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문화동아리 사업 효과성 평가 - CJ도너스캠프를 중심으로 -

        한윤선 ( Yoonsun Han ),전수아 ( Suah Jeon ),이택호 ( Taekho Lee ),허소담 ( Sodam He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3

        청소년의 문화창작활동을 장려하고 활성화함으로써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청 소년복지 향상을 위한 주요과제이다. 청소년의 문화창작활동이 청소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 적·실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검증하는 경험적 연구는 아직 부족하고, 기존 선행연구는 대부분 단일응답자가 획일화된 설문 조사지를 작성한 내용을 기반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J도너스캠프 청소년 문화동아리 지원사업(이하 ‘CJ 문화사업’) 참여를 통한 문화창작활동 이 청소년의 창의성, 사회성, 문제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군(사업 참여자) 청소년 152 명, 통제군(사업 미참여자) 청소년 70명, 그리고 이들의 교사 61명에 대해 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전점수의 동질성을 확인한 후 공변량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정을 시행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CJ문화사업은 청소년의 창의적 성향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사전·사후 검사에서 창의적 성향 총점과 대부 분의 하위영역 점수가 더 크게 향상되었다. 반면, 창의적 사고에 대한 효과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CJ문화사업은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총점과 그 하위요인인 주장성, 협동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J문화사업 참여가 청소년의 문제행동 총점, 사회적 미성숙, 공격행동, 기타문제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전문가 멘토링, 문화특강, 체험활동 등의 체계적인 문화창작활동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다양한 영역에서 청소년의 발달 증진과 역량 강화를 도모하는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문화창작활동의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문화창작활동과 청소년 발달의 다양한 측면 간 관계에 대한 이해를 한 층 높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romoting and invigorating cultural creation activities is a key task for enhancing adolescent welfare. Despit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ultural creation activities for adolescent development, empirical research on this topic is insufficient. Also, studies have mostly relied on single informant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J Donor’s Camp Adolescent Culture Program (CJ Cultural Program) on adolescent’s creativity, social skills, and behavioral problems.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n=152) and control (n=70) group, as well as their teachers (n=61) participated in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fter confirming homogeneity of pretest groups, ANC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J Cultural Program. First, the CJ Cultur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dolescents’ creative propensity, but not creative thinking. Second, the CJ Cultural Program enhanced adolescents’ social skills, including self-assertion and cooperation. Finally, participation in the CJ Culture Program contributed to reducing adolescent behavioral problems, including social immaturity, aggression, and other problems.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adolescent development and competency can be enhanced by systematically expanding cultural creation activities such as professional mentoring, cultural education, and hands-on activities.

      • KCI등재

        가정의 사교육비지출과 청소년 학업성적 간의 관계에서 부모양육 유형의 조절효과

        한윤선 ( Yoonsun Han ),이성림 ( Seonglim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3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지는 요인으로 부모-자녀관계의 질과 가정의 사교육비를 꼽을 수는 있다. 사교육 수준이 청소년의 발달과 주관적 만족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한국에서 특히 부모양육·사교육비지출·학업성적 세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요구된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고전적 부모양육 유형은 서양의 표본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임의적으로 범주를 나눠 집단을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문화권에서의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사교육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선행연구들이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어 이 두 변인의 관계를 조절하는 가정환경의 역할을 탐색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I 4차년도 자료 중 고등학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N = 1,244) 진행되었다. 첫째, 6가지 부모양육 행동(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 과잉기대, 과잉간섭, 처벌) 정보를 활용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시행하여 총 5개(긍정형, 양가형, 중립형, 무관심형, 권위형)의 부모양육 유형에 대한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둘째, 조절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부모양육의 잠재집단에 따라 가정의 사교육비지출이 청소년의 수학능력시험 등급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가정의 사교육비지출이 높을수록 수학능력시험성적이 높았으나, 그 정적 관계의 정도는 권위형 양육 유형의 가정이 긍정형, 양가형, 중립형, 무관심형 가정보다 더 작았다. 이러한 결과는 서양과 차별된 한국형 부모양육 유형이 존재하며, 가정의 사교육비지출과 청소년의 학업성적 간의 관계는 모두 에게 동일한 것이 아니라 부모-청소년의 관계의 특징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lthough the quality of parent-youth interactions and the quantity of family investment in education are instrumental in determining youth educational outcomes,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behavior,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youth academic performance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his issue is salient in Korea where private edu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youths’ developmental experience and their wellbe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unique Korean parenting profiles and to understand the link between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by analyzing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of high school students (N = 1,244). Five parenting profiles (positive, ambivalent, neutral, apathetic, and harsh) were derived from six parenting practices (warmth, monitoring, rational explanation, excessive expectation, interference, and punishment)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Higher expenditure on education was linked with higher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SAT) scores. However, th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expenditure and CSAT scores weakened youths living in harsh parenting environ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nd youth academic performance may not be uniform, but rather may be sensitive to the quality of family environments in which parent-youth interactions occur.

