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문화(文化)’ 개념에 대한 고찰

        이전(Jeo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1

        오늘날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문화경관, 문화콘텐츠, 문화재, 문화유산, 현대문화, 전통문화 등 ‘문화(文化)’라는 단어를 매우 빈번하게 사용한다. 그런데 조선시대에 우리 조상들은 ‘文化’라는 단어를 어떤 의미로 사용하였을까? 만약 오늘날과 같은 의미로 ‘文化’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면, 오늘날과 같이 빈번하게 사용하였을까?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등장하는 ‘文化’ 단어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 참조하는 『조선왕조실록』은 웹사이트에 게시되어 있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왕조실록』이다. 이 『조선왕조실록』은 고종실록·순종실록·순종실록부록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조선왕조실록』이다. 이 『조선왕조실록』에는 ‘文化’ 단어가 총 261번이나 등장하는데, 이 중에 황해도 지명 ‘文化’가 243번이나 등장하고, 문물과 제도로서의 ‘文化’가 14번 등장하며, 일본의 연호 ‘文化’가 4번 등장한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출현 빈도를 나타내는 지명 ‘文化’는 황해도 문화현을 가리키는 단어였다. 문물과 제도로서의 ‘文化’는 『조선왕조실록』에 단지 14번 등장함으로써 그리 빈번하게 사용하는 단어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문물과 제도로서의 ‘文化’는 ‘어떤 인간 집단이 공유하는 생활양식의 총집합체’로서 0번, ‘공연·전시·음악·예술·문학 활동 등’으로서 2번, ‘발전된 것이나 개화된 것’으로서 12번 등장한다. 그런데 ‘공연·전시·음악·예술·문학 활동’으로서의 ‘文化’는 1921년(순종실록부록 14년)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조선시대에 문물과 제도로서의 ‘文化’는 문명(文明)과 동의어 혹은 유사어로서 ‘발전된 것이나 개화된 것’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The word ‘munwha’ as culture is today spoken very frequently in our daily lives. This paper aims to find the meanings of the word ‘munwha’ in Joseon Dynasty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munwha’ words foun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 In the Annals, the word ‘munwha’ appears 261 times: the word ‘munwha’ as place name in Whanghaedo, 243 times; the word ‘munwha’ as culture, 14 times; and the word ‘munwha’ as the Japanese era designation, 5 times. In the Annals, the word ‘munwha’ as place name is far more frequent, while the word ‘muwha’ as culture is not so frequent. Among the 14 ‘munwha’ words as culture, culture as ‘the total way of life held in common by a group of people’ does not show up, culture as performance/ exhibition/ show/ music/ art/ literature appears twice, and culture as civilization turns up 12 times. By the way, the word of ‘munwha’ as performance/ exhibition/ show/ music/ art/ literature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1921 (Sunjong Supplement Annals 14). In Joseon Dynasty period the word ‘munhwa’ as culture was a synonym of civilization, i.e. human society marked by an advanced stage of development.

