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코미츠 리이치와 관동대지진이라는 역사적 기억 : 無常感과 ‘일본적인 것

        강소영(Kang, So-Young)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3

        인간의 불행에 대해 문학이 할 수 있었던 것은 언어에 의한 표상과 그 해석의 작업을 통해서 이 불행의 이해의 차원을 심화시키는 것일 것이다. 지금까지 인류를 덮친 수많은 불행에 대해서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대처해 왔는지 그러한 사고와 행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 위로와 더불어 그것이 문학이 할 수 있는 일일 것이다. 재해는 그것을 덮친 사회의 단면을 순간적으로 부상시킨다. 동북, 북관동 일대를 덮친 지진, 쓰나미, 그에 이어지는 원자력발전사고의 거대복합재해는 일본이라고 하는 나라와 사회의 실상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그러한 실상은 좀처럼 사람들 눈에 띄지 않는 참된 ‘단층’의 모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요코미츠는 1923년의 관동대지진을 통해 드러난 ‘단층’속에서 지진과 일본을 어떻게 분석하며 사고하였는지 고찰하였다. 요코미츠는 일본의 풍토와 자연을 서양에 대하여 일본이라는 ‘자기발견의 계기’로서 와츠지의 를 모방해서 제공하고 있다. 요코미츠는 관동대지진을 통해 일본적 문예의 정서적 특징으로 이어 내려오는 특유의 무상감을 강하게 느꼈다. 그것은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서양의 과학과 대비되는 일본의 자연 및 직감적인 ‘일본적인 것’으로 귀착되었다. 무상감이라는 일본 특유의 정서를 지진을 통해 느낀 것이 출발점이었기에 그가 도달한 ‘일본적인 것’이라는 개념의 내용이 배타적인 일본회귀로 흐르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일본의 자연을 통해서 일본인으로서 자기발견을 하는 것은 일본이라는 국토를 숙명적으로 사랑해야하는 것이기도 하다. 물론 이 경우의 국토라는 것은 일본의 역사와 한 몸의 것이다. 이러한 사고는 성덕태자의 ‘17조 헌법’을 통해서, 나를 버리고 忠을 행하여 皇運을 부흥시킨다며 전쟁으로 일본국민을 내몰았던 길로 이어지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이 와츠지의 『풍토』가 간행된 1935년 이후, 어떠한 이데올로기로 진행되기 시작했는가는 역사 속에 명료히 나타나있다. 그것은 으로 통합되는 일본역사와 일본문화에서 정체성을 찾는 자기의 발견이었다. This article reviewed on how Yokomitsu Riichi analyzed and thought about Japan and Japanese through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1923. Yokomitsu described Japanese climate and nature of frequent earthquakes as destructive as world wars based on Watsuji Tetsuro’s. He thought unprejudiced mind to accept the culture of other countries and traditional empty spritual to mix and unite those culture as the Japanese unique trandition . At this point , Wat suji said to accept the cultur e of other countries by emptying myself and to unite them to life is Japanese traditional feature. Yokomitsu also thought about how to create new trandition by transforming transfected West culture to ‘Japanese unique feature’. Yokomitsu felt traditional unique emptiness strongly considered as emotional feature of Janpanese literatures through the Kanto Great Earthquake. Because the feeling is natural and intuitive one as contrary to West science in the mid of 1930s, his 'Japanese unique feature’ became "returning to Japanese' in the end

      • KCI등재

        한글표기 일본어 및 가나표기 한국어의 접촉언어적 특징

        이길용(Lee Kil Yong),이이슬(Lee Lee Seul)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4

