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원지>의 서사적 특징과 대중문화적 가치 - 게임 스토리텔링과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이명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9

        이 논문은 <태원지>를 새롭게 읽기 위해 게임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것이다. <태원지>에는 게임 스토리텔링의 특징인 ‘단계 이동의 탐색 서사, 공간의 스토리텔링, 대안적 우주’가 나타난다. <태원지>의 핵심적인 서사는 ‘해양표류와 요괴퇴치’, ‘태원정복과 대흥국 건국’이다. <태원지>의 요괴퇴치 과정은 아이템을 획득하고, 적의 공격을 받고 대응하며 퀘스트를 수행한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게임의 스토리텔링과 유사하다. <태원지>의 정복과정은 거점을 확보하고 단계적으로 적과 싸워 세력을 형성한 후 영토를 확장하는 것이다. 이것은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방식과 상당히 흡사하다. <태원지>에서는 태원이라는 허구적 세계를 상정하고 그곳에 <삼국지연의>의 질서를 채워 놓았다. 이렇게 기존 소설에 나타난 상상력을 수용하여 허구적 공간의 구축하는 것은 게임의 공간 스토리텔링 방식과 동일하다. 블리자드의 게임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RPG 게임은 톨킨의 <반지의 제왕>을 계승하여 허구적 공간을 구성한다. <태원지>의 공간이 전적으로 역사와 현실의 맥락에서 벗어난 가상공간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게임의 공간 구성과 유사한 방식을 통해서 ‘태원’이라는 허구적 공간이 당대의 대안적 우주로 창조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태원지>가 게임 스토리텔링과 유사한 서사적 특징을 갖는 까닭은 이 작품이 진지한 독서물이라기 보다는 환상의 세계를 만들어가는 공상놀이의 성격을 가진 대중적인 판타지이기 때문이다. 판타지의 세계에서 주인공과 동일시하여 공상놀이를 하는 것은 일종의 위안과 도피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공상놀이가 상상력의 유희적 활동에 머물거나 쾌락을 위한 욕망의 분출로 끝나면 한낱 백일몽에 불과하게 된다. <태원지>에서는 천명(天命)이라고 하는 사회적 의미를 판타지 세계에 결합함으로써 자신의 내적 만족을 찾고자 한다. 즉, <태원지>에서는 몰입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천명(天命)이라는 명분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몰입 과정에 작용하는 이데올로기는 주체의 당위적 명분을 위해 선악을 구분하는 경계로 작동하는 허구일지 모른다. 자신이 선(善)의 주체가 되어 이상적 세계를 상상하는 것은 마땅히 지켜져야 할 가치가 지켜지지 않는 현실의 폭력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것이고, 현실 속에서 살아가야만 하는 자신을 위로하는 판타지인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aewonji for a fresh reading through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game storytelling. Taewonji displays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game storytelling, including the exploratory narrative of stage migration, storytelling about space, and alternative universes. Its core narratives relate to “drifting in the ocean and extermination of monsters” and the “conquest of Taewon and founding of Daeheungguk.” In the novel, the extermination process of monsters is similar to game storytelling, which involves acquiring items, getting attacked by enemies and responding to them, carrying out a quest, and moving to another place. Its conquest process is very similar to that of strategic simulation games, involving securing a base, forming power by fighting against enemies by stages, and expanding one’s territory. Taewonji assumes a fictional world called Taewon and fills it with the order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ts way of embracing the imagination of old novels and building fictional spaces is the same as the spatial storytelling style of games. Most RPG games, including the ones developed by Blizzard, construct fictional spaces according to the literary inheritance from The Lord of the Rings by Tolkien. The spaces of Taewonji are not entirely fictional spaces outside of historical and real contexts, but it is true that a fictional world called “Taewon” was created as an alternative universe of the times in a way that is similar to the spatial construction of games. Taewonji has narrati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game storytelling because it is a popular fantasy work, characterized by the playful building of a fantasy world, rather than a serious reading. Identifying with the protagonist in a fantasy world and enjoying one’s self in fantasy play provides a kind of comfort and escape window. When fantasy play remains an imaginary playful activity or is done for the simple pleasure, it is nothing but a daydream. In Taewonji, the author combines a social meaning, called Cheonmyeong, with a fantasy world, thus attempting to find internal satisfaction. That is, he repeatedly emphasizes the cause of Cheonmyeong as a strategy for inducing readers to immerse in the novel. In terms of the immersion process, the ideology may be a fiction that serves as a boundary between good and evil for the legitimate cause of the subject. Imagining an ideal world as the subject of good is to protect oneself from the violence of reality, in which the values that should be naturally observed are not observed, thereby constructing a fantasy to comfort oneself for being forced to live in reality.

