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장선영,고은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endency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which is there 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and finally put through the advanced proposal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The total articles were 217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over 10 years (2003-2013).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wo criteria: research domains, research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art of research domains, the teaching methodology accounted for 71.4% (155 articles) of the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domains were educational counseling (13.8%, 30 articles), educational evaluation (9.2%, 20), educational curriculum (2.8%, 6),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6). In the teaching methodology domain, the study of learning guidance model accounted for 38.2% (83 articles). Its hows that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has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teaching methodology, especially learning guidance model.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survey study accounted for 45.2% (98 articles) of the total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study 14.3%, development research type I 11.5%, quasi-experiment study 10.6%, case study/qualitative study 7.8%, experiment study 6.9%, development research type II 3.2%, cost effectiveness study 0.5%, and others 0%. It is needed to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more qualitative study than quantitative one and also to expand the research domain and target learners in the future.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태동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방법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이론들에 의해서 정립되었듯이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상황을 항상 고려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원점에 서서 우리나라 교육방법의 현 모습과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을 다룬 전문 학술지인 ‘교육방법연구’ 2003년도에 발간된 15권 1호에서부터 2013년도의 25권 2호에 이르는 총 11권 28호, 2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인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의 교육방법들이 현재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 속에서 어떤 교수와 학습의 요구가 있는지 교육방법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과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방법의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주로 ‘교수방법’의 ‘학습지도 모델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둘째, 교육방법의 연구방법에서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연구 및 문화기술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들이 보다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교육을 주로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의 의미고찰을 전제로 한 기업교육과 같은 다양한 성인교육에서의 교육방법이 필요하고,평생교육과 같은 범위로까지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이준,방선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 o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d the 7 textbooks of the『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ourses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widely used textbooks fit to the purpose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fter that, we surveyed 14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a lesson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rom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about teaching professionalism which are evaluating own self and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Overall results are students assessed their own professionalism level as higher than the ordinar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score about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lower than their own teaching professionalism level. In the open-ended questionnaire, the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need learning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as form of practically apply. Several suggestion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First, we need to teach by『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need to teach by practical case, real example i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lass for promote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students need to get opportunity for practice and actual implementation when they take a class. Finally, we have to consider about the actual classroom environment of K-12 schools.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직이론 과목은 교원의 전문성 함양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직이론 과목 중『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은 특히 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해 개설되는 과목이다. 따라서 사범대, 교육대학원 등 교원양성기관에서 개설되는『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있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배양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지식이 습득되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원의 수업전문성을 위한 기본 이수 과목인『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과목 개설 취지에 보다 내실 있게 부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원양성과정에서의 교직과목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을 이수하고 현장학교에서 수업실습을 마친 예비교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들은 교원양성과정에 요구되는 교수요목을 적절히 반영하고는 있었으나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방법이나 창의적인 수업방법의 개발, 국내 공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현장 적용 방안 등은 미흡하게 다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 교직과목『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수강이 수업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는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예비교원 스스로 평가한 본인의 수업전문성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육내용이 실제 교실 수업장면에서 활용하기에는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현장 중심의 실용적이고 적용 가능한 수업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육방법연구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윤옥한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 total of 498 published 'Education Metho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during a period of 20 years, from 2002 (Volume 14, No. 1), to Volume 33, No. 4, published in 2021. The repor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method researc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itation index for the past two years (2019-2020) was 2.0.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rominent in the field with 324 articles (65%), followed by 92 practical studies (18%), 44 theoretical studies (9%), and 38 qualitative studies (8 articles; %).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each study subject, the most frequently used were multi-layered subjects (193 articles; 39%), followed by 191 articles (38%)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69 articles (14%)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 articles (9%)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topic, learning methods were addressed in the greatest number of studies (199 articles; 40%), followed by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methods (118 articles; 24%), teaching methods (109 articles; 22%), and research methods (72 articles; 14%).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can be evaluated as academic journals that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the journal as a result of an analysis by citation index, typ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방법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방법연구’ 논문을 2002년 제14권 1호부터 2021년 제33권 4호 까지 20년 동안 발행한 총 498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교육방법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2년(2019-2020)의 피인용지수는 2.0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방법별 현황 분석 결과 양적연구가 324편(6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실천연구 92편(18%), 이론연구 44편(9%), 질적연구 38편(8%)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별 현황 분석 결과 다층 대상이 193편(39%)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이 대학생 191편(38%), 중등 학생 69편(14%), 초등학생 45편(9%)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현황 분석 결과 학습 방법이 199편(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이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법 118편(24%), 교수 방법 109편(22%), 연구 방법 72편(14%)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론 연구 학술지는 피인용지수,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학술지의 정체성이 분명히 드러난 학술지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의 효과성 연구

