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공가(雇工歌)〉에 나타난 조선 후기 영세 경영농의 몰락과 그 의미

        김명준(Kim Myung-Joon)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고공가〉는 건전한 자본주의 경영을 위한 타산지석의 노래라 할 수 있다. 이 노래에서 고주는 고공과 갈등을 빚는 주체이며, 무능력한 경영자라 할 수 있다. 노래의 시작부터 고주는 고공의 입장은 전혀 배려하지 않은 채 화자의 입장만 나열하는 것으로 전개하고 있다. 갈등의 시작되는 부분부터 화자가 고공의 태업을 지적하고 있지만, 노사 관계로 보면 양자 간의 대립은 차이 없는 신분, 고주의 경제적 무능 그리고 노사의 임금 견해 차이 등에서 비롯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는 과거의 사례를 들어 고공의 불성실을 비판하고 앞으로 근검, 성실, 희생할 것을 요구하지만 정작 자신은 그에 맞는 행위를 약속하지 않고 있어 일방적 요구만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노래의 중반에서 화자는 고공에게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하며 공동 분배를 약속한다. 이처럼 회유를 하면서도 화자는 고공에게 지속적인 노동과 공동체 의식을 갖도록 권유한다. 하지만 여기서도 역시 화자는 고공에게 인간적인 배려 없이 쉼 없는 노동과 무조건적 희생만을 강요하였다. 또한 화자는 고공에게 경계의 말을 전하기는 하나 그들을 믿지 못한다. 화적에 대비하지 않는 것을 비난하고, 베푼 은혜를 망각했다고 질타한다. 그러나 고공은 화적에 맞설 명분이 없고, ‘시혜 발언’이 화자의 일방적 언술로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화자의 고공에 대한 힐난은 명분이 없는 것이다. 끝내 화자는 이러한 상황을 체념하고 좌절함으로써 노래를 마쳤다. 이렇게 볼 때 이 노래에서 갈등의 주 유발자는 화자 자신이고, 고공에 대한 불신과 자신의 시름도 과욕이 빚어낸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렇듯 〈고공가〉는 농업 경영인이자 고주인 화자의 욕망과 좌절을 노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약 화자가 경영자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가지고 인간애를 바탕으로 경영 활동을 했었더라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화자가 조선후기 변화하는 농업 경제를 바로 읽지못하고 노동력 또한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해 결국 실패하고 말았던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 두 가지 현재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경영자로서 능력이 없다면 경영권을 과감히 양도하라. 그리고 경영을 맡겼으면 신뢰하라. 둘째, 합리적 인간적 경영 없이는 선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이것이 건전한 자본주의가 갖는 당위인 것이다. 〈Gogong-ga〉 is a song to recommend a sound capitalistic management. In this song, Goju, a helpless manager is a subject to conflict with Gogong. In its initial stage of the song, Goju shows no favor with Gogong maintaining his own stance. Although the narrator points out Gogong's unfaithfulness at the beginning of conflict, the conflict derives from the difference of status, Goju's economic incapacity and different opinions upon wages between the two. While Goju requires Gogong faithfulness, loyal쇼 and sacrifice, he himself never promise anything for Gogong. In the middle of the song, the narrator suggests a bright future to Gogong and promises common sharing. In the mean time, the narrator constantly advises Gogong to work hard and to have a sense of community. But, it is no more than a restless work and blind sacrifice. And the narrator delivers a warning sign to Gogong, but never believes in him. He rebukes Gogong for not having prevented robbers' attack and for his ungrateful attitude. However, Gogong has no cause against the robbers, and 'dispensation remark is a unilateral and unreliable made by the narrator. Therefore, there is no justification to rebuke Gogong by the narrator. At last, the narrator finishes his singing showing his frustration. In this song, the main cause of conflict is the narrator himself and the distrust on Gogong and his agony result from his greed. As such, 〈Gogong-ga〉 demonstrates the desire and frustration of Goju, the narrator. If the narrator would have ability, talent as a manager in his managerial activity, he could have earned a good result. But, the narrator has no ability to catch up the change of agricultural economy in the late Chosun period, and finds no means to use manpower effectively which leads to failure. This gives two contemporary meanings. First, if one has no ability as a manager, render it to another one who gets it. Second, any good result can be obtained without human and rational management. This is the requirement of sound capitalism.