        본 연구는 한일 양국어의 접촉언어의 언어적 특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분석자료는 한국의 '디시인사이드'와 일본의 '2ch'에서, 2012년 1년간 가나표기 한국어에서는 '데스(です)'를 검색어로 하고 한글표기 일본어에서는 「ニダ(니다)」 · 「ニカ(니까)」와 「セヨ(세요)」를 중심으로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한글표기 일본어를 926예, 가나표기 한국어는 165예를 수집하여 문법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음성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글표기 일본어는 분리형 구조와 더불어 '데스(です)'와 전접항목인 한국어가 융합된 융합형 구조(통합적 관계, syntagmatic relation)가 일부 사용된다. 분리형구조와 융합형 구조의 일부에서는 모어인 한국어의 구조를 활용한 것이고, 이러한 한글표기 일본어의 사용주체는 일본어학습 경험자임을 알 수 있다. (2) 한국어의 문법항목에 존재하지 않는 일본어의 종조사는 일본어 문법의 독특한 특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데, 일본어다움을 지표하기 위하여 종조사가 과잉사용되기도 한다. 또 조사 '노'를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격조사 대신에 '노'가 사용되기도 하며, 주격조사와 노가 더불어 쓰인 예도 있다. 일본어의 조사 「の」가 한국어의 경우와는 다르게 N1와 N2의 결합에 필수요소라는 점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3) 일본의 '2ch'에서 수집한 가나표기 한국어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는 ニダ의 전항의 활용이 완결적인 형태로 사용되어 ニダ와 전항이 분리형 구조(병렬적 관계, paradigmatic relation)를 이루고 있으며, 일본어 구조가 사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의 ニダ는 です와 대응치환 관계에 있다. 다만 일부에서는 일본어의 문말에 ニダ를 첨가한 구조도 사용된다. 이들의 형태적 기본구조는 '삽입형 코드스위칭'이고 ニダ는 です와 대응치환 관계를 이루지 않는다. Lately, due to the fast growing of digitization of knowledge in our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SNS, new forms of language contact, such as code switching, can be seen in SMS and smartphones' messages. This research analyzes structural aspects of language contact between Japanese and Korean used in internet communities. The analysis centered on 926 examples of the use of Japanese 'desu' written in Hangeul and 165 examples of Korean 'nida' written in Katakana. The data was collected in two sites, Japanese '2ch' and Korean 'DC inside' for a period of one year since 2012.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1) Two patterns of structures were observed: 'separate structures pattern' and 'mixed structures pattern'. In this last one, we notice that 'desu' is bounded to the previous elements of the sentence forming a syntagmatic relation with them. In both patterns, Korean language structures are mainly used by learners or former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2) There is an overuse of Japanese final particles with no correspondence in Korean grammar. The use of these final particles conveys some 'Japaneseness' to the sentence. (3) The use of 'nida' was seen in separate structures patterns. In this case, sentence elements 'nida' can be detached from the other elements of the sentence and form a paradigmatic relation with 'desu'. It means that 'nida' and 'desu' can be replaced one by the other. (4) In some cases of Katakana-Korean, structures where 'nida' is added to Japanese sentences are observed. In such structures, 'nida' is inserted in the sentence and cannot be replaced by 'desu'.

      • KCI등재

        일본군 종군위안부에 관한 일본국회 회의록(1990-2016) 검토 - 일본정부의 겉과 속내 읽기 -

        박홍영 ( Park Hong-young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6 日本硏究 Vol.0 No.70

