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밈의 이해를 통한 모바일 네이티브 특성 분석 - 인터넷 밈의 생산·소비·재생산의 맥락을 중심으로 -

        주민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81

        인터넷 밈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흉내내기와 리믹스를 통한 다양한 모방과 결합 및 파생 또는 링크와 복사 등으로 원본 그대로 확산하고 공유함으로써 대중의 감성과 창의적 의미구성을 자극하는 대표적인 소통방식이다. 따라서 인터넷 밈은 소셜 네트워크 문화에서 성장한 세대, 네트워크 개인주의에 가장 익숙한 모바일 네이티브(mobile native)를 이해하는 단초가 된다. 소셜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사회적 존재’로 기능할 수 있는 기본적 조건이라는 사실을 가장 충실하게 수용하는 모바일 네이티브에게 세계에 대한 인식과 타자와의 소통은 소셜미디어들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거의 무제한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성향이 강하다. 그러므로 모바일 네이티브는 다른 세대에 비해 유동적 소비에 익숙하다. 모바일 네이티브에게 소셜미디어는 자기 세대 혹은 특정 커뮤니티에서 형성된 맥락에서만 이해할 수 있는 코드가 생산 및 소비되는 핵심적 공간이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맥락에 의해 생성된 코드는 일반적으로 특정 커뮤니티의 스타일과 분위기, 특정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형성된 맥락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이러한 코드들이 커뮤니티에 속한 다수에게 수용 및 활용되는 경우 인터넷 밈으로 전화될 가능성이 커진다. 그러므로 모바일 네이티브에게 내부적 코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전된 밈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도구로 기능하게 된다. 특정한 맥락과 코드에서 활성화되는 인터넷 밈의 특성은 한 사회의 특정 시기나 독특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지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밈을 ‘문화적 아이디어의 집합체’로 이해한다면 집합체를 구성하는 개별적 요소들의 분석을 통해 집합체를 생성한 한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의 내용과 의도를 이해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 자료들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능성은 인터넷 밈을 유희만이 아니라 자기 표현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모바일 네이티브에 대한 이해와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터넷 밈에 대한 연구는 인터넷 밈을 창작·변형·향유하는 모바일 네이티브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이해하는데도 적지 않은 기여를 할 수 있다. Internet memes are a typical form of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at stimulates public emotions and creative meaning-making through imitation, remixing, combining and derivation, or linking and copying to spread and share the original. Internet memes are thus a key to understanding mobile natives, a generation that grew up in social network culture and is most familiar with networked individualism. For mobile natives, who most fully embrace the idea that being "connected" to social networks is a fundamental condition for being able to function as a "social being,"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 and their interaction with others is driven by social media, so they are inclined to consume almost unlimited amounts of digital content. Mobile natives are therefore more accustomed to fluid consumption than other generations. For mobile natives, social media is a key space where codes are produced and consumed that can only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ir generation or a particular community. Thus, the codes generated by different contexts on social networks are usually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tyle and tone of a particular community and the context created by a particular communication process. When these codes are accepted and utilized by the majority of the community, they are more likely to be called internet memes. Therefore, for mobile natives, internal codes and the evolved memes based on them function as important communication tools. The nature of internet memes, which are activated in specific contexts and codes, can be a point of reference for understanding a society at a particular time or unique situation. Furthermore, if internet memes are understood as "aggregates of cultural ideas," the individual elements that make up the aggregates can be analyzed and used as concrete, tangible resources to understand the content and intentions of the various voices in a society that created them. This possibility also means that Internet memes can be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mobile natives who use them not only for entertainment but also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Thus, the study of Internet memes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understanding the digital literacies of mobile natives who create, transform, and consume Internet memes.