      • KCI등재

        雇工의 기원과 신분층의 형성

        강승호(Kang Seung Ho)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12

        고공은 중국에서 사용되던 신분 개념이 수용된 것으로 14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신분 용어이다. 하지만 고공에 대한 뚜렷한 신분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노동인구가 고공으로 불렸고, 이런 경향은 고공에 대한 신분 기준이 마련된 18세기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고공이 다양한 노동인구를 가리키면서 고공을 의미하는 다양한 표현들이 이칭으로 사용되었다. 고공의 이칭은 각종 법전이나 법률 등에 사용된 법제적 표현, 고공의 사회ㆍ경제적 지위를 나타내는 표현, 타인에게 고용된 존재임을 나타내는 표현, 그리고 고공과는 전혀 성격이 다른 노동인구를 나타내는 표현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고공과 전혀 다른 성격의 노동인구를 나타내는 표현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유형은 직ㆍ간접적으로 고공을 의미하고 있어 고공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고공의 기원형태는 일정 기간 타인에게 고용된다는 중국 고공의 신분적 특징과 가장 유사한 고려후기의 고용노동자에게서 찾을 수 있었다. 고려후기에는 가내잡역이나 역의 대립 등에 고용되었던 ‘傭’ㆍ‘雇傭’ㆍ‘雇人’ 등으로 불리던 고용노동자들이 존재하였는데, 이들을 고공의 기원 형태로 볼 수 있다. 특히 고인은 조선 시대에 고공의 이칭으로 널리 혼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고공과 직접 연결되는 전형적인 고공의 기원형태로 보인다. 문헌기록에서 고공이란 표현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고려후기이다. 충숙왕 복위 7년(1338)부터 추진된 불은사 중건 과정에서 고공이라고 불렸던 노동인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14세기 후반은 고공에 대한 법적 규범을 담고 있는 ?대명률?이 형률로 채택되고 고공의 가장 대표적 이칭인 고인이란 표현이 등장하는 시기여서, 이 무렵 고공이 처음 등장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고공이 처음 등장한 시기는 14세기로 설정할 수 있다. 14세기에 등장한 고공은 점차 하나의 신분층을 형성해 나갔다. 늦어도 15세기 초인 태종에서 세종 사이 시기에는 하나의 신분층으로 간주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정부 관료들이 특정인에게 ?대명률? 상의 고공률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이나 특정한 노동인구를 직접 고공으로 지칭하고 있는 것은 이런 사실을 뒷받침한다. 즉 고공이 다른 신분층이나 노동인구와는 구분되는 존재였고, 일반인과는 다른 별도의 형률이 적용되는 존재였음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공은 15세기 초에 하나의 독자적인 신분층을 형성했다고 하겠다.

      • 액체로켓엔진 고공모사설비 검토

        조남경(Cho, Nam-kyung),김채형(Kim, Chae-Hyong),김성룡(Kim, Sung-Ryung),임지혁(Lim Ji-Hyuk),김성혁(Kim Sung-Hyuk),우성필(Woo, Sung-phil),박재영,소윤석(So, Yoon-seok),이정호(Lee, Jung-ho),이승재(Lee Seong-ja),전준수(Jeon Jun-su),황창환(Hw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3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21 No.2

        고고도 환경 하에서 작동하는 발사체 엔진의 개발 시에는 반드시 실제 비행환경과 유사한 환경 하에서 정확한 추력 및 시동특성을 검증해야 한다. 따라서 고공환경 모사시험을 통하여 엔진의 성능을 확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 대기조건 시험설비에서의 시험과는 달라야 하는 고공모사시험 및 설비의 필요성, 고공모사의 원리, 고공모사 설비의 종류 및 구성, 고공모사 설비의 설계 및 운용에 대해 기술한다. 특히 팽창비가 큰 상단엔진의 고공 시동/종료 성능과 쓰로틀링 성능, 재점화 성능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종료시 고팽창비 노즐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이젝터 방식 고공모사설비에 대해 논의한다. The development of a launch vehicle engine operating in a high-altitude environment must include verifcation of accurate thrust and starting characteristics under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flight environment,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the engine must be confirmed through a high-altitude environment simulation test. This paper describes the need for high-altitude simulation test facility. The principles, configurations, design and operation of high-altitude simulation test facility are discussed. In particular, overall aspects of steam ejector type facility for testing upper engine with a high expansion ratio are deeply discussed.

