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 해석의 새로운 시각

        신선혜(Sin, Sun Hye) 한국불교연구원 2019 불교연구 Vol.51 No.-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는 진성여왕대의 혼란상을 보여 주는 왕거인, 거타지 설화로 구성되어 있다. 두 사례에 설화적 요소가 다분한 만큼 이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국문학적으로 접근하였지 만, 진성여왕대의 사회상에 대한 보완자료로서 역사학적으로 연구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왕거인과 거타지를 각각 왕경의 상층민, 지방의 하층민으로 규정하여 본 조목이 진성여왕대 왕실에 대한 대내외적 반발을 상징한다고 보거나, 특히 거타지의 경우 지방의 토착 신앙 혹은 변질된 불교에 대비된 정통 불교 세력을 상징한다고 파악하 였는데, 이러한 시각들에는 왕거인이 大耶州의 隱者로 표현된 삼국사 기의 기록과 거타지가 良貝의 무리로서 왕권을 대변하는 존재라는 점에 주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즉 왕거인 설화는 해인사를 중심으로한 진성여왕대 왕실의 불교성향(혹은 불교정책)에 대한 大耶州 사람들의 반발을, 거타지 설화는 앞선 반발들에 대한 무마와 僧政의 문란 등에 대한 俗權의 개입을 정당화하고자 부정한 승려가 왕의 군사로 설정된 속권에 의해 처단된다는 내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진성여왕대의 왕실과 불교계에 대한 반발을 의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설화의 채록시기는 진성여왕대 이후로 생각되는데, 왕거인의 경우는 대야주의 후백제 함락 이후, 거타지의 경우는 왕건의 불교계 재편 시기와 관련하여 이해할 수있다. 이와 함께 삼국유사에 두 설화가 채록된 것은 신라 불교의 고려 로의 연속성과 함께 고려초 불교계 재편의 의의를 부각시키기 위함으로 파악된다. 이렇듯 본 조목은 나말여초 시기 국가와 불교계의 관계를 보여준다는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Samguk Yusa(三國遺事) Queen Jinseong Geotaji(眞聖女大王 居陁知) Writings are consisted of tale of Wanggeoin(王居仁) and tale of Geotaji(居陁知). Since there were a lot of fantasy aspects in both of the cases, the early research was mainly made in the Korean literature perspective, but it was also researched historically as complementary data for the social aspect of Queen Jinseong. However, because the previous researches viewed Wanggeoin and Geotaji each as high-class and low-class, it viewed this writing as the opposition against the Queen Jinseong realm. Especially for Geotaji, it was identified as the traditional Buddhist power contrary to the spoiled Buddhism, but it showed limitation in that Wanggeoin was viewed disorderly as a hiding person of ‘Daeyaju (大耶州)’ in Samguk sagi(三國史記) and Geotaji was viewed as ‘Yangpae(良貝)’s group’ representing the king’s realm. Therefore, the Wanggeoin tale is an opposition against the Queen Jinseong realm’s Buddhistic approach by the ‘Daeyaju’ people, and the Geotaji tale is about the punishment of the corrupted monk in order to justify the involvement of secular arm against the corruption in the Buddhism religion. On the other hand, it is estimated that the recording period of these two tales should be after the time of Queen Jinseong since it intends for the opposition against the queen’s realm. So the time for the Wanggeoin tale is after the invasion of HuBaekjae(後百濟), and the time for the Geotaji tale is during the restructuring of Buddhism of King Wanggeon(王建). With this, the reason for the inclusion of the two tales in Samguk Yusa is to show the continuation of Silla(新羅) Buddhism to Goryeo(高麗), and the restructuring of Goryeo Buddhism. Therefore, we must approach this writing with the time period of late Silla and early Goryeo, and with the view that i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m religion and the country.