      • KCI등재

        동아시아 너머를 향한 상상력 —<태원지>와 ‘육면세계설’에 나타난 천원지방(天圓地方)과지구설(地球設)의 변주—

        강혜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4 고전과 해석 Vol.42 No.-

        <태원지>와 육면세계설은 18세기 전반에 나타났으며, 서구의 지구설을 수용하면서도 전통적인 천원지방의 세계관 또한 고수하여 둘을 결합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통점을 이 시기 사유의 한 흐름이 서로 다른 사례를 통해 표출된 결과로 보고 분석을 시도했다. 17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유입된 서구적 세계관은 중화주의적 질서를 흔들리게 했을 뿐만 아니라, 음양오행의 상관적 세계관과 그에 입각한 조화로운 우주적 질서에 균열을 가했다. <태원지>는 이 점을 잘 보여주는데, <태원지>에 나타나는 거대한 구멍과 검은 기운, 오성의 궤도 변화나 혜성 등의 재앙은 중화주의의 균열보다는 그보다 더 근본적인, 우주적 질서의 균열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화주의의 균열은 소중화주의로 봉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원지>에서는 조선이 주인공 일행이 향할 만한 선택지로 언급되면서도 곧 부정되고 있어 이를 뒷받침한다. 이어 주인공 일행이 망망대해에서 표류하게 되는 것도 우주적 질서의 균열에 따른 불안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결과다. 지구설과 천원지방 관념의 결합은 바로 여기에 대한 해결책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태원지>에서는 물질적 세계관으로서 서구 세계관을 수용하되, 그 너머에는 정신적 세계관으로서 전통적 세계관을 ‘구심점’의 형태로 상정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五方의 방위처럼 개개의 상관론적 대립쌍들은 물질적 세계관에는 부합하지 않을 수 있으나, 그 너머에 음양이나 천명 등 전통적 세계관에 입각한 구심점은 여전히 존재하여 인간의 유한한 지식으로는 헤아릴 수 없다고 간주되는 것이다. <태원지>에서는 확고하면서도 현명한 천명의 인도나, 임성의 통일로서 이 점을 표현하고 있다. <태원지>의 서사적 맥락은 육면세계설을 이해하는 실마리로도 작용한다. 육면세계설에서는 상식적이지 않다는 공박을 받으면서까지 地方을 고수했다. 육면세계설을 통해 발견하고 싶었던 것이 지구의 사실적인 형상이 아닌 “義理大頭腦”였기 때문이다. 신유가 주목한 것은 <태원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구적 세계관 너머의 우주적 진리였다. 이렇듯 <태원지>와 육면세계설은 서구 세계관의 충격이 아직 컸을 18세기 전반, 서구 지구설의 동아시아화를 시도한 사례로서 의미를 지닌다. This thesis explores the emergence of the Taewonji and the Cubic-shaped earth Theory in the early 18th century. While these concepts accepted concept of a round earth from western cosmology, they still maintained traditional East Asian cosmological frameworks, thereby exhibiting a commonality in their synthesis. This thesis examines this commonality as a result of the discourse prevalent in the early 18th century. Initially, Taewonji provides a narrative context to understand the psyche and thought structures underlying the synthesis of Western cosmology and traditional East Asian cosmology. The Western worldview produced two results: first, it disrupted Sinocentrism. Second, it brought ruptures to the harmonious cosmic order based on the principles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us the Western worldview imposed a materialistic view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bolstered by scientific rationality. Taewonji depicts catastrophic events such as large holes, dark energies, changes in planetary orbits, and comets, which seem to represent the latter rather than the former. While the disruption of Sinocentrism can be overcome by Small- Sinocentrism, Taewonji mentions it as an option for Joseon but soon negates it. Moreover, successive disasters leave the protagonist's party adrift in the vast sea, symbolizing their disorientation. This suggests that Taewonji expresses deeper ruptures-the anxieties regarding the cosmic order. Taewonji also presents solutions to these problematic situations. It embraces the Western worldview as a materialistic worldview but posits the traditional worldview as a "center" beyond it in the form of a spiritual worldview. Thus, while individual pairs of correlative cosmologies may not align with the real world, beyond them, the center based on traditional cosmologies such as yin-yang and the mandate of heaven still exists and is considered beyond human finite knowledge. Taewonji expresses these solutions through resolute wise guidance of heaven and the unification by Yim-seong. The narrative context of Taewonji also aids in understanding the Cubic-shaped earth Theory. Despite facing criticism for its seemingly irrational aspects, similar to Taiwonji, what the Cubic-shaped earth theory sought was the cosmic truth beyond the Western worldview. Thus, Taewonji and the Cubic-shaped earth theory hold significance as illustrations of efforts to blend Western earth theory with the Cheonwonjibang(天圓地方)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 period marked by significant influence from the Western worldview.