      • KCI등재

        울산호적대장을 통해 본 고공의 노동성격 검토

        이정수(Lee, Jung-Soo) 부산경남사학회 2018 역사와 경계 Vol.109 No.-

        이 연구는 1609년부터 1795년까지 약 200년간 경상도 울산군의 호적대장에서 발췌한 장기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호적에 입안된 고공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 단성과 언양, 대구의 호적대장을 통한 고공 연구 성과와 비교한 결과 보다 폭넓게 고공의 성격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18세기 중반 이후의 울산 호적에 명기된 고공은 日雇, 季雇와 같은 단기고공이 아니라 대체로 장기고공이며, 고공의 성격이 시기에 따라 점차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고공은 1759년을 전후하여 노동성격이 점차 변화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1759∼1765년 이전에는 고공의 숫자가 증가하였고, 고공은 주로 농업생산을 목적으로 고용된 비교적 신분이 자유로운 임노동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이후에는 고공의 숫자가 점차 감소하고 있었다. 특히 18세기 중후반 이후 고공은 여성화, 연소화 되었으며 고공계약은 장기화되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호적에 입안된 장기고공은 급속히 줄어들고 결국 19세기 초반에는 호적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러한 고공의 성격 변화는 노비나 장기고공에 비해 노동생산성이 높을 뿐 아니라 수시로 고용이 가능한 단기고공의 광범한 사회적 존재와 1783년 고공법제의 개정으로 인해 호적에 올리는 고공의 경우는 고용주와 최소한 5년 이상 계약해야만 했던 사실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같은 결과는 앞서 제출된 단성호적대장이나 언양호적대장의 고공 분석 결과와도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선후기 호적대장에 등재된 고공의 성격을 분명하게 확인시켜 주는 또 하나의 사례로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The study looked at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Kogong designs microscopically, using long-term time series extracted from the family register in Ulsan County, Gyeongsang Province for about 200 years from 1609 to 1795. In particular, the result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Kogong research through the family register in Dansung, Eonyang and Daegu region showed a broader change in the character of Kog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ncient ball listed in Ulsan"s family registry after the mid-18th century is rising, that it is generally long-term, not short-term, and that the nature of Kogong is gradually changing with time.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the labor force gradually changed around 1759. Prior to 1759-1765, the number of Kogong areas increased, and the Kogong areas were relatively free of status mainly for agricultural production. However, since then, the number of high pitches has been decreasing. In particular, Kogong contracts have been prolonged since the mid and late 18th century. Along with this, the long-term hard work drafted in the family registry quickly decreased and eventually disappeared from the family registry in the early 19th century. This change in the nature of the Kogong work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wide social presence of short-term workers who are not only more productive than their labor or long-term work, but also to the fact that they had to sign contracts with employers for at least five years due to the revision of the Kogong law in 1783. These results are in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high-resolution analysis of the previously reported Household Register of Danseong or Household Register of Eonyang. Therefore, I think tha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other example that clearly confirms the character of the Kogong in the late Chosun family register.

      • KCI등재

        조선후기 단성과 언양 호적대장에 나타난 雇工의 노동성격 비교

        이정수(Lee, Jung-Soo),김희호(Kim, Hee-Ho)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1 No.-

