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돈의 지제이상 판별을 위한 초음파 신호특성 분석

        오종우 ( Jong-woo Oh ),이정규 ( Jungkyu Lee ),조진호 ( Jinho Cho ),이동훈 ( Donghoo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모돈의 건강 상태를 정량 지수화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 모돈의 지제이상을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돼지의 지제 이상을 적외선 거리센서를 이용해 정확하게 계측하고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모돈의 자세 변화에 따른 지제 이상 유무를 판별하고, 관리 편리성과 효율성 향상 나아가 경제적인 이익 증대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가축의 전반적인 상태변화를 계측하는 기초적인 IoT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실험은 충북대학교 내 실험용 돈사에서 진행하였다. 정상 돼지와 뒷다리에 마비증상을 일으키는 주사를 투여한 지제이상 돼지를 두 개의 케이지 실험군 내에서 비교하였다. 적외선 거리센서(GP2Y0A02, Sharp, Hongkong)를 마이크로컨트롤러(Raspberry pie 3 model B, Raspberry pie, UK)에 연결하였다. 소형LCD (4inch HDMI LCD, WaveShare, USA)에 연결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밀폐형 돈사의 환경을 고려하여 방밀형 구조로 마감하였다. 계측 시스템은 현장에서 돼지의 크기에 맞춰 위치를 수정하도록 포토레일 방식을 응용하여 설계하였다. 데이터는 2018년 5월 16일부터 6월 12일까지 총 28일간 수집하였다. 적외선 거리 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는 C언어를 이용하여 필터링 후 매트랩 공간통계 인터폴레이션을 활용하여 처리하였다. 지제이상 유무는 그래프 처리된 센서 값에서 인식 빈도를 통해 분류할 수 있었다. 정상돼지의 경우 지제이상 돼지에 비해 상당부에 위치한 센서 인식 빈도가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취득 데이터를 토대로 정상과 지제이상 돼지를 대조하며 분석하였다. 1시간 동안의 계측신호 그래프를 보면 정상지제의 경우 비정상 지제의 경우보다 상단부에 위치한 센서값이 비교적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지제 이상이 있는 돼지일 경우 제대로 된 기립이 어려워 상부 인식 횟수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정상 지저의 경우 값의 편차가 거의 없는데 반해 정상 지제의 경우 큰 편차를 확인할 수 있다. 비정상 지제의 경우 움직임이 느려 센서 인식이 한부분에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정상 지제의 경우에는 모든 센서에 값이 고르게 인식되기 때문에 편차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고려전기 묘지명 연구 -지제고(知制誥) 찬 묘지명을 중심으로-