      • KCI등재

        ‘-ㄹ거’의 문법화에 대한 가능성 고찰

        이현희(Lee Hyun-hee)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8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로 그동안 처리되어 왔다. 문어와 구어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상황에서 ‘거’의 사용이 ‘것’과 같이 많아지고 있고 ‘것’과 ‘거’의 교체가 모든 경우에 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본고는 ‘거’에 대해 새로운 처리 방향을 제시하였다. ‘-ㄹ거’가 하나의 문법 형태소로 통합되어 점차 어미로 진행되어 가는 것으로 보려는 것인데, 이를 위해 ‘것’으로부터 ‘거’가 분리되고 있는 현상과 ‘-ㄹ 거’를 포함한 통사적 구성이 어미로 사용되는 현상, 이어 ‘-ㄹ거’가 한 형태로 사용되는 현상 등에 대해 차례로 살펴보았다. 특히 ‘-ㄹ거’의 어미화와 관련하여 관형사형 전성어미와 결합한 ‘-ㄹ 거’가 ‘대상성’을 가지면서 다른 명사형 전성어미와 계열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ㄹ 거’를 포함한 통사적 구성이 관용구로 처리될 것이 아니라 종결어미로 처리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us far, ‘keo’ has been simply treated as colloquial form of ‘keot’. However, the boundary between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has been blurred and ‘keo’ is increasingly used spoken and written language. In addition, sometimes switching from ‘keot’ to ‘keo’ is unusual or not possible. We may, therefore, reasonably conclude that ‘keo’ has diverged from ‘keot’ and has changed in its grammatical status and functions. The ending ‘-l keo’ is also changing in its grammatic functions and has become a nominalizing ending like ‘-em’ and ‘-ki’. The ending ‘-um’ is usually used to refer to status and ‘-ki’ is usually used for action meaning. In contrast, ‘-l keo’ expresses an objectified meaning. The endings ‘-lkeoya’, ‘-lkeoyeyo’, ‘-l keoda’, and ‘-l koe katda’ are used as endings. So in confirming these aspects, we investigate possibilities such as potential of case marker alternation, their distributions, and sentence grammaticality. Consequently,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approach for analyzing ‘-lkeo’ as a nominalizing ending, and syntactic composition ‘-lkeo’ and other endings as final ending.

      • KCI등재

        ‘-거나’, ‘-든지’의 [무관]의 의미에 대한 사적 고찰

        정혜선(Chung, Hye-sun)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7 No.-

        이 연구는 접속어미 ‘-거나’, ‘-든지’가 나타내는 [무관]의 의미를 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중세국어에서 [무관]의 의미를 나타내던 ‘-거나’의 분포는 근대국어에서 축소되고, ‘-든지’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주장이다. 중세국어 ‘-거나’는 다음의 두 가지 유형에서 [무관]의 의미가 나타난다. 하나는 서로 반의 관계에 있는 절이 병렬항으로 나타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부정칭 서술어와 결합하는 경우이다. 근대국어에서 전자는 그 빈도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후자는 큰 변화 없이 그 쓰임이 유지된다. 19세기에 ‘-든지’는 [무관]의 의미에서 ‘-거나’의 쓰임을 대체하면서 다양한 결합 양상을 보여 준다. 반의 관계에 있는 절과 ‘무엇’, ‘어디’등의 부정칭 대명사를 포함한 절에 결합하여 [무관]의 의미를 드러낸다. 또한 [무관]의 어휘적 표현과 공기하는 예도 상당수 확인된다. ‘-든지’가 ‘-거나’보다 넓은 분포에서 [무관]의 의미를 나타내는 양상은 현대국어에서까지 이어진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irrelevance] of connective endings ‘-거나’, ‘-든지’ diachronically. I claims that the distribution of ‘-거나’ that had expressed [irrelevance] in Middle Korean decreased, and ‘-든지’ expressed the meaning of [irrelevance] productively in Pre-modern Korean. ‘-거나’ had the meaning of [irrelevance] in two types in Middle Korean. One was that it combined with antonymous clauses, and theother was that it combined with indefinite predicates. In Pre-modern Korean, the frequency of ‘-거나’ combining with antonymous clauses decreased rapidly and the frequency of ‘-거나’ combining with indefinite predicates remained unchanged. In the 19th century, ‘-든지’ substituted ‘-거나’ when expressing the meaning of [irrelevance]. It actively combined with antonymous clauses and clauses that contained diverse indefinite expressions. And ‘-든지’ co-occurred with various lexical expressions that represented [irrelevance]. ‘-든지’ expresses the meaning of [irrelevance] in more diverse distributions than ‘-거나’ in Modern Korean.

