나친 지식교육의 강조로 가정과 학교 모두 인성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증대되어 새롭게 효의 가치에 주목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처럼 사회의 변화에 따른 인간성 회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정신과 생활을 지배해왔던 전통가치인 효(孝)에 대한 가치관을 재정립하고 그 당위성을 인식하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청소년은 미래의 주역으로 이들에게 도덕적 의지와 올바른 가치관 확립을 위한 효(孝) 교육 실천을 위하여 가정과교육에서 앞장서 지도하여야 하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하겠다. 가정교과에서 효를 생활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안으로 첫째, 학교와 가정, 사회가 하나로 연계되어 일관되게 학생을 지도해야 하며, 둘째, 청소년 스스로 도덕적 자아를 형성하여 도덕적 행위가 생활화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하며, 셋째, 사실적이고 실제적이며 감동적인 효행의 모범적 사례를 통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적용방안을 수업과의 연계를 통하여 모색하여야 하며, 넷째,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하여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ive direction of guide and method after analyzing major content system of Hyo education through Hyo ethics syste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ight ways of students, which is in middle and high school, establishing the Hyo awareness by practicing the Hyo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Hom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Hyo education was considered not only as the concept limited to family ethics to be keep at home but also as the core of all the ethics maintaining society and nation as well as home. Therefore, the value of Hyo has been constantly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ethical subject under active care of feudal dynasty for the last thousands of years. But the western material civilization swamped in this country after liberation and equality ethics which is new sense of value had collapsed and weakened traditional order and value maintained our society for last thousands of years. Therefore, we had to be suffered from various conflicts and disorders without having sufficient time to build new order and sense of values. Hyo was understood as unconditional obedience to the order of parents or unilateral sacrifice of children for their parents. Sinc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is the horizontal culture recognizing equality ethics of democracy as universal value while that of traditional society was the vertical culture emphasizing vertical, it is necessary for Hyo education to be rebuilt to meet the new era. In conclusion, Hyo education appeared at home with focusing on the Hyo ethics system with universalizability showed that the overall weight of Hyo contents was higher, from the standpoint of weight in content. The plan for teaching-learning curriculum through Hyo education like affection and existence at home suggested in this research to settle these conflicts will be the correct educational plan to overcome these problem.

      • KCI등재

        만 3세-5세 유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송진숙(Song Jin-Suk),진영(Song J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및 배우자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만3세에서 5세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우자의 지지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로서의 효능감과 부모로서의 불안감과 좌절감이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competence, spousal support, and child rearing stress were examined in a sample 162 fathers who have children 3-5aged. They completed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including parenting competence scale, spousal support scale, and child rearing stress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gender and child rearing stres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age and child rearing stress. Third, parenting competence and spousal support we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in child rearing stres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송진숙(Song Jin suk),권희경(Kwon Hee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15개의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포함)에 다니고 있는 유아들의 학부모와 그들의 교사를 대상으로 인구생태학적인 변인들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적응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기 적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환경적 제반 요건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부모의 교육수준, 수입, 교사의 교사경력 유아의 사회적 능력 중에서 유능성괴 사교성 유아의 문제행동 중에서 불안행동, 과잉행동, 비행행동이 유아의 적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교육수준과 교사의 교육수준은 유아의 적응을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child's age, gender, parent's education level, age, income, teacher's education level, career period, child's social ability, and behavior problem on child adjustment in early childhood institute. Subjects were 130 and instruments were questionnaire from the child's social ability scale, child's behavior problem scale, and adjustmen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ent's educational level, income, teacher's job career period and child adjustment in early childhood institut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s social ability and child adjustment in early childhood institut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s behavior problem and child adjustment in early childhood institute. Fourth, parent's educational level, income, child's social ability were related to child's adjustment in early childhood institute.

