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와 『청소년과 효문화』 지의 역사 및 게재 논문 유형

        장재천 ( Chang Jae-cheo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20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6 No.-

        본고는 그 역사가 2020년이 되면서 어느 덧 20여년이 된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와 그 학회가 창간호부터 시작하여 34집까지 발간한 『청소년과 효문화』지를 분석해 학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과 학회지에 게재되는 학술논문들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착수하였다. 이는 20여년의 세월 동안 장족의 발전을 하였으나 아직도 등재후보지가 못되었기에 중간 점검 차원에서라도 한 번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일이었고, 또한 학회나 학술지가 4차 산업혁명시대라 할지라도 변함없이 계속 되어야 되기 때문에 매우 어렵더라도 누군가는 이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일이었다.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는 회장이 한국사상문화학회의 회장을 겸하고 있으므로 형제관계라고 할 수 있으며, 한국사상문화학회의 학술지로서 100집(2019년 말)을 낸 『한국사상과 문화』와 한국청소년문화학회의 학술지인 『청소년과 효문화』도 결국 같은 형제관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는 본래 처음에는 국제청소년문화학회로 출발하여 한국청소년문화학회로, 그리고 다시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로 바뀌어왔으며, 학술지도 『한국의 청소년문화』로 출발해 『청소년과 효문화』로 바뀌어왔다. 한편 본고는 2001년 창간호부터 2019년 34집까지 게재된 총 296편의 논문을 분석해 그 경향과 연구자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효의 전통이나 사상을 다룬 논문이 80편, 효의 현대화 작업에 치중한 것이 34편, 효의 전통을 말하면서 현대화 문제를 말한 것이 34편, 그리고 주로 인성교육 문제를 다룬 것이 132편이었다. 게재자의 빈도수는 김익수와 장재천이 모두 30편씩으로 가장 많았다. 이제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는 가까운 시일 내에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지가 되지 못한다면 그 명맥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범위를 넓혀 『청소년과 인성교육』으로 리모델링해 인성교육 논문들이 많이 게재될 수 있도록 변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Youth Hyo Culture Association originally started as an International Youth Culture Association, changed to the Korea Youth Culture Association, and then again to the Korea Youth Culture Association. Has been turned into.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analyzed a total of 296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of 2001 to 34 books in 2019, and analyzed the trends and the frequency of researchers. As a result, 80 papers dealing with the traditions and ideas of filial piety focused on modernizing filial piety. 34 were talking about the tradition of filial piety, 34 were talking about modernization, and 132 were mainly dealing with the issue of humanity education. The number of publishers was the most frequently (30 episodes) by Kim Ik Soo and Jang Jae Cheon. The Korean Youth Hyo Culture Society is not easy to maintain its consensus unless it becomes a candidate for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contributors are not allowed to increase synergy by integrating with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and Culture, or to focus on academic guidance. Is gradually decreasing, so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scope and change it to 『Youth and Humanity Education』 so that many personality education articles can be published.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긴장이 비행과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의 조절효과 탐구

        최지원 ( Ji Won Choe ),한윤선 ( Yoonsun Ha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3

        한국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 및 학교 부적응과 이중언어 간 관계를 이해하고 개인 내적·외적 체계의 다양한 보호요인을 탐구하려는 시도는 다문화 청소년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상황에서 그 긴요성에 불구하고 아직은 희소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의 5차년도(2015년) 자료인 한국 다문화 청소년 1,279명을 대상으로 일반긴장이론을 분석의 틀로 사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첫째, 부족한 한국어 능력 및 능숙함에서 비롯한 언어긴장이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 및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가 비행 및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셋째, 언어긴장과 비행 및 학교 부적응의 관계에 있어 다문화 청소년의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가 보호요인으로서 갖는 조절효과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계승어 능력과 부모지지 수준은 비행 경험 확률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에 언어긴장이 미치는 영향을 계승어 능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절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스트레스 수준과 한국어 비능숙도 모두 학교 부적응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의 수준 모두 학교 부적응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과 학교 부적응 문제에 개입할 때 이중언어, 자아존중감, 부모지지를 고려하는 것이 유효한 접근이면서도 계승어에 대한 인식 제고와 사회적 제반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There are rarely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 and to explore various factors of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systems to protect immigrant adolescents even though these attempts are required as the increase of immigrant adolescent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2015; N=1,279),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South Korea. The general strain theory was used to analyze dat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ain from host language o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and the impact of protective factors such as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o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was examined. Major results showed first,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and parent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delinquency. It was identified that only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tatistically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strain from host language on delinquency. Meanwhile, both the level of stress about Korean language and Korean incompetence had a positive on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negatively influenced school maladjustment of immigrant youths. Based on these results, when there is an intervention i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considering bilingualism,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is an useful approach. It suggests that enhancing the awareness of heritage language and social consideration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청소년운동에 관한 비교사적 연구 - 청소년운동을 통한 21세기 한국사회 변혁의 가능성 탐색 -