        김보경 ( Bo Kyeong Kim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본고는 高麗前期 知制誥 찬 묘지명을 대상으로 찬자별로 서술방식과 특성을 분석하고 그 시대적 추이를 살핌으로써 고려전기 지제고 찬 묘지명의 문학사적 의의를 구명 하였다. 고려전기 묘지명은 무신집권기나 고려후기처럼 소수 인물이 찬술을 분점하는 양상은 보이지 않는다. 대신 특징적인 것은 지제고 찬 묘지명이 40% 가까이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王命으로 佛家의 碑銘을 지었던 전통과 관련이 있으며, 한편으로는 분화된 전문작가가 아직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고려전기 문단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제고 찬 묘지명을 통해 찬자별 특성과 함께 시대적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예종대 韓沖은 崔思諏·崔繼芳이라는 당대 최대 문벌가문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격례를 잘 갖춘, 그러면서도 대상에 알맞춘 구성법을 활용하고 작자 의식을 투입함으로써 문벌사회에 대응하는 글쓰기 방식을 보여 주었다. 인종대에는 金精이 福寧宮主를 유교의 모범적 여성상으로 닦아 세우고, 또 許載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스토리를 만들어 이미지를 덧댐으로써 강직하고 품위 있는 관료상을 구성하였다. 의종대 초반 金子儀는 權適·尹彦이를 위한 묘지명에서 경전 등 典故를 활용하거나 비유교적 행적을 의도적으로 배제하면서 전략적으로 유교적 군자의 전형을 수립하였다. 의종대 중·후반에 金于蕃은 閔瑛과 같은 이채로운 인물형을 받아들이고 崔允儀를 社稷의 元臣으로 특성화함으로써 묘지명의 대상 확장 및 개성화 양상을 확인케 해 준다. 한편, 문체의 방면에서는 간결하고 조리 있고 세련된 古文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데는 예·인종~의종대까지 이어지는 유교 정치이념, 고문에 대한 인식, 蘇軾 묘지명의 학습, 그리고 찬자들의 강한 유학적 성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묘지명에는, 시기별 차이는 있으나, 국가적 정책 방향, 유교이념, 공공윤리 등이 여느 묘지명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묘주들의 공공지수가 대체로 높고 찬자들이 지제고라는 사실과 관련될 것이다. 그로 인해 묘지명에 그려진 인물의 생동감이 다소간 결여되고 이상화된 방향으로 기울어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한계이다. 그러나 비지류 전통에서 묘지명이 양식적으로 안정되고 유가의 문학으로 자리잡는 데는 이들의 기여가 적지 않았다. 한편, 찬자들은 묘지명이라는 양식적 제약과 지제고라는 위치가 의식되는 상황에서도 자신의 문학적 역량을 발휘하면서 자신(또는 찬자가 속한 집단)의 상황인식, 주제의식, 희망, 의지, 지향 따위를 투사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작품을 만들어냈다. 고려전기 지제고 찬 묘지명이 문예적인 개인적 산문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고려전기 묘지명의 전개는 비명의 전통에 힘입는 동시에 그것을 밀쳐내면서, 또 외부적 요인을 의식하고 그것을 소화하면서 자기의 양식과 수준을 마련하는 과정이었다. 지제고 찬 묘지명은 그 역할을 선두에서 수행하였다. 고려전기 묘지명은 그 스스로 의미 있는 역사이며, 동시에 후대 묘지명의 前史로서도 의의를 갖는다. 무신집권기와 고려후기의 묘지명은 고려전기의 시도와 성과가 계승 그리고 극복·지양되는 과정이 있고서야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emorial inscription in the first term of Koryo by analyzing descriptive methods, features, and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epitaphs. The memorial inscription in the first term of Koryo does not demonstrate the people themselves, as the next generation of inscription does. Surprisingly enough, Ji-Jae-Go(知制誥)`s epitaphs nearly occupy forty percent of all inscriptions. The truth is that these distinctive circumstanc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inscription on a monument of Buddhist priests. On the other hand, it also seemed that the first term of Koryo was not ready to produce professional letters in literary circles while it reflected the periodical aspects. Ji-Jae-Go`s epitaphs are evenly spread around the period of the first term of Koryo. Through these memorial inscriptions, we can witness the features and the state of society in that time. In the time of Yejong(睿宗), Han Chung(韓沖) demonstrated peculiar writing styles based on those protagonists of renowned lineages such as Choi Sa Choo(崔思諏) and Choi Gye Bang(崔繼芳). He also invigorated writers` consciousness making the most of appropriate syntax, which was equivalent to the well-noted as in upper class which was familiar to the noble, upper class in society. In the time of Injong(仁宗), Kim Jung(金精) exalted the royal mistress, Bok Nyong(福寧), as the shining example of womanhood and showed Heo Jae(許載) as a influential and decent bureaucratic shape. In the early time of Uijong(毅宗), Kim Ja Ui(金子儀) strategically utilized the classical canon on epitaphs for Kwon Jeok(權適) and Yun Eon yi(尹彦이). He also intentionally defended Confucius` achievements and established stereotypical examples of a noble man. In the middle and later years of Uijong(毅宗), Kim Woo Beon(金于蕃) welcomed a distinctive figure like Min Young(閔瑛) and characterized Choi Yun Ui(崔允儀) as a leading statesman and a trustworthy servant, which confirms the extension of epitaphs and his marked individua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writing style, They preferred concise and sophisticated Gomoon(古文). It seems that their Confucian ideology, recognition of Gomoon, learning of So Sik(蘇軾)`s epitaph and trend of Confucianism played remarkable roles in the shape of their personality. On these inscriptions, although there exist periodical differences, national position papers, Confucian ideology, and public morality are distinctively reflected. It can be seen that he was closely involved in political situations at that time.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portrayal of a man of worth on epitaph lacks vitality and figures are also somewhat idealized. It is a deniable limitation for him. Despite that, he contributed to boost Confucian literature and settle it down in a stable manner. Meanwhile, regardless of the restriction and limitation of epitaph locations, they demonstrated their literary achievements and traced situational recognition, subjective consciousness, hope, willingness, and future-oriented inclination. That`s why epitaphs of the first term of Koryo have been recognized as a distinctive style of prose in literature. The development of the epitaph in the first term of Koryo not only intentionally resorts to the power of the traditional inscriptions but simultaneously excludes it, welcoming it as its own and preparing for a different standard. Ji-Jae-Go`s inscription was the forerunner in terms of this. Epitaphs in the first term of Koryo are meaningful history themselves. The period of power in arms and memorial inscriptions of the second term of Koryo could have entered the stage by overcoming its boundary and taking over it.