      • KCI등재

        <태원지(太原誌)>의 서사적 특징과 왕조교체

        김용기 ( Yong Ki Kim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이 글은 <태원지>가 작품의 주요 내용과 형식에서 한국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통해, 이 작품이 한국 작품일 가능성이 크다는 잠정적 결론에서 필자의 구체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필자는 <태원지>가 왕조교체 서사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와 유사한 서사 전개 방식을 보이는 작품들과 공유하는 주요 서사 인자를 추출해 보았다. 이 작품들은 모두 서사의 지향점이 ``왕조교체``에 있다는 점에서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주인공의 성격이나 입장이 다르고, 주인공이 작품 속에서 하는 역할도 다르며,작품 전체의 분위기도 다르다는 점이 확인 되였다. 그리고 이와 병행하여 이 작품이 부분적으로 <장백전>이나 <유문성전>과 유사한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다는 점을 제시하여 <태원지>의 서사적 특징을 입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작품이 가지는 왕조교체 서사로서의 특징은, 태원에 도착하기 전에 나타나는 해양 표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선행연구에서도 이 작품의 표류담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한 바 있다. 필자는 이러한 견해를 존중하되, 이 작품의 전체 서사가 天命을 바탕으로 한 ``왕조교체`` 로 귀결되듯이, 해양 표류담도 ``천명`` 과 ``왕조교체``라는 서사적 맥락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태원지>의 해양표류는, 중원이 아닌 세상을 단계별로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천명이 강화되도록 한 후, 태원 지역 평기이와의 대화를 통해 중원 중심의 화이관을 벗어나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을 토대로, <태원지>에 나타난 ``태원``이라는 미지의 땅과, 그리고 여기에 주인공에게 절대성을 부여하는 ``천명``이다. 중원 지역의 元나라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해양 표류+태원+천명``을 결합시켜 결구하게 되면, ``탈중화``, ``탈역사``를 통한 전방위적 차원의 ``新世界``지향이라는 시각과 의식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이 작품이 ``태원``에서 천명을 실현하는 것을 통해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탈``, ``새로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영웅소설의 주인공들이 공적인 영역에서 무력과 도술을 통해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는 물리적 영웅이었다면, 이 작품의 임성과 그 일행은 보다 큰 세상을 보여주어 사고의 틀을 깨는 영웅의 모습을 보여준다고 보았다. 즉 기존 영웅상의 틀을 깨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변화가 감지되는 작품이다. The writer discussed about temporary conclusion that <Taewonji> have a chance to be one of Korean works because it has Korean style factors in main contents and form of work. The writer extracted the main narrative factor which is common to the other works` narrative development, considering on the point that it has a narration about the change of dynasty. As a result, all works have a common thing in that the directing point of narration is ``the change of dynasty``. But it has different parts of hero`s personality, position, role and atmosphere of work. The writer described multilaterally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aewonji> through the point that this work has similar and different parts to <Jangbaek-Jeon> or <Youmoonsung-Je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related to hero`s drift in the sea before arrival at Taewon. multilaterally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aewonji> through the point that this work has similar and different parts to <Jangbaek-Jeon> or <Youmoonsung-Je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related to hero`s drift in the sea before arrival at Taewon. The advanced research suggested the meaning of the story of drift in the sea in this work. The writer respects this opinion but I suggest that the story of drift has to be interpreted in the narrative context of ``Heaven`s order`` and ``the change of dynasty`` as the whole narration was concluded in ``the change of dynasty on the basis of heaven`s order. The drift in the sea of <Taewonji>has a meaning that the hero experienced by stages the different world from the central districts, strengthened the heaven`s order and got out from the mind of central-districs-centrism and history-centrism and have On the ground of these points, the meaning of heaven`s order realization in Taewon and the heroic novel`s stature were examined. The main factors of interpreting this work are the process of space movement; the drift in the sea, unknown land; Taewon, and authorization unquestioning power to the hero; the heaven`s order. It is possible to get out from the mind of central-districts-centrism and history-centrism and have a vision of new world in many points when these factors are combined regardless of Yuan country of the central districts. Therefore the message of this work is ``a deviation from something`` and ``renovation`` through the realization of heaven`s order in Taewon. While the other works` hero is a character who get over the real difficulties by using force and Taoist magic, Imsung and his party show us the hero`s image that introduces the bigger world and breaks the conventional way of thingking. So this work has an importance in the literary history because it broke the image of hero`s figure.