        이 연구는 1678년부터 1789년까지 경상도 단성현 8개面의 호적대장과 1777년부터 1861년까지 경상도 언양현 6개面호적대장의 장기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두 지역에서 고공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특히, 단성현 호적과 언양현 호적은 시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고공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장기적으로 비교하여 관찰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18세기 중반 이후의 두 지역 호적에 명기된 고공은 日雇, 季雇와 같은 단기고공이 아니라 대체로 장기고공이며, 고공의 성격이 시기에 따라 점차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고공의 노동특성이 변화하는 시기는 1735년과 1798년을 기준으로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보았다. 1735년 이전에는 고공이 농업생산을 목적으로 비교적 신분이 자유로운 남성위주 임노동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1735년 이후에는 고공이 신분적, 경제적으로 점차 예속적인 노비화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735년 이후 고공이 노비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여성화, 연소화 되었으며 고공계약은 장기화되고 신분적, 경제적으로 보다 예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1798년 이후에는 고공의 특성이 그 이전과 유사하고 고공계약도 장기화되었지만, 고공의 도망은 오히려 대폭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우선, 19세기에 와서 신분제 해체가 더욱 진행되어 신분적 예속성이 많이 완화되었고, 다음으로 고공정제의 개정으로 인해 고공계약이 5년 이상 장기화되었을 뿐 아니라 호적에 입안된 고공의 다수가 생계가 곤란한 나이 어린 여성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long-run series from the Old Records of household registers of Danseong and Eonyang (both in Kyungsang Province) to compare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Kogong in both regions during 1678-1861. These two registers were linked to compare the Kogong over periods as well as over regions such that the first one was written between 1687-1789 for Danseong and the latter was 1777-1861 for Eonyang. The study results show that Kogong were registered in a long term contract rather than in the short-term, and that they did different works over different periods. The critical years were 1735 and 1798 for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Kogong to be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periods. Before 1735, Kogong were free common male, and worked for wage as farmhands to cultivate the agricultural farmlands. Between 1735 and 1798, Kogong had been changed from the commons to the slaves (Nobi) in status, and were young female slaves in general. They seem to have done houseworks instead farming works. Their contract had been more prolonged than before to secure the slavery status in the long-term. Then, Kogong’s desertion began to increase during this period. After 1798, however, Kogong’s desertion decreased, but their characteristics kept to remain similar to these characteristics of Kogong in the previous period. This implies that the slavery system had been weakened after the 19th century and, thus, the slavery status was not more emphas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Kogong than before.

      • KCI등재

        楓石 徐有矩와 『周禮』「考工記」

        조창록 ( Chang Roc Jo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1

        서유구의 이름은 有矩, 자가 準平인데, 그 이름과 자는 匠人들이 사용하는 도구인 곱자와 수준기를 의미한다. 「고공기」는 13경의 하나인 「주례」의 여섯 번째 편명으로, 중국 고대 장인들의 기술서이다. 서유구는 글공부를 하던 시절 「고공기」를 애호하여 ``대장부의 글``이라고 하였고, 박제가의 『북학의』에 서문을 쓴 조부 서명응또한 「고공기」를 숙독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 청대 고증학의 유행과 함께 중국과 조선의 일부 지식인들은 「고공기」를 중국 진나라 이전의 거의 유일한 과학기술서로 주목하여 왔다.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사실들은 작게는 서유구 집안의 학문적지향을 대변해 주는 것임과 동시에, 크게는 조선후기 실학의 추이와 관심사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 아닌가 여겨진다. 본고는 이러한 생각에서 서유구를 중심으로 서유구와 「고공기」, 「고공기」의 체재와 그에 얽힌 논란들, 그리고 「고공기」에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평가에 대해 고찰해 본 것이다. 그 생각들을 정리해보면, 「고공기」는 세 가지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고공기」는 그 문체가 古文의 모범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둘째, 「고공기」는 고대의 과학기술을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西器中國源流說의 근거가 된다는 점이다, 셋째, 「고공기」는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를 사상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 점은 당시 실학의 주요 경향이 었던 북학론 내지는 이용후생학과 무관하지 않은데, 박제가의 『북학의』와 정약용의 「기예론」등이 이러한 경향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서유구를 비롯한 여러 실학자들에게서 보이는 「고공기」에 대한 관심은 비록 그것이 서기동양원류설의 사상적 배경이 되기도 했지만, 동양의 옛 경전 안에서 이용후생의 과학기술을 찾으려는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Seo Yu-gu`s name is Yu-gu (有矩) that means the carpenter`s square and his second name is Junpyeong (準平) meaning the level of craftsman. 「Gogonggi (考工記)」, the 6th chapter of 『Jurye(周禮)』, one of 13 classics, is a technical book for ancient Chinese craftsmen. Seo Yu-gu, in his studying days, loved to read 「Gogonggi」, calling it ``the writings for man``. It seems that Seo Myeong-eung, grandfather of Yu-gu who wrote preface on the 『Bukhakui』 of Park Je-ga, also read intensively that book. As documental archaeology were popular in Qing dynasty, some Joseon intellectuals gave attention to 「Gogonggi」, considering it as the only technical book written before ancient Chinese Qin dynasty. These facts show the orientation of learning of Seo family as well as, at large, the issues and trend of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From such thinking, this paper examined Seo Yu-gu and 「Gogonggi」, system of the book and its related arguments, and the evaluations of that time intellectuals on the book. 「Gogonggi」could have meanings in three aspects. At first, the style of 「Go- gonggi」is the model of ancient writings(古文). Secondly, in that it includes ancient technologies and science, it became the ground of a theory (西器中國源 流說) that western technology is originated from China. Thirdly, in the late Joseon, it supported ideologically Silhak scholars to study technologies and sciences. This fact, in particular, has some relations with Bukhakron (北學論) or pragmatic welfare theory (利用厚生學), the main trends of Silhak in that time. Good examples of those trends are the 『Bukhakui』 of Park Je-ga and 「Giyeron(技藝論)」of Jeong Yak-yong. From that point of view, the attentions given to 「Gogonggi」by Silhak scholars including Seo Yu-gu can be said a result of efforts to find pragmatic scientific technologies out of old oriental scripture, though it happened to becom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theory that China is the origin of western technology.