      • KCI등재

        兪吉濬作「地制議」의 구조와 특징

        김형근(Kim, Hyoung-kun)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3

        This article analyze the Jijaeu, Discourse on Land System, written by Yu Kil-chun in 1891. Generally in Korean historiography, it is thought that the Jijaeu is his land System reform plan or a series of fiscal reform plan for expansion of finance in Joseon-Korean government. There were few studies which was dealt with the Jijaeu. The old research had accepted the typical frame that was designed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In other words, the old research was aimed at contradicting theory of stagnation in Korean history by constructing Indigenous Development in the field of proprietary relations,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management. Professor Kim, Yong-Seop’s works represent the above research trend. This article do not criticize the old trend but suggest another characteristic by re-analyzing the Jijaeu. I attempt to divide the text to three part and present the main theme of every paragraph. Based on my analyzing, it is clear that structure of the Jijaeu is strong and thorough. Also I try to analyze in two point of view: the one is digitize and Propose Totalized Number, the other is revising old system, adapting new system. Though my article propose, I hope that my preliminary attemp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Yu Kil-chun Studies.

      • KCI등재

        장흥 천관사의 가람배치 추정에 관한 연구

        성대철,장진영,신웅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6

        천관사는 통령화상에 의해서 창건된 화엄종 계열의 사찰이며, 천관보살의 상주처로서 건립되었다. 이러한 천 관사는 천관산과 함께 많은 기록이 전하지만, 가람배치나 건축적인 부분의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천관사의 과거 가람배치와 건축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 연구로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 다. 첫째, 발굴 유구상으로 확인된 건물지는 극락전, 적광전을 비롯한 10동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구는 지제 지(支提誌)의 기록과 대부분 일치하며, 지제지가 작성된 조선 후기까지 이러한 전각들이 실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극락전과 적광전은 각각 주변전각들과 함께 영역을 이루며 축선을 달리하는 것으로 보아 지제지의 기록 중 사찰의 변화과정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사찰 전체의 영역은 불단, 보살단, 승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예불공간과 생활공간으로 분류된다. 각 영역들은 지반의 높이 차이에 의해서 구분되며, 이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부석사를 비롯하여 불국사, 해인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공통된 특징이다. Cheongwansa(天冠寺) was built by Tongryeong(or order of the top leader of the Buddhist Hwaeom Order) as a Buddhist Hwaeom Order and the place where Cheongwanbosal(天冠菩薩) stays. Though there are many records on Cheongwansa and Cheongeansan,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researches on its architectural aspects including its building arrangemen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its architectural aspects including arrangement of its building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maining structures discovered by excavation identified sites of 10 building including Geungrakjeon(極樂殿) and Jeokgwangjeon(寂光殿). Such remaining structures match records in the Jijaeji( 支提誌). We can identify that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the Jijaeji was written, such buildings had existed. Second, Geungrakjeon and Jeokgwangjeon form separate areas with surrounding buildings, and have different axises, which seems to be related with changing process of the temple recorded in the Jijaeji. Third, the whole area of the temple can be divided into the Buldan(佛壇), the Bosaldan(菩薩壇), and the Seungdan(僧壇), and it can also be classified into two areas: the prayer space and the living space. Each area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land height, a common aspect found in Korean Buddhist temples including Buseoksa found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Bulguksa, and Haeinsa.