        이민희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korean youth for new youth movement. For this purpose is on youth movements of Korea and Germany with historical-hermeneutical method comparatively studied, that is to say not only on the origin, background and historicity of ‘Jugendbewegung’ at the end of 19 century and student movement in the 1960‘s in Germany but also on those of ’Hwarang(youth chivalry)‘ of Shilla age and student movement after 1960’s in Korea. Finally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korean youth as creative and dynamic subject have to revive the youth movement in order to change and reform the stagnated korean society at the global age. By reason of korean society at an critical moment is especially on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new social movement through the youth movement emphasized.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운동과 유사한 독일의 청소년운동 사례를 비교사적으로 고찰함으로서 정체된 한국의 청소년운동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물신주의(mammonism)와 학벌지향적 교육으로 병들어 있는 현금의 21세기 한국사회 속에서 새로운 범국민적 청소년운동을 통해 한국사회의 변혁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먼저 19세기말에 시작되어 독일 사회변혁에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던 ‘청소년운동(Jugendbewegung)’과 독일의 1960년대 학생운동을 그의 기원, 배경, 전개과정과 역사성의 구성으로 조명하였다. 그리고 이와 비교하여 한국의 신라시대 화랑도와 1960년대 이후 학생운동이 같은 구성으로 고찰되었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독일과 한국의 청소년운동의 비교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 청소년들이 창조적, 역동적 주체로서 새로운 범국민적 청소년운동을 다시 한 번 부흥시켜 글로벌시대를 맞는 한국사회의 변화와 개혁을 새롭게 변증법적으로 열어가야만 하는 필요성과 가능성이 서술되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역사적-해석학적(historical-hermeneutical) 방법이 사용되었다.

      • KCI등재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 한인 청소년 및 한국 청소년 간 부모권위유형 인식 및 기독교 신앙 상태에 따른 가족 강인성

        전요섭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2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at family hardiness is promoted by parental authority style and the Christian faith of Korean adolescence,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Canadian adolesc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materials for parents' counseling of their adolescence childr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344 Korean adolescence in high school, 317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308 Canadian adolescence(grade 10-12). Total participants are 969 people. The questionnaires for this survey contain 50 questions in two kinds of questionnaires. The tools of investigation were (1) the parental authority style(30 questions), and (2) the family hardiness(20 questions). Also, questionnaires of the parental authority style and the family hardiness were translated from English into Korean by this research. ANOVA, t-test and the Scheffe' test were conducted by utilizing SPSS WIN1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adolescence,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Canadian adolescence in parental authority variances and Christian faith styles, secon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adolescence,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Canadian adolescence in family hardiness and Christian faith styles. Also, la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adolescence,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Canadian adolescence in family hardiness and parental authority variances. 본 연구는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에 거주(이민·유학)하는 한인 청소년 그리고 한국 청소년 간에 부모권위유형 인식 및 기독교신앙상태(유무)에 따른 가족강인성에 대한 인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민·유학 가정의 청소년 자녀상담 및 부모의 양육태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캐나다 청소년(10-12학년) 308명, 캐나다 한인 청소년 317명, 그리고 한국 청소년(고등학교 1-3학년) 344명으로 총 96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에 거주하는 한인 청소년 및 한국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권위유형에 대한 인식은 지위상태와 기독교신앙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결과는 매우 복합적이었다. 허용적 태도에 대한 인식에서 아버지의 경우는 지위상태에 따른 차이만 검증되었으나, 어머니의 경우는 신앙상태와 지위상태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재적 권위유형과 신뢰적 권위유형에 대한 인식에서는 부모 모두 신앙상태와 지위상태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에 거주하는 한인 청소년 및 한국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가족강인성은 지위상태와 신앙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캐나다 청소년과 캐나다 한인 청소년의 경우는 기독교신앙을 갖지 않은 경우에 가족강인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만 한국 청소년의 경우는 신앙을 가진 경우가 가족강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에 거주하는 한인 청소년 및 한국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권위유형에 대한 인식수준에 따라 가족강인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는데 허용적, 신뢰적 양육태도는 가족강인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2000년 이후 유럽연합과 한국의 청소년정책 비교 분석

