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불교의 영향을 받은 근대불교의 다면성

        김광식(金光植)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3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9

        고찰은 한국 근대불교를 연구함에 있어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대상주제인 일본불교에 대한 시각을 재인식하려는 글이다. 근대불교에 영향을 준 일본불교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미약하였다. 이는 근현대 불교 연구의 부진, 정치적인 영향, 근대불교에 대한 성찰의식의 나약, 기존의 편협한 사관 등이 중첩된 결과이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일본불교가 끼친 영향, 일본불교가 한국에 건너와서 행하였던 실상과 본질 일본불교에 대한 인식 등을 다면적 관점에서 살펴야 한다고 본디. 필자는 실사구시적인 입장에서 일본불교의 모든 것을 바라보자고 제언한다. 그리하여 기존 연구 시각이었던 단면성, 일방성, 일국성, 주관성에서 벗어나 이제는 다면성, 보편성, 객관성으로 나가자는 것이다. 이런 전제하에서 본고에서는 필자가 일본불교를 재인식할 수 있는 주제를 선별하여 그에 담긴 개요 성격 등을 요약하고자 한다. 필자가 선택한 그 주제는 첫째 불교 근대화, 둘째 근대적인 관리조직인 법, 셋째 재일 불교유학생과 근대불교학, 넷째 한국불교 전통의 이완, 세속화의 가속 등이다. 필자의 이 글이 일본불교 연구의 재인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는 없겠지만 이 분야 연구의 지평을 심화시키는데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부연할 것은 일본불교와 연관된 자료의 발굴, 자료집 발간에도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기초적인 작업, 토양하에서 연구가 촉발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에서의 근대불교 연구 동향의 파악, 관련 저술 및 논문의 입수, 근대불교를 주제로 하는 한일 양국의 학문적ㆍ문화적 교류 등도 유의해야 한다, 本考察は、韓国近代仏教を研究するに当たって決して見過ごすことのできないテーマで、ある日本仏教に対する視角を再認識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近代仏教に影響を与えた日本仏教に対する研究は、その重要性にも関わらずいまだ微弱であるといえる。これは、近現代仏教研究の不進、政治的な影響、近代仏教に対する省察意識の懦弱、既存の偏狭な史観などが重疊された結果である。 しかし、これからは日本仏教が及ぽした影響、日本仏教が韓国に渡ってきてしていたことの実像と本質、日本仏教に対する認識などを多面的な観点から研究すべきであると思う。筆者は質事求是的な立場で、日本仏教のすべてをみていこうと提言する。そして、既存の研究視角であった断面性、一方性、一国性、主観性から脱皮し、これからは多而性、普遍性、客観性に向かうへきであろう。 こうした前提のもとで、本稿で筆者は日本仏教を再認識できるテーマを選別し、それに含まれた概要、性格などを要約してみたいと思う。筆者が選んだテーマは、第一に仏教近代化、第二に近代的管理組織である法、第三に在日仏教留学生と近代仏教学、第四に韓国仏教伝統の弛緩、世俗化の加速などである。筆者のこの考察で日本仏教研究の再認識を基本的に変えることはできないかも知れないが、この分野研究の地平を深化するところに役に立つことを期待する。 敷衍すべきことは、日本仏教と関連する資料の発掘、資料集発刊などもにてを急ぐべきであるということである。このような基礎的な作業、土壌のもとで研究が觸發するはずである。また、日本で、の近代仏教研究の動向の把握、関連著作や論文の入手、近代仏教を主題をする韓日両国の学問的ㆍ文化的な交流なども深めて行かなければならない。

      • KCI등재

        일본의 근대 고등교육 제도와 여자미술교육 -죠시미술전문학교를 통해 본 일본 근대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

        엄광현(Um, Kwang Hyun) 동서미술문화학회 2021 미술문화연구 Vol.20 No.20

        이 글의 목적은 일본의 근대적 고등교육체계의 한 축을 이루는 전문학교와 사립학교라는 교육제도를 통해 구축된 일본 근대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죠시미술전문학교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죠시미술전문학교는 시리츠죠시미술학교에 기원을 두고 있었다. 소수의 남자 학생들을 받아들여 미술전문학교가 운영되던 메이지 시대 말기에 여자들에게도 남자들과 동등한 미술 전문교육의 기회와 장을 여자들에게도 제공하고자 출현한 학교이자 일본에서 최초로 근대적 여자미술전문교육기관으로 문을 연 학교가 시리츠죠시미술학교이다. 시리츠죠시미술학교는 후에, 죠시미술전문학교로 승격되어 일본의 고등교육체계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전문학교로 승격되기 전부터 죠시미술전문학교에서는 일본의 근대 고등교육체계에서 요구하는 전문학교의 자격요건과 사회적 기능을 충족하고자 하는 노력을 끊임없이 시도하였다. 죠시미술전문학교는 시리츠죠시미술학교 시절, 기예미술교육에 중점을 두고 당시, 더욱 증폭되는 일본의 근대화 프로젝트에 부응하는 미술적 기능을 갖춘 전문 기술가를 배출해가며 전문학교로의 승격을 도모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자전문학교로 승격한 이후, 죠시미술전문학교는 일본의 근대 고등교육체계가 부여하는 운영상의 특전을 최대로 활용해가며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보다 확장해나간다. 이를 통해 이 학교는 사회가 요구하는 미술교원 양성학교로서의 입지와 위상을 구축해가며 여자들을 위한 미술전문학교로서의 면모를 새롭게 보여주기까지 한다. 그 결과 죠시미술전문학교를 통해 시행된 여자미술교육은 일본을 포함하여 동아시아의 근대적 여자미술교육의 전형을 제시해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일본에서 여자미술교육이 근대 고등교육체계와 전문교육을 통해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제도적으로 구축하고 형성해 가는 과정을 죠시미술전문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당시의 여자미술 담론들과 교원 자격 제도 등을 둘러싼 사회적, 시대적 요인들이 근대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모범을 자극하고 형상화하는 주요한 동력이자 계기로 자리하고 있었음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At the end of the Meiji Era, only a small number of men were admitted to art school in Japan. Meanwhile Women’s Art School in Tokyo opened to provide women with the opportunity and venue for specialized art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in Japan. After that, Women"s Art School was promoted to women"s vocational school and entered the Japanese higher education system. However, even before being promoted to a vocational school, Women"s Art School have constantly tried to satisfy the qualifications and social functions of vocational school required by Japanese modern higher education system. In the early days of the school, Women’s Art School was operated with an emphasis on craft arts, and through this, it schemed the promotion to a vocational school by cultivating professional technicians with artistic skills to respond to the Japanese modernization project that was further amplified at that time. After being promoted to a women"s vocational school, by maximizing the privileges granted by Japanese modern higher education system, and further expanding the social functions of women"s art education, it has established its position and status as an art teacher training school required by society. It even shows a new aspect as the art school for women. As a result, art education for women implemented through Women"s Art School presented a model of modern art education for women in East Asia, including Japan. This paper intends to check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rt education for women as a social system, focusing on Women"s Art School. In addition to discourses on women"s art that was circulating in Japan at the time, various social factors such as the teacher qualification acquisition system were directly or indirectly intervened i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Japanese modern art education for women.