      • KCI등재

        웹툰 『조선왕조실톡』의 역사소재 활용방식

        김대범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49 No.-

        최근의 웹툰은 다양한 장르로 구분되면서 사람들로부터 대중적인 지지를 얻고 있다. 특히, 역사를 소재로 한 웹툰 『신과 함께』, 『조선왕조실톡』은 글과 이미지로만 구성된 만화로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영화, 드라마 등으로 OSMU 되어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이 글에서 다룰 웹툰『조선왕조실톡』은 태조에서 철종까지 25대 임금이 다스렸던 472년 동안의 기록이 담긴 『조선왕조실록』을 역사소재로 하여 작가의 상상력을 더하여 재구성한 작품이다. 주목할 것은 『조선왕조실록』이 역사적 사건의 요약이라기보다 서로가 주고받는 대화를 적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의 형식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웹툰『조선왕조실톡』의 성공 요인을 몇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어렵고 딱딱하다고 느끼기 쉬운 『조선왕조실록』을 사진 첨부 및 이모티콘, 읽음 및 친구초대, 그 밖의 기능들을 활용하여 누구나 읽기 쉽고 이해하기 편하게 내용을 구성했다는 점이다. 특히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의 기능은 상대방을 이해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어 낸 메시지로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반영시켰다. 이러한 기능은 표현방식이 친숙하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결국은 『조선왕조실록』 DB의 정확한 사실에 기반을 두었기에 이와 같은 성공도 이끌 수 있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흔히 말하는 ‘창작소재’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누구나 알고 있는 전통 창작소재가 기능상의 변화로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미, 영화 ‘왕의 남자’나 ‘광해’의 경우 『조선왕조실록』 DB의 일부 대목을 소재로 활용하였던 것에 비하여, 웹툰 『조선왕조실톡』은 『조선왕조실록』 DB 전체를 보다 더 전면적으로 활용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한 것이다. 둘째, 『조선왕조실톡』은 역사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작가의 기획력과 상상력이 뛰어나다는 점이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중 흥미를 이끌어 낼만한 소재를 선택하여 에피소드를 구성했다는 점과 에피소드별로 창의적인 제목을 덧붙인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리고 그 에피소드를 시작하기 전 프롤로그에서 궁금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그림이나 짧은 글로 호기심을 유발시키기도 했다. 아울러 역사기록에는 기록되지 않은 작가의 상상력이 덧붙여져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상상의 부분은 역사왜곡의 문제를 벗어나는 장치로 ‘기록에 없는 것’으로 정리해주고 있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톡의 기능을 통한 희곡적 서사전개의 특성을 서사전개에 활용했다. 예를 들어 등장인물들 간에 서로 주고받는 극적 대사를 통하여 이야기 하고 있는 경우이다. 그 결과 웹툰 『조선왕조실톡』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극적 대사를 통하여 이야기 하며 각 편마다 전달하고자 하는 극적 내용이 명확하고, 제한된 카카오톡 메시지 창 안에서 하나의 이야기를 완결시켰다. 이처럼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의 기능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잘 반영했다는 점, 역사적 사실을 극적 대사로 활용하여 희곡적 서사로 전개해 나갔다는 점이 웹툰 『조선왕조실톡』의 성공요인이라 하겠다. 웹툰『조선왕조실톡』은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소재를 창작소재로서 활용할 때, 기능적인 활용방식, 예를 들어 카카오톡의 기능적인 부분의 활용, 『조선왕조실록』 DB를 충분히 응용한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중요한 차례의 의미와 차후 소재 개발을 위한 방향을 다루어 보았다. Recently the webtoon is distinguished into various genres and is obtaining the popular support. Particularly, 『Joseon Dynasty Siltok』 following 『with God』, a webtoon based on the history, is not limited to the cartoon consisting only of texts and images but is comprised by movies and dramas under OSMU to develop with the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The webtoon 『Joseon Dynasty Siltok』 to discuss in this paper is a work based on 'Annals of Joseon Dynasty containing the record for 472 years governed by 25 kings from Taejo to Chuljong and is reorganized by adding the writer's imagination. Particularly, 『Joseon Dynasty Siltok』 is being used as a form of the mobile messenger (Kakaotalk) considering 'Annals of Joseon Dynasty contained conversations each other shared rather than a summary of historic incidents. The success elements of the webtoon 『Joseon Dynasty Siltok』 can be analyzed as follows. First, 'Annals of Joseon Dynasty that was considered as difficult and solid was composed for everyone to read and understand easily by means of photo attachment, imoticon, reading & friend invitation, and other functions. Consequently, the function of mobile messenger (Kakaotalk) is, using purposefully pre-constructed messages to easily get the message out to its viewers, which strongly reflects a characteristic of communication itself. Although it can be a success factor that the expressive method is familiar in terms of function, eventually this success is attributed to being based on the exact fact of 『JWS』 DB. In this part, we can know the importance of the 'created material' we commonly say in the cultural contents area. Because the traditional created material anyone knew could lead a new change by the functional change. While the movies 'King's guy' and 'Gwanghae' utilized some parts of 『JWS』 DB as a material already, the webtoon 『JWJ』 utilized the whole of 『JWS』 DB more completely, which is remarkable. Also, the artist's planning power and imagination which interpreted the history in a modern way are excellent. There is a reason why the episode was organized by choosing materials that could attract interest among the record of 'Annals of Joseon Dynasty and why the creative title was added to each episode. And it aroused the curiosity by the picture or short text that could arouse curiosity at the prologue before starting that episode. It was interpreted in a modern way because the artist's imagination was added which was not recorded in the history record, and the imagination part is a device to escape from the problem of historic distortion and is regarded as what does not exist in the record. This is to utilized unique and well-known Kakaotalk's function as a narrative device to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dramatic narrative development. Author speaks his mind through exchange of dialogues between characters in the webtoon. Based on historical facts, each episode of webtoo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learly portrays its message via dialogues between characters and complete the story within the constraints of Kakaotalk chat room message window. Ultimately, the success of webtoon 『Joseon Dynasty Siltok』 are the effective usage of function of mobile messenger (Kakaotalk) to reflects a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nd historical facts as narrative device to unfold dramatic narrative development. When using the historic material we know as a creation material like this, we can pay attention to the functional use method because it is certain the webtoon 『Joseon Dynasty Siltok』 is a case that fully utilized 『JWS』 DB by using the functional part of Kakaotalk well. Also, its study value is high because it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direction of the applicability of DB largely. It is expected the constant attempt to develop materials will be made starting from this study.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 수호의 제1선을 지킨 사람들

