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 재정지원 교육정책의 성과분석 연구 :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 정책사례연구

        유현숙,조영하 한국성인교육학회 200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1 No.2

        지방대학의 혁신역량을 강화하여 지역인적자원을 개발하고,나아가 지역혁신을 이루고자 시작된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일명,누리사업)이 만 3년째를 넘어선 시점에서,정잭사업의 재정지원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은 앞으로 남은 사업지속기간을 효율적,체계적으로 관리·지원하고,그간의 예상치 못한 문제점들를 지적·보완하여 정책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한다는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누리사업의 재정지원에 대한 교육성과(2004년∼2006년)를 세 가지 필수달성지표(교원충원률, 학생충원률,취업률)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지속적인 누리사업의 성과분석을 위한 당면과제 식별과 함께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함이다. 성과분석을 위하여 준로그모형과 프로빗모형을 활용한 회귀분석석을 실시하였고,다음의 교육성과를 확인하였다. 2004년 대비 2006년도 누리사업 재정지원 효과를 직접적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인 학생 1인당 집행실적과 교원 1인당 집행실적은 각각 누리사업사업단의 학생충원과 교원충원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고,학생 인당 집행실적은 누리사업단의 2006년도 학생충원률 목표치 달성에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누리사업단의 학생취업률에 대한 누리사업의 재정지원효과는 없었다. Since the year 2004, Korean govemment has carried out '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project(NURI), a national policy for financial support to make regional universities more competitive. NURI was set out with a sense of crisis that incompetitiveness of regional universities may weaken knowledge base of a nation. For NURI, over a trillion dollar will be invested into the competitivcness-building process of regional universities for 5 years. At the point of time that three years have passed since NUIU project goes into effe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its educational outcomes. This study mainly depended on quantitative analysis using Semi-log-linear regression model and Probit regression model. In a view of the results so far analyzed, NURI project seems to make partly positive effects on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regional universities. Although the results may not confirm qualitative confidence, NURI project contributed to quantitative increase of student enrollment rate and faculty-student ratio. This study also cidds methodological advices for future studies to the end of this paper.

      • KCI등재후보
      • 닭고기의 부위별 영양 성분 분석 : 아미노산 및 무기질 Amino acid and minerals

        고하영,유익종 우석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硏究論文集 Vol.1 No.-

        닭고기를 가슴살, 넓적다리살, 다리살의 3부위 살코기와 껍질을 포함한 날개 가식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유량, 아미노산의 조성 및 무기질 조성을 분석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가슴살이 22.9%로 가장 높았으며, 넓적다리살 19.7%, 다리살 18.8%, 그리고 날개 17.6%로 비슷하였다. 닭고기에서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리신, 로이신의 순서이었다. 필수아미노산 중 아르기닌과 히스티딘을 함유한 10종 필수아미노산의 경우 닭고기 가슴살이 11,860㎎/100g당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리살의 경우에는 돼지고기, 쇠고기 등심과 유사하였다. 총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닭고기가 41 ∼ 44%, 돼지고기가 40 ∼ 45%, 쇠고기 41 ∼ 45%로서 3종류의 육류가 대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함황아미노산은 닭고기의 경우 100g당 725 ∼ 759㎎이었으며, 돼지고기는 680 ∼ 820㎎, 쇠고기는 660 - 83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방향족 아미노산의 경우 닭고기는 100g당 1,602 ∼ 1,667㎎으로 조사되었으며, 돼지고기는 1,150 ∼ 1,520㎎, 쇠고기는 1,230 ∼ 1,610㎎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다리살이 가슴살에 비해 철분과 아연의 함량이 많아 각각 1.0㎎%와 4.0㎎%이었으며, 가슴살에는 인(220.2㎎%)과 칼륨(390.5㎎%)이 많았다. Protein contents, amino acid compositions, and minerals of chicken which parted by chests and legs without skin, and wings with skin were analyzed. Protein contents of chicken were 22.9% in chests, 19.7% in legs, and 17.6%.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and leucine, 10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were 11,860㎎% in chests and 10,454㎎% in legs. Ratio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41.7 ∼ 44.1%.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and aromatic amino acid contents were 725 ∼ 759㎎% and 1,602 ∼ 1,667㎎%, respectively, K, P and Na contents as major minerals were 390.5㎎%, 220.2㎎%, and 81.5㎎% in chests and 308.4㎎%, 170.8㎎%, and 109.7㎎% in legs, Ca, Fe and Zn contents were 2.9㎎%, 0.5㎎%, and 0.5㎎% in chests and 7.0㎎%, 1.0㎎%, and 4.0㎎% in legs.