      • KCI우수등재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김부경(Kim Bu Kyung),한윤선(Han Yoonsun)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1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초기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경험, 사이버불링 태도,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reffinger, Isaksen와 Dorval(2000)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근거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52명이다(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7명).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에 속하는 청소년들에게 4주간 8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같은 시기 비교집단에 속하는 청소년에게는 1회성 정보전달식 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불링 경험, 사이버불링 태도, 대인관계 문제해결과 창의적 문제해결 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이버불링방관 및 방어 행동, 사이버불링 태도, 창의적 문제해결, 대인 문제해결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사이버불링 방관 및 방어 행동, 사이버불링 태도, 대인 문제해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예방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을증진시키는데도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for Cyberbullying Prevention targeting youth in early adolescence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To develop the program, this study followed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suggested by Treffinger, Isaksen, and Dorval(2000). Study participants were 52 adolescents, aged 11,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8 sessions of the program for 4 weeks, whereas the adolescents in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a one-time anti-bullying program. This study used cyberbullying experience, cyberbullying attitud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o verify program effects by measuring pre- and post-program difference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for Cyberbullying Prevention, experienced statistically greater reduction in bystanding behavior and improvement in protecting behavior, cyberbullying attitude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se findings are important in that they have proven that the program can be not only effective in preventing cyberbullying but also help to promote problem solving skills.

      • KCI등재

        또래동조성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SNS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김부경(Bu Kyung Kim),한윤선(Yoonsun Ha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또래괴롭힘을 서로 알고 지내는 친구사이에서 SNS를 통하여 발생하는 괴롭힘으로 정의하고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동조성이 높은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또래동조가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도덕적 이탈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절회귀분석 결과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이 높아질수록 온라인 또래괴롭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사회적 또래동조성과 온라인 또래괴롭힘의 관계에 있어 도덕적 이탈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대한 또래동조의 악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성교육을 통한 도덕적 이탈의 감소를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초기 청소년의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온라인 또래괴롭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NS peer bullying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conformity and SNS peer bullying.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our hypotheses. Results indicated that antisocial peer conform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SNS peer-bullying. The effect of antisocial conformity on SNS peer-bullying was higher for those who have higher moral diseng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target moral disengagement as a strategy to decrease the negative role of antisocial conformity on SNS peer-bullying.

      • KCI등재

        청소년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팬덤 활동이 청소년의 학습시간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수아(Jeon Suah),한윤선(Han Yoonsu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6

        팬덤 문화는 오늘날 한국 청소년 문화의 중요한 측면을 나타내는 의미 있는 사회적 현상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팬덤 활동을 일종의 일탈적 현상으로 여겨,청소년들의 팬덤 활동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으며,팬덤 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팬덤 활동을 오프라인과 온라인 팬덤 활동으로 구분하여 팬덤 활동 빈도가 청소년 학습시간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영향이 시간의 따라 다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실시하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 년도(2010) 데이터(N = 2,206), 3차 년도(2012) 데이터(N = 2,150),5차 년도(2014) 데이터(N = 1,911)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를 학습시간 관리능력으로 설정하고,독립변수를 오프라인 팬덤 활동 빈도와 온라인 팬덤 활동 빈도로 통제변수를 보호자의 최종학력,가구 연간소득,성별, 자아존중감,학교적응으로 설정한 뒤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과반수가 넘으며,오프라인 팬덤 활동과 온라인 팬덤 활동을 병행 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청소년의 학습시간 관리능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깃값에서 청소년의 오프라인 팬덤 활동 빈도와 온라인 팬덤 활동 빈도는 학습시간 관리능력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학교 1학 년에서 중학교 3학년,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으로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팬덤 활동이 학습시간 관리능력에 미치는 정적 영향 크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주요한 문화인 팬덤 활 동 및 팬덤 활동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성인들의 이해와 적절한 개입을 강조 하였으며, 학습시간 관리능력 교육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Fandom is a meaningful social phenomenon that represents a significant dimension of contemporary Korean youth culture. Previous research, however, has considered fandom as a deviant activity that is negative in nature, and there is scant research on the positive effects of fandom ac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off-line and on-line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on adolescents` academic time management cap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waves (2010,2012,and 2014)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iddle school cohort; N=2,2Q6 at baseline). Results from the multi-level growth curv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adolescents reported participating in fandom activities, and the majority of them participated in both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Second, adolescents` academic time management capability improved over time. Third, both off-line and on-line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dolescents` academic time management capability at the baselin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e size of this relationship, however, decreased over time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This study presented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guidance by adults to develop and promote the positive aspects of fandom activity,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positive aspects of fandom activities.