        이 연구는 일본군종군위안부에 관한 일본정부의 답변을 검토해서, 일본정부의 겉과 속내(本音< Hon-Ne >と建前< Tate-Mae >: true intention and official policy)를 읽어내어, 일본정부의 자세를 규정하는 것이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군종군위안부의 용어가 `이른바` 종군위안부라는 것이 분명했다. 일본정부관계자는 물론 국회의원도 종군위안부를 인정하고 싶지 않다는 속내이다. 또한 종군위안부 문제는 한일관계의 여러 문제 가운데 `그 외에 어떤` 문제로 중요시할 문제가 아닌 것으로 취급되었다. 둘째, 공사(公私) 구별의 문제이다. 일본정부(公)는 겉으로는 고노담화 등의 견해를 답습한다고 한다. 그러나 개인적(私)으로는 폭넓게, 과학적인 지식을 요구하는 문제이기에, 연구해 나가고 싶다는 속내였다. 이는 종군위안부를 부정하고 싶은 일본정부의 속내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셋째, 종군위안부 관련 사실관계에 관해서 일본정부는, 어떻게든 숨길 수 있을지가 속내였다. 겉으로는 비밀로 취급할 수밖에 없다는 변명이었다. 넷째, 일본정부의 자세는, 과거를 버리고 미래지향으로 가고 싶다는 것, 미국이 좋다고 하면 그만이라는 관점이었다. 미국과 강자에 대한 경도(傾倒)감각이며, 일본의 자주성 결여의 방증이다. 한편, 한국정부도 미해결인 친일청산, 반민족 처단, 과거사정리가 불완전하고 애매한 것에 대해 반성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일본군종군위안부에 관해서 일본정부의 겉과 속내에는 큰 격차가 있고, 거기서 연유하는 일본정부의 자세는 궤변의 연속이었고, 이는 불신을 더 조장했다는 사실이다. 기억의 역사는 엷어지고 있다. 기록의 역사는 선명히 드러나고 있다. 시대정신에 따른 사죄와 용서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Japanese Diet Minutes(1990-2016) about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keyword, and attempt to divide the true intention(Hon-Ne) and official policy(Tate-Mae) of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at prescribed a posture of the Japanese Government. As follows that; First, it was clear that the term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is `so-called comfort woman`. The Diet member`s Hon-Ne is not to accept a comfort woman not to mention a person concerned with Japanese Government, too. Second, it cannot be divided that the Public and the Individual on issu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Japanese Government and official recognition and a personal viewpoint changed conveniently, and a different opinion appeared by time and place. Do not know what is true. Third, the Japanese Government Hon-Ne was that how to cover about the comfort woman-related facts. Fourth, To be good if with the United States which made world order was the Japanese Hon-Ne. It is a unbalance sense for the United States and is lack of the independence of Japa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roblems that unsolved pro-Japanese collaborators in Korea, punishing of the anti-nation, rearranging of the past history are incomplete and vague. As for being able to say based on this study, there is the big difference that between Hon-Ne and Tate-Mae of the Japanese Government abou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and the posture of the Japanese Government caused by the consecutive explanation for the explanation, it increased distrust.

      • KCI등재

        「近代仏教」としての日本仏教の語り方 : 近年の研究動向をふまえて

        제점숙(諸点淑)(Je Jum Suk)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5

        본 연구는 일본불교의 ‘근대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국내외에서 논해져 온 ‘근대불교’로써의 일본불교를 둘러싼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식민지 공간에서의 ’‘근대불교’로써의 일본 불교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근대불교’로써 일본불교를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종교의 개념화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교 불교의 개념이 어떻게 정착되었고, 또한 이러한 개념화 과정이 내적/외적으로 확산되는 분절화 과정은 어떤 양상을 보였는가에 주목해야 한다. 이 때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어떤 개념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을 정립하려는 인식주체가 존재하며, 또한 인식하는 주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객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는 인식하는 주체에 따른 강압적 ‘폭력’이 내재되어 있다. 근대불교를 둘러싼 일본 국내의 연구동향의 한계는 이러한 주체와 객체의 문제를 고찰함에 있어 ‘서양-동양(일본)’과의 관계에만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본의 근대화는 서양과 마주할 때는 고통 받는 동양이고, 일본이 아닌 다른 동양과 마주 할 때는 서양의 탈을 쓴 또 다른 동양의 모습인 두 개의 근대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불교의 ‘근대성’은 의 관계를 시야에 두고 논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선불교의 개념화 문제,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불교의 사회사업 활동 등의 문제를 제시하여 식민지 공간에서의 일본 불교의 근대성의 한 측면을고찰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on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discuss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this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sought a possibility of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In order to discuss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roblem of the conceptualization of relig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the concept of Buddhism as a religion was settled and what aspect the segmentation process in which this conceptualization process spread inward/outward showed.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here is that in order for a concept to be established, there should be a subject of cognition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in order for the subject to exist, it must be accompanied by an object, accordingly. Of course, in this process, oppressive 'violence' is impli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cognition. The limit of the trends of research on modern Buddhism in Japan is that they pay attention only to 'the West-the East (Japan)' relationship in discussing the problems of the subject and object. However, the modernization of Japan had two faces of modernity, as the suffering East in encountering the West and as another East in a mask of the West in encountering the other East. Thus, 'modernity' in Japanese Buddhism should be discussed with a sight of the West-the East/Empire-Colony relationships. Focusing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an aspect of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by suggesting problems such as the problem in the conceptualization of Joseon Buddhism and the problem of social work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Joseon.

