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자부심과 소비자 적대감이 일본 불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경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2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6 No.3

        No Japan movement is still ongoing since it was begun in 2019 when Japan regulated export to Korea.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at effect national pride and consumer animosity had on the consumer participation in No Japan movement. The researcher conducted survey on university students in 2021 to verify hypotheses. The research found that among various kinds of national pride (comprehensive pride, democracy pride, science/culture pride, and economy/welfare pride), democracy pride was alone in predicting who would participate in No Japan movement. That is, people tended to boycott Japanese products when they were proud of the level of democracy that Korea has achieved. The consumer animosity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d toward Japan was a more powerful predictor of the participation in No Japan movement compared to national pride. However, national pride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Japanese products while consumer animos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ame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have been discussed what it means to companies in Korea and Japan as well as to Korean consumers.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로 시작된 일본에 대한 불매운동은 현재진행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자부심과 소비자 적대감이 일본 불매운동의 참여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1년 대학생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자부심들(포괄적 자부심, 민주주의 자부심, 과학과 문화 자부심, 경제와 복지 자부심) 중에서 일본 제품 불매를 예측하게 하는 자부심은 민주주의 자부심이 유일했다. 즉, 대한민국이 성취한 민주주의에 대한 자부심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일본 제품을 불매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 학생 소비자들의 일본에 대한 소비자 적대감은 국가자부심 변인보다 더욱 강력하게 일본 제품 불매 행동을 예측하게 했다. 국가자부심은 미래의 일본 제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 고, 소비자 적대감은 미래의 일본 제품 구매의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이나 일본의 기업 그리고 국내 소비자들에게 함의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K-방역 자부심이 코로나19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양준용(Joon Yong Yang),손애리(Aeree Sohn),조병희(Byong-Hee Cho) 한국보건사회학회 2021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58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범세계적 유행은 각국의 대중이 자국의 방역체계를 인식 및 평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와중 한국 사회에서는 방역체계가 고평가되며 국가브랜드화 되는 특이한 현상이 나타났는데, 2020년 3월경 처음으로 등장한 “K-방역”이라는 단어는 한국인들 사이에서 순식간에 유행하며 국가자부심의 주요 근거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K-방역에 대한 자부심이 실제 코로나19 예방행위를 자극하였는지 건강신념모형을 토대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2020년 8월 수집된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예방행동 조사”의 성인 927명을 대상으로 진행했고, 상관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대, 남성, 저학력자에서 방역자부심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예방행위는 남성이 여성보다 적게 하고 있었다. 각종 공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방역자부심은 인지된 혜택과 인지된 장애를 경로로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된 혜택과 인지된 장애는 방역자부심과 예방행위 사이를 완전매개하고 있었다. 한편 평균 이하 방역자부심 집단과 평균 이상 방역자부심 집단으로 연구참여자를 분류하였을 때, 방역자부심 수준에 따라 코로나19에 대한 정보를 해석하는 방식에 차이가 발생하여 건강신념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방역자부심이 낮은 집단에게 더욱 효과적인 중재 메시지를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동시에, 방역체계에 대한 자만만큼이나 자학 역시 대중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려준다. The worldwide epidemic of the COVID-19 has prompted the public in each country to recognize and evaluate its quarantine system. Meanwhile, in Korean society, the quarantine system was highly valued and became a national brand. The word “K-quarantine,” which first appeared around March 2020, quickly became popular among Koreans and regarded as the main basis for national pride.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Koreans pride in K-quarantine actually stimulated the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927 adults in the “COVID-19 Risk Recognition and Preventive Behaviors Survey” collected in 2020. In the proces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layout varianc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ide in quarantine was relatively low in people in their 20s, men, and undereducated, and men were doing less preventive actions than women. After controlling various covariates(such as age, sex, income, education), pride in quarantine influenced preventive actions through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quarantine pride and preventive actions. On the other hand, when classifying study participants into sub-average and above-average pride in quarantine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about COVID-19 is interpret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ride in quarantine, which would affect health beliefs. These findings raise the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ssages for groups with less pride in quarantine. And it also shows us that self-deprecation can have as much adverse effects on public health as arrogance.