      • 근대 일본불교에 대한 연구 동향과 과제

        원영상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5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2

        본 연구는 근대 일본불교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그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먼저 근대 일본불교의 역사적 지형으로는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폐불훼석에 대한 근대 불교계의 대응양상, 근대문명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 양태, 그리고 일본의 근대역사가 지속적인 대외전쟁과 영토 확장을 향해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불교 또한 이에 적극적으로 동조해갔다는 점이다. 이러한 역사적 관점 위에서 근대기 일본불교계의 학술연구 및 출판 동향을 고찰했다. 특히 관서의 종학과 관동의 관학이 나타난 것과, 서양학문의 영향을 받은 불교학의 방법론의 발달, 문헌학의 성립, 국체론적 불교학의 등장 등을 그 특징으로 보았다. 이를 이어 근대 일본불교에 대한 분야별 연구 동향을 세부적으로 살펴 보았다. 역사적 연구, 문화적 연구, 사상적 연구, 그리고 학제 간 연구 및 자료집성에 대해 근대불교연구의 전체적 동향을 제시했다. 근대 일본불교 의 연구 성과를 총괄하는 것은 물론, 보편적인 연구방법의 범주에 입각한 것이다. 역사적 연구에 있어서는 폐불훼석(廢佛毁釋) 이후 근대 일본불교 계가 새로운 국가체제에 대응해 가는 양상을 필두로 전통불교가 근대사 회를 배경으로 어떻게 변모해 갔는가 하는 불교근대화에 대한 연구가 이 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적 연구에서는 앞의 역사적 연구와 연동하여 개혁과 결사, 해외포교 등에 대한 연구, 식민지와의 관계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상적 연구는 근대불교학의 수립과 전개, 특히 불교철학과 전통불교학과의 관계, 불교사상의 근대적 모색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제 간 연구 및 자료집성에서는 근대사회문제에 직면한 불교계의 대응에 대한 연구, 근대불교계의 동향과 관련된 자료의 집성 등이 이루어지고 있음 을 살펴보았다. 근대 일본불교 연구의 과제로써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대응 연구, 동아시아 불교권과의 관계 연구, 일본불교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제시했다. 앞의 두 과제는 이전의 연구 위에 외연의 확장을 주장한 것이다. 세 번째에서는 불교의 철학화와 논리실증주의적 불교학의 문제, 국가주의 교학의 문제, 폐쇄적인 종학 문제에 대한 연구와 그 해결방안을 찾을 것을 주장한 것이다. 일본 근대불교연구는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불 교연구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 연구 영역임과 동시에 현대의 불교연구 에도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근대기 종 양상과 용문산 상원사 종 비교 고찰

        원보현(Won, Bohy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2 美術史學 Vol.- No.43