        이종철(Lee Jong Cheol) 국립고궁박물관 2015 古宮文化 Vol.- No.8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국보 제151호, 세계문화유산은 조선 태조로부터 철종에 이르는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모두 1,893권 888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록유산의 국가적 의미와 역사적 가치는 이미 세상에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본 글은 그러한 의미와 가치가 존재할 수 있도록 제1선에서 사고와 실록 수호를 수행했던 사람들의 기록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왕조실록이 걸어 온 온전한 역사성을 되돌아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유일본 조선왕조실록의 모태인 전주사고의 전통성과 지역성을 이어받은 적 상산사고赤裳山史庫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제1선에 있었던 사람들의 존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임명장과 같은 고문서를 1차 사료로 선택하였다. 적상산성 내에 건립된 적상산사고는 실록을 보관하는 사각史閣, 선원록을 보관하는 선원각璿源閣, 포쇄할 때 사용하는 포쇄청曝曬廳과 수사당守史堂, 참봉이 집무를 보거나 거주하는 참봉청參奉廳, 그리고 수호 사찰인 안국사安國寺로 구성되어 있다 실록 수호를 담당하는 참봉은 매월 한 사람씩 교대 근무를 원칙으로 하였으며, 생원生員 및 진사進士 또는 유학儒學으로서 예조에서 천거하여 파견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명단이나 재직 현황을 알 수 있는 기록은 없다. 따라서 현재 이들에 대한 기록은 온전히 낱장의 고문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적상산사고 참봉에 임명하는 고문서는 현재 5점이 확인되었는데 교첩이 1점, 첩이 3점, 관청으로 보낸 관關이 1점이다. 이 고문서들을 통해 적상산사고 참봉으로 서상신, 박정복, 이득서라는 인물 정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들 가운데 인물, 가계家系, 거주지가 명확하게 확인된 인물은 박정복과 이득서로 한정 되는데 박정복의 선원록청 첩은 진안 지역에서, 이득서의 춘추관 첩은 무주 지역에서 유일한 사례이다. 특히 박정복의 사례는 적상산사고와 관련한 유일한 선원록청 발급 첩으로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이 외에도 참봉 임명첩 발급이 춘추관과 선원록청으로 구분되고 있는 점, 임명은 대부분 8~9월에 집중된 점, 공명첩이 공공연하게 발급된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고참봉은 9품이라는 품계 때문에 세인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을 수밖에 없었지만 조선왕조실록 수호를 위한 최측근이라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인물들임에 틀림없다. 뿐만 아니라 조정에서 끊임없는 국난을 우려한 나머지 지속적으로 사고를 수호·관리하여 왔다는 점에서도 이들의 존재는 가볍지 않다. 따라서 고문서와 같은 1차 사료의 축적을 통해 조선왕조실록 수호의 제1선을 지켰던 사고참봉들의 인명록[史庫參奉案]이 마련되어 가기를 기대한다.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Joseon wangjo sillok) is a vast collection of dynastic records which chronicles 472 years of Joseon’s history over the 25 successive reigns from Taejo to Cheoljong in its 1,893 fascicles in 888 volumes. This paper examines records on officers (chambong) at the historical archives who were practically in charge of preserving and protecting the Annals, in the context of a larger question about how values and entirety of the Annals could be preserved. Primary sources such as letters of appointment for the archives officers and other related documents were selected for study with a focus on the Jeoksangsan Mountain Historical Archives, located in Muju County, North Jeolla Province. Five documents of appointment for officers of the Jeoksangsan Archives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allowing the identification of three appointees: Seo Sang-sin, Park Jeong-bok and Yi Deuk-seo. The warrant for Park Jeongbok is the only such example found in the Jinan County, and that of Yi Deuk-seo the sole example in Muju. The former retains particular historical significance, as the only Jeoksangsan Archives-related official document issued by Seonwollok-cheong (Office of Royal Genealogy). These letters moreover reveal that warrants for archives officers were issued alternately by Chunchugwan (Office for Annals Compilation) and Seonwollokcheong, new appointments most frequently occurred in August-September, and that blank status warrants (gongmyeongcheop) were openly issued by purchase. Although Joseon’s historical archives officers have drawn little scholarly attention for their low ranks, their significance as direct custodians of the Annals can hardly be underestimated.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三韓 개념에 대한 고찰