      • KCI등재

        한국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에 대한 특성 분석

        서운석 한국보훈학회 2008 한국보훈논총 Vol.7 No.1

        보훈정책은 국민들로 하여금 국가안보와 보훈의 가치를 결집하여 국가가 위기에 처할 때 위국헌신 정신을 유도함으로써 국가에 대한 대내적 정당성 확보 및 국민 통합을 이루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이라고 할 때, 이를 고양하는 것은 중요한 국가정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 특성을 여러 변수에따라 분석하였다.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이 매우 높다는 응답률에 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기타 변수에 따라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이 매우 높다는 응답률에 있어 개인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이와 관련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변수들 간의 관련성 분석 결과를 보면, 사회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남자일수록, 정치상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도 높아지는 관계를 보이고 있고,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KCI우수등재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조직구성원들의 기업연상이 조직 자부심, 조직신뢰,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설진선,김수연 한국언론학회 2022 한국언론학보 Vol.66 No.4

        이 연구는 기업연상 유형인 CA연상과 CSR연상이 직장인들의 조직 자부심, 조직 신뢰,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면서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2021년 전문 조사 회사의 패널을 통해 X세대에 해당하는 1964년생~1977년생 400명과 밀레니얼 세대에 해당하는 1982년생~1994년생 373명 총 773명 직장인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전체 응답자들의 CA연상은 CSR연상보다 조직 자부심과 정서적 몰입에 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CSR연상은 CA연상보다 조직 신뢰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대별로 구분하여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X세대 응답자들의 CA연상, CSR연상, 조직 자부심, 조직 신뢰, 정서적 몰입은 모두 밀레니얼 세대 응답자들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세대별로 그 효과를 보았을 때, X세대 응답자들의 기업연상의 두차원은 모두 조직 자부심, 조직신뢰,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CA연상은 CSR연상보다 조직 자부심에 더 크게 영향을 미쳤지만 조직신뢰와 정서적 몰입에는 CSR연상이 CA연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X세대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의 효과를 보았을 때, 연령이 모든 종속변인들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소득은 조직 자부심과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밀레니얼 세대 응답자들의 CA연상과 CSR연상도 모두 조직 자부심, 조직신뢰,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그 상대적 효과 크기를 비교해 보았을 때, CA연상이 CSR연상보다 조직 자부심, 조직신뢰,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중에서는 성별의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 남성 응답자들이 여성 응답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조직 자부심, 조직신뢰, 정서적 몰입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기업연상의 개념을 조직의 내부 구성원인 직장인들의 세대 차에 주목하여 세대별로 중요한 기업연상을 차별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실무적, 이론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아의 긍정적 자기인식정서 표현에 대한 의미 탐색 - 가정에서 나타나는 영아의 `자부심`을 중심으로 -

        곽승주 ( Kwak Seung-ju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가정의 일상에서 영아의 `자부심`이 나타나는 구체적인 맥락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영아기 긍정적 자기인식정서 표현에 관해 탐구하고 이를 통해 가정 및 보육시설에서의 영아 정서 이해 및 지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토대로 만 2세 영아 3명의 가정에 대한 참여관찰 및 어머니 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영아들은 자기 한계에 대한 도전과 성취 맥락에서 자율성 획득을 통해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자부심은 자신의 신체능력을 과시하는 맥락에서 자주 출현하였으며, 이러한 신체적 유능감은 영아의 자부심 발로에 주요한 의미를 지녔다. 셋째, 영아의 자부심은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의 맥락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영아의 자부심이 실제-이상 간 불균형 속에서 표현됨을 의미한다. 넷째, 영아의 자부심 표현은 타인을 향한 거부와 배타적 맥락으로 표출됐으며, 이는 영아가 타인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통해 자부심을 고취시킴을 보여준다. 다섯째, 영아는 자신의 긍정적 이미지가 훼손되는 경우, 자부심 손상으로 인한 저항과 분노감 표출하며 긍정적 자아인식에 대한 강한 욕구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fantile positive self-conscious emotional expression by looking into the concrete context, and meaning of an infant`s `pride` arising in everyday living at home, through which to provide implications to parents` role in response to an infant`s emotion. On the basis of the purpose of research like thi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focus on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ree infants aged under 2, and interviews with the mother.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infants expressed their pride through acquisition of autonomy in the context of a challenge to their limitations, and achievements. Secon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n infant`s pride appeared frequently in the context of showing off its physical ability, and such physical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an infant`s pride expression. Third, an infant`s pride was found to appear in the context of overestimation of itself, which means that an infant`s pride comes into existence in imbalance between reality and ideal. Fourth, an infant`s pride expression surfaced in the context of rejection and exclusiveness towards others, which shows that an infant inspires pride into itself through a negative evaluation of others. Fifth,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in case its positive self image was damaged, the infant displayed a strong desire for positive self-consciousness while expressing resistance and anger due to the damage to its pride.