        명문(銘文)이 없는 용문산 〈상원사 종〉은 사찰문화재(2002년-2019년) 조사결과 근대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하지만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용문산 〈상원사 종〉은 일제강점기에는 고려 종으로 추정되며 당시 종을 산 대곡파 본원사 경성별원을 홍보하는 신문기사에서도 朝鮮3銘鐘 중 하나로 자랑할 만큼 고대 한국 종 중에서 매우 진귀한 보물로 인식되었다. 일본 학자들이 고려 종으로 추정한 것은 당시 일제가 조사한 한국의 고대 종과 비교했을 때 종신의 문양표현이 통일신라와 조선시대 종과는 달랐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 근대에 제작된 전통형 종은 조선시대 종 양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고, 일본 장인들에 의해 제작된 종은 남양주흥국사 〈개교원명 종(開敎院銘 鐘)〉(1918년)이외에는 한국 종을 모방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에 1939년 보물로 지정할 때에도 큰 이견이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원사 종〉이 1908년 남산 동본원사 경성별원에 도착했을 당시 한국 주종장인들의 활동은 매우 미약하였다. 19세기 한국불교는 이미 사찰에 대한 공납과 과세가 과도하게 요구되는 상황에서 군역과 부역군으로 동원되는 등 과도한 승역은 사찰몰락을 가져오게 되었고 많은 사찰이 폐사되면서 새로운 종을 주조하기보다 사찰 간에 종이 매매되거나 파손된 종을 수리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근대에 조선시대 종을 부분적으로 중수했던 기록이 보이는 것도 1916년부터이다. 1876년 일본과 조선이 맺은 수호조약에 따라 문호를 개방하면서 근대 일본불교는 조선에 진출하였다. 일본불교 종파 중에서도 정토종은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의 위패를 안치하면서 빠른시간 동안 비약적인 포교 활동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불교계가 별원에서 사용할 대형 종을 주조해서 한국으로 가져오기 시작한 시기는 1918년부터이다. 대곡파 본원사 경성별원(大谷派本願寺京城別院)이 문을 연 1906년은 일본불교의 포교 활동이 시작단계였던 것만큼 사찰의 의식 법구들을 모두 일본에서 공수해오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포교를 시작한 지 8년 만에 대한제국 황실을 압박하여 경성별원은 지었지만 1906년은 한국 주종장인들의 활동이 거의 없었던 시기였고, 아직 일본 주종장인들의 공방이 한국에 자리 잡기 전이었기 때문에 당시 일본 현지에서 대량으로 제작한 중소형의 판매용 일본 종만 유입되던 시기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은 〈상원사 종〉이 근대에 제작된 종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이 종은 제작기법과 종신의 형태 등은 일본 종을 기본으로 하며, 종신에 새겨진 상대, 하대, 연곽과 연뢰, 주악비천상은 새롭게 문양을 제작했다기보다 통일신라 후기에 제작된 작품을 모방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종 역사에서 일본 종 양식을 받아들인 시기는 근대기가 유일하다. 현재 〈상원사 종〉에 대한 정확한 기록으로 전해지는 것은 『조선고적도보 7권 - 고려시대 편』(1920년)에 찍힌 사진과 도면뿐이다. 양평에서 경성으로 옮겨진 시기에 대한 기록도 사실을 확인하기에는 부족한 자료들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종이 옮겨졌다는 시기인 1907년을 배제하고, 1920년대 전후의 근대기 종 제작현황 등 실질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부분들로만 정리하여 본 논고에서는 〈상원사 종〉의 제작 시기를 근대로 추정하고자 한다. 또한 <상원사 종>의 제작 배경에 대해서는 근대기에 제작된 〈개교원명 종〉과 같이 한국인들에 대한 일본불교의 포교 활동 속에서 이루어진 결과물일 것으로 추정하고자 한다. The ‘Bell of Sangwonsa temple’ in the Yongmun mountain, which does not have an inscription (銘文), is classified as a modern bell based on a temple cultural property (2002-2019) survey. However, opinions are divided as to when it was made. The ‘Bell of Sangwonsa’ of the Yongmun mountain was presumed to be created under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newspaper articles promoting the Daegok-pa Bonwonsa temple Gyeongseongbyeolwon, where the bell was bought at the time, glorified it as one of the three great bells of Joseon. It is believed that Japanese scholars presumed it to be the Goryeo Dynasty bell because the pattern expression of the bell was different from the bells of the Unified Silla and Joseon eras compared to the ancient bells of Korea investigated by the Japanese at the time. In addition, the traditional bells produced in modern times followed the bell styl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were no examples of imitations of Korean bells other than 〈開敎院銘鐘〉 (1918) at the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which was made by Japanese craftsme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was no great disagreement when designating it as a treasure in 1939. When the ‘Bell of Sangwonsa’ arrived at the Dongbonwonsa temple Gyeongseongbyeolwon in Namsan in 1908, there was a decline in the activities of the master bell craftsmen in Korea. In the 19th century, Korean Buddhists were already mobilized for military service and auxiliary service in a situation in which tribute and taxation were excessively required for temples. Excessive work(僧役) led to the downfall of temples; as many temples were destroyed, it became more common to sell or repair damaged bells rather than create new bells. It is also from 1916 that records of partial repairs of the bells of the Joseon Dynasty in modern times can be seen. In 1876, Japan and Joseon opened their doors as per the Treaty of Protection, and modern Japanese Buddhism entered Joseon. Among the sects of Japanese Buddhism, the Jodo sect was able to carry out missionary activit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enshrining the tablets of the emperor and crown prince of the Korean Empire. However, it was in only in 1918 that the Japanese Buddhist community started constructing large bells to be used in the Byeolwon and brought them to Korea. In 1906, when the Daegok-pa Bonwonsa temple Gyeongseongbyeolwon (大谷派本願寺京城別院) opened, it must have been difficult to transport all of the temple"s ceremonial and rites from Japan as the propagation activity of Japanese Buddhism was at the beginning stage. And although the Gyeongseongbyeolwon was built under the pressure of the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eight years after they started propagating Korea, 1906 was a time when Korean craftsmen had little activity, and Japanese craftsmen had not yet established themselves in Korea. It was a time when only small and medium-sized Japanese bell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Japan were im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Bell of Sangwonsa’ was a modern bell. The production technique and shape of this bell are based on the Japanese bell, and it is thought that the upper and lower patterns carved on the bell, Yeongwak and Yeonroe, and Juakbicheonsang were not newly created patterns, but rather imitated works made in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The modern period is the only period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bells to adopt the Japanese style. Currently, the only accurate records of the ‘Bell of Sangwonsa’ are photos and drawings in 『Joseon Archaeological drawings Vol. 7 - Goryeo Period Edition』 (1920). The records of the period of transfer from Yangpyeong to Gyeongseong are also insufficient to confirm the facts. Therefore, this researcher intends to estimat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Bell of Sangwonsa’ in modern times in this paper by excluding 1907, the time when this bell was moved, and arranging only the parts that can be confirmed p

      • 근대 일본의 불교개혁과 신불교운동 : 신불교운동’을 통해서 본 일본불교의 ‘근대'

        제점숙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5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2