      • KCI등재
      • 초음파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모돈 지제이상 정량분석 방법 연구

        조진호 ( Jinho Cho ),오종우 ( Jong-woo Oh ),이동훈 ( Donghoo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모돈은 교배, 임신, 분만, 포유, 이유를 순환적 반복을 요구하는 개체로서 스마트 농장 시스템의 생산성향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돈 능력의 극대화 및 최적의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모돈의 지제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높이에 따라 상-중-하(30 cm 간격), 위치에 따라 전면부-후면부에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하여 모돈의 지제 이상 유무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돈의 체형과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된 초음파 센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소형 LCD 모듈을 내장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는 저장장치인 microSD 카드에 저장되도록 하였다. 모돈사의 환경을 고려하여 방밀형 구조로 하우징 마감하였다. 이 모돈 지체 이상 분석 시스템에 사용된 툴은 C언어를 이용하였다. 건강한 모돈을 대상으로 모돈의 지제의 관찰을 위하여 총 12회의 현장 실증실험이 수행되었으며, 현장 실증 시험 중 소요된 시간은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소 상이하였다 (8시간-28일). 높이 상에 위치한 전면부 및 후면부 초음파 센서 모두에서 모돈이 검출이 된 경우 정상 기립으로 간주하였고, 높이 상에 위치한 전면-후면부 초음파 센서 모두에서 모돈이 검출이 되지 않은 경우 정상적으로 누워 있는 걸로 간주하였다. 높이 하에 위치한 전면부 혹은 후면부 초음파 센서 한곳만 모돈이 검출된 경우 비정상적인 기립으로 간주하였다.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모돈의 정상적 상태 (기립상태, 누운 상태, 앉은 상태)와 그 외의 비정상적 상태로 분류가 가능하다. 또한 측정된 초음파 센서의 진동의 유무 및 파동형태에 따라서 모돈의 상태 예측이 가능하다. 초음파 센서의 진동 파동이 크고 안정된 상태인 경우 정상적인 활동 상태로 판단하였으며, 진동 파동이 작고 안정적인 경우는 수면 상태로 분류하였다.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데이터 획득을 위하여 차후 초음파 센서 및 시스템의 보완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모돈의 행동 패턴에 따른 취득된 데이터를 분류하여 모돈의 발정에 의한 행동 특성(기립시간) 분석에 따른 발정 적기 발견 및 정량화 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納塔經典의 시대적 變遷考

        문상련(Sang Leun M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2

        필자는 納塔經典의 시대적 變遷考란 제목하에 삼국기로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탑에 경전을 納入한 枝提건립 양상과, 시대에 따라 納塔經典이 어떻게 변이되었는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다음 내용을 밝혀 보았다. 불교 公傳이전인 4세기 초에 이미 造塔사례가 보이는 바, 佛舍利의 한정으로 인해 불교 초전기로부터 한국에서는 주로 法舍利를 납입한 枝提가 건립되는 양상을 보인다. 여기서 法舍利란 경전을 말하는 것으로, 탑에 경전이 납입된 경우 造塔규범을 전하는 경전 여하에 따라 納塔經典에 변이가 생겨남을 볼 수 있다. 또한 納塔經典의 경우 시대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짐을 발견할 수 있어 백제의 경우 『금강반야경』이,통일신라 초에는 佛法身偈가, 통일신라 중후반에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및 『불정존승다라니경』 등이 납탑됨을 볼 수 있다. 또한 고려조의 경우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및 『불정존승다라니경』 규범에 따른납탑 흔적을 발견할 수 있으나, 주로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경』이 納塔되었음을 보게 된다. 이러한 예는 納塔經典에 따른 造塔의 시대적 선후를 가늠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또한 연대 미상 탑들의 조탑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규준이 되기도 할 것이다. Under the title of A Study on the Changes of Sutras Enshrined in Stupa according to Periods, the investigator investigated the establishment patterns of caityas that enshrined sutras in stupa from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o Choson dynasty and the changes of sutras enshrined inside stupas according to period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re were cases of building a stupa as early as in the early 4th century before Buddhism was formally transmitted to Korea.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arira, however, they usually built Caitya that enshrined Dharma-Sarira in Korea from the early days of Buddhism in the nation. Here, Dharma-Sarira refers to sutra. When sutras were enshrined in stupa, there were changes to the sutra enshrined in Stupa according to the sutras covering the stupa establishment norms. Sutras enshrined in stupas varied in content according to periods. The examples of stup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Muwang(600∼641) of Baekje Kingdom show that they built Caityas that enshrined Vajracchedikaprajnapara mita Sutra as Dharma-sarira in stupas in the early 7th century. Ancient Shilla Kingdom started to build Stupas without sutras but only sariras enshrined in them in 634. After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however, Shilla enshrined sutras in stupas according to the sutras norms that were the grounds for building a stupa. They enshrined Buddha-Dharmasarira-Gatain early Unified Shilla and Rasmivimalavisuddhaprabhadharani Sutra and Sarvadurgatiparisodha nosoisavijayadharani Sutra in middle and late Unified Shilla. In Goryeo dynasty, they usually enshrined Sarvatathagatadhisthanahrdayaguhya dhatukarandamudradharani Sutra in stupas with some cases in which Rasmivimalavisuddhaprabhadharani Sutraand Sarvadurgatiparisodhanosniiavijaya dharani Sutrawere enshrined in stupas. They also started to carve the content of Sarvadurgatiparisodhanosnisavijayadharani Sutra outside in the form of laksata called dharani laksata. In Joseon dynasty, they recorded the cases of building stupas and enshrining sutras in Taejoshilok. One record says that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was enshrined in the five-story pagoda of Yeonbok Buddhist Temple in 1393. Those cases clearly show the changing patterns of sutras enshrined in stupas from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to Buddha-Dharmasarira-Gata, Rasmi vimalavisuddhaprabhadharani Sutra, Sarvadurgatiparisodhanosnisavijayadharani Sutra, and Sarvatathagatadhisthanarrdayaguhyadhatukarandamudradharani Sutra. The diversity of sutras enshrined in stupas will offer grounds to make a chronological judgment of stupas and criteria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time of stupas whose establishment years are unknown.