      • KCI등재

        『四庫全書總目提要』의 子部에 보이는 학파별 분류와 평가 - 儒家類를 중심으로 -

        조장연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Zĭ(子:Masters) category of The Siku Quanshu Zongmu Tiyao(The Complete Library of the Four Treasuries: General Catalog with Abstracts) means the taxonomy of all kind of thoughts which are specialized and independent on of Qing Dynasty. this Zĭ(子:Masters) category is the most effective analysis subject for studying of The Siku Quanshu Zongmu Tiyao(SQZ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cademic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SQZT. For this object, first of all, the present writer reviewed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Siku Quanshu(The Complete Library of the Four Treasuries), and checked the difference between Jĩng(經:Classics) category and The Confucian Branch in Zĭ(子:Masters) category. the result of a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The standard Classification and the Criticism of SQZT depend on the Confucian Classics. But Confucianists went into reinterpreting the Confucian Classics from a their viewpoint for some time, and began to assert their opinions. The Confucian Branch originated from this circumstances and had the amazing catholicity which covered all most another Branches. It corresponded closely with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others. The Bibliographers of SQZT didn't like unproductive metaphysical disputes, and adopted the policy of the anti-Ming Dynasty. It was an expression of a appreciation for ethnocracy. The Bibliographers of SQZT conceded Neo-Confucianism, but suspected the utility of Neo-Confucianism. this suggests they preferred to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on The Han Dynasty, so they derived a restrictive recognition from Qing Dynasty. 『四庫全書總目提要』(이하 『提要』로 약칭)의 「子部」는 현대적 시각으로 보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독립 학문 영역에 대한 총칭이며, 고전적 의미로 접근한다면, 제자백가로 지칭되던 당대의 모든 학문 유파들에 대한 분류와 그 평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子部」는 방대한 서적을 분류하고 해제를 단 『提要』의 성격을 가늠하는 데에 효과적인 분석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提要』의 經⋅史⋅子⋅集 가운데 「子部」에 주목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에 『사고전서』의 편찬과정을 간략하게 검토하였고, 역대로 「子部」에 소속된 儒家類와 또 하나의 범주인 「經部」 사이의 분기점을 돌이켜보았으며, 『提要』 편찬자들이 본 「子部」의 실상을 검토하였다. 학술적인 측면에서, 그 분류와 평가의 기준은 일차적으로 유교경전에 있었다. 이러한 측면이 「경부」를 최고로 두는 경⋅사⋅자⋅집의 분류법을 낳게 하였다. 반면 유학자들은 어느 순간부터 경전을 재해석하면서 자신의 학설을 세우기 시작하였다. 「자부」에 소속된 유가류의 본격적인 출발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아울러 유가류는 도가와 불가를 제외한 거의 전체를 포괄하는 포용성을 지녔으며, 이것은 유학의 본령인 修己治人의 정신에 부합하였다. 정치적인 측면에서, 『제요』 편찬자는 논쟁의 유발을 극단적으로 혐오하였으며, 그 서술 관점은 명 왕조보다 모든 면에서 비교우위를 점하려는 반명주의정책을 띠었다. 이는 이민족 왕조라는 한계에 대한 인식의 발로였다. 『제요』 편찬자들은 性理學을 공인하면서도 성리학의 역사를 논쟁과 비판의 역사로 이해하면서, 그 효용성을 의심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일면 漢代經學의 방법론에 대한 선호를 암시하며, 동시에 국가 공인의 학문인 성리학에 대한 제한적 승인을 유도하였다.

      • KCI등재

        李密의 「陳情表」에 쓰인 “慈父見背”의 구조 및 의미 재고찰

        장정임 한국중국언어학회 2024 중국언어연구 Vol.- No.110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the exact meaning of 慈父見背 appearing in Li Mi's (李密) 「Memorial expressing my feelings(陳情表)」. There is no consensus regarding the structure of 見背 in 慈父見背.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subject of 見背 is the speaker's father, mother, or parents in most cases. Therefore, 見背 can best be understood as a type of honorific expression. This paper subsequently points out the problems regarding the existing views on the interpretation of 慈父見背. They are either only based on meanings or lack persuasive grammatical analysis. This paper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 by re-examining the functions and the meanings of 見 and 背, respectively. The idea that 背 is a verb meaning 'to pass away' is strengthened via phonological and semantic evidence. 廣韻 listed two readings of 背. When used as a noun meaning 'back,' 背 is pronounced as a voiceless initial *p-. When used as a verb 'to die,' it is pronounced as a voiced initial *b-. 背 as a verb initially meant 'to turn one's back on.' Later, it developed [-concrete] meanings, such as 'to betray,' 'to transgress', 'to abandon', and even 'to pass away,' via metaphorical extension. It is argued that 見 can best be analyzed as an honorific adverb. This function of 見 derived from its use as a causative verb meaning 'to show,' which had a voiced initial. [見 + Vtr] in the [Agent + 見 + Vtr] construction was originally a [verb+object] structure, where Vtr was used as the object of 見 via zero-nominalization. Later, [見 + Vtr] was reanalyzed as [adverb+verb] as 見 developed its function as an honorific adverb. 見 delivers the sense of honorification by saying that the subject, a man of high rank, "shows" a particular action or behavior rather than directly addressing he/she did so. Finally, it is pointed out that 躬親撫養 corresponds to 躬見撫養 in some other versions. This paper argues that 躬見撫養 is the original form by Li Mi, while 躬親撫養 is a later corruption. 見 in 躬見撫養 is an honorific expression, just like 見 in 慈父見背. It was a relatively rare usage of 見 from later people's viewpoint. As a result, 見 was replaced by 親 'in person' with an overt meaning.