        이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0 사총 Vol.100 No.-

        The Samhan concept has changed along with the cultural changes that might have taken place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diverse meanings of Samhan may appear in the historical documents of Korea. Therefore, the meanings of Samhan in the historical documents need to be analyzed carefu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amhan concepts correctly. This study deals with the Samhan concepts that appear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Annals, recorded for about five hundred consecutive years, may be one of the most highly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for studying the diversity of Samhan concepts. In the Annals, the term Samhan appears three-hundred-and-forty-five times: just once as the name of the three countries(Mahan, Jinhan, and Byunhan); four occurrences as the three countries that come just before the three states(Goguryeo, Baekje, and Shilla). In the Annals Samhan is named as our country two-hundred-and-fifteen times, while Samhan is called as Joseon country by foreigners thirty times. Samhan is also used as an official title(name) for position, founding member, money, and book sixty times in the Annals. Furthermore, in the articles of Annals the age of Samhan is unclear for thirty-three times, and is not correct for two occurrences. It has been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Samhan concepts are very diverse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三韓개념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에 따라 변화하였다. 그래서우리나라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은 다양한 개념을 갖는다.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에 대한 분석은 삼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삼한 개념을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조선왕조실록』은 500여 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만들어진 사료로서 삼한 개념의 다의성을 고찰하는 데 매우 적절하고 유용한 고문헌이라고 판단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三韓이 345번이나 등장한다. 그중에 삼한이 마한・진한・변한의 국호를 분명하게 가리키는 경우는 단지 1번뿐이고, 삼한이 삼국보다 앞선 실체임을 분명하게 명시하는 경우는 겨우 4번뿐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삼한이 우리나라라는 뜻을 갖는 경우가 215번이나되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조선을 삼한이라고 칭한 경우는 30번이나 된다. 또한 삼한을 직위・공신・화폐・서적 명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60번이나 된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에는 삼한이 가리키는 시대가 불분명한기사가 33번 등장하고, 고려 태조 왕건이 마한・진한・변한의 삼한을 통합하였다는 잘못된 기사도 2번 등장한다. 고문헌 자료에서 최초로 언급되는 한반도 종족들은 마한・진한・변한의삼한이다. 그런데 마한・진한・변한이라는 세 종족이 한반도에서 일어난문화변동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논의는 한반도 고대사 이해의 중요한 과제라고 본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삼한이 매우 다양한 개념을 갖고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조선왕조실록』 의 삼한 개념이 이처럼 다양한 것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으로 인하여 삼한 개념이 점차 변화하였기 때문이고, 그러한 삼한 개념의 변화가 『조선왕조실록』에 투영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과 해괴제등록 분석을 통한 황충(蝗蟲)의 실체와 방제 역사

        박해철,한만종,이영보,이관석,강태화,한태만,김태우,Park, Hae-Chul,Han, Man-Jong,Lee, Young-Bo,Lee, Gwan-Seok,Kang, Tae-Hwa,Han, Tae-Man,Hwang, Seok-Jo,Kim, Tae-W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조선시대의 기록인 조선왕조설록DB와 국역 해괴제등록(國譯 解怪祭謄錄)을 통해 역사적인 해충인 황(蝗) 또는 비황(飛蝗)으로도 불리는 황충(蝗蟲)의 발생상을 분석하여 그 실체를 밝히고 황충의 방제사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황충발생기사 건수는 조선왕조실록 총 261건, 해괴제등록 65건이 있었다. 조선시대 전체를 통해서 황충의 발생기사 건수는 4차례의 피크가 있었는데, 조선초기인 태조-세종대에 가장 발생 빈도가 높았다. 조선왕조실록과 해괴제등록의 황충 기록을 비교한 결과, 해괴제등록 65건으로 조선왕조실록 37건에 비해 월등히 많았지만, 사건기록의 일치성은 낮았다. 조선시대 황충의 개념은 곡식해충뿐 아니라 소나무 등 산림해충까지 포함하는 것이었으며, 해괴제등록의 경우, 충재 중 80%가 황충으로 언급되어 있었다. 따라서 황의 개념은 Saigo (1916, 1937)의 주장이 합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체 황해(蝗害) 기사 261건 중 9.5%인 25건에서 황충의 분류학적 실체를 추적할 수 있었는데, 멸강나방 11건, 나방류 9건, 이화명나방 2건, 풀무치 2건, 벼멸구 1건, 벼물바구미 1건으로 Paik (1977)의 주장과 상당부분 일치하였으며, 황충=풀무치 또는 메뚜기류란 주장은 타당성이 낮았다. 조선왕조실록에서 황충 기사 중 출현보고는 173건으로 전체의 66%이고, 출현보고의 47%가 단순보고로서 황충발생의 보고 자체가 매우 중요했음을 의미했다. 황충의 방제대책은 발생보고건수의 20%(34건)로 낮았고, 주로 포획법이나 포제를 올렸으며, 단지 1건의 예방법이 세종대에 기사화 되었다. 황해로 인한 정책수행이나 계획의 변경 논의가 37건 있었는데, 주로 백성의 구휼이나 세금 감면이었고 군사훈련 중지, 축성 중지 등 백성 동원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황충피해는 백성뿐 아니라 국왕에게 영향을 미쳐 성종의 경우 10건의 기사에서 황충방제의 스트레스를 언급하였으며, 정종 대에는 선위에 간접적 영향이 있음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We tried to establish the history of outbreaks and control methods of 'hwangchung' in Joseon Dynasty, uncovering the biological reality of the 'hwangchung' (called hwang or bihwang) analyzed through the Database program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Emollment of Haegoeje', two of the finest examples of classical historical records.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on the outbreak of the hwangchung is 261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65 in the Emollment of Haegoeje. There were four peaks by hwangchung throughout the Joseon Era. Among them, the periods of King Taejo to King Sejong had the highest incidence. By comparing the number of records of the hwangchung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at in the Emollment of Haegoeje during the same period, results show the former was less than the latter, 35 vs 65. However, both records were relatively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Insect pests in forests as well as in agriculture were included in the biological identities of the hwangchu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s,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ose of Saigo's. The taxonomic identity could be confirmed in only 25 cases (9.5%) among the articles on hwangchung. It largely coincided with Paik's opinion: II in armyworm, nine in moth larva, one in rice stem borer, two in migratory locust, one in planthopper and one in rice-plant weevil. Therefore, it is not reasonable to regard hwangchung as a migratory locust or grasshopper only. The number of reports on the occurrence of hwangchung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as 173 (66% of the total) and 47% of them were just simple reports, which means the report itself on the appearance of hwangchung was very significant. The reports on controlling insect pests were of low frequency, in 20% (34 cases) of the total reports, capturing insect pests or holding traditional ceremony called 'Poje'. Among them, only one case related to the treatment of seeds to prevent the damage by hwangchung was published in the King Sejong period. There were 37 discussions about changes and management of government policies due to disasters by hwangchung. They were mostly about relief or tax cut to the people who suffered damage and about cancellation of recruiting people to military training, constructing castles, and so on. It seems that not only the people but also the king was influenced by the hwangchung. In the case of King Seongjong, he referred to the stress of the prevention measure of locusts in 10 articles. The damage also had an effect on abdication in the reign of King Jeongjong.