      • 특집논문 : 이인로(李仁老)의 사례로 본 고려전기 직한림원(直翰林院)의 운영과 역할

        김보광 ( Bo Kwang Kim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3 No.-

        이 글은 直翰林院이라는 관직의 운영 양상을 李仁老란 인물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서 王言의 작성 과정, 직한림원의 운영 과정 등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152년에 태어난 이인로는 1180년에 과거에 급제한 후 1183년에 直史館을 거쳐 1185~1197년에 걸쳐 직한림원을 지냈다. 1213년 이후에 知制誥에 임명되고 1220년에 69세로 세상을 떠났다. 翰林院은 元鳳省에서 유래한 것으로, 광종과 성종대의 정비를 거쳐 현종대에 한림원으로 개편되었다. 한림원의 관직은 관례적으로 겸직으로 운영되다가 예종대에 한림원의 거의 모든 관직들이 本品行頭로 지정되면서 겸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직한림원만은 전임직과 겸직 모두 운영되었다. 직한림원은 기본적으로 결원이 발생하였을 때 후임을 선발하였다. 이때 과거급제자 중 성품이나 행동거지가 방정한 이들이 후보가 되었다. 또 가계나 신분상으로도 하자가 있으면 임명될 수 없었다. 게다가 평소의 성격이나 행동거지도 살펴서 결격 사유가 없어야 했다. 직한림원의 후보자를 아무나 추천할 수 있던 것도 아니어서, ‘儒官宰相’ 등으로 표현되는 과거에 합격한 경력이 있는 재상들이 추천권을 행사하였다. 이인로의 경우, 당시 수상이던 문극겸이 추천하였다. 그리고 직한림원은 결원이 발생하면 후임을 뽑는 방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선발된 이들은 자신들이 누구의 후임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직한림원의 역할을 추적하여 밝혔다. 직한림원은 국가나 왕실 차원의 불교나 도교 행사를 위한 기도문인 疏, 靑詞 등을 작성하거나 국왕의 장례식을 위한 挽詞를 짓는 등 예식문의 작성이 기본 역할이었다. 또 왕명의 작성 주체인 지제고들이 제 때 작성하도록 일정을 챙기는 등의 ‘관리’를 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그리고 지제고가 작성한 내용을 형식에 맞게 베껴 정식 문서로 만드는 역할도 하였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직한림원이 국왕의 문서를 짓는다고 하는 수사적 표현이 나타나기도 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operation aspect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直翰林院; kor. jikhanrimwon), a civil post at Hanlin Academy, centered on a case of Yi Il-Lo(李仁老), thereby intending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of the king’s orders and operation proces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The main content is summarized as follows. Yi Il-Lo, who was born in 1152, passed a state examination in 1180 and worked as auxiliary of Hanlin Academy from 1185 to 1197 via auxiliary of Historiography Institute(直史官; kor. jiksakwan) in 1183. He was appointed to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知制誥; kor. jijego) in 1213 and died at an age of 69 in 1220. Hanlin Academy originated from Department of Royal Pronouncement(元鳳省; kor. Wonbongseong) and was organized into Hanlin Academy under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rough modification by King Gwangjong and King Seongjong. All posts in Hanlin Academy were concurrent posts. Under the reign of King Yejong, all posts exclud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ere made into concurrent posts under the law. Howeve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operated as both a concurrent post and a full time job. Basically,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selected when there was a vacancy. The candidates were those who had good character and behaviors among successful examinees. If one had some defect in one’s family or status, one was not appointed. In addition, one’s character and behaviors should have no grounds for disqualifications. Not anybody was able to recommend a candidate fo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Grand Councilors who had passed a state examination, expressed as confucian scholars, exerted their right of recommendation. Yi Il-Lo was recommended by Mun, Geuk-gyeom, a prime-minister at the time. Because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chosen when there was a vacancy, those who were selected thought that they were somebody’s successor. Lastly, I``ve also assumed the role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t the end of this article. The basic role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to write a ceremony writing, for example, writing a prayer for Buddhist or Taoist ceremony or a composition for the funeral of the k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also in charge of “management”, for instance, managing a schedule for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who prepared the king’s orders, so that they were able to write them at a proper tim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lso played the role of copying what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had written in an appropriate form into a formal document. For such reasons, a rhetorical expression that auxiliary of Hanlin Academy drafts king’s pronouncements.