        이 글은 일본의 근대국가 성립과 함께 전개된 종교운동의 일환인 ‘신불교운동(新佛敎運動)’을 통해 일본 불교의 근대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일본의 ‘근대불교’에 대한 성과는 요시다 구이치(吉田久 一)와 이케다 히데토시(池田英俊)의 연구 성과를 넘어 근대불교 개념에 대한 재구축의 필요성과 함께 일본 국내외에서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반면,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신불교운동’에 대한 논의는 그러한 일본의 ‘근대불교’ 관련 논의에서는 소외된 측면이 없잖아 있다. ‘신불교운동’은 1900년대 기성 일본불교의 비판의식에서 파생되어 건전한 신앙, 사회개선, 종교의 자유토구, 미신근절, 교단 제도 부정, 정치권력으로부터의 독립을 핵심 강령으로 정하고, 이를 주장하는 운동이다. 이러한 신불교운동에 대해 이 글에서는 선행연구에 의거 하여「신불교(新佛敎)」라는 잡지를 통해 주된 내용 및 주변 인물들을 검토하고 신불교운동 속에 투영된 일본불교의 근대성에 대해 논했다. 즉, 종교/불교라는 개념화 과정 속에, 천황제국가, 근대종교 모델로써의 기독 교, 전근대와 근대의 경계에 위치하는 일본불교의 모습 등이 실타래처럼 뒤엉킨 가운데 연동하여 표출되는 근대적 현상이 ‘신불교운동’이었음을 고찰했다. 이처럼 ‘불교인 듯 불교 아닌’ 당시 신불교의 모습은 ‘종교 Religion’와 ‘불교Buddhism’의 개념화가 이루어지는 과도기 속에서 표출되 는 일본불교의 또 다른 ‘근대적 표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일본 유학생들의 유학생활과 유학의식

        이태훈(Lee, Tae-hoon)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1900년대 유학생들은 러·일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일본론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근대화의 성공을 넘어 동아시아 패권국가로 등장한 일본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다양한 분야의 일본론이 등장하였고, 자기시각에 근거한 평가도 제기되었다. 유학생들이 가장 많이 주목한 부분은 일본의 역사문화와 근대화개혁이었다. 유학생들은 일본의 역사문화 역시 동양문명권에서 탄생한 것이며, 한국과 중국에 비해서는 후진적이라고 생각하였다. 한국이 근대화에는 뒤쳐졌지만, 역사문화적 전통은 더 우수하며, 언젠가는 재기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근대화과정은 확연히 다르다고 생각하였다. 일본은 교육개혁과 정치개혁에 성공하여 국가적 통합력을 강화시키고, 인민의 지적능력을 근본적으로 향상시켰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들에서 속에서 일본인의 민족적 특징을 급속한 성공의 이유로 보는 시각도 등장하였다. 강국인 러시아를 이긴 힘을 서구문명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 유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일본민족성의 특징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은 강한 정신인 ‘대화혼’이었다. ‘대화혼’이 무사도와 결합하여 일본의 독특한 정신적 특성을 형성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본의 민족적 특성이 강국을 건설하는데 성공적으로 작용하여 패권국가로 부상했다는 주장이었다. ‘대화혼’이 의미하는 강력한 희생정신, 복종심이 강력한 국가주의적 근대화를 추동했다는 것이었다. 또한 고유의 민족성과 결합된 일본의 근대화과정은 서구의 자유주의적 근대화과정과 다른 것이라는 주장도 이어졌다. 자유주의적 근대화의 부작용을 민족정신을 활용한 국가주의적 근대화노선으로 극복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논리를 주장한 인물들은 한국사회의 실패원인도 국가주의적 민족성의 부재에서 찾았다. 일본의 성공에 압도되어 인민의 절대적 헌신을 요구하는 국가주의적 근대화를 주장하게 된 것이었다. 반면 일본의 침략적 성격과 일본사회의 모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제기되지 못하였다. 일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주체적 시각을 상실하게 된 것이었다. After Russo-Japanese War,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the theory on Japanese society. They believed that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Japanese society in-depth after they witness Japan’s successful modernization and becoming the power of East Asian region. Many suggested various theories on Japan, and some even evaluated Japan from their own perspectives. Most interests of them were in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and modernization and reforms. They believed that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were also from East Asian civilization, and regarded them as backward culture. They believed that Korea was far advanced than Japan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e, and will prosper someday though modernization became delayed. But they thought that the modernization process was totally different. They evaluated that Japan was successful in consolidating nation through educational and political reforms, and, as a result, enhanced general intelligence of people. From this perspective, some observed Japanese people’s national character as the very reason of rapid success. They thought that the power to win over Russia was not from a mere adapt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What these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commonly realize was the Japanese people’s strong national character, ‘taehwahon,’ which does not fear even death. They thought that Japanese unique spirit comprise of ‘taehwahon’ and samurai spirit. They argued that this unique national culture affected to build a strong nation, and made Japan as one of the world powers. Taehwahon meant sacrifice and conformity for nation, and functioned to form a state-centered modernization. They also argued that Japanese modernization was different from Western liberal modernization because it was strongly related to Japan’s national characteristics. They argued that state-centered Japanese modernization overcame the shortcomings of the Western liberal modernization. Those who argued this theory also evaluated the failure of Korean modernization in that Korea lacked this state-centered national characteristics. Mesmerized by the success of Japan, these people also argued that Koreans should follow Japanese state-centered model that requires people’s absolute sacrifice for nation. But they did not critically look at Japanese aggressive imperialism and problems within Japanese society. Although their theory came from the initiatives to understand Japanese society in-depth, their study made them lose subjective position as Koreans in effect.