        박선영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4

        This research has aimed to compare the youth policies between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in order to gain the lessons in developing youth policies in South Korea. For the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has chosen the two policy papers from European Commission such as White Paper(2001)and An EU Youth Strategy for Youth(2009). Also from the 3rd National Youth Policy paper to the 5th National Youth Policy paper has analaysed. This study compared the social contexts and changes for the youth policies and analysed the vision, aims and the policy contents. There were common social context which influence on the implementing the youth policies both in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Such as citizenship and youth participation, developing the career competence were the key themes for the youth policies but the approaches were different. As a result this research suggest how to adapt and apply the analysis from the comparison in the developing of youth policy in South Korean context. 본 연구는 유럽연합과 한국의 청소년정책을 비교분석하여 한국 청소년정책에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청소년정책인 European Commission White Paper(2001)와, An EU Youth Strategy for Youth(2009), 한국은 제3차에서 제5차에 이르는 청소년정책기본계획이 비교 분석되었다. 유럽연합과 한국 청소년정책이 수립된 공통적 배경과 상황, 그리고 정책의 주요 비전과 내용이 비교되었으며, 각 정책이 가지는 성과와 한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유럽연합과 한국 모두 청소년정책이 필요하고 중요한 공통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청소년시민성과 청소년참여, 청소년 취업역량강화 등의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접근방법과 이해가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럽연합의 경우 청소년정책이 학교교육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교육의 파트너로 인식되고 있는 반면 한국의 청소년정책은 수립과 실시에 있어 다양한 범정부적 추진체계를 갖추고 있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정책의 발전을 위한 발전과제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청년 뉴딜정책

        박선영 ( Park¸ Sun Young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4

        배경: 한국의 뉴딜정책이 추구하는 주요 핵심 영역중의 하나인 청소년교육 불평등 완화와 청년 일자리 확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관심사이다. 코로나 19가 초래한 경제 불평등과 양극화는 모든 세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특히 미래세대인 청소년과 청년에게 미친 부정적인 영향이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과 청년이 팬데믹 이후 건강한 성인으로서의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아쉽게도 한국의 뉴딜 정책에는 청소년 지원을 위한 내용이 교육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의 뉴딜 정책 실현을 위한 영국의 청소년과 청년 대상의 뉴딜정책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목적: 첫째, 청소년 대상의 뉴딜 정책을 기획하고 실시한 영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둘째, 이를 통한 한국 뉴딜 정책에 필요한 시사점과 정책 제언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로서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영국은 청소년 대상 뉴딜 정책을 통해 대상을 세분하고 실질적인 교육과 직업관련 경험을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이 학교로 복귀하거나 고용시장에서의 취업으로 연계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팬데믹 상황에서 다시 청소년은 물론 청년의 고용과 일자리 확보, 이를 위한 구체적 훈련지원과 예산지원을 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사점: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의 뉴딜정책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서 청소년 대상 교육 불평등 해소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진로지도와 훈련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며, 청년 대상 정책 중에서도 20대 후반 이후의 청년들 대상의 일자리와 경제적 지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하향 확대하여 청소년을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정책과 사업제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New Deal 2.0 to reform the society, in particular, relive the inequality issues in education for young people and increase of youth employment became a very important agenda n0ow a days. This kind of social reform is common across the co0untries during the pandemic. Covid 19 has bought the inequality issues into many areas, and influenced younger generation more heavily and negatively. Young people need more support than any time in order to have safe transition to the adult life. However, this research realised that Korean New Deal 2.0 does not include enough support for young people’s preparation for employment. The government only provide employment and economic fund, however younger generation should have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potentiality and competence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find a good example of support young people to prepare their employment in the UK. Purpose: Firstly,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New Deal Policy in the UK, and then suggest what can be included in the Korean New Deal 2.0 for the younger generation. Methodology: This study cho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document analysis.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New Deal in the UK has the different programme according to the different needs of young people. Second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New Deal Policy impact young people’s life and showed positive results for the New Deal programmes, Further, during the pandemic new version of New Deal programme called ‘Build Back Better’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t means young people are key player for the national refor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clusions: Therefore, if Korean government want to support young people, they should have different levels of programme in order to meet their all different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