      • KCI등재

        정보자원으로서 ‘밈’의 맥락과 실재 -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

        홍소람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3

        이 연구는 디지털 혁명으로 인해 변화한 정보 환경에서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정보자원으로 밈을 개념화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자원으로서 밈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밈의 맥락과 실재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연구문제로 환원시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밈’은 어떠한 주제들과 함께 연구되는가? 둘째, 어떠한 것들이 ‘밈’으로 포착되어 연구되는가? 연구문제를 소명하기 위해 국내 밈 연구 145건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동시출현빈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중 73건을 대상으로 밈 사례 275개를 추출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밈은 인문학, 사회과학, 복합학, 예술체육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었다. 또한 연구 초기에는 Dawkins의 밈 개념을 토대로 한 이론 연구(2012년 전후), 한류 콘텐츠 확산을 설명하기 위한 밈 개념 도입 연구(2015년 전후), 문화사회학의 주요 연구 주제로서 밈 개념의 독자적 연구(2019년 전후)가 이루어졌다. 둘째, 밈은 언어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언어 밈(L-meme)(102건, 37%)과 언어․시각 밈(LV-meme)(23건, 8%), 언어․시․청각 밈(LVM-meme)(21건, 8%) 등 언어 양식에 기반한 밈이 다수였고, 동시출현빈도 네트워크의 빈도․연결중심성․매개중심성 상위 노드에도 language meme(언어 밈) 키워드가 등장했다. 즉, 밈은 언어적 특성을 토대로 한 문화사회학의 고유한 정보 현상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정보자원으로서뿐만이 아니라 정보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밈 리터러시를 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conceptualize memes as information resources for literacy education in information environment changed with digital revolution. The study is to explain the context and reality of memes in order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memes as information resourc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topics are ‘memes’ studied with? Second, what things are captured and studied as ‘memes’?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on 145 domestic studies and contents analysis on 73 domestic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mes were mainly studied in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interdiciplinary studies’, and ‘arts and kinesiology’. Studies based on Dawkins’ concept of memes (around 2012), studies on introducing the concept of memes to explain the spread of Korean Wave content (around 2015), and independent studies of memes as a major research topic in cultural sociology (around 2019) were performed. Second, memes are linguistic. Language memes (L-memes) are 102 (37%), language-visual memes (LV-memes) are 23 (8%), language-visual-musical memes (LVM-memes) are 21 (8%). Keyword ‘language meme’ ranked high in frequency,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co-occurrence network. In other words, memes are expanding as a unique information phenomenon of cultural sociology based 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conceptualize meme literacy in terms of information literacy.

      • KCI등재

        현대 모뉴멘트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밈(Meme)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윤은경 ( Yeankyung Yun ),남선영 ( Seonyeong Na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문화콘텐츠를 통해 융합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창조와 융합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문화산업이 탄생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현대 건축에서는 버려지고 잊혀져가는 건축물의 역사성과 상징적 가치를 재현하는 시도를 하며 도시와 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밈(Meme)은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개념 중 하나이며, 이러한 문제점 극복하기 위해서는 밈(Meme)을 통한 새로운 문화적 접근과 건축의 재해석을 통해 기존 건축물을 현대 모뉴멘트 전시시설로 탈바꿈시켜 공간에 나타나는 밈(Meme)적 표현특성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방식의 공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모뉴멘트 공간의 잠재성이 드러나는 현대 메모리얼의 장소성을 대표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10년 이내의 해외사례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밈(Meme)의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표현특성을 구분함으로써 밈(Meme)적 의미와 요소를 도출하여 제안한 분석틀을 기준으로 대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도출된 표현특성 요소에 따라 공간을 구성하는 구축적·연출적 요소를 분석요소로 분류하여 밈(Meme)의 진화단계에 따라 표현특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미메시스는 장소성을 전시의 대상 및 주체로 치환하여 재해석하거나 장소의 상징성과 공간형성의 매개체적인 역할을 하는 건축공간으로 분류하여 공간의 본질적 이해를 먼저 필요로 하는 단계로 정의하며, 구·신요소의 복제, 결합에 의해 복합성과 변이의 가능성을 나타났다. 메타밈은 변이의 배경이자 주체로 요소와의 관계로 인해 지역·문화적 맥락으로 지속적인 진화가 이뤄지며, 확산적 성향과 함께 사람과 공간이 소통하는 상호 관계적 특징을 띠며 공유성과 잠재성을 지닌 상징적 공간의 형태로 정의할 수 있는 공유공간으로 분류된다. 이는 밈(Meme)의 구조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결론) 이상의 연구를 통해 현대 모뉴멘트 공간과 같은 잠재적 의미와 상징성을 갖는 현대 메모리얼의 장소성을 대표하는 공간을 계획함에 있어 전시공간계획 시 밈(Mene)적 표현특성이 전시시나리오의 전개 및 공간연출의 표현요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공간과의 긴밀한 관계성과 적용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fusion trend spreads across cultural contents, a new type of cultural industry is being created through creation and fusion. These social changes have led to a new paradigm of city and architecture being presented by attempts to reproduce the history and symbolic value of buildings abandoned and forgotten in the face of modern architecture. Meme, a X,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cepts for analyzing this phenomenon. To overcome the related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a new cultural approach through Meme, as well as a spatial approach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me appearing in the spaces after the existing buildings were transformed into modern monument exhibition facilities, through a reinterpretation of architecture. (Method) This study selected overseas cases in the last 10 years, with a focus on those representing modern memorials, to reveal the potential of monument spaces. We then derived the meaning and elements of Meme and then classifi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Meme. According to the derived expressive characteristics, we classified the constructive and directive elements that constitute space as the analysis elements,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expre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age of evolution of Meme. (Results) We reinterpreted Mimesis by replacing the place with the object and subject of the exhibition or defining an essential understanding of space as a necessary step. First, we categorized it as an architectural space tha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symbolism of place and space formation. Second, we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complexity and variation by cloning and combining old and new elements. Meta meme is a background, subject to mutation and constantly evolving into a local and cultural context owing to its relationship with elements. It is classified as a shared space that can be defined as a form of symbolic space with mutual relations to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and space, and communicating diffusive tendency, sharing, and potential. It is judged to be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structure of Meme. (Conclusions) In designing a space representing a place for modern memorials and with potential meaning and symbolism, such as a Modern Monument space, it is expected that Meme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planning can be utilized as an expression e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scenarios and space presentat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e close relation between space and applicability.