      • KCI우수등재

        〈태원지〉 : 문화중화주의의 이상과 당위

        홍연표(Hong, Yeon-pyo)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2

        〈태원지〉는 18∼19세기 화이질서에 대한 심각한 균열이 초래되던 시기에 산출된 텍스트이기에, 그에 대한 순응적 반영 내지 진전된 사유가 내재되어 있다고 보는 시각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태원지〉에 반영된 작가의식과 그 시대적 의의를 보다 적확하게 추단하기 위해서는, 소설에 수용된 다양한 서사적 전통과 모티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1장에서는 〈태원지〉와 〈삼국지연의〉의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비교함으로써, 임성의 나약한 형상과 미백의 탁월한 면모는 유비-제갈량의 관계가 수용된 것일 가능성을 추단하였다. 이어서 〈삼국지연의〉에서는 적대자의 형상이 또렷하고 동일한 비중으로 제시됨으로써 촉나라를 기점으로 하는 이상론과 위나라를 중심으로 표출되는 현실론적 층위가 어우러지며 복잡하고 첨예한 갈등과 문제의식이 드러나고 있는데 반해, 〈태원지〉의 경우 이러한 적대자의 형상을 거의 수용하고 있지 않고 다소 박약하게 형상화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즉 〈태원지〉의 작가는 〈삼국지연의〉에 비해 이상주의적 세계관을 대변하는 임성의 완벽한 승리의 형상화에 주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성은 공간설정에도 동일하게 이어진다. 2.2장에서는 신마소설과 오덕종시설 모티프의 수용을 중심으로 이계 공간의 설정이 지니는 의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상탐험 과정에서 초월적인 존재와 조우하는 것은 그들의 힘을 현실계로 끌어들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진단하였으며, 오덕종시설이 표면화된 ‘태원’이라는 독특한 공간은 중원과는 달리 천명이 용인되는 이상세계로 축조된 유사현실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태원에서 주어진 ‘천명’은 앞 챕터에서 살핀 ‘이상’의 성공적인 실현에 대한 ‘당위성’을 보증하는 지표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보았다. 아울러 3장에서는 임성-미백으로 표상되는 나약한 군주상과 유능한 신하상이 유교의 전통적 군주론의 맥락 하에 속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이 화이질서에 심각한 분열이 드러나기 시작한 18∼19세기 창작될 수 있었던 이유를 유교사상이 중세 보편철학으로서의 정통성을 담지하고 있었다는 사상사적 흐름에서 찾았다. 이처럼 〈태원지〉가 유교의 이상적인 군주상과 이데올로기를 적극적으로 수용 · 표방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그 작가의식은 당대 화이질서가 당면한 위기에 순응적으로 반응하였다기 보다는, 이에 대한 문화적 차원에서의 대응논리에 근간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r studying narrative tradition and motives accepted in fiction so that I can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heroes and fictional space’s significance and historical meaning. First, to this end, I performed a comparision operation for a 〈Samgukjiyeoneui〉 in chapter 2.1. As a result, it is turned out that Liu bei and Zh? g? liang’s feature was reflected in the heroes Imsung and Mibeck of the 〈Taewonji〉 as novel which have character weakness or excellent capability each other. Then, I diagnosed Idealism run to an extreme as a one-way in 〈Taewonji〉 compared to 〈Samgukjiyeoneui〉. this comprehension is based of the accepted pattern of the antagonist. thus, we know that 〈Taewonji〉’s author positively accepted only the elements that conform to the Confucian ideology. Second, I analyzed Sea & Taewon as any fictional space that have preallotment’s undertone in chapter 2.2. In result, Taewon which is the space that preallotment operates normally on is a kind of virtual reality world designed to guarantee Imsung party the appropriateness for making a dream. In the same vein, I defined the Sea is the means to draw superb power of monsters to make a dream. Finally, In chapter 3, I asure that Insung-Mybeck’s relationship belongs to the traditional Confucian’s theory about the ruler and agitated that the author had accepted positively Confucian ideology including 蜀漢正統論 to resist Asianism’s crack.