      • KCI등재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이 청소년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양육 태도와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 효과

        김선영 ( Kim Seonyeong ),한윤선 ( Han Yoonsu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 사이버 비행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이버 비행이란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비행 행동으로, 최근 사회적 수준의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비행을 설명하는 이론들을 토대로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이 각각 부정적 양육 태도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을 통해 사이버 비행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예상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한 자료는 ‘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 2차년도 데이터의 중 1 패널과 보호자 조사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이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으로 이어지는 직접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이 부정적 양육 태도를 통해 사이버 비행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이 청소년의 스마트폰을 통해 사이버 비행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이론적 함의와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martphone dependency and adolescent cyber delinquency. Cyber delinquency is defined as delinquent behaviors in cyber space, and is a growing social concern. Based on theories explaining adolescent delinquency, we hypothesized that negative parenting and adolescent smartphone dependency will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smartphone dependency and adolescent cyber delinquency.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er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martphone dep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cyber delinquency. Second, parental smartphone dependency was associated with adolescent cyber delinquency through negative parenting. Third, parental smartphone dependency was linked with adolescent cyber delinquency through adolescent smartphone dependenc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교육비 지출이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자녀양육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성림 ( Lee Seonglim ),한윤선 ( Han Yoonsun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4

        성공적인 성인기 삶을 영위하는 토대로서 자녀를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해 사교육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부모들에게 사교육비 지출이 과연 성적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는가는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교육고용패널 4차년도 고등학생 3학년 표본을 사용하여 부모의 사교육비 지출과 자녀양육 유형이 자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 결과, 부모의 자녀양육 유형은 간섭형, 민주형, 방관형, 권위형, 양가형의 5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양육유형에 따라 사교육비 지출 수준과 자녀의 수능성적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양가형 양육유형에서 자녀에 대한 사교육비 지출 수준이 가장 높고, 자녀의 수능성적도 가장 우수하다. 간섭형의 수능성적은 다른 양육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낮다. 둘째, 분위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간섭형은 모든 성적분포에서 사교육비 지출이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민주형 보다 낮은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양가형은 60~90% 중상위 성적 분포에서 사교육비 지출이 성적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민주형에 비해 낮은 부정적인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교육비 지출이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의 자녀양육방식에 따라서 간섭형과 양가형은 사교육비 지출이 성적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민주형보다 작고, 자녀가 위치한 성적분포에 따라서도 사교육비 지출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규명함으로써 오늘날 과열 향상을 보이는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의 합리성을 점검하고, 희소한 가계 소득의 효과적인 사용을 도모하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Using a sample of thi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2007 forth wave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expenditure in private education and parenting style on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luster analysis categorized parenting style into five types: Interfering, Democratic, Indulgent, Authoritative, and Ambivalent. Parents with ambivalent parenting styl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their children showed best academic performance among the five parenting styles, while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was worst with the interfering parenting style. Secon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parent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was moderated by parenting style. Third, the results of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indicated that, compared to democratic parenting, interfering parenting style lowered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of 60~90 percentiles showed that ambivalent parenting style had two opposing effects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a positive direct effect but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which curtailed the marginal effe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compared to those of democratic parenting. Finding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ing style for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we provided a persuasive explanation for the inconsistent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on the impact of private education,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parenting style, noneconomic support, to children’s successful school performance.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긴장이 비행과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의 조절효과 탐구

        최지원 ( Ji Won Choe ),한윤선 ( Yoonsun Ha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3

        한국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 및 학교 부적응과 이중언어 간 관계를 이해하고 개인 내적·외적 체계의 다양한 보호요인을 탐구하려는 시도는 다문화 청소년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상황에서 그 긴요성에 불구하고 아직은 희소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의 5차년도(2015년) 자료인 한국 다문화 청소년 1,279명을 대상으로 일반긴장이론을 분석의 틀로 사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첫째, 부족한 한국어 능력 및 능숙함에서 비롯한 언어긴장이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 및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가 비행 및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셋째, 언어긴장과 비행 및 학교 부적응의 관계에 있어 다문화 청소년의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가 보호요인으로서 갖는 조절효과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계승어 능력과 부모지지 수준은 비행 경험 확률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에 언어긴장이 미치는 영향을 계승어 능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절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스트레스 수준과 한국어 비능숙도 모두 학교 부적응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의 수준 모두 학교 부적응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과 학교 부적응 문제에 개입할 때 이중언어, 자아존중감, 부모지지를 고려하는 것이 유효한 접근이면서도 계승어에 대한 인식 제고와 사회적 제반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There are rarely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 and to explore various factors of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systems to protect immigrant adolescents even though these attempts are required as the increase of immigrant adolescent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2015; N=1,279),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South Korea. The general strain theory was used to analyze dat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ain from host language o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and the impact of protective factors such as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o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was examined. Major results showed first,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and parent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delinquency. It was identified that only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tatistically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strain from host language on delinquency. Meanwhile, both the level of stress about Korean language and Korean incompetence had a positive on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negatively influenced school maladjustment of immigrant youths. Based on these results, when there is an intervention i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considering bilingualism,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is an useful approach. It suggests that enhancing the awareness of heritage language and social consideration should be pre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