      • KCI등재

        조선후기 제주 어도(於道) 진주강씨가(晉州姜氏家) 고공(雇工)의 존재 양상 -강우석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

        조정곤 ( Jo Jung-g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1 탐라문화 Vol.- No.66

        본 연구는 제주 於道里에 세거한 晉州姜氏 강우석씨 댁에 소장된 明文, 不忘記, 準戶口를 통해 이 가문에서 고용하였던 고공의 존재 양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어도 진주강씨가는 17세기 중반 이후 上加里와 於道里에 거주하면서 대대로 留鄕座首와 留鄕別監을 역임하였고 이러한 사회적인 지위를 통해 또한 많은 재산을 소유한 가문이었다. 이 가문의 고공계약과 존재 양상에 대해 살펴 본 결과 17세기 후반 고공의 계약은 명문과 불망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고공이 된 이유를 기재하지 않은 경우 명문을 작성하였고 채무와 같은 경제적인 이유가 기재되었을 때는 불망기를 작성하였다. 고공 계약의 이유는 대부분 同色馬를 비롯하여 채무를 갚지 못하는 등의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이었다. 이 당시 고공계약은 대체로 5년에서 8년으로 비교적 장기간 고공으로 계약하였다. 이 가문에서 고용하였던 고공의 규모는 17세기 후반에는 4~5명이었고 18세기에는 1~3명 정도였는데 대부분 2~3명 정도를 고용하였다. 그리고 18세기는 1~2명의 고공을 고용하였다. 이 가문에 고용되었던 고공의 성별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남성 고공이 조금 더 많이 고용되었다. 한편 주인이 육지에 거주하고 있는 외거노비가 고공이 된 사례를 이 가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주인과 멀리 떨어진 곳에 지내면서 타인의 집에 고공으로 계약하여 생계를 해결하고 주인에게 신공을 바쳤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가족단위의 고공을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 가문에 고공으로 고용되고 있거나 혹은 소유한 사노가 혼인하여 낳은 자식들이 고공이 되고 있어서 2세대가 함께 고공으로서 한 집에 의탁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공의 성격을 살펴보기 위해 신분, 연령, 기한 등을 검토하였다. 이 가문에 고공으로 고용된 경우 대부분 공노비와 사노비였으며 양인은 1678년에 한명만 확인된다. 공노비의 경우 대부분 內資寺·內贍寺·仁順府에 속해 있는 노비들이며 寺奴 혹은 寺婢로 그 소속이 어디인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한편 1801년 공노비가 해방된 이후 고공의 신분을 살펴보면 대개 목자, 老閑, 향소서원 등으로 공노비를 확인할 수 없었다. 고공의 연령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 장성한 사람들이었으나 간혹 60대 이상의 고공도 확인된다. 그리고 자식을 낳자마자 고공으로 입적시키는 사례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공의 기한을 검토한 결과 대체로 5년 이상 장기간 고공으로 고용된 경우가 많았다. 이 가문의 고공은 고공 기간이 매우 장기화되어 앙역고공의 형태의 성격을 가지게 되고 아울러 예속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즉 오랫동안 고주가의 집에 거주하면서 집안의 여러 雜役을 담당하였고 더불어 농업노동력을 제공하기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istence conditions of Gogngs employed by the Jinju Gang Clan, through Myeongmun(明文), Bulmanggi(不忘記) and Junhogu(準戶口), colected by Mr. Gang's family belonging to the Jinju Gang Clan, which has lived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in Eori-do, Jeju. At first, the members of the Jinju Gang Clan resided in Sangnga-ri(上加 里) and Eodo-ri(於道里) after the mid-17th century and successively held Yuhangjawsu(留鄕座首) and Yuhangbyeolgam(留鄕別監)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o it possessed a lot of properties based on its social status. The Gogong contracts signed by this clan and the existent conditions of the Gogongs were examined to show that such a contract was made through Myeongmun and Bulmanggi. Myeongmun was written when the reasons why they became Gogongs were not described, while Bulmanggi was filled, if economic reasons such as debts were stated. The Gogong contracts were made, mostly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related with Dongsaekma(同色馬) and unpaid debts. At that time, the contracts were usually made with the condition of relatively long terms ranging from 5 to 8 years. The number of Gogongs employed by this clan was about 4-5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about 1-3 in the late 18th century, but about 2-3 Gogongs were most often employed by it. The sex ratio of Gogongs employed by this clan was not significantly imbalanced, but male Gogongs were slightly more than female Gogongs. Some cases in which Oegeonobi whose owners resided in the mainland became Gogongs could be verified from this clan. They are supposed to live in areas far away from their owners and make the Gogong contracts with others, to make a living, and also give Singong to their owners. It could be also found that family units of Gogongs existed. This means that children born from Gogongs employed by this clan or Sano(private servants) owned by it also became Gogongs, so two generations of Gogongs sheltered themselves in one house. Finally, the status, age, terms and so on of Gogong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Most of employed Gogongs were Gongnobi(public servants) and Sanobi, and only one Gogong who lived in 1678 was verified as Yangin(a common person). Most of Gongnobis belonged to Naejasi(內資寺), Naeseomgsi(內贍寺) and Euijeongbu(仁順府) and were Sinos(寺奴) and Sibis(寺婢), but where some of them belonged to were not stated. After Gongnobis were liberated in 1801, the social positions of them were often Mokja, Nohan(老閑) and Hyangsoseowon, so it was not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they were Gongnobis. Although most of Gogongs were grown up, those over 60 are sometimes found. Some children were registered as Gogongs, as soon as they were born. Finally, the terms of them were examined to exhibit that they were often employed for longer than five years. The terms of Gogongs employed by the Jinju Gang Clan were very prolonged, so they became Angyeokgogongs and subordinated to it. As they resided in their owner's house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y seem to be responsible for many miscellaneous works(雜役) and to provide agricultural labor forces.