        김희배(Kim Heebae),염상훈(Yeum Sangho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업현장에서 스마트태그의 활용을 통한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효과성을 검증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집단을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 방법과 전통적 강의식 교육방법을 적용한 두 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 간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두 집단 간 교육적 효과성(교육방법, 교수·학습과정, 자기주도적 학습력, 교과에 대한 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결과,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학습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교육방법을 적용한 학습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및 교육적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 서책형 교과서중심 교과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스마트 교육환경에서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서 등장한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을 확산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즉, 학습내용과 관련해서 극히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하는 서책형교과서 중심의 수업에서 벗어나서 학습내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 부가적인 학습자원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교과수업을 설계, 시행하는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교사의 새로운 역할과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교과수업에서 스마트태그를 적절한 방법으로 설계, 활용하면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은 물론 학업성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마트교육의 효과적인 교육성과는 스마트 교육환경 속에서 새로운 방법의 교육적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학교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This study has set a direction of how to design lessons and create and apply educational contents with smart education methods in order to effectively practice it in schoo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ed literature. With the direction the instructional design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implement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nd the products were attached on existing textbooks as a form of the smart tag, which is a new teaching method to students.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ones in the traditional instructor-led method(i.e. control group) were not. Also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s, the students were regrouped into a high academic performance group and a low one. After the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high level students and the low level ones in the experiment, and the high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score differences whereas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With aspect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aliently increased effectiveness was shown in ‘teaching and learning area’ and ‘attitudes toward the subject area’, except ‘teaching method area’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rea’. When divided with the academic performance criterion, high level students among the two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effectiveness perspective. Low level students, however, they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reas of ‘teaching method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attitudes toward the subject area’, with the excep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rea’. Such results prove the smart education method utilizing smart tags gives the positive influence to the students who have low academic performa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송승현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for underachieving students. First, the author reviewed the conceptual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ment, meanings and history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strategies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Considering the classroom setting, in which underachieving students are educat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Differentiated Instruction (DI), and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models are suggested as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methods to teach effectively underachieving students in the regular education classroom with diverse students needs. Teacher training methods are discussed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successfully.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방법을 고찰하기 위해 먼저 학습부진아의 정의 및 특성을 기술하고, 개별화 교육 방법의 의미와 역사, 개별화 전략을 살펴보았다. 학습부진아가 속해있는 현실적 학교 교육 현장과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화 교육방법의 요소를 실제 수업 계획과 적용의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별화 교육방법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차별화된 교육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방법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조건으로 교사교육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반응모델 (Response toIntervention)을 통해 학습부진아에게 적절한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여 학습에 실패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 융합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1년 ~ 2020년 등재지에 게재된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김미성,최명숙,이성하 한국교육방법학회 2021 교육방법연구 Vol.33 No.1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on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tre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roducts related to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year of publication, academic journal, key word)? Second, what is the trend according to the research items related to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research content, major classification, research area, research method, convergence method)? Third, what are the tren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items related to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year of publication and research content, publication year and convergence method, research content and convergence method)? For this study, 110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11 to August 2020 were selected as targets for analysis, an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word cloud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2013, and Key words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xt, From the trend by item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liberal arts, extracurricular, effectiveness studies, complex studies, and post-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were less than those of major curriculum studies. Lastly,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materials and the trend of research items, there were relatively many studies on curriculum and convergence subjects among the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studies, In addition, research on post-academic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nvergence programs was relatively poor. These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and diffusion strategies for future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 paving the way for deep and rich convergence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 융합 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융합 교육 관련 연구물 특성(게재연도, 학술지, 주제어)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 융합 교육 관련 연구의 항목(연구내용, 전공구분, 연구영역, 연구방법, 융합방식)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 융합 교육 관련 연구물 특성과 연구의 항목(게재연도와 연구내용, 게재연도와 융합방식, 연구내용과 융합방식)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2011년부터 2020년 8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110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내용분석법과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과 워드클라우드분석법을 이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융합 교육 관련 연구물 특성별 동향을 살펴보면, 2013년부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한국융합학회논문지’, ‘교양교육연구’학술지 등에 상대적으로 많이 투고했으며 주제어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재 특성이 포함됐다. 다음으로, 대학 융합 교육 관련 연구의 항목별 동향에서, 전공 교육과정 연구에 비해 교양, 비교과 연구, 융합교육의 효과성 연구 및 복합연구, 탈학문적 융합 연구가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마지막으로, 대학 융합 교육 관련 연구물 특성과 연구의 항목에 따른 동향에서는 2013년부터 활성화되어 2018년, 2019년 증폭되고 있는 간학문 및 다학문 중 교육과정, 융합교과목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2017년을 기점으로 연구되고 있는 탈학문 연구 및 교수학습법, 융합 프로그램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난 10년간의 대학 융합 교육 연구의 추이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대학 융합 교육 연구의 방향과 확산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정보를 제공하여 깊이 있고 풍부한 융합 연구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체험학습의 활성화 조건 탐색