      • KCI등재

        『朝鮮王朝實錄』의 ‘百尺竿頭’ 의미 고찰

        嚴美鏡(明俊)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2 No.-

        중국 당대(唐代)의 장사 경잠(長沙景岑) 선사의 게송에서 비롯한 선종언어(禪宗言語)로서 중국과 한국에서 사자성어(四字成語)로 발전한 ‘백척간두(百尺竿頭)’는 세간사 다방면에서 종 종 비유되어 사용되고 있고, 역사 문헌 속에서도 흔히 비유되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최고 의 위치’나 ‘최상의 경지’를 뜻하는 의미로 통용되는 중국에 비해, 한국에서는 ‘위태로운 지경’, ‘절체절명의 상황’이나 ‘진퇴양난의 입장’을 떠올리게 되는 연유가 무엇인지를 고찰하기 위하 여 『조선왕조실록』 에서 그 용례들의 의미를 구분 지어 고찰하고, 『승정원일기』 에서도 그 의 미의 분포를 간단히 나누어 보았다. 『조선왕조실록』 에서 살펴본 용례 중에서 ‘백척간두에 이 르다’라고 비유한 것은 ‘어떠한 상황이 백척간두의 높은 곳까지 치닫다’는 의미에서 ‘위태로운 상황이 그 높은 곳까지 이르다’는 의미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정조대에서는 ‘백 척간두’가 ‘위태로운 형국’에 비유되기도 하였지만, ‘백척간두진일보’가 ‘학문과 덕망이 이미 높은 경지에 이르렀으나 더욱더 분발하고 향상하다’라는 의미로도 비유되었다. 외세의 침입과 안정의 시기를 거듭하며, 같은 어원을 가진 언구가 문화와 상황에 따라 그 의미가 달리 변모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중국 양국 간의 동일한 사자성어가 소통의 부재로 인하 여 변용되기도 하였으므로, 향후 한중 인문학의 교류와 연구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고조되어 야 할 것이다. ‘百尺竿頭(Baekcheokgandu[Chinese; bǎi chǐ gān tóu]; the summit of a bamboo pole of one hundred Cheok[尺]; the best state)’ was based on a Seon language which was developed into four-character idiom in China and Korea from the Seon poetic word of Zhangshajingcen(長沙景岑; ?-868), Seon master of the Tang Dynasty. And it was founded that ‘百尺竿頭’ was often used in various aspects of the world and talked by metaphor in historical literature. Compared to China’s situation that ‘百尺竿頭’ is commonly used to mean “the best level” or “the best location”, it is used to mean “the precarious situation”, “the situation of desperation” or “the position of dilemma”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reasons, the meaning of the examples was considered into the Joseon Dynasty’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and briefly divided the distribution of the meanings in the Seungjeongwon Diary (承政院日記). When I looked at the example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 could find that the meaning of “arrived at 百尺竿頭” is transferred to “reached a dangerous situation” in the sense of “reached at high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in Joseon Dynasty, “百尺竿頭” was talked metaphor to “the critical situa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Baekcheokgandujin-ilbo (百尺竿頭進一步; One step further from the best)” talked metaphor to “the study and virtue have already reached a high level, but it is more eager and improved.” Through the period of foreign invasion and stability, it can be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phrase with the same etymology has changed according to culture and situation. In addition, since the same four-character idiom between Korea and China was changed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I think that more interest in the exchange and research of the human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be further heightened in the future.