      • KCI등재

        칸트의 거룩의 개념과 개혁주의 전통의 거룩의 개념 비교연구: 교회론적 틀 안에서

        김용준 ( Yong Jun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5 No.-

        기독교 윤리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에 하나는 거룩이다. 그러나 기독교 안에서 거룩은 세상윤리에서 말하는 거룩 또는 도덕과는 다르다. 요즘 칸트의 도덕 철학은 현대 사회뿐만 아니라, 기독교 삶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칸트의 이해 안에서 ‘도덕’은 기독교 ‘거룩’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칸트에게서 도덕 개념은 실천 이성에 기초한 인간 ‘자율성’으로부터 기인한다. 반면 기독교의 거룩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거룩에 의존한다. 이러한 이해는 교회의 거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왜냐하면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세우셨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리스도에 대한 동일한 신앙을 가진 자들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두 번째 위격이시며, 하나님의 아들이 신 머리의 지체들이다. 그리스도의 몸은 교회다. 기독교 시작 이래, 교회는 사회적 모임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이다. 따라서 만약 기독교인의 거룩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거룩, 즉 모든 몸의 머리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으로부터 기인한다면, 교회의 거룩 역시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으로부터 기인한다. 그러므로 교회의 거룩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세상으로부터 구분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성도들로서 교회의 거룩은 인간본성에 따르는 도덕적 행위(자율성) 또는 교회 건물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의 두 번째 위격이시며, 우리의 유일한 머리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에 의존하는 것이다. The one of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christian Ethic is the Holiness. However, the concept ``Holiness`` in christianity differs from that of worldly Ethic or Moral. Now a day Kant`s moral philosophy influences not only modern society but also Christian life. However, the concept ‘Moral`` in the understanding of Kant has nothing to do with christian concept ``Holiness.`` For Kant, this moral notion stems from human ‘Autonomy`` which is on the basis of ``practical reason.`` Instead, the concept ``holiness`` of Christian depends on Holiness of the Triune God. This understanding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holiness of the Church. Because the Church must be founded on the Triune God. And those who have the same faith in Jesus Christ are the bodies of the Head who is the Son of God, the Second Person of the Triune God. The body of Christ is the church. Since beginning of Christianity, the Church has not been social groups, but the body of Jesus Christ. Accordingly, If Christian holiness stems from the holiness of the Triune God, that is, Jesus Christ as the head of every body, the church`s Holiness also stems from the Holiness of Jesus Christ. Therefore, the holiness of the church implies the distinction from the world by obeying Triune God`s words. Therefore, the holiness of the church as Saints does not depend on the moral acts(Autonomy) according to human nature or church building, but the Holiness of our lord Jesus Christ as our unique head, the second person of Triune God.

      • KCI등재

        “渠答”新詁

        盧佳琦,趙家棟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1 한자연구 Vol.- No.31

        Quda (渠答) is an ancient military literature word, many military books and dictionaries of past dynasties interpreted Quda (渠答) as Tiejili (铁蒺藜). Some scholars have raised objections to this, believing that Quda (渠答) and Tiejili (铁蒺藜) are not the same thing. However, the specific shape of Quda (渠答) has always been controversial. The paper argues that Qu (渠) and Da (答) are two kinds of city guard instruments, Qu (渠) is a large wooden shield, Da (答) is also written Da (荅), which is a protective curtain made with straw and bamboo. Da (答) covers the Qu (渠), so Qu (渠) and Da (答) are often associated, the words Qu (渠) and Da (答) in the literature have evolved into a polysyllabic word, which refers to the facilities of guarding the city against the enemy. Quchan (渠幨) is also written Quzhan (渠譫), Chan (幨) is a protective curtain made of cloth. Quzhan (渠幨) and Quda (渠答)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however, after generalization, the two meanings are close to each other.

      • KCI등재

        현대 중국어 "V상(上)(래)(來)/거(去)" 구문의 어법특성 분석 -"來,去" 를 중심으로

        유수경 한국중국언어학회 2015 중국언어연구 Vol.0 No.58

        現代漢語“V上(來/去)”結構是一個多功能性的語法成分。意義繁多。在附加“來”/”去“問題上呈現不對稱的診勢。 本文通過語料分析。 對“V上(來/去)”的語義和結構,附加“來/去”的條件進行定量分析。 首先, 本文根據結合動詞的語法特徵,把V上(來/去)“節後分僞 (1)可加也不可家”來/去”的"V上(來/去,“ (2)必須加”來、去的V上{來/去},“(3)不可加”來/去“的”V上“節後, 每個結構又可分僞更小的語義類型。 其次, "V上(來/去)“ 句法結構按照”O的分佈劑生集中不同方式。 本文主要針對“V上O(來/去)”結構進行分析。 分析結果顯示,表示“位移意義”V上(來/去)“ 節後最普遍採用”V上O(來/去)“形式,而較僞語法化幷表示”通過接觸行僞實現“意義的”V上(來/去)“節後選擇”V上O(來/去)形式比較少, 而把OV上(來/去)“或上(來/去)”選擇得比較多。 尤其,不表示“行僞實現”而要表示“對象的位移“的時候,這義診勢特別明顯, 這根來/去”的句法位置,其語法話密切關係。