      • KCI등재

        판매 성공 상황에서 판매원의 판매 참여 행위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재희,신건철 한국생산성학회 2023 生産性論集 Vol.37 No.6

        본 연구는 판매사원을 대상으로 판매성공의 원인을 능력 또는 노력에 귀인하느냐에 따라 각각 진정자부심과 오만자부심,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가 고객지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이 판매참여, 귀인, 자부심, 감정노동,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의 조절적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근 1주일 이내에 판매를 성공적으로 한 경험이 있는 판매사원 48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판매참여는 능력귀인과 노력귀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귀인은 오만자부심을 통해 표면행위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고객지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노력귀인은 진정자부심, 내면행위을 매개하여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판매참여가 능력귀인에 미치는 영향, 판매참여가 노력귀인에미치는 영향, 능력귀인이 오만자부심에 미치는 영향, 노력귀인이 진정자부심에 미치는 영향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판매사원이 판매성공 상황에서 결과에 대한 원인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판매사원의 고객지향적 행동을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킬 수 있는 요인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uine pride and arrogance pride, superficial behavior and inner behavior, respectively, depending on whether the cause of sales success was attributed to ability or effort attribution, and examined how their relationship affects customer orientation. Furthermore, the controlling role of early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 participation, attribution, pride, emotional labor, and customer orientation was examine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488 salespeople who have successfully sold within the last week,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sales had a positive (+) effect on ability attribution and effort attribution. It was found that ability attribu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surface behavior through arrogance pride, but did not affect customer orient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effort attribu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by mediating genuine pride and inner behavior. Furthermore,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greater the impact of sales participation on ability attribution, the greater the impact of sales participation on effort attribution, the impact of ability attribution on arrogance pride, and the impact of effort attribution on genuine pride.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structurally examined factors that could strengthen or weaken the customer-oriented behavior of salespeople depending on where they place the cause of the outcome in a successful purchase situation.

      • KCI등재

        온라인 문화예술 관람 경험이 자부심, 행복, 자기표현 구전에 미치는 영향

        김미성 한국문화산업학회 2022 문화산업연구 Vol.22 No.3

        최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문화예술이 활성화되고 있는데, 예술의 의미를 지키면서 접근성이 좋아 쉽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관람객의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슈에 부합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을 통한 문화예술 관람 경험이 자부심과 행복, 자기표현 구전으로 이어지는 긍정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문화예술 관람 경험은 감정적, 인지적 경험으로 유형화한다. 둘째, 온라인 문화예술 관람 경험이 자부심,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련성을 밝힌다. 셋째, 온라인 문화예술 관람에 대한 자부심과 행복은 자기표현 구전을 향상시키는 선행요인임을 검증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공연예술을 관람한 경험이 있고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6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이 요약된다. 첫째, 관람객의 인지적 경험은 자부심과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부심과 행복은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부심과 행복은 자기표현 구전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문화예술 분야에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 나갈 때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활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 문화예술 관람객의 관람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콘텐츠를 설계할 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스타트업 팀의 조직 자부심 선행요인

        박준기(Jun-Gi Park),이세윤(Se-Yoon Lee)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7 경영경제연구 Vol.39 No.2

        스타트업 팀은 인지도와 보상 수준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그 구성원들은 높은 조직 자부심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경제적 보상과 같은 외적 동기만이 아니라 내적 동기나 환경적 영향까지 결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타트업 팀의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 자부심의 형성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스타트업 팀에서의 조직 관리와 인적자원 관리에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조직 자부심에 대한 종합적인 구조 모형 및 가설을 제시하고, 창업기간이 5년 이내인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팀 단위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PLS를 활용한 구조 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직 자부심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한 변수들이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의 효율성과 일과 삶의 균형, 사회적 자본이 조직 자부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하위 변수들의 관계들 또한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 자부심에 대한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선행요인들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여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Start-up teams often have high organizational pride, even though they have low reputation and rewards. This does not only include external motivation such as monetary rewards, but also internal motivation or environmenta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pride that start-up members perceive, and to provid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this end, comprehensive structural models and hypotheses about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pride we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dditionally, team-based surveys were conducted for start-up teams. Structural model analysis using PLS was Employe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all the factors considered as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pride were significant. The team effectiveness, team context, and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ride,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factors were also confirmed empir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