      •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지산 조호익의 행적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 2023 교육학논총 Vol.44 No.0

        이 연구는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조선 중기 유학자 지산 조호익의 행적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조호익과 관련된 기록은 선조실록 26권(선조 25년, 1592년, 5월 8일, 9번째 기사) “사면령의 시행과 인재의 서용”에 처음 등장한다. 마지막 기록은 고종실록 1권(고종 1년, 1864년, 7월 9일, 3번째 기사) “남연군 등의 시호를 고치거나 새로 주는 초안”에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조호익이 등재된 기사는 총 26건으로 선조실록(선조수정실록 1건 포함)에 20건, 인조실록 1건, 현종실록(현종개수실록 포함) 2건, 숙종실록1건, 고종실록 2건이다. 26건 모두가 조호익의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과 목민관으로서의 치적, 서원 사액, 증직과 시호 등과 관련된 기사로 부정적인 내용은 단 한 건도 없다. 조선왕조실록과 조호익의 연보를 종합하면, 조호익은 모함으로 17년간 억울하게 전가사변을 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학문의 불모지였던 관서지역에서 후학양성에 전념하였다. 국가가 누란의 위기에 처한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장으로 혁혁한 공을 세우며 국난극복에 앞장섰다. 이조판서에 증직되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사액서원인 도잠서원과 학령서원에 배향되었으며 지산집을 남겼다.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다양한 사료에 기반하여 조선 중기 비운의 유학자이자 임진왜란 의병장으로 이례적으로 한반도 남북에 걸쳐 관서와 재경, 영천학맥을 형성한 지산조호익의 행적을 비롯한 학문과 사상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isan(芝山) Cho Ho-Ik(曺好益)’s footprint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Jisan was an outstanding Confucian scholar in mid Joseon dynasty. Jisan was recorded in a total of 26 storie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20 stories in Seonjo Annals(宣祖實錄), 1 story in Injo Annals(仁祖實錄), 2 stories in Hyunjong Annals(孝宗實錄), 1 story in Sukjong Annals(肅宗實錄), 2 stories in Gojong Annals(高宗實錄). All of 26 stories were about Cho Ho-Ik’s civilian army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administrative achievement as a governor, granting government post(贈職) and a posthumous epithet(諡號), etc. There was not a negative story about him at all. He overcame the pain living in exile for a long time by false accusation wisely and educated many disciples from Kwanseo and Yeongcheon areas. King Seonjo(宣祖) granted him the title of Kwanseobuja(關西夫子). He was granted a government post, the Minister of Interior(吏曹判書) and received a posthumous epithet, Mungan(文簡). He was dedicated a royally charted memorial hall named Dozamseowon(道岑書院) and Hakryungseowon(鶴嶺書院). He left the collection named Jisanjip(芝山集).

      • KCI등재

        조선 전기 도가사상 연구 -심기리편(心氣理篇)과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도가"를 중심으로-

        김윤경 ( Youn Gyeo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한국 철학논집 Vol.0 No.43