      • KCI등재

        李仁老의 사례로 본 고려전기 直翰林院의 운영과 역할

        김보광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3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operation aspect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直翰林院; kor. jikhanrimwon), a civil post at Hanlin Academy, centered on a case of Yi Il-Lo(李仁老), thereby intending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of the king’s orders and operation proces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The main content is summarized as follows. Yi Il-Lo, who was born in 1152, passed a state examination in 1180 and worked as auxiliary of Hanlin Academy from 1185 to 1197 via auxiliary of Historiography Institute(直史官; kor. jiksakwan) in 1183. He was appointed to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知制誥; kor. jijego) in 1213 and died at an age of 69 in 1220. Hanlin Academy originated from Department of Royal Pronouncement(元鳳省; kor. Wonbongseong) and was organized into Hanlin Academy under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rough modification by King Gwangjong and King Seongjong. All posts in Hanlin Academy were concurrent posts. Under the reign of King Yejong, all posts exclud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ere made into concurrent posts under the law. Howeve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operated as both a concurrent post and a full time job. Basically,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selected when there was a vacancy. The candidates were those who had good character and behaviors among successful examinees. If one had some defect in one’s family or status, one was not appointed. In addition, one’s character and behaviors should have no grounds for disqualifications. Not anybody was able to recommend a candidate fo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Grand Councilors who had passed a state examination, expressed as confucian scholars, exerted their right of recommendation. Yi Il-Lo was recommended by Mun, Geuk-gyeom, a prime-minister at the time. Because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chosen when there was a vacancy, those who were selected thought that they were somebody’s successor. Lastly, I've also assumed the role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t the end of this article. The basic role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to write a ceremony writing, for example, writing a prayer for Buddhist or Taoist ceremony or a composition for the funeral of the k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also in charge of “management”, for instance, managing a schedule for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who prepared the king’s orders, so that they were able to write them at a proper tim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lso played the role of copying what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had written in an appropriate form into a formal document. For such reasons, a rhetorical expression that auxiliary of Hanlin Academy drafts king’s pronouncements 이 글은 直翰林院이라는 관직의 운영 양상을 李仁老란 인물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서 王言의 작성 과정, 직한림원의 운영 과정 등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152년에 태어난 이인로는 1180년에 과거에 급제한 후 1183년에 直史館을 거쳐 1185~1197년에 걸쳐 직한림원을 지냈다. 1213년 이후에 知制誥에 임명되고 1220년에 69세로 세상을 떠났다. 翰林院은 元鳳省에서 유래한 것으로, 광종과 성종대의 정비를 거쳐 현종대에 한림원으로 개편되었다. 한림원의 관직은 관례적으로 겸직으로 운영되다가 예종대에 한림원의 거의 모든 관직들이 本品行頭로 지정되면서 겸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직한림원만은 전임직과 겸직 모두 운영되었다. 직한림원은 기본적으로 결원이 발생하였을 때 후임을 선발하였다. 이때 과거급제자 중 성품이나 행동거지가 방정한 이들이 후보가 되었다. 또 가계나 신분상으로도 하자가 있으면 임명될 수 없었다. 게다가 평소의 성격이나 행동거지도 살펴서 결격 사유가 없어야 했다. 직한림원의 후보자를 아무나 추천할 수 있던 것도 아니어서, ‘儒官宰相’ 등으로 표현되는 과거에 합격한 경력이 있는 재상들이 추천권을 행사하였다. 이인로의 경우, 당시 수상이던 문극겸이 추천하였다. 그리고 직한림원은 결원이 발생하면 후임을 뽑는 방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선발된 이들은 자신들이 누구의 후임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직한림원의 역할을 추적하여 밝혔다. 직한림원은 국가나 왕실 차원의 불교나 도교 행사를 위한 기도문인 疏, 靑詞 등을 작성하거나 국왕의 장례식을 위한 挽詞를 짓는 등 예식문의 작성이 기본 역할이었다. 또 왕명의 작성 주체인 지제고들이 제 때 작성하도록 일정을 챙기는 등의 ‘관리’를 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그리고 지제고가 작성한 내용을 형식에 맞게 베껴 정식 문서로 만드는 역할도 하였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직한림원이 국왕의 문서를 짓는다고 하는 수사적 표현이 나타나기도 했다.