      • KCI등재

        <태원지> 연구

        임치균 ( Chi Kyun Lim ) 한국고전문학회 2009 古典文學硏究 Vol.35 No.-

        본고는 현재 중국소설로 알려져 있는 <태원지>가 우리나라 작품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 근거로는 작품 속에 직접 서술되고 있는 `조선에 대한 찬양`, `중국인에 대한 부정적 서술`, `『동몽선습』의 내용` 등을 들었다. 또한 <태원지>에는 조선 후기에 확산되기 시작한 `세계에 대한 상대적 인식`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도 근거로 하였다. <태원지>는 해양 탐험과 건국의 과정이 조합된 작품으로 부분부분 <삼국지연의>를 염두에 둔 흔적이 보인다. 그런데, 그 건국의 과정에서 천명이 매우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천명만 있으면 누구나 황제 또는 왕이 될 수 있다는 데에는 의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천명이 실현되는 공간이 중국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적이다. <태원지>에서 천명이 실현되는 공간은 허구적 나라인 태원이다. 그리고 그렇게 된 이유는 현재 중국을 다스리고 있는 오랑캐에게 천명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 비록 오랑캐가 있더라도 그 역시 천명을 가지고 있다면 인정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이 부정하던 오랑캐 청나라가 현재 존립하는 것 자체가 천명임을 분명히 하는 논리가 되며, 이러한 오랑캐에 대한 인식은 조선 후기 북학파를 중심으로 하는 의식과 상통한다. 이는 전통적인 화이관과 배치된다. 특히 작품에 드러나는 이러한 주제 의식은 중국을 세계 속에 속한 상대적인 공간으로 인식한 데에 기인한 것이다. 오랑캐에 대한 인정, 즉 청나라에 대한 인정은 <왕회전>, <징세비태록>과 같은 조선 후기 소설에 적지 않게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Taewonji, known as a Chinese novel, as a Korean one based on such elements as glorifying Joseon, negative descriptions about the Chinese, and some details in Dongmongseonseup directly mentioned in the work. Also, i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aewonji includes the relative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ich started to spread at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Covering the exploration of the ocean and the process of founding the country, Taewonji seems partly related to Samgukjiyeoneui. And, in the process of founding the country, Providence works as a very important factor. It is clear that anyone can be an emperor or a king with Providenc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t is China where Providence is realized. In Taewonji, the place where Providence is realized is Taewon, a fictitious country because barbarians who govern China has it. It argues that they should be admitted with Providence even though there are barbarians in China. This shows that barbarian China itself exists from Providence, which Joseon intellectuals has denied. Recognition of barbarians like this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at of the Bukhak school while against traditional Hwaigwan, or Sinocentrism. Especially, this kind of view in the work derive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regards China as a relative place in the world. Recognition of the barbarian Ching often appears in the novels at the late period of Joseon such as Wanghoijeon and Jingsebitaerok.

