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韓國) 근대기(近代期) 범종(梵鍾)의 양식적(樣式的) 특징(特徵)과 제작기법(製作技法) 연구(硏究)

        원보현 ( Bo Hyeon W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2 No.-

        한국 근대기 범종은 급변하는 시대상황의 영향 속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개항과 함께 시작된 일본불교의 침투 속에서 유입된 일본 범종의 영향으로 현존하는 근대 범종 수의 대부분을 외래형 범종이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기독교와 일본불교의 포교활동에 위기의식을 느낀 한국불교가 전국적으로 포교활동을 시작하면서 1930 년대부터 해방이 될 때까지 20 여구의 전통형 범종 제작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1890 년대부터 유입되기 시작한 일본 범종은 일본 불교의 포교활동이 성행하면서 점점 더 많은 양이 유입되기 시작하였고, 점차 수요가 늘어나면서 국내장인들에 의해서도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국내장인들의 손을 거치면서 외래형 범종 양식에 조선시대 종에서 보이는 보살입상과 9 개의 연뢰를 표현하는 혼합형 범종이 탄생하게 된다. 따라서 근대기 초기에는 외래형이 주류를 이루고 중기에는 전통형이 제작되며, 후기에는 혼합형으로 변화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근대기 범종은 제작기법에서도 전통형과 외래형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시기에 전통형 범종을 제작한 대표 주종장인으로 김치운을 들 수 있는데, 金致云은 1916 년 <쌍계사명(雙溪寺銘) 범종(梵鍾)>의 중수작업부터 명문에 이름이 보이기 시작하며, 이후 <대승사명(大乘寺銘) 범종(梵鍾)>(1929 년)부터는 직접 주종작업을 시작한다. 이후 김치운은 조선시대 범종의 양식을 따르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을 구축하며 1940 년대 말까지 다수의 작품을 남긴다. 근대기 범종을 고찰 해 본 결과 19 세기 이후 단절되었을 것으로 여겨졌던 전통주조기술은 근대기에도 일부 장인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래형과 혼합형 범종을 통해 근·현대를 거치며 한국 범종 제작기술이 변화하게 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Korean modern Buddhist bells developed in diverse patterns due to the rapidly changing historical situations. By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t bells imported along with the infiltration of Japanese Buddhism initiated by port opening, most of modern Buddhist bells extant are of foreign style. As Korean Buddhism sensed the crisis posed by the propagation activities of Christianity and Japanese Buddhism, however, it created about 20 traditional-style Buddhist bells during the short period from the 1930s to the Liberation. The number of imported Japanese Buddhist bells, which began to stream into Korea from the 1890s, gradually increased together with prevailing propagation activities of Japanese Buddhism, and it is believed that domestic artisans also made Japanese-style bells in order to meet the expanding demand. By domestic artisans, as a result, hybrid Buddhist bells were created during the Chosun Dynasty, which were characterized by a standing Bodhisattva statue and nine lotus buds. This indicates that the mainstream of Buddhist bells was of foreign style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modern times, of traditional style during the middle period, and of hybrid during the late period. The making method of modern Buddhist bells was also different between the traditional and foreign styles. Chi-woon Kim (金致云) was a representative bell caster who made traditional-style Buddhist bells during this period. Kim`s name began to appear in the inscriptions from the repairing work of the <Buddhist Bell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Ssanggye-sa Temple (雙溪寺銘 梵鍾)> in 1916, and he began to do bell casting by himself from the <Buddhist Bell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Daeseung-sa Temple (大乘寺銘 梵鍾)> in 1929. Since then and until the late 1940s, Chi-woon Kim established his own unique style based on the traditional style of the Chosun Dynasty and created a number of works. By examining modern Buddhist bells, this study confirmed that traditional casting technology, which has been believed to have died out since the 19th century, had been transmitted through a few artisans even during the modern times. Through foreign-style and hybrid Buddhist bells, furthermore, this study improved ou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t bell making technology in Korea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ges.

      • KCI등재

        근대기 종 양상과 용문산 상원사 종 비교 고찰

        원보현(Won, Bohy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2 美術史學 Vol.- No.43