      • KCI등재

        읽기 밈과 읽기 교육

        김도남 ( Kim Donam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6

        이 논의는 밈(meme)의 관점에서 읽기와 읽기 교육의 방향을 살폈다. 밈은 문화의 변화를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말이다. 밈은 진화생물학자인 도킨스가 유전자(gene)와 대비되는 말로 만든 것이다. 명시적으로는 세포처럼 다음 세대나 다른 사람에게로 전달되는 문화의 단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밈은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문화 전달을 설명하는 인식 체계로 확대 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밈을 읽기와 관련지어 볼 수 있다. 읽기도 문화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변화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읽기의 특성을 가리키는 말이 ‘읽기 밈’이다. 세포가 생물학의 단위이면서 생물의 진화를 설명하는 인식 체계이듯 읽기 밈은 읽기의 진화를 설명할 수 있는 인식 체계인 것이다. 학교의 읽기 교육은 학생들이 읽기 밈을 복제하고 운반하게 하는 대표적인 곳이다.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읽기 밈을 복제하게 된다. 그리고 읽기 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읽기를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읽기 교육을 읽기 밈의 복제와 운반으로 보면, 읽기 교육은 기존의 관점과는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이는 읽기 교육의 변화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읽기 밈을 교육하기 위한 접근의 방향을 ‘읽기를 내부에서 보기, 다양한 읽기 밈을 교육 내용으로 선택하기, 읽기를 진화의 관점에서 교육하기’ 등으로 검토하여 보았다. 읽기 밈은 읽기와 읽기 교육을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게 하는 속성을 지녔다.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This discussion looked at the direction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meme. Meme explains cultural change in terms of evolutionary biology. Meme is an evolutionary biologist, Richard Dawkins, who makes a contrast to a gene. This meme is a unit of culture that is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or another person like a cell. This meme has been expanded and used as a recognition system that explains cultural transmission in terms of evolutionary biology. This meme can be associated with reading. Reading has cultural attributes and changes. It is the 'reading meme' that indicates the characteristic of this reading. As a cell is a unit of biology and a recognition system that explains the evolution of living things, read meme is a cognitive system that can explain the evolution of reading. The school is a typical place where students are allowed to copy and ship reading meme. Students will copy the reading meme from the teacher. And in the course of carrying the reading meme, the students read. Therefore, reading education as a copy and transporter of reading memes requires a different approach from that of existing methods. This means that a change in reading education is needed. This means that a change in reading education is needed. I looked at the direction of approach to educating reading meme as 'looking at reading from within, choosing quality reading meme as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 Reading Meme makes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look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re should be various discussions on this.