      • KCI우수등재

        가정과 학교간 연계교육을 위한 부모의 가정 내 교육적 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참여도에 대한 연구

        송진숙(Jin Suk Song),권희경(Hee Kyoung Kwon) 한국아동학회 2000 아동학회지 Vol.21 No.2

        Korean parents and schools are challenged with the issue of working together to provide education and support of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variables that affect parent practices and volunteerism, specifically : beliefs of parents about children`s education and family-school collaboration,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practices and volunteerism, and teacher practices regarding family-school collaboration. Subjects were 651 parents who had children in K-grade 3.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Regression. Findings were that parents who thought they should be involved actually participated more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parents who reported a greater frequency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more invitations to volunteer actually were more involved.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과제

        송진숙 ( Jin Suk Song ),진영 ( Jin Young S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2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부각시키며 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사상과 체계 및 미래의 다문화교육의 방향에 대한 실천적 과제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다문화 사회는 세계 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문화와 가치, 태도를 형성하고 다양한 구성원간의 고유한 특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공존과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최근 세계 여러 나라의 이슈로 학교 교육과 사회 전반에 걸쳐 그 교육적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교육만이 가지는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은 다른 교육과정보다 인간의 평등을 추구하는 철학적 개념의 교육 과정으로 인종이나 집단을 위한 교육이 아닌 모든 인간을 위한 교육과정으로서 사회적 공평과 평등의 기본적 발달원리를 추구하는 사회 정의교육이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다문화교육을 위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본 원리로 삼아야 할 것은 다양한 인간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근절, 다양성과 차이에 대한 이해와 포용, 이질적인 문화 및 사회 집단의 평등적 공존 등을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의 원리로 추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들 다문화교육의 원리를 통하여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상황을 합리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개방적 태도와 인류 차원의 보편적인 문화 원리에 비추어 다양한 문화를 비판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understanding and an ide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ociety, which is a new multicultural education paradigm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thought in Korea. Global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cent trend moves integrating centered uni-national culture to understanding centered multi-ethnic culture. So, it is a provocative circumstance about school education and its accountabilit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to persist in transformative citizenship in a global age. It is possible when minority becomes agents and majority changes consciously. The transformative citizenship means minority group students have equal authentic opportunities for abilitable citizens through school curriculum.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to transformation and inclusion in dimen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the people in school can understand the past and present about the multicultural contents more than acquiring limited multicultural contents, develop the skill to draw the future, and further more improve our intellectual mind understand deeply other culture as well as Korea culture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 : 유아(幼兒) 도덕교육(道德敎育)의 실천적(實踐的) 방안(方案)에 대한 연구(硏究)

        송진숙 ( Jin Suk Song ),진영 ( Jin Young S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도덕교육의 개념 및 내용체계에 입각한 이론적 탐색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올바른 도덕교육을 실현하여 유아 도덕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유아기는 인격형성이나 기본생활습관이 형성되는 인생의 중요한 시기이고 또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도덕적 인식력이 성립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도덕교육이 꼭 이 시기에 시작되어야 한다. 인간사회 속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 할 것인지에 대한 가치를 형성하는 것은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이루어지며, 특히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도덕적 가치형성이 유아기부터 시작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므로 유아기의 도덕교육의 책임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 있다고 본다. 과거의 도덕교육의 내용은 종교적인 성향에 바탕을 둔 사랑, 신앙심의 실천을 그 내용으로 하였고, 그 후에는 그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과 규범이 주요한 내용의 핵심이 되었다. 그리고 유아기의 기본생활습관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그 사회의 문화만이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규칙이나 규범을 반영하여 시대의 사회적인 요청에 의해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덕이란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판단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행위의 적절성에 대한 타인의 관점으로 책임, 사상, 그리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신념과 관련된 것들이라고 본다. 유아기에 학습해야만 하는 중요한 행동목표로 도덕교육은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나 부모에게 하나의 의무이며 책임으로서 매우 중요한 지표임은 자명한 사실이며, 더욱이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ive direction of guide and method after analyzing major content of moral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experience in kindergarten.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ight methods of teachers`` role, which is in kindergarten. establishing the moral awareness by practicing the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Ministry of Education. Moral education was considered not only as the concept limited to ethics to be keep at individual but also as the core of all the ethics maintaining society and nation as well as home. Therefore, the value of moral education has been constantly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ethical subject.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re describe in aspect of concession, honesty, conform to the rule and equity. The meaning of practicing moral in moral education are interpreted in the moral, behavior of moral, and experience of moral emotion.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hildren join a group and begin to consolidate the foundation of morality. Second, the moral education in kindergarten should be identified as the formation of basic habits. therefore young children should internalize good habits. In conclusion, teacher should be instruct teaching strategies which are presented to help young children``s habit formation through self-expression, discussion, problem solving, social reasoning, inductive reasoning, modeling, and expla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