      • KCI등재

        1900년 義和團 사건과 東南濟急善會의 戰爭難民 구조활동

        김두현 한국중국학회 2020 중국학보 Vol.91 No.-

        본고는 1900년 의화단 사건 당시 의화단의 주요 공격 대상이었던 '남인', 구체적으로는 남인 출신 경관에 대한 상해 신상의 구조활동을 분석했다. 동남제급선회의 난민 구조활동은 광서26년 8월(1900년 9월) 중순에 시작하여 광서27년 2월(1901년 3월)말에 종결되었다. 이는 시칙경 등이 중앙정부의 요구로‘籌辦陝西義賑駐滬總局’을 개설하여, 1900년 섬서성 大旱災 구제를 위한 의진활동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1901년 4월 무렵까지 구조활동은 지속되었는데, 다만 그 내용이 전쟁난민에 대한 구조에서 북경 내 일반민(貧民)에 대한 구제[春賑]로 변화했다. 『申報』1901.2.27., 「東南濟急會接辦京畿春賑公啓」. 제급선회의 설립 계기는 상해 신상들이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동향들의 요구뿐만 아니라, 이홍장의 직접적인 지시(面諭)가 결정적이었다. 최초 상해지역 紳商의 주도로 시작된 난민 구조활동은 성선회 등의 참여로 동남제급선회로 확대 개편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구조대상도 ‘강절’지역 인사에서 ‘東南’ 각성으로 확대되었으며, 구조대상도 官․紳에서 商․民까지 모두 포괄하는 조직으로 변모했다. 이들의 구조활동의 배경에는 ‘정무기황’ 이래 출현한 상해지역 義賑전통이 중요한 배경이 되었으며, 특히 동남제급회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천명한 서양의 紅十字會를 모델로서 차용함으로써, 열강과의 원할한 관계를 형성하여 난민 구조에 상당한 협조를 얻어내기도 했다. 제급선국이 동남제급선회로 확대되면서, 활동무대도 청강~덕주에서 북경까지 포괄하게 되었다. 동남제급선회의 참여자의 면면을 보면, 대부분 ‘정무기황’(1877~78년)이래 義賑활동을 주도해온 상해 義紳들이었다. 이들은 정무기황을 계기로 이홍장과의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이홍장이 주도한 양무기업에 종사하기도 했다. 특히 상해 의진활동은 明淸이래 선회․선당이라는 자선 전통의 흐름속에서 탄생한 것이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경자년 난민 구조활동을 보면, 전통적 자선 전통→義賑→전쟁난민 구조활동→紅十字會라는 흐름속에서 탄생한 것이었다. 그런데 난민구조는 일상적인 재해구제와는 다른 것이었다. 의진은 ‘不分畛域’을 중시한 반면, 제급선국은 설립 초기에는 ‘畛域’을 구분하는 다분히 鄕誼的 논리에 충실한 모습을 보였다. 그 원인은 이미 살펴보았듯이 경자사변 당시 의화단의 주요 공격대상이 ‘南人’이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 같다. 아울러 이러한 ‘향의적’ 요소가 실제 구조경비 모금 시 상당한 호소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동남제급선회의 구조 방식을 ‘公濟’․‘指濟’․‘專濟’로 구분할 수 있는데, 公濟는 출신 성을 따지지 않는 보편적 구조라고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실제 구조 대상이 북경․천진 지역 일반민까지 포괄하지는 못했다. 즉 ‘남인’에 한해 ‘畛域’을 구분하지 않는 방식이었다. 指濟는 구체적인 지역(畛域)을 지정하고 있고, 專濟는 특정한 개인을 지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公濟 보다는 더욱 지방주의적 색채가 농후한 구조방식이라 할 수 있다. 비록 홍십자회의 기치를 표방하기는 했지만, 실제 운용 과정에서는 오히려 농후한 지방주의적 색채를 띠었다. 이홍장이 동남제급회의 성선회를 통해 경관 구조활동에 관여하기는 했지만, 자신의 동향인 안휘성 경관에 대한 구조를 특별히 고려한 점도 향의적 성격이라 ... Refugee rescue activities at Southeast China's Urgency Relief Benevolent Society began(東南濟急善會) in mid-September 1900 and ended in late March 1901. This was because Shi zejing(施則敬) and others opened the 'Chouban Shaanxi Yizhen zhuhu zongju(籌辦陝西義賑駐滬總局)' at the reques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 1900 began the voluntary efforts to rescue the Great droght in Shaanxi Province. In practice, however, rescue activities continued until April 1901, but the contents were changed from rescue war refugees to relief ordinary people in Beijing. The inauguration of the Urgency Relief Benevolent Society was not only the demands of native place, but also the direct direction of Li hongzhang, as the Shanghai Gentry-merchants themselves. The refugee rescue activities, first initiated by the Gentry-merchant in Shanghai, have been expanded and reorganized into Southeast China's Urgency Relief Benevolent Society with the participation of Sheng xuanhuai(盛宣懷). The rescue was extended from Personages of 'Jiangsu and Zhejiang' to 'the southeast regions'. Rescue has also been extended from ‘officer and Gentry’to ‘merchant and ordinary people’. The background of their rescue activities was the Charitable Relief tradition, which emerged since‘the incredible famine between 1876 and 1879(丁戊奇荒)’.