        이광우,김수동 한국교육방법학회 2004 교육방법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한 방안으로서 체험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특성 및 체험학습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 체험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을 제안하였다. 먼저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을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체험학습 관련 이론에서는 1900년대 이전의 실물교육론, 1900년대 전후의 경험이론과 활동중심 교육 및 1980년대 전후의 구성주의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체험학습의 실제에서는 우리나라의 체험학습과 외국의 체험학습을 개관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체험중심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체험학습의 운영,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관련 이해 당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 체험학습의 기회 및 장소의 다양화, 생활중심 체험교육의 활성화, 체험학습 운영을 위한 재정적 지원, 체험학습에 대한 인식의 전환 등이 전제되어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conditions activating the experiential learning as a strategy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Such conditions are proposed through discussion on the character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 theory and practice of experiential learning. First of all, the characters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re reviewed in diversity. And theory of experiential learning includes real object education theory, experiential theory and activity curricular, and constructivistic perspective. In addition to it, in the practice of experiential learning, domestic and foreign experiential learning are search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needed to manage effectively experiential learning: the oper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in relation to curriculum,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positive participation and attention of related persons, diversification of opportunity and place in experiential learning, activating experiential learning in real life, support of public finance, and concept transformation on experiential learning.

      • KCI등재

        용서교육 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의 보복 심리와 용서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철환,이영만,김민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2

        이 연구에서는 용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가해아동에 대한 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의 이해력을 높이도록 교육하여 보복 심리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가해아동에 대한 용서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용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훈련집단 아동(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의 보복심리 수준과 용서 수준이 개선되어 4주 후까지 효과가 지속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G시 소재 K초등학교 5학년 300명 가운데 집단따돌림 경험 학생 판별설문지와 용서 수준 검사를 통해 실험 대상 아동을 선발하여, 매회 40분씩 8회기에 걸쳐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후와 종료 4주 후에 집단따돌림에 대한 보복 심리와 용서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용서교육 프로그램은 보복심리 수준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며, 그 결과 가해아동에 대한 용서 수준도 의미 있게 증가되었고, 이 효과는 4주 후의 지속검사에도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집단따돌림경험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집단따돌림 아동의 보복 심리를 낮추어, 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이 다시 가해아동이 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용서교육을 통해 끊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 forgiveness group counseling program could be effective in encouraging school-bullying victims to understand and to forgive bull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5th grade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300 fifth graders in K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G.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school-bullying victims, the eleven childr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Enright's Forgiveness Inventory(1995), Jang's Group-Bullying Victim Scale (2001) and Park's Revenge Scale(200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g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scores in the reveng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nd this effect was sustained after four weeks later.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scores in the forgiveness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nd this effect was remained after four weeks later. The meaning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First, the greatest meaning of this study was that unlike earlier studies, it attempted to use a forgiveness program geared toward school-bullying victims and to evaluate its effect. Second, a guidebook for teachers and a workbook for students were provided in the form of lesson plans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ird, the forgiveness program had an effect on easing the revenge of the abused children, and that would make it possible to cut off the vicious circle of turning abused hildren into bullies, as bullied children were likely to bully not only their bullies but also others.