      • KCI등재

        와카(和歌)해석을 위한 一試論 : -『新古今和歌集』의 時間과 空間을 중심으로-

        崔忠熙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1993 日本硏究 Vol.8 No.-

        일본문학사에서 和歌문학이 차지하는 위치는 대단하다. 특히 일본의 고저문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和歌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和歌는 야마토우타의 준말로써, 일본 최초의 통일국가인 야마토(大和)의 노래(歌)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이다. 일본인들이 야마토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의 의식 속에는 세계의 다른 어떤 나라도 가지지 않은 일본만의 것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和歌란 일본인에 의해 일본어로 쓰여진 일본인의 혼을 읊은 노래라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외국인인 우리가 외국문학으로서 和歌를 연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은 일본문화의 하나의 양식을 찾아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외국인이라고 해서 남의 나라의 문학을 함부로 자의적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우리나름대로의 해석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일본문학 연구방법을 토대로 하여 치밀한 검토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본어 voice(態)의 형태와 下一(二)段 동사

        이인영(Lee In Young)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5

        일본어의 ‘態’ 표현의 특징은 다른 여러 언어와 비교해서 ‘態’ 표현이 구체적인 문법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이 논문은 일본어 ‘態’ 표현의 형태를 동사 ‘下一(二)段과 관련해서 고찰한 논문이다. 필자는 1987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일본어 ‘態’ 형태의 분석에 있어서 ‘下一段’ 활용 형식과 일본어 자·타동사의 어미에 나타나는 형태(一る, 一す)와는 서로 이질적이기 때문에 구별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일본어 ‘態’ 표현의 유래는 일본어 동사의 ‘下二段’ 활용형식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細江逸記의 논문을 접하고 필자의 생각이 細江의 주장과 일맥상통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일본어 ‘態’에 있어서 동사의 활용형식과 어미 형태를 구별해야 한다는 필자의 주장은 활용 형식의 유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것이다. Ⅱ장에서 細江의 견해에 많이 의지하는 논술이 된 이유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 고찰한 내용을 일본어사와 관련해서 지적해 놓고 싶은 점은 일본어의 ‘態’는 오랫동안 역사적인 변화를 거쳐 현대에 이르게 되었지만,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는 보여주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점은 일본어의 어휘나 음운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과는 대비가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態’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의 연속성(자동, 자발, 가능, 수동, 사역, 타동)과 일본문법 범주로서 ‘aspect, tense, modality’ 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의 연속성을 ‘문법적 의미’와 관련해서 어떻게 해석해야 되는지도 흥미로운 과제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morphological of 'voice' in Japanese language with the reference to shimoichi(ni)dan-verb (下一(二)段動詞) and Japanese verbal conjugation. The author reviewed the aspects of the voice in Classical Japanese in Chapter 2, and schematized the morphological relation of the voice in modern Japanese in Chapter 3.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summarized as follows. Japanese grammatical category 'voice' shows diachronic changes in morphological aspect but intrinsic properties of voice are not changed. Ths point shows the contrast with 'Japanese vocabulary and phonology' which have been showed a lot of historical changes. On the other hand, it is interesting to look how the continuum of meaning of Japanese voice such as '(in)transitivity, spontaneous, potential, passive, causative' should be interpreted like continuum of grammatical meaning of 'tense, aspect, modality'.