      • KCI등재

        소비자 간 거래 플랫폼에서 신뢰의 역할: 중고 거래 플랫폼과 숙박 공유 플랫폼을 중심으로

        이보한 ( Lee¸ Boha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2

        소비자의 거래비용 감축이라는 핵심 가치를 제공하는 소비자 간 거래 플랫폼은 차별화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플랫폼 사업자가 플랫폼 사업자가 중개자로 참여함에 따라 이중적인 거래 구조로 인해 복잡성이 증대되었고, 거래되는 재화의 특성과 비전문적인 판매자로 인해 거래 관련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거래비용이론(transaction cost theory)의 관점에서 소비자 간 플랫폼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거래비용의 유형이 무엇이며, 그 수준은 어떠한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거래 비용이 소비자 간 거래 플랫폼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때 거래비용과 플랫폼 참여의도 간의 관계가 신뢰에 따라 조절되는지 검증함으로써 소비자 간 거래 플랫폼에서의 신뢰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고 거래 플랫폼 이용경험자 245명, 숙박 공유 플랫폼 이용경험자 2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 간 거래 플랫폼에는 소비자의 거래비용이 존재하였으며 소비자의 역할 및 플랫폼 유형에 따라 거래단계별 소비자가 인지하는 거래비용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거래비용은 소비자 간 거래 플랫폼 참여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는 소비자 간 거래 플랫폼 참여의도에 미치는 거래비용의 영향력을 조절하였다. 플랫폼의 유형에 따라 신뢰가 조절하는 거래비용의 유형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간 거래 플랫폼에서 신뢰의 역할을 실증함으로써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여건으로 신뢰의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하였으며, 거래비용이론이라는 이론적 논의가 소비자 간 거래 플랫폼이라는 비교적 최근 성장하고 있는 산업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The C2C platforms, which provide the core value of reducing transaction costs for consumers, are growing by providing differentiated goods or services. However, with platform operators participating as intermediaries, the dual trading structure has increased complexity, and the nature of the goods traded and the non-professional sellers continue to raise transaction-related issues. This study sought to demonstrate in terms of transaction cost theory what types of transaction costs were perceived by consumers on C2C platforms and what levels were they at. It was also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ransaction costs on C2C transaction platform participation intentions, and to verif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 costs and platform participation intentions is moderated by trus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developing measurements to demonstrate the role of trust in terms of transaction cost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ransaction cost still existed in C2C platforms, and the level of transaction cost perceived by the consumer was different in each transaction stage according to the platform type. Transaction costs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2C platform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act of transaction costs in each stage depending on the type of platform. the kind of transaction cost that trust moderates according to the platform type was different. For second-hand goods platforms, trust was shown to moderate the impact of information searching, negotiation, and post-purchase costs o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latform. On the other hand, for a lodging sharing platforms, trust moderated the impact of all types of transaction costs o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latform.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to build trust as a foundation for consum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latform by demonstrating the role of trust in the inter-consumer trading platform, and confirmed whether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ransaction cost theory can also be applied to the relatively growing industry.