      • KCI등재후보

        밈(meme)의 현상이 문화에 수용되는 공간적 구조

        윤일,조벽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4 No.3

        본고에서는 밈에 공간의 구조를 제시하기 전에 밈의 구조를 변이, 결합, 복합체, 복제, 배제로 설정하였으며, 각 개체의 성질을 설명을 통해 밈의 기본적인 특징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또한 밈의 문화적 구조를 사회성, 전수성, 공유성으로 분리하여 문화의 특징과 밈의 성질을 연계하여 공간적 구조를 분석하는데 전초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밈의 공간적 구조를 장소성, 확장성, 움직임으로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사례를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현대에 와서 우리의 생활환경이 물질중심의 인문환경으로 바뀌면서 나타나는 정서적 혼란과 이타주의 상실은 삶의 획일화, 비인격화, 몰 개성화로 변화하였다. 이에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인간과 문화의 소통과 향유로의 갈망은 뉴어버니즘(New Urbanism)운동을 낳았다고 볼 수 있다. 문화는 행복감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의 인문환경에 자연생활환경과 문화생활환경의 도입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set the structure of meme as variation, combination, complex, and exclusion prior to suggesting the spatial structure of meme, and attempt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basic properties of meme through explanation of attributes of each object. It also serves as an outpost in analyzing the spatial structure by separating the cultural structures of meme into sociality, receptibility and public domain and then connecting the cultural properties and the attributes of meme. This study suggested the spatial structure of meme as having site -specificity, expansibility and movement and presented the examples of them in the form of pictures by stage. Our life environment in modern times has been changed from materialism to humanist environment, and as a result emotional disorder and loss of altruism have been changed into standardization, personalization and individuation of life.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a desire for communications between human beings,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and between human being and culture and the related enjoyment has generated New Urbanism. Since culture is connected with happines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atural life environment and cultural life environment in the present human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m through constant study.

      • KCI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Memes on Social Media

        손현영,전재훈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2 No.3

        Recently, the spreading of various fashion content on social media such as Instagram and TikTok has developed into a phenomenon of rapid information sharing. The various fashion content being shared include users’ personal opinions, trending humor, and social controversies that spread through the addition of phrases and editing of images. This is called a ‘fashion meme’, and just as human genes transmit biological information through replications, the sharing of memes delivers information through imitation and rapid modification. Meme sharing is creating a new cultural phenomenon form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by generations who value fun and easy connections. Fashion-related memes appear in diverse forms on social media, and the process of content imitation and transfer has rapidly accelerated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essential nature of a meme which is imitated and reproduced and that of the fast-changing social media. This study conducted a case analys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memes on Instagram and TikTok. First, fashion memes that induce communication about outfits and looks, and memes that raise social issues related to fashion could be seen as two types of memes with different subjects. Second, there were three comm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memes on Instagram and TikTok, which were spontaneity of social media users caused by subjective sharing of fashion memes, topicality due to people’s sharing of widely known fashion contents, and criticism in sharing personal opinions about fashion. Although the forms of fashion memes in both media were different, information on fashion was to be delivered, and users who shared it perceived fashion memes as a communication medium.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ole of fashion memes as a cultural communication medium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actively appearing in the field of fash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the subject of fashion memes and social media users.