      • KCI등재

        <태원지>의 MMORPG 콘텐츠화 가능성 탐구 — 세계관과 공간의 제시를 중심으로 —

        김인회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8

        20세기 후반이후로 디지털 게임은 현대의 문화와 산업에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때문에 고소설을 디지털 게임의 소스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 시도는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인문학 분야에서도 이루어 졌다. 본고는 고소설을 디지털 게임으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고소설 연구자들이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영역을 찾아 볼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고소설의 스토리, 환상성, 아이템이 게임의 창작에 직접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파악했다. 하지만 게임은 규칙(rule), 결과(outcome), 경쟁(conflict), 자발성(voluntary)의 네 요소를 이용해 재미를 준다. 스토리와 환상성, 아이템이 게임에 쓰이지만 핵심적인 요소는 아니다. 고소설은 게임의 네 가지 요소 중 규칙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태원지>가 제시하는 규칙다음과 같다. ①난세를 바로잡아야 한다. ②천명(Heaven´s will)은 절대적인 힘을 가지고 있으며 천명을 얻은 자만이 나라를 세울 수 있다. ③중심(華)과 주변(夷)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가변적인 것이다. ①과 ②는 <삼국지연의>등에서 흔히 찾아 볼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매우 익숙하다. 특히 중요한 규칙은 ③인데 이는 <태원지>만의 독특한 생각이다. 자신의 고향에서 주인공 임성은 중심(華)이었지만 새로운 대륙에서는 주변(夷)이 되는 경험을 한다. 디지털 게임에서는 작품의 줄거리, 아이템 등을 활용하여 플레이어가 이 세 가지 규칙을 직접 체험하게 되는 만드는 세계를 만들어야 한다. 고소설 연구자들은 우선 고소설 속에서 게임에 적용할 만한 규칙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고소설을 게임에 활용하기 위한 특별한 분야가 필요하지 않음을 뜻하기도 한다. After 20thcentury, digital game has placed very important aspect in modern culture and industries. Thus, digital game industries have utilized ancient stories for themes and ideas. This trial is not only spotted in industrial sectors but also in liberal arts. This paper has a purpose to look at factors that can convert components from classic novels into digital games. Especially, it will focus on how researchers of classical literature can affect in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Current analysis shows that stories, fantasies, items of classic novel can essentially help to create new games. However, a game consists of just more than the previous stated components; it requires rules, outcome, conflicts and voluntary to make the games much more interesting. It is often misunderstood that plot and fantasies in games may be the most significant aspects but they are actually not. Classic novel can help to make the rule of the four standards in creating a fun game. Here are rules that Taewonji suggests. First, gamers need to save the bleak world from a turbulent age. Second, The will of the absolute has the ultimate power, so those who have achieved god’s will can raise a new country. Thirdly, the sinocentrism and the outskirts of the country are not imperative but they are adjustable notions.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are commonly found in Samkukjiyeonui. Hence, the pattern is very familiar. The most significant rule is the third determinant since the idea purely came from Taewonji. The main character Im Seong from the story was the center of his home country, but he later becomes the outskirt or the barbarian of the new country. Therefore, the players should maintain the three rules when they are following the plot and using different items in the digital game world. The researchers of classic literature should find rules that are suitable for the game from the classic novels. This way, there is no need to discover a separate field for digital games out of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태원지(太原誌)>의 일주(一周) 상상력과 다원(多元)의 세계관―고소설의 사유 실험에 대한 단상을 더하여―