      • KCI등재

        일본의 도덕교육에 나타난 ‘개인존중’ : 아비투스(Habitus)론을 근거로

        김경옥(Kim, Kyung-Ok)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3

        최근의 국내외적 동향을 살펴보면 인권문제와 관련한 담론이 적지 않으며 한 사회에서 다루고 있는 인권문제는 ‘개인존중’에 대한 인식과 직결해있다. 이는 일본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일본은 아시아태평양전쟁의 패전을 전환점으로 민주주의를 국가이념으로 법제화했다. 민주주의의 기본이념은 ‘개인’의 존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본에서도 헌법은 물론 교육기본법의 전문에 ‘개인의 존엄을 중시하고’라는 내용을 명기했다. 이와 같이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개인존엄을 지향해야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존엄함을 중히 여겨야한다는 ‘개인존중’ 교육이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일본의 학교에서는 ‘개인’은 전체를 의미하는 ‘世人’으로서 존재해야 바람직하다고 가르친다. 즉 ‘개인존중’ 보다는 타인을 포함한 ‘世人존중’이 우선시 되고 있다. 서양의 ‘개인’과 일본의 ‘世人’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 인간 형태라고 할 수 있는가에 관해서는 사실상 규정하기가 매우 어렵고, 서양의 ‘개인’이 일본의 ‘世人’보다 낫다는 가치판단도 불가능하다. 단지 일본에서 말하는 ‘개인’이 서양에서 말하는 ‘개인’과는 다르고, 따라서 ‘개인’ 중시 교육도 독립된 개인을 중시하는 민주주의적 관점과는 달리 구성원 전체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일본에서 개인을 지나치게 중시해왔다고 문제 삼는 것은 ‘개인’이 아닌 ‘世人’을 지나치게 중시했다는 것이며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일본 교육에서의 ‘개인’ 중시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아비투스는 집단 구성원의 공통적 성향 체계가 문화자본이 되어 각 개인에게 내면화 되고 다음 세대에 전승되는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 일본의 ‘개인’ 중시를 적용시켜 보면, ‘世人’ 중시는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동안 일본인의 공통적 성향체계로 자리 잡으며 하나의 문화자본이 되었고, 이렇게 만들어진 문화자본은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일본이라는 집단 구성원 각각의 인식 체계에 내면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If you look at the trend in and out of korea recently, there is a considerable a mount of arguments about human rights problem, an d ‘respect for individual,’ handle d in one society, is directly connected to preception toward the ‘personal respect.’ Japan enacted democracy as its state ideology after defeat in the Asian Pacific War. The basic ideology of the democracy is t he dignity of ‘individual’; therefore, the content that ‘set count on individual’s integrity’ is specified in the full tex t not only of constitution law but also of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Like this, democratic state should aim individual’s integrity, and in order to make it real, education about ‘respect for the individual’ is essential. However, Japanese school teaches that ‘individual’ should exist as ‘the public(the whole)’; in other words, they put ‘respect for the public’ before ‘respect for the individual’. It i s virtually difficult to define th at which one is more desirable, ‘the individual’ in western or ‘the public’ in Japan, and it is impossible to judge ‘the individual’ more valuable than ‘the public. This just shows that the meaning of individual’ in Japan is different from that in western, so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oint that education about individual’s integrity values entire member, in contrast with democratic perspective that values independent individual. As a result , making a n issue of overemphasizing individual means not ‘ the individual’ but the public. In that, emphasis on ‘individual’ in Japanese education requires further examination. Meanwhile, Habitus means that cultural capita l formed by group member’s common dispositional system is internalized in individual and handed down to next generation. Applying this , emphasis of ‘ individual’ in Japan became common dispositional system and form ed cultural capital, which is internalized to paradigm of each member.