      • KCI등재

        바이오 아트 : 생명 미학적 밈 복합체들의 앙상블

        신종천 ( Shin Jong Cheon ),윤준성 ( Yoon Joon 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예술과 밈(meme)의 관계를 살펴보고, 바이오 아트의 미학적 가치를 밈의 진화적 프로세스를 이용해 고찰한다. 밈의 관점에서 보면, 예술은 밈 복합체들이 보다 넓은 인간의 뇌 공간을 차지하기 위하여 경쟁을 벌이는 영역이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 아트는 자연의 생명력을 통해 인간의 감성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생명 미학적 밈이 진화의 과정을 거쳐 새롭게 도달한 영역이다. 이 새로운 영역은 예술과 과학, 그리고 기술의 모호한 경계에 서 있지만 생명을 다루고 살아있는 예술의 구현을 갈망한다는 점에서 생명 미학적 밈을 분명하게 포함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밈들이 보통 기본적인 내용의 맥락을 갖춘 상태에서 선택과 조합을 통해 밈 복합체로 결합되듯이, 바이오 아트 속에서 밈 복합체가 형성되는 과정 또한 기본적인 생명 미학적 밈을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밈을 선택하고 결합한다. 그것은 에두아르도 카츠(Eduardo Kac), 피터 게르빈 호프만(Peter Gerwin Hoffmann), 마르타 데 메네제스(Marta de Menezes)의 바이오 아트 작품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생명 미학적 밈은 카츠의 < GFP Bunny >에서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이 오브제를 다루는 방식과 결합하여 조합형 밈 복합체를 형성하고, 호프만의 < Microbes by Kandinsky >에서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의 생명 형태 추상을 연장시켜 증폭형 밈 복합체로 진화한다. 한편, 메네제스의 < Decon >에서 그 생명 미학적 밈은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의 기하학적 추상을 소멸시키는 과정을 통해 역발상의 밈 복합체로 새롭게 구성된다. 따라서 바이오 아트 작품들 속에서 밈 복합체가 구성되는 과정은 생명 미학적 밈이 다양한 형태의 선택과 결합을 통해 앙상블을 형성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eme, and considers the aesthetic value of bio art by using the evolutionary process of meme. From the viewpoint of meme, art is an area where the meme complexes compete with each other to occupy the wider human brain space. In particular, bio art,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is a new area where bio aesthetic memes, which lead to human emotional changes through the vitality of nature, have arrived through the process of evolution. Although this new area is at the vague boundary between art, science and technology, it clearly involves bio aesthetic memes in that it deals with life and aspires to the realization of living art. Interestingly, just as memes usually result in meme complexes through selection and combination on the basis of the fundamental contents, the process of forming the meme complexes in bio art includes selection and combination of various memes on the basis of bio aesthetic meme. It can be seen in the works of bio art by Eduardo Kac, Peter Gerwin Hoffmann and Marta de Menezes. The bio aesthetic meme evolves into the combination memeplex by combining Marcel Duchamp`s way of dealing with objects in Kac`s < GFP Bunny > and the amplification memeplex by extending the biomorphic abstraction of Wassily Kandinsky in Hoffmann`s < Microbes by Kandinsky >. In Menezes` < Decon >, on the other hand, the bio aesthetic meme evolves into the contradiction memeplex by deconstructing the geometric abstraction of Piet Mondrian. Thus, the process of organizing meme complexes in the works of bio art shows how bio aesthetic memes create an ensemble through various selection and combination.

      • KCI등재

        영상 매체를 통한 ‘진짜-가짜 대결’ 밈(meme)의 전승 양상

        나지영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6

        In this study, the prototypical structure of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and its various transmission aspects are analyzed.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one of the most socially and culturally successful meme. In chapter 2, the prototypical structure of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analyzed through the folktale <Did’t you know the penis of the mouse?>. Folktales have been stored in the brain for many years in a form that enables long-term memory as they have been passed from mouth to mouth. Folktales, which are still carried through various media, are in themselves ‘successful’ memes. Therefore, folktales are the best data for revealing the true nature of cultural genes stored in people’s brains. The important feature that appears in the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people’s hidden desire on real’. And the fact that the real kicked out by the fake regains its position is a key feature in the prototypical structure of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n chapter 3, various transmission aspects of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are analyzed focusing on visual media. Visual media is the ‘replication tool’ of a meme that is most effectively used in modern society. Text delivered through visual media such as TV can clearly show how cultural genes from folktales are preserved and passed down in modern culture. This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found in lots of various media text such as the movie <Masquerade>(2012), and the TV show <Hidden Singer>. As a result, the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able to confirm that the fake i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structure where the real and the fake coexist together, and the fake is gradually regenerated as a new real.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수많은 밈(meme, 문화적 유전자) 가운데가장 성공적이라 할 수 있는 ‘진짜-가짜 대결’ 밈에 주목하여, 그 원형적 구조를 밝히고 다양한 전승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민담 <쥐 좆도 모른다>를 분석하여 ‘진짜-가짜 대결’ 밈의 원형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효과적인 밈일수록 충실도가 뛰어난 ‘장기기억’을 만들어내는데, 현재까지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승되고 있는 민담은 그 자체로 ‘성공적인’ 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민담은 사람들의 뇌 속에 저장되어 있는 밈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최적의 자료가 된다. 분석 결과, ‘진짜-가짜 대결’ 밈에서 나타나는중요한 특징은 ‘자신들이 원하는 모습을 보여준 가짜를 진짜로 믿는 주변 사람들의숨겨진 소망 내지 욕망’이었다. 또한 가짜에 의해 쫓겨난 진짜가 자신의 자리를 되찾는 것이 ‘진짜-가짜 대결’ 밈의 원형적 구조에 나타나는 핵심적 특징이었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영상매체를 통해 전승되는 ‘진짜-가짜 대결’ 밈의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영상 매체’는 현대사회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밈의‘복제 도구’이다. 오늘날 가장 효과적인 밈의 전달 수단인 영상 매체를 통해 보존되고 있는 밈은 높은 생존가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그만큼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미칠 수 있는 ‘강력한 심리적 매력’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매체를 통해 전파되는 다양한 텍스트 가운데서도 한국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와 TV 프로그램 <히든싱어>에 주목하여 ‘진짜-가짜 대결’ 밈의 전승 양상을 살펴보았다. 민담 <쥐 좆도 모른다>에서 확인된 ‘진짜-가짜 대결’ 밈은 진짜가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을 큰 축으로 하였으나, 영화 <광해>에서 발견되는 ‘진짜-가짜 대결’ 밈은진짜 보다도 더욱 성장한 가짜가 ‘새로운 진짜’가 되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히든싱어>에는 ‘진짜-가짜 대결’ 밈의 다양한 양상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그것은 진짜가수가 우승하기를 바라는 소망과 가짜 가수가 새로운 우승자로 태어나기를 바라는소망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진짜가 자신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도 하고, 가짜가 새로운 진짜로 거듭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진짜-가짜 대결’ 밈은 진짜가 자신의 자리를 되찾아 가는 원형적 구조에서 점차나아가 가짜가 새로운 진짜로 거듭나며, 진짜와 가짜가 함께 상생하는 구조로까지변이되어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인터넷 밈의 버내큘러 디자인적 특징 -개구리 페페 사례를 중심으로-