      • KCI등재

        경남방언 어말어미 ‘-거로’에 대해서

        양지현(Yang, Jihyeon)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8 No.-

        이 글은 어말어미 ‘-게’의 경남방언형인 ‘-거로’에 대한 것이다. 경남방언에 나타나는 ‘-거로’는 공용어인 ‘-게’와 의미기능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하고, 특정 언어환경에서 제약을 받기도 하면서 다소 다른 행보를 보인다. 이러한 행보는 ‘-거로’가 접속어미로 쓰일 때는 물론이고 종결어미로 쓰일 때도 보이는데, ‘-거로’가 ‘-게’와 단순히 형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넘어 쓰임에도 차이가 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먼저, 어말어미 ‘-거로’의 형태적 특성을 ‘-거로’의 형성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공용어의 ‘-게’와 경남방언의 ‘-거로’를 비교하여 ‘-거로’를 중심으로 그 특성을 면밀하게 살피고자 하였다. 어말어미 ‘-거로’의 특성은 접속어미 ‘-거로’와 종결어미 ‘-거로’를 나누어 살폈다. This article is about ‘-georo’, which is the word-final ending of Gyeongnam dialect ‘-ge’. ‘-Georo’, which appears in the Gyeongnam dialect, differs from the official language ‘-geo’ in its semantic function, and takes a somewhat different course while being constrained by a specific language environment. This move can be seen when ‘-georo’ is used as a conjunctive ending as well as a sentence-final endings, and it is noteworthy that "-georo" is used beyond the fact that "-georo" and "-ge" are different in form from each other. Therefore, in this article, firs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rd-final ending "-georo" a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georo", and by comparing the official language "-ge" with "-georo" of the Gyeongnam dialect, we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eoro" in detail.

      • KCI등재

        이상화 시어 ‘목거지’의 주석학적 연구

        김주현 한국현대문학회 202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2

        본고에서는 이상화의 시어 ‘목거지’에 대해 주석학적으로 논의하였다. 김용직이 ‘목거지’를 ‘잔치’를 뜻하는 ‘모꼬지’의 대구 방언으로 주장한 이래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목거지’가 ‘모꼬지’라는 주장에 동조하는 연구자로 이기철, 송민, 홍윤표 등이 있다. 그러나 이상규, 김권동, 유재천 등은 ‘목거지’를 개인 언어로 보았다. 곧 ‘목전(前)’, ‘볼거리’, ‘길목·어귀’ 등의 의미로 파악한 것이다. 본 연구자는 1920~30년대 모꼬지와 관련된 어휘들을 광범위하게 조사하였다. 그것은 20세기 들어와서 못고지, 모ᄭᅩ지, 못거지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못고지와 못거지는 발음의 유사성에 따라 목고지, 목거지로도 표현되었는데, 이상화는 시에서 후자를 사용한 것이다. 못거지·목거지·모꺼지, 못고지·목고지·모꼬지는 소리로 보면 거의 동일하지만, 형태(자형)가 다른 표기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못거지’와 ‘목거지’가 연철되어 ‘모꺼지’로, ‘못고지’와 ‘목고지’는 ‘모꼬지’로 실현되는데, 이 가운데 마지막 낱말이 표준어가 된 것이다. 한편 ‘먹거지’와 ‘먹고지’는 뜻이 ‘목거지’와 ‘목고지’와 다를 바 없다. 그렇다면 그것은 음가의 유사성, 또는 의미의 인접성에 따른 표현으로 보는 것이 적합하며, 그 뜻은 ‘모꼬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들을 새로운 단어로 규정하기 어려운 것은 이 낱말의 사용이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모꼬지’의 의미로 사용된 낱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목거지’가 대구뿐만 아니라 춘천에서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목거지’가 1930년대 중반 『조선어표준말모음』(1936)이 공포된 이후 ‘모꼬지’로 통일되기에 이른다. Since Kim Yong-jik first claimed that ‘Mokgeoji’ of Lee Sang-hwa’s poem was the Daegu dialect of ‘Mokkoji’, which means ‘festival’, it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However, Lee Sang-gyu, Kim Kwon-dong, and Yoo Jae-cheon saw ‘Mokgeoji’ as a personal language. It was grasped as the meanings such as ‘being imminent’, ‘a spectacle’, and ‘street corner or entrance’. In the 20th century, mokkoji appear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Mokgoji, Mosgoji, and Motgeoji. Motgoji and Motgeoji were expressed Mokgoji and Mokgeoji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pronunciation, and Lee Sang-hwa used the latter in his poem. Motgoji, Mokgeoji, Mokkeoji, and Motgoji, Mokgoji and Mokkoji are almost the same in terms of sounds, but they can be seen in different forms. In addition, ‘Motgeoji’ and ‘Mokgeoji’ are realized as ‘Mokkeoji’, and ‘Motgoji’ and ‘Mokgoji’ as ‘Mokkoji’, of which the last word is solidified into the standard word. The meanings of ‘Meokgeoji’ and ‘Meokgoji’ are no different from ‘Mokgeoji’ and ‘Mokgoji’. The reason why these words are difficult to define as new words is that not only the use of these words is extremely small, but they are also used as the meaning of ‘Mokkoji’.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Mokkoji’ was used not only in Daegu but also in Chuncheon, Such ‘Mokgeoji’ has been unified as ‘Mokkoji’ since the “The Collection of Korean Standard Language” was promulgated in the mid-1930s.