      • KCI등재

        일본오음(日本吳音)에 혼입된 기기만엽(記紀萬葉)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 음성운(陰聲韻)을 중심(中心)으로 -

        이경철,송재한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2 日本硏究 Vol.0 No.53

        本稿では上代文獻である記紀万葉の字音反名と吳音直讀資料の字音とを陰聲韻を中心にして檢討した次のような結論に至った。1)麻韻は、吳音においては、原音における主母音の前舌性を反映して主に-e形として現れる。吳音に混在する-a形は万葉反名の影響である可能性があり、万葉反名の-a形は、前舌的な主母音aを、吳音においては-e形として、韓國漢字音においては-a形として反映していることから韓國漢字音の影響である可能性が强いと考えられる。2)侯韻は、吳音においては、-u形, -o形, -ou形という三つの字音形が存在するが、万葉反名には、-u形, -o形という一拍の字音形のみが存在する。3)虞韻甲類は、吳音においては、-ju形の融合形, -iu形の割音形, -u形の直音形が混存するが、-u形の直音形は一拍の直音表記を原則とした万葉反名の影響であると考えられる。4)豪韻は、吳音においては、槪ね-au形で現れるが、一部-o形が見られる。-o形は二重母音を一拍で受容した万葉反名の影響であると考えられる。なお、万葉反名の-o形は韓國漢字音と同じ字音形であり、そこから、韓國漢字音と同じ受容態度が讀み取れる。5)蟹攝諸韻に現れる吳音の-e形は二重母音を一拍で受容した万葉反名の影響であると考えられる。なお、万葉反名の-e形からは、漢字音を一音節で受け入れた韓國漢字音が再び日本に傳わった可能性が窺える。

      • KCI등재

        韓ㆍ日兩國の상고자음가명についての一考察 -特に中國音韻學的分析を中心にして-

        이지수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01 日本硏究 Vol.17 No.-

        韓日兩側의 漢字借用表記는 全般的인 運用方式에 있어서 共通点이 많다. 특히 万葉歌와鄕歌의 音借字(音假名)중에는 서로 그音形이 一致혹은 類似한 것이 상당수 있고, 万葉歌의 歌人중에는 三國系의 渡來人이많은点, 万葉歌속에 보이는 韓民族의 文化的素材등은 이미 先學들의 硏究에 의해서 밝혀진 바가 있다. 本論文에서는 日本學者들의 硏究에 의해서 밝혀진 渡來人系 歌人들의 노래속에서 音借字(音假名)을 가려내어서, 万葉歌와鄕歌 兩側에서 共通的으로 나타나는 字音만을 그 硏究의 對象으로 삼아서, 中國의 音韻學的 知識에 의해서 그 基層音을 檢證하였다. 渡來人의 推定은 佐伯有淸의說(「新撰姓氏錄 考證編」第1~6)·平野邦雄의說(「日本古代人名辭典」第1~5)·星野五彦의說(「万葉集に於ける소화인」)『日本書紀』『續日本記』『古事記』등의 記事등의 內容등을 參考로 했고. 그중에서도 특히 「姓(かばね)」·「氏(うじ)」등을 渡來人系 万葉歌人의 判斷基準으로 삼았다. 中古漢音의 音價推定에 있어서는, BKarlgren(『Compendium of Phonetics in Ancient Chinese』, 1954)·李榮(『切韻音系』, 1971)·周法高(『中古音韻學論文集』, 1984)·藤堂明保(『新訂中國語槪論』, 1975)·平山久雄(『中古漢音の音韻』, 1967)·陸志韋(『古音說略』, 1971)·동동화(『漢語音韻學』, 1972)·河野六郞(『朝鮮漢字音硏究』, 1968)등을 參考로 했다. 丁邦新의 「魏晉音韻硏究(1957)」·藤堂明保의「漢字語源辭典(1975)」등의 時代別音韻變遷推定도 判斷의 基準으로 했다. 이제까지의 硏究에 의하면 韓國漢字音의 形成時期는 8C~10C로써 中國의 隨·唐時代의 切韻音系인 北方中原音을 基層으로 形成되었다는 見解가 支配的이었지만, 이들 字音의 基層音은 後漢音·魏晉音·南北朝音등의 音形에서 그 基層音을 推定할 수 있었다. 筆者는 本稿의 硏究 對象이 된 字音假名가 다음의 세가지 時代에 걸쳐서 그 基層音을 自國의 音韻構造에 맞추어서 土着化되었다고 생각한다. (1) 第一期; 後漢音이 基層音이되었다고 推定되는 文字群. 阿·伊·支·多·知·得·奈·爾·仁·尼·波·婆·必·麻·未·毛·聞·耶·良·羅·利·留 (2) 第二期; 魏晉音이 그 基層音이 되었다고 推定되는 文字群. 干·於·可·古·故·期·之·次·須·所·都·等·乃·非·悲·部·夫·也·里·理·路·呂·乎 (3) 第三期; 南北朝音이 基層音이 되었다고 推定되는 文字群. 以·去·薺·刀·奴·布·反·馬·彌·無·米·物·禮·烏