      • KCI등재

        기원과 이식 -근대초극론에 대한 대항으로의 ‘이식’ 개념을 중심으로-

        김학중 ( Kim Hak Joong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 Vol.0 No.73

        본고는 임화의 <신문학사>에 나타난 ‘이식’에 대한 임화의 사유를 은유적 사고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은유적 사고를 통해 임화의 ‘이식’ 개념을 살펴보면 기존에 ‘이식’ 개념을 바라보던 지평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식’을 조망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임화의 ‘이식’이 일본의 <근대초극론>에 대한 대항으로 역사의 가능성을 문학사를 통해서나마 지켜내려 했던 시도였음을 알 수 있다. 임화는 우리 근대문학사에서 누구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했다. 그는 시인이자 비평가이자 문학사가이며 영화배우였다. 동시에 그러한 지평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지평들을 가로지르고자 하는 상상력을 지닌 사람이었다. 그 상상력은 혁명이었다. 혁명에 대한 상상력은 임화가 역사를 이해하는 방식이었다. 일제에 의한 카프 해산, 폐병으로 인한 건강 악화 등 악재 속에서도 임화는 ≪현해탄≫ (1938)을 펴냈고 학예사를 통해 비평적 작업을 수행했다. 특히 일제가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태평양전쟁으로 전쟁을 확대해 나가던 시기에도 <신문학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며 역사의 가능성을 사유하려고 하였다. 역설적으로 <신문학사>는 ‘이식’이란 개념을 기반으로 문학사 방법론을 산출하려 시도하는데 이런 이유로 일제의 파시즘의 사상적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여지를 남겼다. 하지만 임화는 ‘이식’을 통해서 일제의 파시즘이 은폐하고자 하는 지점을 오히려 밝히면서 일본이 내세운 ‘대동아공영’나 ‘오족협화’ 같은 제국주의 영광의 슬로건들에 맞섰다. 물론 임화의 ‘이식’ 개념은 외관상 일제의 담론에 반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 작업은 은밀성을 지닌다. 이 은밀함에 기반하여 임화는 ‘이식’의 은유적 사고를 전진시킨다. 그 결과 그가 문학사를 겨냥하여 전개한 논의는 <근대초극론>에 대한 대항으로서 작동할 지점을 확보하게 된다. <근대초극론>은 태평양전쟁을 전후로 일본에서 논의된 것으로 일본의 군국주의에 이론적 기틀을 마련해준 사상이다. 이 논의의 주체는 일본의 군대, 교토 학파 및 일본 낭만파 등으로 다양했다. 철학과 문학은 물론이고 정치 및 군대에도 영향을 미쳤고 당대 일본의 젊은 지식인들에게도 큰 각광을 받았다. 이들의 논의에 따르면 근대는 이미 쇠퇴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자본주의는 대공황과 같은 문제에 대응하지 못하고 러시아 혁명을 추동한 마르크스주의도 문제를 보이고 있다. 소련은 인터네셔널의 가치를 지키지 못한다. 왜냐하면 이제 소련을 중심으로 마르크스주의 운동을 재편하려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반발로 서구는 나치즘과 파시즘으로 기울어 가는 모양세다. 이런 점들을 비판하며 일본의 지식인들은 다가올 세계전쟁, 즉 동양과 서양의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근대를 초극할 필요성을 논한다. 그들의 결론은 일본의 천황을 중심으로 하여 서구적 근대를 넘어선 새로운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는 논의이다. 여기서 천황은 고오야마 이와오에 의하면 일본은 세계사의 주도적 역할을 떠맡게 되는데, 그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가 천황이라 주장한다. 야스다의 일본 낭만파는 일본의 미, 즉 비어있음의 아름다움이란 일본적 아이러니를 드러내는 자리가 천황의 자리라고 말한다. <근대초극론>은 결국 천황이란 텅 빈 기표를 대타자의 지평에 놓는 것을 통해 헤겔이 말한 ‘역사의 종말’을 수행한 것이었다. 서구의 근대가 지닌 한계를 넘어서려는 긍정적 시도는 결국 역사의 가능성을 은폐하고 천황이라는 ‘통치의 주관적 명령’을 국가라는 차원으로 대신하여 표명해줄 텅 빈 기표에 <세계사>를 맡겨 버리려고 했던 것이다. 이것이 <근대초극론>이 추구한 기원화이다. 텅 빈 기표인 천황이 근대 이전의 일본의 미적 토대였으며 근대를 넘어설 초극의 기원이라고 그들은 믿었던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임화는 역사의 가능성을 문학사를 경유해 우리 앞에 도래시키려고 했다. 그 지평에 놓인 것이 <신문학사> 작업인 것이다. 임화의 <신문학사>는 일반적으로 고전문학과 근대문학으로 문학사를 구분하는 것 대신 구문학사와 신문학사로 나눈다. 기존의 문학사 기술의 일반적 구분법과는 다른 ‘단절’을 기입하는 작업은 ‘이식’에 의해 이뤄진다. 여기서 임화는 ‘이식’과 ‘번역’ 그리고 ‘수입’ 등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쓰고 있다. ‘번역’과 ‘수입’은 자기화가 수반되지 않는다. 반대로 ‘이식’은 우리가 자기화와 관련될 때 사용한다. 임화는 이를 통해 신문학의 특성을 밝히려고 했다. 임화는 ‘이식’을 통해 신문학이 성립되었다고 말한다. 여기서 임화는 ‘이식’을 통해 자기화되면서 자기화되지 않는 잔여까지를 모두 ‘이식’의 개념 안으로 통합하려 하였다. ‘이식’은 바로 이 자리에 주체의 신체를 환기한다. 신체야말로 외부적인 타자와 주체의 자기화가 지속적으로 마주하고 길항하며 자기를 성장시키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임화는 이를 ‘이식’ 개념을 통해 은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 자기화의 주체인 신체는 외부라는 사태 전체를 ‘이식’하지 못한다. 모든 ‘이식’은 부분적이다. 때문에 주체의 생사를 결정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외부의 타자라할지라도 외부성 그 자체를 ‘이식’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해 외부성을 환기하는 ‘이식’은 역설적으로 주체의 자리를 비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는 <근대초극론>이 텅 빈 기표인 대타자인 천황으로 역사의 주체를 대체하려고 했던 시도와는 상반된다. 이것은 문학사를 추동하는 주체의 차원을 환기한다. 주체의 차원을 보존하는 ‘이식’의 개념은 또한 외부성으로 인해 파편화된 역사의 차원을 현재화한다. 이러한 역사는 역사적 사건들 속에서 나타나는 수많은 요소가 서로 길항하며 단절되었다가 나타나는 것이다. 역사적 기술의 현재화의 가능성은 이러한 단절의 연속을 통해 열린다. 문학사는 바로 이러한 역사의 특성을 잇는 특수한 역사이다. <신문학사>에서 ‘이식’이 여는 차원의 특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문학사는 포착불가능하며 결코 우리의 손안에 주어지지 않는 통제 불가능한 가능성을 내포한 것으로 주어지는 것이다. 임화는 특히 ≪신문학사의 방법론≫에서 이 가능성의 지평을 <전통> 항목에 기입해 두었다. 여기서 임화가 ‘이식’을 통해 환기하는 지평은 물론 파편화이다. 역사는 역사를 일관된 형식에 대항하여 전통을 파괴하면서 동시에 파편화된 전통을 현재화한다. 문학은 이 파편화의 힘으로 역사를 끌어안는다. 임화가 연 이러한 역사성은 역사를 텅 빈 미의 기표로 대체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불가능하게 한다. 어떠한 기원화의 시도도 여기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다. 이것이 임화가 ‘이식’의 은유적 사고를 통해 추동 해낸 작업이다. 임화의 ‘이식’은 그 개념이 지닌 기표적 특성이 환기하는 것과 달리 역사의 가능성을 탐침하고자 시도한 작업이었다. 그것은 역사의 가능성은 물론이고 임화가 늘 고심했던 혁명적 가능성을 예비할 수 있는 차원을 열어낼 토대였다. 혁명은 결국 역사가 지닌 힘, 즉 파편화의 가능성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임화의 <신문학사>는 일본의 파시즘과 <근대초극론>이 역사의 가능성을 은폐하고 자기화하려던 것에 은밀한 대항을 하였다. 근대초극의 시도를 파편화하는 ‘이식’의 도입으로 파시즘이 은폐하려던 역사의 차원을 우리 앞에 나타나게 한 작업이 <신문학사>였던 것이다. This is an attempt to focus on metaphorical thinking as to why Lim Hwa’s ‘transplantation’ appears in Lim Hwa’s < New Literary History >. If you look at Lim Hwa’s concept of ‘transplantation’ through metaphorical thinking, you will be able to view ‘transplantation’ on a different level from the horizon that previously looked at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Above all, it can be seen that Lim Hwa’s ‘transplantation’ was an attempt to protect the possibility of history through literary history in response to Japan’s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Lim Hwa has played in more diverse fields than anyone else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He was a poet, critic, literary historian, and movie star. At the same time, he was not limited to such horizons, but had the imagination to cross them. The imagination was a revolution. The imagination of the revolution was the way Lim Hwa understood history. Despite unfavorable factors such as the dissolution of the Japanese cape and poor health caused by lung disease, Lim Hwa published a book titled Hyeonhatan (1938) and carried out critical work through a curator. In particular, during the period when the Japanese colonists caused Manchuria and expanded the war into the Pacific War, they worked on < New Literary History > and tried to reason with the possibility of history. Ironically, < New Literary History > attempts to derive the methodology of literary history based on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which left room for it to be understood as being within the ideological influence of Japanese fascism. Lim Hwa, however, rather revealed where the Japanese fascism wanted to cover up through the transplantation, and confronted Japan’s imperialistic slogans such as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and ‘harmony of five races.’ Of course, the ‘transplantation’ concept of Lim Hwa did not seem to go against the Japanese discourse on the surface, so the work is covert. Based on this secrecy, Lim Hwa advances the metaphorical thinking of ‘transplantation.’ As a result, his discussions aimed at literary history have secured a point to act as a counter to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was discussed in Japan before and after the Pacific War, which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Japan’s militarism. The subjects of this discussion varied from the Japanese army to the Kyoto and the Romanticists of Japan. It influenced not only philosophy and literature, but also politics and the military, and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young Japanese intellectuals of the time. According to their discussions, modern times are already showing signs of decline. Capitalism has failed to respond to problems like the Great Depression and Marxism, which has driven the Russian revolution, is also showing problems. The Soviet Union does not preserve the values of the International. Because now they’re trying to reorganize the Marxist movement around the Soviet Union. Moreover, the West seems to be leaning toward Nazism and fascism due to resistance to Marxism. Criticizing these points, Japanese intellectuals discuss the need to overcome the modern to prepare for the upcoming global war, namely the Eastern and Western wars. Their conclusion is that we should create a new foundation that goes beyond the Western modern era, centering on the Japanese emperor. Here, Emperor Oyama Iwao says that Japan takes on a leading role in world history, which he claims is the emperor. Yasuda’s Japanese romanticists say that the beauty of Japan’s beauty, or emptiness, is the place where Japanese irony is revealed.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is eventually followed by Hegel’s ‘end of history’ by placing the empty signifier of the emperor on the horizon of the pinch hitter. The positive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Western modernity was to eventually cover up the possibility of history and leave < world history > to an empty signifier that would represent the emperor’s “subjective order of rule” on behalf of the state. This is the origin of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They believed that the emperor, an empty sign, was the foundation of Japan’s pre-modern beauty and the origin of overcoming beyond modern times. On the contrary, Lim Hwa tried to bring the possibility of history to our fore via the history of literature. It is the work of the < New Literary History > that is at its horizon. Lim Hwa’s < New Literary History > is generally divided into the History of Old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New Literature instead of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The work of filling out the ‘cut-off,’ which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lassification of existing literary history techniques, is done by ‘transplantation.’ Here, Lim Hwa uses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transplantation,’ ‘translation,’ and ‘import.’ Translation and import do not involve magnetization. Conversely, ‘transplantation’ is used when we are concerned with magnetization. Lim Hwa says that journalism was established through ‘transplantation.’ Here, Lim Hwa tried to integrate all the remaining magnetized and unmagnetized through ‘transplantation’ into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The ‘transplantation’ is where the body of the subject is evoked. This is because the body is a place where the magnetization of external batters and subjects constantly faces, navigates, and grows itself. Lim Hwa reveals it metaphorically through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Above all, the body, which is the main body of magnetization, cannot ‘transplant’ the whole situation of the outside world. All ‘transplantations’ are partial. Therefore, even an outside hitter who is powerful enough to determine the life or death of a subject cannot ‘transplant’ the externality itself. In other words, ‘transplantation,’ which evokes externality, paradoxically serves to illuminate the subject’s place. This is in contrast to the attempt by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to replace the subject of history with an empty signifier, the Great Emperor. It evokes the dimension of the subject that drives literary history.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preserving the dimension of the subject also currentizes the dimension of history fragmented by externality. This history is where numerous elements that appear in historical events are cut off from each other. The possibility of the currentization of historical technology releases through this series of disconnection. Literary history is a special history that connects these characteristics of history. Here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dimension that transplantation releases in the < New Literary History >. That is why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given as having an uncontrollable possibility that is unobtainable and never in our hands. In particular, Lim Hwa recorded the horizon of this possibility in the < traditional > in the book ‘the methodology of the history of the new literature.’ Here, it is a fragmentation as well as the horizon that Lim Hwa evokes through a ‘transplantation.’ History destroys history against a consistent form and at the same time currentize fragmented traditions. Literature embraces history by the power of this fragmentation. This historicity of Lim Hwa makes any attempt to replace history with empty signifiers of beauty impossible. No attempt of origin can be established here. This is the work driven by Lim Hwa through metaphorical thinking of the ‘transplantation.’ Lim Hwa’s ‘transplantation’ wa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history, unlike the signify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evoked. It was the foundation to open up not only the possibility of histor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revolution that Lim Hwa has always struggled with. Because revolutions eventually arise from the power of history, the possibility of fragmentation. Lim Hwa’s < New Literary History > secretly opposed Japan’s fascism and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to cover up and magnetize the possibilities of history. With the introduction of a ‘transplantation’ that fragmented the attempt at the overcoming the modern, it was the < New Literary History > that brought the historical dimension that fascism tried to cover up before us.