        박상권 ( Park¸ Sangk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인터넷 밈은 온라인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중요한 시각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인터넷 밈과 밈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 밈의 응용과 효과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밈의 개념 고찰을 기반으로 인터넷 밈에 나타나는 버내큘러 디자인적 특징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는 문헌 연구를 통해 인터넷 밈과 밈의 개념을 정리하여 구분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버내큘러 디자인을 ‘형식’, ‘장소’, ‘사용자’ 측면으로 나누어 사례분석을 위한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사례로는 온라인상 가장 널리 쓰이는 인터넷 밈 중 하나인 ‘개구리 페페(Pepe the Frog)’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넷 밈은 수없이 많은 변형이 생성되어 다양식으로 표현되고, 인터넷 밈 제작자는 의견 표출과 다른 사용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 스타일이나 매체에 제한을 두지 않고 인터넷 밈을 생산하고 확산한다. 이 과정에서 인터넷 밈은 익명성, 다양성, 대중성 등의 버내큘러 디자인적 요소가 발현되며 나아가 비맥락적인 디자인으로 발전한다. 2) 온라인 공동체는 의도치 않게 하위분류 인터넷 밈을 생산한다. 이러한 특징은 사이버 네트워크상 각각 공동체에 버내큘러 디자인적 장소성을 부여하고, 공동체는 하위분류로 생산된 인터넷 밈에 대한 맥락 이해 여부로 구성원으로서의 판별, 더 나아가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이데올로기를 전달한다. 3) 인터넷 밈은 비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지며 버내큘러 창의성의 발현으로 제작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버내큘러적 특징은 인터넷 밈의 생성부터 확산까지 전 과정에서 걸쳐 발현되고 인터넷 밈의 퀄리티와도 연관된다. 본 논문은 페페 사례를 기반으로 인터넷 밈을 디자인 영역에서 분석해봄으로써 온라인 시각물에서 버내큘러 디자인의 특징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Internet memes are becoming an important visual cul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environment. However, most of the studies are us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Internet memes and memes, instead they are focused on application and effect of Internet me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ernacular design characteristics of Internet meme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m,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net mem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lassified the concepts of Internet memes and memes through research of literatur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vernacular design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in this study: ‘form’, ‘place’, and ‘user’. ‘Pepe the Frog’, one of the most widely used Internet memes online,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Internet memes are created in numerous variations and expressed in multimodality. The makers of Internet memes produce and spread them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to be selected by other users without being limited by their style or media. In this process, the Internet meme develops into a non-contextual design, with the expression of vernacular design elements such as anonymity, diversity, and popularity. 2) Online communities unintentionally produce subclassifications of Internet memes. This gives Internet memes locality to each community which is one form of their vernacular design. The community members can distinguish between makers of the Internet memes by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Internet meme which further delivers the ideology of the community. 3) Internet memes are made by amateurs and can be intentionally transformed by producers by expressing vernacular creativity. These vernacular features are expressed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from the generation to diffusion of Internet memes and are also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Internet mem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design in online visual materials by analyzing Internet memes in the design area based on the Pepe the Frog case.

