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섭 공간으로서의 바이오 아트에 관한 연구 : 예술과 생물학의 크레올화를 중심으로

        신종천(Shin Jongch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연구는 바이오 아트를 예술과 생물학의 통섭 공간으로서 고찰하기 위해, 바이오 아트의 정체성과 바이오 아트 작품들의 제작 과정을 크레올화의 개념을 통해 살펴본다. 과학사학자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은 ‘교역 지대(trading zone)’라는 용어를 이질적인 하위문화들을 함께 묶고 있는 경계라고 지칭하고, ‘크레올화(creolization)’를 상이한 두 분야 간의 연결이 새롭게 융합된 학제간 분야를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고려한다. 갤리슨의 개념들은 예술과 생물학이 상호작용하는 바이오 아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바이오 아트는 상이한 분야인 예술과 생물학 사이의 교역 행위를 이끄는 교역 공간이다. 이 교역 지대 안에서, 예술가와 생명과학자는 공유된 맥락을 전제로 그들도 모르는 사이에 서로 다른 목표를 교환하고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한다. 특히, 〈A Genomic Portrait: Sir John Sulston〉이나 〈The Relative Velocity Inscription Device〉와 같은 바이오 아트 작품들이 제작되는 과정은 교역 지대 안에서 일어나는 합의적 크레올화와 충돌적 크레올화의 단면을 보여준다. 그것은 바이오 아트 자체가 예술과 생물학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학문적 공간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 나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바이오 아트가 갖는 통섭 공간으로서의 위치를 제안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identity of bio-art and the creation process of bio-artworks through the concept of creolization in order to consider bio-art as the consilience zone of art and biology. The scientific historian Peter Galison refers to the term “trading zone” as the boundary binding together the heterogeneous subcultures and considers “creolization” as the process by which the interaction among different disciplines builds a new interdisciplinary field. Galison’s concepts can be applied to bio art where art and biology interact. Bio-art is a trading zone that leads the trading activities between art and biology. In this trading zone, artists and biological scientists trade their own goals and have a dynamical interaction on the premise of a shared context. In particular, the creation process of bio-artworks such as 〈A Genomic Portrait: Sir John Sulston〉 and 〈The Relative Velocity Inscription Device〉 illustrates the cross-sections of consensual creolization and collisional creolization that occur in the trading zone. This demonstrates that bio-art meets the demand for a new academic space through the combination of art and biology, but also suggests the position of bio-art as the consilience zone.

      • KCI등재

        밈 현상의 정보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밈의 진화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신종천(Shin Jongch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7