      • KCI등재

        와카를 통해 본 화투의 세계관 : 12월의 오동나무와 히데요시를 중심으로

        박성호(Park Sung Ho)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4

        개항기에 한국에 유입되어 오랫동안 한국인의 사랑을 받으며 어느덧 한국의 놀이문화로 하나로 정착한 화투는 일본적인 도안과 용어, 그리고 강점기의 기억과 화투도박에 의한 폐해 등 여러 이미지가 겹치면서 나라를 망치는 망국의 왜색놀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런데, 단순한 '놀이'로만 인식되었던 화투가 사실은 일본천황제를 지탱해주며, 일본인의 전통적인 계절감과 미의식을 형성한 칙찬화가집, 『고킨와카슈』에 의거해있다는것은 시사하는 바가 자못 크다. 이는 사물의 인식체계를 국가에 의해 제시되었다는 의미하는데, 이 시스템은 고금전수(古今傳授)라는 하나의 체계화된 커리큐럼을 통하여 황실과 밀접한 관계를 갖으며 명치를 넘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신성하게 전수되어 오기 때문이다. 서민들의 놀이에 불과한 화투에 일본인의 미의식의 근간이 된 『고킨와카슈』을 소재로12계절의 추이를 아름답게 수놓을 만큼 정성을 들인 배경은 전혀 논의된 적이 없지만, 화투의 통일된 세계관은 일본인들에게 익숙한 4계병풍도로의 재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음양오행설에 근거하여 만물의 순환과 생성, 시공간의 연속성을 나타내고, 거기에 영웅의 도래를 의미한다는 오동과 봉황을 더함으로 18세기 후반, 사사로운 놀이문화에 불과한 화투 속에 새로운 시대, 새로운 영웅을 향한 기대와 꿈을 표현하였다. 화투가 등장한 18세기 후반 권력의 화신이었던 농민출신, 히데요시는 근면함과 도전정신으로 꿈을 이룬 서민의 영웅으로 신격화되었는데, 천황과 동등하게 오동을 문장으로 사용한 서민의 왕, 히데요시를 향한 서민들의 대리만족적인 희망이 표현된 것으로 사료된다. The hwatu,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Korean open ports period(1876~1910), has received the love of Koreans for a long time, established one of the game culture. The hwatu has been criticized the play ruin the country in Japanese-style design and terms, memories of colonial rule and harm caused by gambling. but, The hwatu that was recognized only as a simple 'play', Actually, was on the basis of Kokinwakashu, collections of waka nominate by the Tenno, giving support to the Japanese imperial system and forming seasonal and traditional Japanese aesthetics. It suggests that has a special importance. Because It means that the recognition scheme of things given by the national, and this system pass down divinely across from meiji to today,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through a structured curriculum that pass down all time. However, the Background, has never been discussed at all, The hwatu, mere amusement of people, placed the trend of the 12 month hospitality and beautifully by the Kokinwakashu material, the foundation of aesthetics of Japanese, a unified world view of the hwatu can be found through the reproduction of 4 seasons folding screens, familiar to the Japanese. Late 18th century, in the hwatu, just a private amusement culture, expressed the expectations and dreams for new era and a new hero by representing the circulation and the creation of all things and the continuity of time and space based on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and added a phoenix and paulownia as meaning that the arrival of a hero to this.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hwatu appeared, Farmers who was the incarnation of power, Hideyoshi was deified a hero of the common people achieved their dreams by hard work and challenge. King of the populace using a paulownia coat of arms, Equally with the Tenno, I think the vicarious satisfaction hope of the populace toward Hideyoshi expressed in the hwat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