      • KCI등재

        <고공가> 연작과 조선중기 노비농장의 우의적 형상

        김용철 ( Kim Yong-cheol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이 연구는 1600년 전후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사 <고공가>와 <고공답주인가>(이하 <고공가> 연작)를 대상으로 하여 작품 속의 노비농장에 표현되어 있는 우의적 형상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방향은 1600년 전후 지어진 <고공가> 연작이라는 가사 작품에서 노비농장과 당쟁을 형상화하는 것이 가지고 있는 문학사적 문명사적 의미이다. 이를 통해 임진왜란 바로 직후에 지어진 <고공가> 연작이 조선후기라는 새로운 문학사의 시대를 열어젖힌 의의의 한 부분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에서는 <고공가> 연작 속에 등장하는 주인과 고공들이 서로 작품에서 형상화한 내용을 주고받는 자리를 1600년 전후 당시 양반들이 노비를 부려 농사를 짓던 노비농장으로 보고 작품에 나타나는 고공을 노비로 보고 이를 여러가지 증거로 증명하려 노력하였다. 그 과정에서 1600년 당시 전쟁을 겪으면서 흐트러지고 여러모로 위기에 봉착한 노비농장을 제자리로 복구하는 것이 왕인 선조나 정승 이원익 같은 사람들의 최우선 과제였으며 이것을 나타낸 것이 바로 <고공가> 연작의 작품 내용임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노비 내지 노비농장을 형상화한 작품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고공가> 연작이 가지고 있는 문학사적 내지 문명사적 의의가 상당히 무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작품 속 노비농장이 가리키는 작품 밖 현실세계인 당쟁의 세계는 어떤 모습인가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고공가> 연작이 단순하게 당쟁을 비판한 것이 아니라 당쟁을 없애려 노력한 유일한 작품이라는 점을 살펴보고 이것이 가지고 있는 문학사적 문명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allegorical configuration expressed on the slave farm in the work, targeting the < Gogong-ga > and < Gogongdapjuin-ga > (hereinafter referred to as < Gogong-ga > series),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composed around 1600 years ago. The main direction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of meaning of literary history and civilization that configured slave farms and factional strife in < Gogong-ga > serie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 Gogong-ga > series, which was built righ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Imjin-wairan), will reveal a part of the significance that opened up a new era of literary history called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room of the master and the slave in < Gogong-ga > series considered a slave farm. The restoration of the slave farm, which was disrupted and faced with crisis after Japanese Invasion, was a top issue of King Seonjo and Leewonik. It was the contents of the < Gogong-ga > ser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iterary and civilization historical significance of < Gogong-ga > series was quite heavy, given that there were few works that embodied the slave(Nobi) or slave farms in korean history. Next, I looked at factional strife that the real world outside of the work indicated by slave farm. In the process, I looked at the fact that < Gogong-ga > series was not simply criticizing factional strife, but the only work that tried to eliminate it. And I looked a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and civilization of this works.