        명문(銘文)이 없는 용문산 〈상원사 종〉은 사찰문화재(2002년-2019년) 조사결과 근대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하지만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용문산 〈상원사 종〉은 일제강점기에는 고려 종으로 추정되며 당시 종을 산 대곡파 본원사 경성별원을 홍보하는 신문기사에서도 朝鮮3銘鐘 중 하나로 자랑할 만큼 고대 한국 종 중에서 매우 진귀한 보물로 인식되었다. 일본 학자들이 고려 종으로 추정한 것은 당시 일제가 조사한 한국의 고대 종과 비교했을 때 종신의 문양표현이 통일신라와 조선시대 종과는 달랐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 근대에 제작된 전통형 종은 조선시대 종 양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고, 일본 장인들에 의해 제작된 종은 남양주흥국사 〈개교원명 종(開敎院銘 鐘)〉(1918년)이외에는 한국 종을 모방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에 1939년 보물로 지정할 때에도 큰 이견이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원사 종〉이 1908년 남산 동본원사 경성별원에 도착했을 당시 한국 주종장인들의 활동은 매우 미약하였다. 19세기 한국불교는 이미 사찰에 대한 공납과 과세가 과도하게 요구되는 상황에서 군역과 부역군으로 동원되는 등 과도한 승역은 사찰몰락을 가져오게 되었고 많은 사찰이 폐사되면서 새로운 종을 주조하기보다 사찰 간에 종이 매매되거나 파손된 종을 수리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근대에 조선시대 종을 부분적으로 중수했던 기록이 보이는 것도 1916년부터이다. 1876년 일본과 조선이 맺은 수호조약에 따라 문호를 개방하면서 근대 일본불교는 조선에 진출하였다. 일본불교 종파 중에서도 정토종은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의 위패를 안치하면서 빠른시간 동안 비약적인 포교 활동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불교계가 별원에서 사용할 대형 종을 주조해서 한국으로 가져오기 시작한 시기는 1918년부터이다. 대곡파 본원사 경성별원(大谷派本願寺京城別院)이 문을 연 1906년은 일본불교의 포교 활동이 시작단계였던 것만큼 사찰의 의식 법구들을 모두 일본에서 공수해오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포교를 시작한 지 8년 만에 대한제국 황실을 압박하여 경성별원은 지었지만 1906년은 한국 주종장인들의 활동이 거의 없었던 시기였고, 아직 일본 주종장인들의 공방이 한국에 자리 잡기 전이었기 때문에 당시 일본 현지에서 대량으로 제작한 중소형의 판매용 일본 종만 유입되던 시기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은 〈상원사 종〉이 근대에 제작된 종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이 종은 제작기법과 종신의 형태 등은 일본 종을 기본으로 하며, 종신에 새겨진 상대, 하대, 연곽과 연뢰, 주악비천상은 새롭게 문양을 제작했다기보다 통일신라 후기에 제작된 작품을 모방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종 역사에서 일본 종 양식을 받아들인 시기는 근대기가 유일하다. 현재 〈상원사 종〉에 대한 정확한 기록으로 전해지는 것은 『조선고적도보 7권 - 고려시대 편』(1920년)에 찍힌 사진과 도면뿐이다. 양평에서 경성으로 옮겨진 시기에 대한 기록도 사실을 확인하기에는 부족한 자료들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종이 옮겨졌다는 시기인 1907년을 배제하고, 1920년대 전후의 근대기 종 제작현황 등 실질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부분들로만 정리하여 본 논고에서는 〈상원사 종〉의 제작 시기를 근대로 추정하고자 한다. 또한 <상원사 종>의 제작 배경에 대해서는 근대기에 제작된 〈개교원명 종〉과 같이 한국인들에 대한 일본불교의 포교 활동 속에서 이루어진 결과물일 것으로 추정하고자 한다. The ‘Bell of Sangwonsa temple’ in the Yongmun mountain, which does not have an inscription (銘文), is classified as a modern bell based on a temple cultural property (2002-2019) survey. However, opinions are divided as to when it was made. The ‘Bell of Sangwonsa’ of the Yongmun mountain was presumed to be created under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newspaper articles promoting the Daegok-pa Bonwonsa temple Gyeongseongbyeolwon, where the bell was bought at the time, glorified it as one of the three great bells of Joseon. It is believed that Japanese scholars presumed it to be the Goryeo Dynasty bell because the pattern expression of the bell was different from the bells of the Unified Silla and Joseon eras compared to the ancient bells of Korea investigated by the Japanese at the time. In addition, the traditional bells produced in modern times followed the bell styl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were no examples of imitations of Korean bells other than 〈開敎院銘鐘〉 (1918) at the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which was made by Japanese craftsme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was no great disagreement when designating it as a treasure in 1939. When the ‘Bell of Sangwonsa’ arrived at the Dongbonwonsa temple Gyeongseongbyeolwon in Namsan in 1908, there was a decline in the activities of the master bell craftsmen in Korea. In the 19th century, Korean Buddhists were already mobilized for military service and auxiliary service in a situation in which tribute and taxation were excessively required for temples. Excessive work(僧役) led to the downfall of temples; as many temples were destroyed, it became more common to sell or repair damaged bells rather than create new bells. It is also from 1916 that records of partial repairs of the bells of the Joseon Dynasty in modern times can be seen. In 1876, Japan and Joseon opened their doors as per the Treaty of Protection, and modern Japanese Buddhism entered Joseon. Among the sects of Japanese Buddhism, the Jodo sect was able to carry out missionary activit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enshrining the tablets of the emperor and crown prince of the Korean Empire. However, it was in only in 1918 that the Japanese Buddhist community started constructing large bells to be used in the Byeolwon and brought them to Korea. In 1906, when the Daegok-pa Bonwonsa temple Gyeongseongbyeolwon (大谷派本願寺京城別院) opened, it must have been difficult to transport all of the temple"s ceremonial and rites from Japan as the propagation activity of Japanese Buddhism was at the beginning stage. And although the Gyeongseongbyeolwon was built under the pressure of the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eight years after they started propagating Korea, 1906 was a time when Korean craftsmen had little activity, and Japanese craftsmen had not yet established themselves in Korea. It was a time when only small and medium-sized Japanese bell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Japan were im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Bell of Sangwonsa’ was a modern bell. The production technique and shape of this bell are based on the Japanese bell, and it is thought that the upper and lower patterns carved on the bell, Yeongwak and Yeonroe, and Juakbicheonsang were not newly created patterns, but rather imitated works made in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The modern period is the only period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bells to adopt the Japanese style. Currently, the only accurate records of the ‘Bell of Sangwonsa’ are photos and drawings in 『Joseon Archaeological drawings Vol. 7 - Goryeo Period Edition』 (1920). The records of the period of transfer from Yangpyeong to Gyeongseong are also insufficient to confirm the facts. Therefore, this researcher intends to estimat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Bell of Sangwonsa’ in modern times in this paper by excluding 1907, the time when this bell was moved, and arranging only the parts that can be confirmed 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