        조선 도가사상 연구는 지금까지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다루어져 왔다. 조선시대 5권의 『노자』주석서와 2권의『장자』 주석서가 모두 임진왜란 이후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선전기의 도가사상 전개를 고찰하기 위한 1차 작업으로 개국초기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정도전의 「심기리편」과 『조선왕조실록』의 『태종실록』에서 임란 이전까지 200여년 간의 사료 안에서 도가 사상에 대한 언급을 발췌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정도전과 권근은 도가를 ‘도덕이 없는 양생술의 추구’로 비판하였다. 도교와 불교의 비판 위에서 성리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조선왕조실록에서 도가는 세 가지 단계로 變容된다. 첫째는 ‘노자’를 장생의 사술, 신선의 방술, 도교의 최고 신으로 환치시켜 이단시하고 배척하는 단계이다. 둘째는 1차적인 배척의 논의에서 벗어나 도가사상의 핵심으로서의『노자』와 ‘신선술’ 및 기복신앙의 대상이 되는 ‘도교 신’인 ‘노자’와 분리해서 보려는 단계이다. 셋째 3차 논의는 『노자』의 정치술과 처세술에 대한 존숭으로 드러난다. 즉 조선 전기 도가 사상은 건국초기에서 15~16세기에 이르기까지 초기의 강력한 벽도불에서 벗어나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전개된다. 이러한 점은 조선 전기의 도가를 단순히 성리학의 도통관에 따른 이단논리로 해석할 수 없는 지점이다. 건국 초기의 벽이단론에서 도가에 대한 온정적 태도를 취하게 되고, 유학과 사상적으로 융합되는 처세술과 정치술을 수용하는 변화를 보인다. 즉 ‘老子’는 비도덕적인 長生不死의 탐욕을 가진 異端에서 유교국가의 처세술과 정치술로 수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은 조선 후기로 가면 道家書에 대한 적극적 해석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Until now, the studies researching the Taoism theories of Joseon Dynasty have mainly dealt around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The reason for that was because the 5 cribs of a book Lao Tzu and the 2 crib of a book Changzi were produced after the Imjin-Year Korean-Japanese War(壬辰倭亂,Imjin Waeran). Therefore this thesis extracted the mentions about Taoism from about 200-year history records from Jeong Do-Jeon`s Theory, which w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arly days of Joseon`s foundation and the history book King Taejong`s Annals(太宗實錄) containe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analyzed the extracted historic data as the first work contemplating how the Taoism theories were developed during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drew out the findings as follows. Jeong Do-Jeon and Gwon Geun sharply criticized the Taoism for that it pursued for the techniques of longevity for oneself without moral. They tri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neo-Confucianism on the foundation criticizing the Taoism and the Buddhism. Since then, the Taoism was transformed through the 3 stages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first stage was the stage transformed ‘Lao Tzu’ as the witchcraft master of long-live, the technique of the taoist hermit and the super god in Taoism, and regarded the Taoism as heresy and excluded the Taoism. Second stage was the stage trying to see the book Lao Tzu as the core of Taoism theory separately from the ‘Hermit Witchcraft’ and the ‘Taoist gods’ the target of fortune-pursue religion beyond from the primary discussion of exclusion. Third stage was revealed as the respects on the art of politics and the art of living described in the book Lao Tzu. That is, the Taoism theories in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was developed with various spectrums from the early days of Joseon`s foundation to 15~16 centuries beyond Joseon`s strong suppression against the Taoism and the Buddhism in early days. That is the point that the Taoism in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can`t be simply interpreted in the neo-Confucianism. During the firs half of Joseon Dynasty, the warm attitude toward the Taoism was created differently from the attitude against suppressing it as a cult, which had been created in the early days of Josen`s foundation, and there appeared the changes accepting the art of living and the art of politics theoretically integrating with the Confucianism theories. That is, the book ‘Lao Tus’ became accepted as the Confucian country`s arts of living and politics from a cult book pursuing for immoral log and immortal life. Such acception is revealed as the appearance actively interpreting the books about Laoism in the latter half o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조선왕조실록에서의 법 담론과 법문화 양상