      • 工業高等學校 建築敎育 活性化를 위한 硏究

        金英厦,呂運昌 단국대학교 1989 論文集 Vol.23 No.-

        It is said that the technical high school have changed with national economical policy since liberation. The fact was that the technical high school had educational system of vocational school of foreign college but had not distinct educational aims because of dearth of educational process and facilities. Under this condition, with view to making professional education have systematic and synthetic contents, the technical high school must come out past irrational contents and accept ideal system for the better. Accordingly, as the method for activating architectural education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it analyzes the present school curriculum, the present situation of facilities and students thought by opinionnaire, Then it draws out new educational direction from comparing domastic department of architecture with foreign. Therefore it presents new educational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new direction.

      • 외상 환자에서 의식소실 유무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율, 증상 양상,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

        이유진,연규월,우행원,김영철,임원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4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의식 소실 유무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유병율 및 증상, 우울, 불안 증상을 알아보기 위해 외상을 당한 환자를 의식 소실이 있었던 환자군과 의식 소실이 없었던 환자군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율, 증상 및 불안 정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사고를 당하고 1달 이상 경과한 환자 120명(남자 69명, 여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을 의식 소실 유무에 따라 소실군과 비소실군으로 구분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고 당시 의식 소실의 유무, 의식 소실 시간, 사고의 종류, 사고에 대한 기억, 사고의 심각도, 손상 심각도 점수(Injury Severity Score)를 조사하여비교하였다. 또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Clinician Adminstered PTSD Scale), Beck의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상태 특성 불안처도- Ⅰ, Ⅱ(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Ⅰ, Ⅱ)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두 군 사이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유병율 및 증상, 우울, 불안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통 연구 대상자 120명중 의식 소실이 있었던 환자군(소실군)은 56명(46.7%)이었고 의식 소실이 없었던 환자군(비소실군)은 64명(53.3%)이었다. 총 대상자 120명중 30명(25%)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었으며 소실군 56명중 17명(30.4%)이 비소실군 64명중 13명(20.3%0이 각각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었으나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x^2=1.607, P>0.05).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척도에서는 소실군에서 사고에 대한 기억 상실, 흥미 상실, 이탈, 감정 둔마, 수면자애, 예민함, 집중력 감소 증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비소실군에서느 반복적인 회상과 놀람 반응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Beck의 우울증 척도 점수는 소실군에서 38.8±8.8, 비소실군에서 31.0±7.9로 의식 소실을 보고한 환자군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t=-3.16, 0<0.05) 상태 특성 불안 척도-I, II는 소실군에서 각각 44.5±3.3, 44.6±3.9, 비소실군에서 각각 42.9±3.0, 42.3±3.4로 소실군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t=-2.75, p<0.05, t=-3.38, p<0.05). 결 론 : 사고 당시 의식 소실이 없었던 환자군과 비교하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가 비슷한 빈도로 진단되며 의식 소실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은 물론 불안 및 우울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PTSD prevalence, symptoms, depressed mood and anxiety, comparing two groups of the patients in trauma ; one who had experienced the loss of consciousness(group "A" here after) and the other group of patients who had not(group "B" here after). Method : subjects were 120 patients(age18-66) who had received trauma(traffic accident, fall down) more than 1 month. Before they consisted of 56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the loss of the consciousness(46.7%) and 64 who had not(53.3%). Men were 69 and women were 51. Clinician administered PTSD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I, II were administered. The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unconsciousness at the time of trauma, memory about tranmatic accidents were considered. Result : Out of 120 subjects, 30 patients(25%) were diagnosed as PTSD : 17 from 56(30.4%) and 13 from 64(20.3%) were found in the group "A" and "B" respectively. Prevalence of PTSD was higher in the group "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x^2=1.607,p>0.05). The CAPS of group "A" showed significantly high frequency in the loss of interest, detachment, restricted affect, sleep difficulty, irritability/anger. concentration difficulty(p<0.05), while the group "B" scored high in intrusive recall and increased startle. The scores of BDI, STAI-I, I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A"(t=-3.16, p<0.05)(t=-2.75, p<0.05, t=-3.38, p<0.05). Conclusion : PTSD was mre frequent and depressed mood and anxiety appeared more often in the group qho experienced the loss of consciousness. Thus the loss of the consciousness at the time of trauma prones of the aevelopment PTSD and symptom of aepression and anxiety.

      • 부산 일부 대학교 학생들의 니코틴 의존도와 구취의 연관성

        김유린(외 5명) 신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論文集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bad breath and nicotine dependency. By use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the survey of 53 smoker who visited dental hygiene lab for delivery from October to November 2012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FTQ) and equipment(CO measuring instrument, Oral Chroma etc).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program for χ2-test, ANOVA. Smokers' average age was 23 years old. The more higher nicotine dependence the more the average age was higher. The more higher nicotine dependence the less to nque brushing. No association of nicotine dependence and self-bad breath level. CO State was Significant differences(ND1(M=2.58), ND2(M=3.98), ND3(M=7.41), ND4(M=4.19), ND5(M=13.14))(F=2.616, p=.047). Dimethyl Sulfide was Significant differences(F=3.026, p=.02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