      • KCI등재

        近代 韓國ㆍ日本의 「陽明先生肖像」에 나타난 思想 戰略

        최재목(崔在穆) 한국양명학회 2008 陽明學 Vol.0 No.21

        이 논문은 崔南善의 『少年』誌와 東敬治의 『陽明學』誌를 중심으로 近代 韓國ㆍ日本의 「陽明先生肖像」에 나타난 思想 戰略을 살펴본 것이다. 메이드 인 차이나로서의 王陽明 사상이 일본의 明治期에서 재평가되어 근대적 학문의 맥락에서 朱子學, 古學이란 용어와 더불어 新造語인 ‘陽明學’이란 개념이 탄생하여 중국으로 進輸出되고, 한국은 일본과 중국 양방향에서 그 개념 수용의 시간적 편차를 보이면서도 근대 학술로 서서히 편 입해간다. 이 속에는, 近代知의 領有와 交信이, 동아시아 내부에 제국주의의 확산과 맞물려 진행된 遊學生 및 지식인의 교류, 텍스트 流通網을 통해서 긴밀히 이루어진다. 이 가운데서 「陽明先生肖像」은, 근대적 정신을 고취시키는 하나의 주요 記號로서, 아울러 실천적 사상을 전하는 미디어 역할을 하는 형태로 유통되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기본적으로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것이긴 하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새로운 각도에서, 새로운 맥락 속에서 그것을 복제 혹은 재생산하는 형태로 잡지나 저술 등에 편집하여 넣는 형태로 활용하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王陽明 생전과 逝去 후에 여러 종류의 초상화가 나온다. 이들의 일부가 한국과 일본으로 유입되어 활용된다. 일부는 복제되고, 일부는 모사되고, 또 일부는 중국에서 유출되어 일본에만 남아있기도 하다. 이러한 복잡한 정황은 동아시아 근대사의 복잡한 궤적과도 맞물려있다. 주자학이 주류를 이룸으로써 양명학 유통망에 장애가 있었던 한국에서는 「陽明先生肖像」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아마도 거의 유일하다고 말할 수 있는 崔南善의 『少年』誌、 終刊號에 들어있는 「陽明先生肖像」일 것이다. 이 號에는 특집으로서 讓谷 朴殷植(l859~ 1925)의 『王陽明先生實記』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 특집호의 口繪로서 실린 것이다. 이에 비해 일본에서는 東敬治(호는 正堂, 敬治는 이름 1860- 1935)가 주간하는 「陽明學會」 발행의 『陽明學』을 비롯하여 여러 종류의 잡지와 학술서를 통해 다량의 「陽明先生肖像」이 유통된다. 여기서는 모든 것을, 지면 관계상 모두 다루지 않고 그 가운데 朴殷植에게 영향을 주었던 『陽明學』을 대상으로 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여기에만여러 건의 「陽明先生肖像」이 실려 있다. 그런데 이것은 대부분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이지만, 중국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것들이다. 동아시아 근대기에 「陽明先生肖像」은 일반 대중 그 가운데서도 청년 및 소년(=청소년)을 계몽하는 하나의 ‘실천적 정신’을 전달하는 새로운 미디어로서 등장하고 있었으며, 또한 肖像의 선택에는 나름대로의 의미부여가 있었다. 그렇다면 肖像은 근대적 사상을 전달하는 전략으로서 하나의 미디어 역할을 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王陽明 생전 및 逝去 후에 나타난 肖像畵를 살펴보고, 한국의 「陽明先生肖像」은 崔南善의 『少年』誌를 통해서, 일본의 그것은 東敬治의 『陽明學』誌를 통해서 각각 살펴보고 그 近代的 의의를 思想 戰略的 자원에서 짚어본다.