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into Southeast China's Urgency Relief Benevolent Society, by adopting the Western Red Cross Society as a model, it formed a smooth relationship with the Great Powers and gained considerable cooperation in refugee structure. As the Urgency Relief Benevolent Society(濟急善會) expanded to Southeast China's Urgency Relief Benevolent Society, the stage of activities also covered Qingjiang(淸江)-Dezhou(德州) to Beijing. Participants of the Southeast China's Urgency Relief Benevolent Society were mostly Shanghai Charitable Genrties who have been leading Charitable Relief activities since ‘the incredible famine between 1876 and 1879 (丁 戊 奇 荒)’. The incredible famine helped them to form a human network with Li hongzhang, and based on this, they also worked in Westernization Enterprises. In particular, shanghai Charitable relief activities were born in the flow of charitable traditions such as Charitable society(善會) and Charistable institution(善堂) since Ming-Qing periods. In this respect, the rescue activities were born in the flow of traditional charitable tradition → Creetable Releif → war refugee rescue activities → Red Cross Society. Refugee rescue, however, was different from ordinary disaster relief. Charitable Relief emphasized “bufenzhenyu(不分畛域; Does not distinguish regional boundaries),” while the Urgency Relief Benevolent Society was initially faithful to Consciousness of the same native place(鄕誼). As we have already seen, the fact that the main target of boxers during the The Boxer Movement was 'Southern People(南人)' seems to have played a big role. In addition, these ‘Consciousness of the same native place’factors have been very appealing when raising relief fundings . The structure of Southeast China's Urgency Relief Benevolent Society can be divided into 'common relief(公濟)', 'designated relief(指濟)' and 'special relief(專濟)'. The common relief is a universal relief that does not refer to the provinces of origin, but nevertheless, the actual relief did not cover the general population of Beijing and Tianjin. In other words, it did not distinguish between 'regional boundaries' by limiting the rescued objects to' Southern People. 'Designated relief' designates specific areas, and 'special relief' designates specific individuals. In this sense, localist colors are more dense. Although the banner of the red cross society was proclaimed, it had a rich localist color in the actual operation process. Although Li hongzhang was involved in Jingguan(京官; officials in the capital) 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