        김수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5 No.-

        In the novel <Taewon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fucian and non-Confucian thought work mutually. Although Confucianism’s concept of ‘destiny [天命]’ penetrates the superficial narrative, the concrete world conception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voyages in the West, the Daegu theory of the ancient Chuyeon, and the archaeological astronomy mathematics of the Qing dynasty, which has been focused on intellectual experiments since the 18th century, are getting involved. The acceptance of this intellectual movement is realized through narrative composition based on a sense of number, geography imagination, imagination around the world, and a multi-dimensional worldview. <Taewonji> is active in the use of numbers to the extent that it is said to be a novel made up of numbers. It embodies figures and imaginary geography with numerical information and images. This provides realistic impressions and logical realism to fictional characters and virtual worlds. <Taewonji> is a scene of natural displacement from the East Sea to the West Sea during the voyage, and by narrating the imagination of the circumnavigation, it reveals the mathematical logic and empirical worldview of round earth, and recognizes fictional works logically and empirically. However, the circle of <Taewonji> is not a simple physical cycle, but is connected to a symmetrical plural world that moves to the same space with a different order and character. Taewon, which arrived in this way, is a symmetrical plural world of Jungwon, and has the character of ‘the beginning of the Jungwon’, which is historically and civilly located in ancient times. <Taewonji> reflects the competitive knowledge fie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attitude of narrative thought experiments that do not passively accept the intellectual movement is also found. <Taewonji> provides an opportunity and experience to reexamine the cultural framework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taken for granted, by narratively adapting the thought experiment that causes tension in the existing cultural framework. It also shows the circumstances in which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rticipated in thought experiments with an open attitude to the dynamic intellectual environment. A novel cannot be completely free from the cultural framework of the times, but it also does not unilaterally accept the existing cultural culture. The novel participates in the field where the cultural framework of its time is reconstructed, and can serve as a place of experimentation to contemplate new thoughts through highly scalable popular writing. 조선후기 소설 <태원지> 속 유교적 사유는 비-유교적 사유와 상호구성적으로 작동한다. 유교의 ‘천명(天命)’ 개념이 표층 서사를 관통하지만, 구체적 세계 구상의 바탕에는 18세기 이후 조선 지식인의 사유 실험에서 주목한 서양의 항해 일주, 고대의 대구주설, 청나라의 고증학적 천문수학 등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 운동의 수용은 숫자 감각에 의한 서사 구성과 지리 상상, 일주의 상상력과 다원의 세계관으로 구현된다. <태원지>의 숫자 감각은 인물과 지리의 구체화에 기여하여 허구적 캐릭터와 가상세계에 논리적 실감성(實感性)을 제공한다. 일주의 상상력은 항해 도중 동해→서해의 전위(轉位)로 장면화되며 지구지원(地球地圓)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흔적을 드러냄으로써, 허구 작품을 논리적 세계로 인식하게 한다. <태원지>의 일주는 동일 공간으로의 회귀를 거부하고 질적으로 다른 유사 공간으로의 이동을 상상한다. 그렇게 하여 도착한 태원은 중원의 대칭적 다원 세계이자, 역사적⋅문명적 신화 시대로 재귀한 ‘태초의 중원’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태원지>에는 조선후기에 경합하는 ‘지식장’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동시에 지적 운동을 수동적으로 수용하지 않으려는 서사적 사유 실험의 태도도 발견된다. 이것은 조선후기 문화틀에 대한 재검토의 기회와 계기를 제공하고, 소설이 역동하는 지적 환경에 열린 자세로 동참했던 정황을 보여준다. 소설은 시대의 문화틀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지만, 기존의 문화적 교양에 일방적으로 압도당하지 않는다. 소설은 자기 시대의 문화틀이 재구성되는 현장에 참여하며, 확장성이 높은 대중적 글쓰기를 통해 새로운 사유를 고민하는 실험장으로 역할 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태원지>와 <경화연>의 해양 탐험담 비교 연구

        오화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2 No.-

        본고에서는 장서각본 소설 <태원지>와 중국 청나라 때 소설 <경화연>의 해양 탐험담에대해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서 비슷한 시기에 향유되었던 두 작품의 해양 탐험양상을 고찰하고 해양 탐험담에 담겨진 두 나라 사람들의 인식 지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태원지>와 <경화연>의 해양 탐험담 개관을 살피면서 예비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해양 탐험의 내용을 동기, 과정, 결과 세 부분으로 나누어 해양 탐험 양상을 살폈고 유사성과 변별성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해양 탐험담에 나타난 인식 지향을 밝혔다. 두 작품의 주인공들은 해양 탐험 초기에는 모두 중국 중심의 세계 인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해양 탐험을 거쳐 <태원지>에서는 중화권을 벗어난 새로운 세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그 세계와의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와 달리 <경화연>의 해양 탐험담은 여전히 중화주의인식을 고수하면서 기존 문화에 대한 자기반성과 비판 의식이 내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work i shall compare the version of Taewonji sotred at the royalarchives in Korea and the chinese Qing writing Kyeonhwayeon. Through thiscomparative approach i will try to outline the peoples understanding of oceanexploration in both Qing China and Choson. First of all I shall collect all mygeneral observations of the outline to get a overall view. As next step I shalldivide the content of both into intention, process and result to understand thegeneral differnces and similarities. And lastly I tried to clarify how the oceanexploration was understood. In both novels the main characters are inmersedin a mainly chinese dominated world view and cultural background. Butthrough the ocean exploration the the original woldview is shattered and atransfer to a new understanding is beginning. Differently from thatChina-centered worldview in Kyeonhwayeon, some very intersting alterationsoccur in a rather critical and selfreflective way.