      • KCI등재

        일본 역사교육 속의 청일전쟁과 조선

        사카이 히로미(酒井裕美),배영미(번역자)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0

        2006년 교육기본법 ‘개정’에 이어 2008년 문부과학성은 새로운 초중학교 학습지도요령 『살아가는 힘(生きる力)』 을 공포했다. 새로운 지도요령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검정은 2010년에 실시되고 2011년에 채택되었다. 검정에 합격한 일곱 개 출판사의 교과서 중 이쿠호샤(育鵬社), 지유샤(自由社)는 ‘새로운 역사를 만드는 모임’ 계열의 출판사인데, 2012년도부터 교육현장에서 이쿠호샤의 점유율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일본의 일본 문부성의 검정을 통과한 일곱 개 출판사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청일전쟁 관련 기술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특히 조선을 둘러싼 서술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신학습지도요령은 근대의 역사상을 ‘근대사회’ 성립의 주체를 ‘구미제국’으로, 이것이 아시아로 ‘진출’한 과정으로 이해시키려고 한다. 일본근대사는 서구적 근대화를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으며 특히 청일전쟁은 ‘일본의 국제적 지위를 향상’시킨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의 사학계에서는 최근 위와 같은 ‘서구의 충격’ 사관을 재검토하고 그 승리를 무조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경계하는 연구가 축적되고 있는데, 문부성 검정 중학교 역사교과서는 이를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중학교 역사 교과서 기술 내용을 살펴보면 서계문제와 강화도 사건에 대해서는 서구적 근대의 가치관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전통’적 외교 체제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또 개항 후 조선과 청일 대립에 대해서는 조선의 역사의 전개과정을 ‘일본=근대’ 와 ‘청=반근대’라는 관점에서 단순화하고 청일전쟁에서의 일본의 승리를 ‘근대’ 일본의 승리로 일방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런 교과서를 통해서는 학생들이 서구의 근대를 상대화시키고 일본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려는 시각을 가질 수 없다.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대부분의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인용되고 있는 조르주 페르디낭 비고 (Georges Ferdinand Bigot)의 풍자화 ‘낚시놀이’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동아시아 근대에서 물고기로 표상되는 조선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조선은 비주체적이고 왜소한 존재로 인식하고 러시아의 위협을 과장되게 인식함으로써 일본의 침략전쟁을 합리화하는 사고를 갖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이 교육현장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신학습지도요령에 입각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육의 현황은 최근 가속화되는 일본 우경화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 공유가 절실한 시점이다.

      • KCI등재

        「近代仏教」としての日本仏教の語り方 : 近年の研究動向をふまえて

        제점숙(諸点淑)(Je Jum Suk)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5

        본 연구는 일본불교의 ‘근대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국내외에서 논해져 온 ‘근대불교’로써의 일본불교를 둘러싼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식민지 공간에서의 ’‘근대불교’로써의 일본 불교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근대불교’로써 일본불교를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종교의 개념화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교 불교의 개념이 어떻게 정착되었고, 또한 이러한 개념화 과정이 내적/외적으로 확산되는 분절화 과정은 어떤 양상을 보였는가에 주목해야 한다. 이 때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어떤 개념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을 정립하려는 인식주체가 존재하며, 또한 인식하는 주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객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는 인식하는 주체에 따른 강압적 ‘폭력’이 내재되어 있다. 근대불교를 둘러싼 일본 국내의 연구동향의 한계는 이러한 주체와 객체의 문제를 고찰함에 있어 ‘서양-동양(일본)’과의 관계에만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본의 근대화는 서양과 마주할 때는 고통 받는 동양이고, 일본이 아닌 다른 동양과 마주 할 때는 서양의 탈을 쓴 또 다른 동양의 모습인 두 개의 근대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불교의 ‘근대성’은 의 관계를 시야에 두고 논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선불교의 개념화 문제,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불교의 사회사업 활동 등의 문제를 제시하여 식민지 공간에서의 일본 불교의 근대성의 한 측면을고찰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on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discuss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this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sought a possibility of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In order to discuss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roblem of the conceptualization of relig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the concept of Buddhism as a religion was settled and what aspect the segmentation process in which this conceptualization process spread inward/outward showed.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here is that in order for a concept to be established, there should be a subject of cognition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in order for the subject to exist, it must be accompanied by an object, accordingly. Of course, in this process, oppressive 'violence' is impli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cognition. The limit of the trends of research on modern Buddhism in Japan is that they pay attention only to 'the West-the East (Japan)' relationship in discussing the problems of the subject and object. However, the modernization of Japan had two faces of modernity, as the suffering East in encountering the West and as another East in a mask of the West in encountering the other East. Thus, 'modernity' in Japanese Buddhism should be discussed with a sight of the West-the East/Empire-Colony relationships. Focusing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an aspect of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by suggesting problems such as the problem in the conceptualization of Joseon Buddhism and the problem of social work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