        송영현 ( Young Hyun S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3 No.-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조선”의 기록이다. 사회, 과학, 경제, 문화, 정치, 교육 등 다방면의 영역에 걸쳐 조선의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역사적 진실성 또한 그 어떤 사료보다도 높다. 그리고 그 속에 사람이 있다. 500년을 이은 왕조의 흐름 속에서 개국 이후 10여 왕이 다스린 100여 년 동안 조선은 나라의 기틀을 이루고 사회를 안정시켜야 하는 귀중한 시간을 보냈다. 이즈음의 끝자락에 등장하는 임금이 연산군이다. 세인들이 조선의 왕들 중에서 세종대왕만큼이나 자주 떠올리는이가 그다. 그만큼 역동적인 인물이었고, 기행이 난무하는 인물이 연산군이었다. 그와 관련한 수없이 많은 이야기 거리가 등장했다. 이러한 모습을 <조선왕조실록>, 곧 <연산군일기>에서 상세히 살필 수 있다.연산군이 재위하던 시기는 조선의 정치체제가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울 정도로 어지러웠다. 특히 연산군 4년(1498년)에 발생한 무오사화와 연산군 10년(1504년)의 갑자사화는 조선 사회의 단면을 여실히 보여주는 일대 사건이었다. 이러한 사건의 전개 속에서 법은 개인이 가진 정당한 삶의 또 다른 도구이자 지배자가 가진 무기였다. 그 속에서 펼쳐지는 치열하고 처절한 논쟁은 그 자체로 법 담론의 일부를 이룰 정도이다. 조선은 왕과 주류 신하들, 그리고 언관들이 정치적인 의견을 조율하고 협력하며 대립했다. 실록에서 펼쳐진 이들의 담론 속에는 또한 당시의 문화가 고스란히 자리 잡고 있다.<연산군일기>는 새로운 세력이 등장한 후 기록되어 사정이 있을 수밖에 없지만, 예서제서 비추는 “법에 의해 죄를 다스리라”는 언명은 조선의 사정에 비추어 충분히 생각해 볼 여지가 있는 표현이다. 왜냐하면 조선시대는 개인의 인격을 기초로 하는 덕치주의를 기반으로 삼았고,당대의 법은 규칙의 성격이 습윤되어 도덕이 스며 있었으며 여기서의 규칙은 예(禮)로서, 예는 곧 법이 되어 승인율의 유교적 규범화로의 규정이 자연스러웠기 때문이다. 때때로 법보다는 권도(權道)가 일을 처리하는 기준이 되었던 것도 도덕과 인의에 따른 시의의 반영이었던 셈이다.그리고 이 또한 담론을 빌어 발현되는 조선 법문화의 한 양상을 띠는것이었다.유교 국가였던 조선은 백성이 근본이라는 민본사상을 국가를 경영하는 통치철학적 측면에서 군주제와의 조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었으며,그에 내재한 정치적 구성 원리와 더불어 사회를 유지해 나아가야 하는 가족주의적 인륜관계의 형식을 추구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이러한 원리는 법제도를 포함하는 모든 국가제도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해 주는기본이었고, 그것이 나타난 모습으로서, 특히 법은 국가권력을 조화롭게 안배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법 이상의 사회질서와 생활을 규율하는 예규범의 존재를 빼놓을 수 없으며 이는 곧 예를 주로 하고 법을 종으로 하는 실천력을 갖게 했다.조선시대의 법은 가족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종법제도와 사회적 신분제도를 옹호·유지하면서 도덕적 삶을 장려했고, 유교적 질서에 충실한 현실적인 법제도를 통해 사회 계층의 요구를 받아들였으며, 그것이 곧조선의 법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사법제도의 운영으로 나아가게 된 셈이다. 이는 조선 시대 내내 전개된다. 다만, 연산군시기에 기준을 넘어서는 가혹한 형벌이 남발됐고, 그 시행이 더욱 가혹했다.담론은 역사적으로 형성되어 사회와 문화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행동의 한 형태다. 따라서 역사적규범적 요소에 치중해 문화를 정의할 때 문화의 한 부분으로 ‘법문화’를 끌어들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연산군일기> 속에 기록된 이와 관련한 언어적 담론은 결국 하나의 문화적 요소로 작용한다. The declaration, "Punish the sin according to the law" in < Yeonsangun Ilgi >, is an expression worth considering based on social circumstances in Joseon. As a Confucianism nation, Joseon was in need of searching for harmonization of people-oriented idea for how citizens were national owner with monarchy in terms of governance philosophy that managed the nation. Therefore, they were required to pursue family-oriented humanity relationship to maintain society as well as inherent political constitution principles. Of course, these principles shall provide the role and direction of all the national policies including legal system, and the law, as a representation of them, is needed to serve as a role of harmoniously distributing and adjusting national authority.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of mentioning the courtesy and norm that control the social order and lives beyond the law, and this has built practical power with a main component of courtesy and a secondary element of law. Law in Joseon Dynasty has promoted and maintained clan rules based on familism and social identity policy while pursuing moral lives and accepted requirements from social classes through realistic legal system that was based on Confucian order. This has become the operation of judicial system for realizing legal system in Joseon. This had been developed regardless of certain periods in Joseon Dynasty. However, since it was a period when Yeonsangun was in reign, there were severe penalties beyond the aforementioned boundary. Penalties were more severely executed, and the control system was to no avail at that time. Linguistic discussion related to aforementioned issue that was recorded in < Yeonsangun Ilgi > ended up serving as one particular cultural element. Discussion not only constituted society and culture as it was historically formed but also served as one particular form of social behavior. Therefore, when defining the culture specifically based on historical and normative elements, ``legal culture`` is accepted as a part of culture.

      • KCI등재

        조선 태조·정종·태종연간 가뭄 기록과 가뭄 상황

        이정철(李廷喆)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3

        오늘날 지구온난화 문제와 관련해서 기상과 기후의 장기적 변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결과 역사학 쪽에서도 장기간의 기상 및 기후 변동과 그것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런 학술적 경향은 산업화가 빨랐던 유럽과 미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시작되었고, 한국도 최근 그런 경향의 연구가 요청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전근대의 기상 및 기후 연구와 관련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국가적 수준에서 기상 및 기후현상을 500년 넘게 지속적으로 축적한 기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이 가지는 이러한 가치에도 불구하고, 조선왕조실록의 기상 및 기후기록을 그대로 오늘날의 통계수치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조선왕조실록의 기상 및 기후 기록은 오늘날과는 다른 목적에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록을 우리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려면 일종의 전환장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수많은 기후 및 기상 기록 중에서 특히 가뭄현상에 관한 기록에 주목했다. 그 일차적 이유는 전체 기후 및 기상 기록 중에서 가뭄 기록이 절반을 넘을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본 논문은 가뭄 기록 그 자체보다 가뭄에 대한 중앙정부의 대응에 초점을 맞추었다. 정부의 대응에도 수 십 가지 방식이 있었지만, 여기서는 특히 기우제·금주령·관형·사시라는 4가지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4가지는 가뭄이 지속되는 기간 중에 취해지는 조치였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며 태조·정종연간에는 가뭄이 흉년으로 이어진 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태종연간에도 태종4년까지는 그러한 흐름이 계속되었다. 하지만 태종5·7년에는 가뭄이 흉년으로 이어졌으며, 태종11년부터는 태종12~13년을 제외하고 가뭄에서 자유로운 해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태종11·15~16년에는 가뭄이 심각한 흉년으로 이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