      • KCI등재

        한문본 <태원지(太原誌)> 연구

        강문종 한국고소설학회 2016 古小說 硏究 Vol.42 No.-

        This study sorted out the meanings of Chinese version of Taewonji, which had been known only as a Hangul novel, in the history of classical novels as follows: First, its Chinese version can contribute to the broader horizon of its different versions, which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families. Researchers are now able to focus their research efforts on its Chinese version in addition to its Jangseogak version that had led the researches on the novel. Secondly, it is now possible to estimate the creation time of the novel specifically based on the transcription time of its Chinese version. Since its Chinese version contains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nscriber and the transcription records, the transcription year was confirmed at 1746. Furthermore, there are now grounds for moving the creation time of the novel, which used to be estimated as the 19th century, forward by approximately 100 years. Finally, the Chinese version shows that classical novels accepted the new and changed perceptions of Qing Dynasty earlier than the School of Northern Studies, who formed their new perceptions of Qing after their journeys to it mainly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Chinese version of the novel confirms that such a conversion of consciousness continued in classical novels before them. The findings indicate that classical novels played active roles in the flow of changing perceptions of Qing or the flow of spirit of those times. 그 동안 한글소설로만 알려졌던 <태원지>의 한문본이 소개되면서 이 이본이 갖는 고전소설사적 의의를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태원지> 이본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 이본을 최소한 2개의 계열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동안 <태원지>의 연구를 선도했던 장서각본 뿐만 아니라 한문본 역시 <태원지> 연구의 주 대상으로 삼을 수 있게 되었다. 둘째, 한문본의 필사시기를 통하여 창작시기를 구체적으로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한문본에는 필사자 및 필사기가 남아 있어서 필사년도를 1746년으로 확정할 수 있었고, 그 동안 19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던 창작시기를 약 100여년 앞으로 옮길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셋째, 고전소설이 북학파보다 이른 시기부터 새로운 대청인식의 변화를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로 18세기 후반 연행을 통하여 북학파들의 새로운 대청인식이 형성되었다. 그런데 그 이전 시기부터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고전소설을 통하여 수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대청인식의 변화에 대한 흐름 즉, 당시 시대정신의 흐름에서 고전소설이 적극적인 역할을 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太原誌>에 나타난 中華主義 硏究

        김수현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0

        Bukbeollon (Assertion of conquest of the northern region) is crucial to epic literature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This assertion was claimed in order to recover a disgraced Joseon from Qing's Jeongmyo and Byeongja invasions and to restore national pride. Thereafter, Bukbeollon continued to be discussed throughout the second half of Joseon, greatly impacting various sectors such as politics, diplomacy, national defense and society. These chronological changes were expressed by literature as they were. Taewonji enabled us to take a look at a shift in recognition by which a newly explored space, rather than being bound by the Chinese space occupied by barbarians, could become a true China. Also, how the story was developed based on the drifting mechanism rather than on dream was examined. Also, Taewonji is structurally very close-knit, and has many portions which can be interpreted ambiguously, and this was examined. 조선후기 당시 대외 정책과 관련하여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주제 중의 하나는 북벌론이었다. 명·청 교체기에 조선이 어떤 입장을 견지해야 하는지는 매우 민감한 문제였다. 병자호란 직후 효종대 활발하게 일어나던 북벌론은 시간이 흐를수록 변모해갔다. 영·정조대에 대명의리론과 더불어 북학이 제기되면서 북벌론은 사실상 지난 시대의 산물이 되었다. 문학에서는 이러한 사상사적 변화를 포착하여 작품 속에 형상화했으며, <太原誌>에는 북벌론의 변모와 조선중화주의라는 변형된 가치관이 더불어 나타난다. <太原誌>에는 공간 이동에 따른 의식 변화가 나온다. 주인공은 조선을 떠나 태원에 도착하는 과정에서 인식 변화를 겪는다. 지금 자신이 서있는 곳이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太原誌>는 표류와 요괴라는 허구적 장치가 있지만, 끊임없이 현실성을 부각한다. 이 작품이 단순히 흥미와 감동을 전하려는 목적 외에 현실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이다. 그것은 바로 조선중화주의에 대한 생각으로, 멸망한 명나라의 회복이 아니라 문명이 실현되는 ‘이곳’이 중화의 중심이 될 수 있다는 가치관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