      • KCI등재

        밈의 미학적 선택에 관한 연구 : 신경미학적 밈 전달을 중심으로

        신종천(Shin Jongch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밈(meme)을 신경미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인간 뇌의 진화를 예술의 진화와연관시켜 설명하고 밈 전달을 인간 뇌의 미학적 판단과 연관지어 고찰한다. 그것은 지금까지 신경미학이 밝혀온 미적 경험과 관련된 뇌 부위들이 밈 전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감각 뇌의 피질 지도상 신경망패턴으로 구성되는 밈들이 단순히 복제되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정서나 느낌과 관련된 뇌의 영역에 의해 선별되어 전달된다는 것을 밝히는 과정이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밈의 특성을 지난 연구 <밈 현상의 정보적 특성에관한 연구: 밈의 진화 알고리즘을 중심으로>와 이어지는 맥락 속에서 다룬다. 지난 연구가 밈 현상을 오로지 밈의정보적 관점에서 밈의 변이와 생존을 중심으로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인간 뇌의 특별한 밈 선택을 중심으로 밈의전달 과정에서 밈의 활동 환경이 되는 인간의 뇌는 어떤 기준으로 생존 가능한 밈을 선별해 내는 것인지를 밝히는것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인간의 뇌가 아름다움을 아주 특별하게 다루도록 진화해 왔고, 밈 선택에 있어 미학적 기준이 특화되어 적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술가의 뇌 속에 자리잡고 있던 밈은 예술작품을 통해 감상자에게 전달되고 그 감각 정보는 각각의 감각 뇌 속에 신경망 패턴의 형태로 저장된 후 정서를 촉발하는 뇌 영역이나 느낌을 형성하는 뇌 영역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밈 선택은 사람들이 감상 행위를 반복하거나작품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도록 만들면서 밈의 생존 조건을 충족시킨다. 예술작품 감상시 인간의뇌 안에서 일어나는 이와 같은 흐름은 인간의 관점에서 미적 경험이 되고, 밈의 관점에서 미학적 밈 전달이 된다. 모든 예술작품들이 인간의 감각 뇌를 거쳐 어떠한 형태로든 감각 정보가 되고 정서를 촉발하는 뇌 영역이나 느낌을 형성하는 뇌 영역으로 전달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예술 전반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explains the evolution of the human brain in relation to the evolution of art and considers the transmission of memes in relation to the aesthetic judgment of the human brain, in order to interpret meme through neuroaesthetics. It shows that the brain regions related to aesthetic experience play a decisive role in the transmission of memes, while memes composed of neural network patterns on the cortical map of the sensory brain are not simply replicated but are transmitted by regions of the brain related to emotion or feeling. In particular,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emes in the context of the previous study <A Study on the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me Phenomenon: Centering on the Evolution Algorithm of Meme>. If the previous study dealt with the meme phenomenon only from an informational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mutation and survival of memes, this study is to reveal what criteria the human brain selects for viable memes in the transmission of memes. In this process, we can confirm that the human brain has evolved to treat beauty in a very special way, and that aesthetic criteria are specialized for meme selection. The memes in the brain of the artist are transmitted to the viewer through the artwork, and the sensor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form of a neural network pattern in each sensory brain, and then selected by the brain regions that trigger emotions or the brain regions that form feelings. This meme selection satisfies the survival conditions of the meme, making people repeat the act of appreciation or pass on information about the work to others. This flow that occurs in the human brain when appreciating artworks becomes an aesthetic experience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and an aesthetic meme transmission from the meme point of view. As a result, in that all artworks become sensory information in the human sensory brain and are transmitted to the brain regions that trigger emotions or the brain regions that form feel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rt at lar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