        This study compared the properties of memes and genes and analyzed them based on information theory, to determine the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me phenomenon. The term meme, which has garnered interest in recent years, refers to funny content that is imitated or reprocessed by users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Richard Dawkins, an evolutionary biologist, has coined the term meme and provided its original meaning. He has refered to meme as a cultural gene that moves from one human brain to another through the imitation on the Internet. Dawkins highlighted the similarity in the aspect of self-replication between the properties of memes and that of biological genes.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although the properties of memes are related to Universal Darwinism, these aspects must be analyzed using a different dimension, instead of biological genes. The transmission of memes through human brains is focused on the aspect of variation, rather than the heredity of the evolutionary algorithms. In this regard, the term meme is redefined as an information unit of cultural transmission, and the transmission of memes is analyzed in terms of information flow in conjunction with information theory. In addition, the meme phenomenon wherein noise can be transformed into useful and desirable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ural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s for concretely interpreting the meme phenomenon by demonstrating that the evolution algorithm of meme focuses on variation by using the concept of noise and variation acceptance. 본 연구는 밈 현상의 정보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밈의 속성을 유전자와 비교하여 분석하고 정보이론을 통하여 탐구한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밈(meme)’은 재밌는 말과 행동을 온라인상에서 모방하거나 재가공한 콘텐츠들을 통칭하여 부르는 용어이다. 하지만 밈의 실제 의미는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밈을 일종의 모방이라고 할 수 있는 과정을 거쳐 인간의 뇌를 타고 이동하는 문화적 유전자로서 언급한다. 도킨스는 밈의 속성을 생물학적 유전자와 동일하게 자기복제의 차원에서 강조하지만, 본 연구는 밈의 속성을 보편적 다위니즘 안에 존재하되 생물학적 유전자와는 다른 차원에서 다룰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것은 인간의 뇌를 거치는 밈의 전달 과정을 진화 알고리즘 상의 유전에 초점 맞추기보다 변이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 과정에서 밈은 문화 전달의 정보 단위로서 재정의되고, 밈의 전달 과정은 정보이론과 접목되어 정보 흐름의 차원에서 분석될 것이다. 또한 밈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노이즈가 유용하고 바람직한 정보로 확보되는 현상은 밈 정보가 저장되고 전달되는 신경망의 특징을 통해 좀 더 명확하게 확인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밈의 진화 알고리즘이 변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노이즈의 수용과 변이의 수용 개념을 이용해 접근함으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밈 현상을 구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으로서의 바이오아트 : <대전비엔날레 2018: 바이오>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신종천(Shin Jongch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연구는 <대전비엔날레 2018: 바이오>를 중심으로 바이오아트가 다루고 있는 담론들을 살펴보고, 현 시대의 인간과 생명에 대한 관점들을 작품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한다. <대전비엔날레 2018: 바이오>는 인간과 생명의 범주에 대한 질문을 단지 생물학적인 영역에 국한시키지 않고 철학적이고 예술적인 영역으로 확장시켜 다루고 있다. ‘바이오(Bio)’라는 주제는 4개의 소주제-바이오 미디어(Bio Media), 불로장생의 꿈(Dream of Eternal Youth), 디지털 생물학(Digital Biology), 인류세의 인간들(Men of Anthropocene)-로 나누어졌고, 다양한 예술가, 과학자, 공학자들의 작품들이 전시되었다. 그것은 예술, 과학, 기술의 융복합을 시도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새롭게 등장하게 될 인간과 생명의 외형적이며 내재적인 모습들을 소개하고 탐구한다는 점에서, 포스트휴먼의 담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비엔날레 2018: 바이오>의 작품들을 바이오미디어의 활용과 바이오이슈의 생성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정체성을 포스트휴머니즘의 측면에서 탐구한다. 그것은 바이오아트의 목표가 새로운 인간과 생명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것에 있다는 것을 포스트휴머니즘과의 연관성 아래 확인하는 것으로서, 전통적인 인간과 생명의 조건들을 탈피하거나 거부하는 초휴머니즘(beyond humaninsm) 또는 반휴머니즘(anti-humaninsm)과도 연결된다. 그것은 새로운 인간종과 생명종의 출현을 암시하는 <대전비엔날레 2018: 바이오>의 작품들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확인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io-artworks in <Daejeon Biennale 2018: Bio> in order to consider the discourses on humans and life in the present era. <Daejeon Biennale 2018: Bio> deals with questions about the categories of a human and life by extending them to the philosophical and artistic domain, not just the biological domain. The theme “Bio” was divided into four subthemes: Bio Media, Dream of Eternal Youth, Digital Biology, and Men of Anthropocene. It can be connected to the post-human discourse in that it not only attempts to converge art,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explored the external and intrinsic aspects of a new human and life.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the works of <Daejeon Biennale 2018: Bio> in terms of the use of bio-media and the creation of bio-issues and explored its identity in terms of post-humanism. This was to confirm that the goal of bio-art is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a new human and life in connection with post-humanism. It is also connected with beyond-humanism or anti-humanism, which escapes or rejects the conditions of a traditional human and life. It is confirmed in various ways in bio-artworks of <Daejeon Biennale 2018: Bio>, which implies the emergence of new human species and life species.