      • KCI등재

        『삼국유사』 소재 ‘眞聖女大王居陁知’ 조 설화의 검토

        전기웅(Jeon Ki-Wo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8 No.-

        신라가 몰락의 시기로 넘어가는 진성여왕대의 설화는 ‘진성여대왕거타지’ 조에 수록된 왕거인 사건과 거타지 설화의 두 가지이다. 하나는 왕경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으로 당시 지배층의 암울한 현실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하나는 지방에서 흥기하는 해상세력의 모험과 성공을 희망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왕경과 지방이라는 양자의 대비를 통해 당시의 사회상을 함축하여 나타내고 있다. 왕거인 사건은 6두품 지식인과 왕경의 중심계층인 국인이 여왕과 왕실 측근의 세력집단에 대한 불만을 다라니의 은어를 통해 표출한 것이었다. 왕경의 분열은 이미 신라가 몰락의 단계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이 사건은 진성여왕대 왕경의 사회상과 분위기를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거타지 설화는 강주의 거타지가 신라 사신을 수행하여 당으로 가는 과정에서 용왕의 어려움을 도와주고 그 보호를 얻어 무사히 사행을 마치고 돌아올 수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이 설화의 테마는 송악의 작제건 설화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바다로 나가 모험을 겪고 보물을 얻어 귀환한다는 이야기는 당시에 널리 퍼져 있던 해상 상인들의 모험담이었다. 두 설화 속의 사건은 그 후의 역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왕거인 사건 이후 왕경은 새로운 정치세력의 대두로 개혁과 정치적 변화를 시작하였다. 예겸과 효종, 효공왕 요와 신덕왕 경휘로 이어지는 신라말 정치사의 전개는 왕거인 사건에 그 출발점을 두고 있다. 거타지 설화와 작제건설화는 그 후 각기 강주의 왕봉규와 송악의 왕건이라는 강력한 해상세력의 등장으로 이어진다. 거타지의 활동을 이어간 왕봉규는 신라의 대당외교에 협조하며 활동하였으나, 신라를 벗어나 독립된 국가 조직을 갖춘 송악의 왕건에 의해 몰락하고 만다. There are two tales, the event of ‘Wanggeoin’ and the tale of ‘Geotaji’ in “Queen Jinseong and Geotaji” of Samgugyusa in the reign of Queen Jinseong when Shilla had been falling. The former told dark conditions of the ruling class of those days through a political event that had happened in the capital of Shilla. The latter hopefully described an adventure and a success of maritime groups that had been rising in the provinces. Two tales reflected the society of those days by comparing the capital with the provinces. The story of ‘Wanggeoin’ expressed the discontent of intellectuals from Yukdupum(六頭品) and Gugin(國人), a leading class of the capital, with the Queen and people close to the royal family by using a secret language of Dharani. The division of the capital was a sign of the fall of Shilla. The event distinctly showed a social atmosphere of the capital under the reign of Oueen Jinseong. The tale of ‘Geotaji’ was a story that he completed his duty and returned safely after he helped to the Sea King when he accompanied the envoy of Shilla and went to Tang. The tale of ‘Jakjegeon of Songak’ has the same theme of the tale of ‘Geotaji’. The story of Seaborne trader's adventures that a merchant returned safely with treasures after he went to sea and had an adventure were widely known in those days. The events in two tales have had a big effect on history of Shilla since then. After the event of ‘Wanggeoin’, a new political group was on the rise and initiated a political reform in the capital. This event was the starting point of a political history in the late period of Shilla that continued from Yegyeom, King Hyojong, and King Hyogong, to King Sindeok. Two tales led to the emergence of powerful maritime groups such as Wangbonggyu of Gangju and Wanggeon of Songak respectively. Though Wangbonggyu who succeeded to Geotaji’s achievement increased his range of activities, agreeing to Shilla’s policy toward Tang, he was ruined due to Wanggeon's power who established a state organization being independent from Sh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