      • KCI등재

        IT 프로젝트관리 특화 교과목 개발을 중심으로 한 IT 경영대학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박혜림,홍후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교 대학원에서 대학원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IT 경영대학원(IT 프로젝트관리 특화) 과정을 설치와 관련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 졸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광범한 교육수요조사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첫째, 대학원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특성화 방향 등을 확인하고, 이에 부합하는 ‘IT 프로젝트관리(PM)’ 분야 전문 인력의 역할을 확인하여 그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한 핵심역량을 갖추는데 적합하고 ‘IT PM’ 분야의 특성화된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두 차례의 전문가 의견 조사(N=20)를 활용하여 개발한 IT MBA(IT PM 특화) 교육과정(안)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교육과정을 확정하였다. 넷째, 교육과정 운영에 중요한 교과목의 지위와 비중, 개설 및 이수시기, 졸업요건(현장체험 및 보고서 작성) 등을 전문가 의견조사를 거쳐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IT 관련 현장의 IT 엔지니어 및 중간 관리자를 주요 교육수요자로 하여, 이들이 IT PM 전문가(PM Manager/PMO Manager, CIO 등)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과정 내용 구성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 IT MBA(IT PM 특화) 교육과정 모형은 Ⅱ-type Model로 제안되었다. 즉, IT PM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은 실무자들의 현장 경험을 기초로 하여, ‘IT 경영’과 ‘Project 경영’을 두 기둥으로 하고, 이를 통해 길러지는 핵심역량을 갖춘 중견 관리자의 실천 역량의 고도화를 지향하는 형상으로 구안하여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urriculum specialized in IT PM managers for a cyber graduate school. Frameworks and procedur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re followings: First, preliminary survey was executed to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as latent clients. Based on results of survey, high needs of graduate school course was confirmed. Second, several times of expert meetings and literature review brought forth the drafts of key competencies and lists of courses. Third, IT PM-related specialists survey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reconfirm key competencies of IT PM manager, areas of courses, lists and names of courses, status and weight of courses, and time schedule of course offerings. Through these procedures 21 key competencies of IT PM managers under the two curriculum areas of IT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and 16 course lists under the two curriculum areas had been finalized. Finally frameworks and design model(called II-type) of Information Technology MBA curriculum were presented.

      • KCI등재

        예비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의 역량 및 교육요구도 분석

        이현우(Hyeon Woo Lee),김광선(Kwang Sun Kim),홍세진(Sejin Hong),김효선(Hyoson Kim),이정민(Jungmin Lee)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의 삶이 ‘학교 안’과 ‘학교 밖’으로 구분될 수 없음에 착안하여, 청소년들의 ‘학교 안’과 ‘학교 밖’의 공간과 활동을 체계적으로 연계해 줄 수 있는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역량 진단을 실시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활동 중인 전문 인력의 교육요구도와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의 교육요구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 전문가협의회, 전문가 검토를 거쳐 개발된 예비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의 역량으로는 청소년 이해, 시민성, 예술적 상상력, 교육과정 개발, 평가, 행정지원, 교수-학습 혁신, 돌봄 및 상담의 8개역량 60개 지표가 포함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각 역량별 대응표본 t-검정 분석 및 Borich 공식을 활용한 교육요구도 우선 순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학교 안’과 ‘학교 밖’의 심리적․물리적 공간을 연계할 수 있는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 되는 역량을 제시하고, 교육요구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예비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적 처방을 설계할 때 필요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안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youth education experts, who professionally understand the life of Inside-school and out-of-school students and youths and systematically link between inside and out-of-school in terms of spaces and activities, has been emphasiz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developing competency model for pre-service youth education experts, and conducting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of pre-service and in-service youth education experts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developing competencies of youth education experts. The competency model, developed by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review, includes 8 competencies and 60 behavioral indicators. Based on the competency model and behavioral indicators,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youth education experts has been analyzed using t-test and Borich formula.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educational program for youth education experts who can serve inside-school and out-of-school you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