      • KCI등재

        밈의 미학적 선택에 관한 연구 : 신경미학적 밈 전달을 중심으로

        신종천(Shin Jongch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밈(meme)을 신경미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인간 뇌의 진화를 예술의 진화와연관시켜 설명하고 밈 전달을 인간 뇌의 미학적 판단과 연관지어 고찰한다. 그것은 지금까지 신경미학이 밝혀온 미적 경험과 관련된 뇌 부위들이 밈 전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감각 뇌의 피질 지도상 신경망패턴으로 구성되는 밈들이 단순히 복제되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정서나 느낌과 관련된 뇌의 영역에 의해 선별되어 전달된다는 것을 밝히는 과정이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밈의 특성을 지난 연구 <밈 현상의 정보적 특성에관한 연구: 밈의 진화 알고리즘을 중심으로>와 이어지는 맥락 속에서 다룬다. 지난 연구가 밈 현상을 오로지 밈의정보적 관점에서 밈의 변이와 생존을 중심으로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인간 뇌의 특별한 밈 선택을 중심으로 밈의전달 과정에서 밈의 활동 환경이 되는 인간의 뇌는 어떤 기준으로 생존 가능한 밈을 선별해 내는 것인지를 밝히는것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인간의 뇌가 아름다움을 아주 특별하게 다루도록 진화해 왔고, 밈 선택에 있어 미학적 기준이 특화되어 적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술가의 뇌 속에 자리잡고 있던 밈은 예술작품을 통해 감상자에게 전달되고 그 감각 정보는 각각의 감각 뇌 속에 신경망 패턴의 형태로 저장된 후 정서를 촉발하는 뇌 영역이나 느낌을 형성하는 뇌 영역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밈 선택은 사람들이 감상 행위를 반복하거나작품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도록 만들면서 밈의 생존 조건을 충족시킨다. 예술작품 감상시 인간의뇌 안에서 일어나는 이와 같은 흐름은 인간의 관점에서 미적 경험이 되고, 밈의 관점에서 미학적 밈 전달이 된다. 모든 예술작품들이 인간의 감각 뇌를 거쳐 어떠한 형태로든 감각 정보가 되고 정서를 촉발하는 뇌 영역이나 느낌을 형성하는 뇌 영역으로 전달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예술 전반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explains the evolution of the human brain in relation to the evolution of art and considers the transmission of memes in relation to the aesthetic judgment of the human brain, in order to interpret meme through neuroaesthetics. It shows that the brain regions related to aesthetic experience play a decisive role in the transmission of memes, while memes composed of neural network patterns on the cortical map of the sensory brain are not simply replicated but are transmitted by regions of the brain related to emotion or feeling. In particular,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emes in the context of the previous study <A Study on the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me Phenomenon: Centering on the Evolution Algorithm of Meme>. If the previous study dealt with the meme phenomenon only from an informational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mutation and survival of memes, this study is to reveal what criteria the human brain selects for viable memes in the transmission of memes. In this process, we can confirm that the human brain has evolved to treat beauty in a very special way, and that aesthetic criteria are specialized for meme selection. The memes in the brain of the artist are transmitted to the viewer through the artwork, and the sensor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form of a neural network pattern in each sensory brain, and then selected by the brain regions that trigger emotions or the brain regions that form feelings. This meme selection satisfies the survival conditions of the meme, making people repeat the act of appreciation or pass on information about the work to others. This flow that occurs in the human brain when appreciating artworks becomes an aesthetic experience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and an aesthetic meme transmission from the meme point of view. As a result, in that all artworks become sensory information in the human sensory brain and are transmitted to the brain regions that trigger emotions or the brain regions that form feel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rt at large.

      • KCI등재후보

        생성예술 계보 속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예술에 관한 연구 - 생성예술의 시스템적 관점으로 본 디퓨전 모델

        신종천 ( Jongcheon Shin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3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예술의 정체성을 밝히기 위해 생성예술의 핵심요소인 시스템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모델을 생성예술의 계보와 이론 속에서 논의한다. 생성예술가이자 이론가인 필립 갈란터(Philip Galanter)는 생성예술을 예술가가 일련의 자연스러운 언어 규칙,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절차적 고안물과 같은 어느 정도의 자율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예술 실천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생성예술의 핵심은 시스템의 사용이고, 컴퓨터와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생성예술의 미적 지향점은 복잡시스템이다. 유전시스템이나 인공생명과 같은 복잡시스템을 활용하는 생성예술이 드러내고자 하는 미적 가치는 질서도를 높이는 요소와 무질서도를 높이는 요소를 동시에 사용하면서 예측하지 못한 자기고유성을 드러내는 것에 있다. 그것은 그 시스템이 돌연변이나 노이즈를 얼마나 확장적으로 수용할 수 있느냐와 연관된 것으로 다양성과 복잡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건이 된다. 흥미롭게도,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미지 생성기술들 중 최근에 등장한 디퓨전 모델(Diffusion Model, DM)의 경우 생성예술이 지향하는 복잡시스템의 미적 활용에 가깝다. 열역학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온 디퓨전 모델은 노이즈를 의도적으로 주입하는 정방향 확산과 학습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방향 복원 과정을 통해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술가의 직관을 뛰어넘으면서도 예술가가 바라던 결과물에 근접하도록 만드는 디퓨전 모델은 생성예술의 매력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system, which is a key element of generative art, and discusses the AI image generative model in the genealogy and theory of generative art, in order to reveal the identity of generative AI-based art. Philip Galanter, a generative artist and theorist, defines generative art as any art practice where the artist uses a system, which is set into motion with some degree of autonomy, such as a computer program or procedural invention. The core of generative art is the use of systems, and the aesthetic goal of generative art that uses computers and programs is to create a “complex” system such as a genetic system or artificial life. The aesthetic value that generative art seeks to reveal lies in creating unexpected uniqueness while simultaneously using elements that increase from the highly ordered to the highly disordered. It is related to how extensively the system can accommodate mutations and noise, and secure diversity and complexity. Interestingly, the Diffusion Model(DM), which has recently appeared amo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ase of the aesthetic use of complex systems, which generative art aims for. The diffusion model, which takes ideas from thermodynamics, can create a variety of unexpected images through forward diffusion, which intentionally injects noise, and a reverse restoration process, which removes noise through learning. As a result, the diffusion model, which exceeds the artist’s intuition while also bringing it closer to the artist’s desired result, can be an attractive tool for generative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