      • KCI등재

        18-19세기 고공법과 노동이동성 제약

        김희호 ( Heeho Kim ),이정수 ( Jeong-soo Lee ) 경제사학회 2020 經濟史學 Vol.44 No.2

        조선후기 신분제와 고공법은 노동이동성을 제약하여 농업생산성을 저해하는 중요한 원인이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18-19세기 고공법의 변화가 고공기간과 노동이동성 제약에 미치는 효과를 제도적,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1680년 이후 제도적으로 고공법 변화와 노동이동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고공법의 변화로 인해 실제 고공의 노동이동성이 어떻게 제약되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제 노동이동성의 제약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단성과 언양의 호적대장에서 나타난 고공의 도망 비율과 고공기간의 장기화 비율을 측정하였다. 이는 노동이동성의 제약이 클수록 고공의 도망 비율이 높아지고, 고공기간의 장기화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의미는 조선후기 신분제를 노동이동성 제약의 측면에서 설명한 첫 번째 시도이며, 고공법 등 제도변화가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장기적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도경제사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The law of laborers (Kogong) in 1680 was a regulation on the status of Kogong by the Korean government to deal with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numbers of Kogong. Kogong themselves were free commoners and middleclass sometimes, and their labor mobility was restricted under the law of Kogong. This regulation of Kogong resulted in lower productivity of labor due to a tight restriction on labor mobility. Although the causality of law of Kogong to labor productivity was widely regarded as evident, few studies focus on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law of Kogong and productivity.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the causality of law of Kogong to labor productivity through a channel of labor mobility. Using the official household tallies from Danseong and Eonyang in the 18th-19th century, evidence indicates that the law of Kogong actually restricted the labor mobility severely, and, thus, caused a decline in labor productivity. The more frequently Kogong deserted, the longer the contract period of Kogong was, and the more severly the labor mobility were restricted.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조선후기 협호와 고공의 비교

        김희호 ( Hee Ho Kim ),이정수 ( Jung Soo Lee ) 경제사학회 2014 經濟史學 Vol.57 No.-

        본 논문은 1777-1825년 언양호적대장에서 나타난 협호와 고공을 비교해보고, 협호와 고공이 서로 대체 노동력으로 사용되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협호와 고공의 보유형태에 대한 비교를 통한 직접적 노동 대체관계와 노동특성을 비교한 기능적 대체관계를 각각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협호는 가족중심의 생산 노동력으로서, 고공은 어린 여성을 위주로 한 사역노동과 일부 30-40세 장년 남성 고공의 생산 노동력을 동시에 제공하였다. 따라서 협호와 고공의 노동관계는 고공의 노동특성에 따라 전자의 경우 보완적 노동관계를, 후자의 경우 대체적 노동관계를 각각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농업경제에서 노동력으로서 협호와 고공을 비교하여 노동형태의 변화를 고찰하고 있는 첫 번째 시도라는 점에서 경제사적인 의미가 크다. This study purposes to identify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Hyupho and Kogong and examine whether they were substitutable with each other as labor forces in the agricultural economy of Chosun Korea between 1777 and 1825. This study indicates that Hyupho and Kogong were labor-substitutes, but played different roles in farmlands. Hyupho worked in a form of family as main agricultural farmhands, and most of Hupho were adult male workers. Meanwhile, Kogong were simply doing housing works who were so young femal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