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 법조인 양성법제에 관한 입법사적 고찰

        최유경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명지법학 Vol.9 No.-

        이 글은 한국의 근대적인 법조인 양성법제를 입법사적으로 고찰하고, 그 중에서도 현행 『법학전문대학원 설치ㆍ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법학전문대학원법』)의 입법과 정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이 제도의 도입여부와 관련한 주장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음을 감안할 때, 우리의 법조인 양성제도에 관한 역사적인 고찰은 논의의 맥락을 보다 명확히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한국의 근대적인 사법제도 및 법조인 양성제도가 형성되고 발전되어온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현재의 법조인 양성제도를 둘러싼 논의의 역사적인 흐름을 드러내고 자 노력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은 『법학전문대학원법』의 제정 과정과도 직결된다는 의미와 함께, 한국의 법조인 양성제도 및 법학교육의 역사를 정리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한편 현재의 새로운 법조인양성제도로 등장한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은 김영 삼 정부의 세계화 추진정책의 일환으로 1995년 도입이 검토된 이래,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사법개혁의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로 거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0년이 넘도 록 제도의 도입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던 중, 노무현 정부의 후반부인 2005년 10월 마침내 법학전문대학원법안이 국회에 제출되고, 2007년 7월 3일 우여곡절 끝 에 통과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2009년 3월부터 전국 25개 법학전문대학원이 설치 되어 현재까지 운영됨에 따라 ‘사법시험‐사법연수원’ 체제로 유지되던 기존의 법조 인양성제도는 법조인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과 ‘자격부여제도’의 통합으로 전환되었 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법학전문대학원법의 도입 논의 과정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 하여 각 시기별로 어떤 주체들이 등장하여 어떤 주장을 펼쳤는지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This article mainly analyzes the legal process of the enactment of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Legal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Act” (Act hereafter) focusing on the legal‐historical meaning carved behind the legal professional education reform of Korea. It aims at categorizing diverse players and participants in accordance with their legislative impact in the process of the legal professional education reform. Korea has opened a new era of legal education through launching the postgraduate‐level professional law school system in March 2009 as the Act was passed by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in July 2007. Recent studies have offered much data and explanation of the new system, mainly comparing it to the previous one. However, it was not only an educational reform but also a social reform that the Korean democratic society has been trying to redistribute the power of the legal professional group through reforming the legal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In this sense, this article mainly focuses on the historical study on the changes in the legal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since 1895(Gabogyeongjang). Then, I describe detailed legal process of the Act since the government submitted the proposal of the Act in October, 2005 to the Act was passed at the last moment of the National Assembly’s provisional session in July, 2007. The Act was proposed by the government but it took one year and nine months until the Act was actually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It shows that not only the legitimate legislative player but also relating influential actors the legal process of the legislation. In Chapter III, I describe the legal process of the Act in a broader perspective dividing the legal educational reform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its governmental regime since 1995 to 2007. In each period, different legislative players and influential actors appeared or disappeared suggesting their arguments in the process of the legislation. The power, intent, or will against the legislation has related to the legislation so that the Act could be proposed and passed during period 3 while period 1 and period 2 failed to.

      • KCI등재후보

        라이프니츠(GottfriedWilhelmLeibniz)의 법사상

        송시섭(Si Seob Song)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명지법학 Vol.22 No.2

        라이프니츠는 철학, 수학, 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17세기 최후의 만능인이었다. 모나드론을 토대로 세상 만물이 조화롭게 예정되어 있다는 주장을 펼친 것과 같이 법의 영역에서도 고대 로마법부터 당시 통용되던 제국의 영방법(領邦法)에 이르기까지 법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들에 대한 정리를 통해 보편법학을 추구하였던 법학자였음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단지 지식적인 학문으로서의 법학이 아니라, 현실세계를 통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법학을 추구했고, 이러한 관심은 그의 정의론과 자연법론에 잘 녹여져 있다. 라이프니츠에게 정의란 현자의 자애(caritas sapientia)다. 즉, 정의는 모든 인간이 서로 선을 행하도록 하는 인간 상호 간의 호의에 기초한다는 점이다. 바꿔말하면, 정의란 타인에게 도움을 줄 것인지, 해악을 끼칠 것인지에 대한 현려(賢慮, prudentia)인 것이다. 라이프니츠에게는 인간 상호간의 사랑이 동시에 최고의 법원리가 되는 것이다. 이는 홉스와는 전혀 다른 접근방법이라 할 것이다. 라이프니츠에게 있어서 자연법의 목적은 ‘자연적 사회’를 유지하고 증진하는 것. 즉 자연법은 그것을 준수하는 사람들의 선(善)을 위한 것이다. 자연법의 내용은 단지 자기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선에 관련되는 것이다. 그가 분류한 3단계의 자연법은, 첫째, ‘아무도 해하지 말라’(neminem laedere)는 법원칙을 토대로 삼은 엄격법(嚴格法, jus strictum), 둘째, ‘각자에게 그의 것을 주라’ (suum cuique tribuere)는 법원칙에 기초한 형평법(衡平法, aequitas), 셋째는, ‘정직하게 살라’(honeste vivere)는 법원칙을 지향하는 경건(敬虔, pietas)이다. 그가 제시한 정의관과 자연법론은 현대에도 새롭게 조명되고 재해석될 만큼 다양한 사상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Leibniz was the last all-round man of the 17th century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hilosophy, mathematics, and logic. Just as Monadology argued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was planned in harmony, it is relatively less known that he was a jurist who pursued universal law by organizing the most basic concepts of law, from ancient Roman law to the then-commonly used Empire's Landrecht. However, he pursued practical law that could integrate the real world, not just as a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is interest is well incorporated into his theory of justice and natural law. For Leibniz, justice is the benevolence of the sage. In other words, justice is based on mutual goodwill that allows all humans to do goo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justice is the prudentia of whether to help or harm others. For Leibniz, mutual love between humans is the best law at the same time. This is a completely different approach from Hobbes. For Leibniz, the purpose of natural law is to maintain and promote a 'natural society'. In other words, natural law is for the good of those who comply with it. The content of natural law is not just for oneself, but for the good of others. The three stages of natural law he classified are, first, a strict law based on the principle of law called 'nemene laedere', second, 'subject cuique tribuere' is an equity law based on the principle of law, and third, 'honeste viere' is a pietas that aims for the principle of law. The view of justice and the theory of natural law presented by him can be evaluated as having the possibility of a variety of ideas that are newly illuminated and reinterpreted in modern times.

      • KCI등재후보

        규제의 이유, 그리고 좋은 규제란?

        진성만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명지법학 Vol.12 No.-

        Baldwin, Robert, Cave, Martin, Lodge, Martin의 “Understanding Regulation (Oxford Univ, 2011)”은 근대 이후 영미권 국가들의 ‘규제’에 관한 역사학적, 사회 학적, 경제학적 맥락을 포괄하는 다양한 법 이론들의 기반을 소개하고 있다. 나아 가 규제방식의 유형화, 평가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검토해 놓고 있어서 각종 산업 규제를 담당하는 정책자에게 규제법학의 이론적 흥미를 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깊이 있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중점적으로 소개하고자 하는 것은, 첫째, 규제에 관한 전통적인 이론적 근 거인 ’시장의 실패‘를 논의하고, 인권(human rights)이나 사회적 연대(social solidarity) 등 또 다른 규제의 이유를 고찰하여 규제의 현대적 개념화를 시도하고 자 하였다. 둘째, 어떤 규제 시스템이 좋은 것인지, 수용할만한 것인지, 아니면 개혁의 필요 성이 있는지 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benchmarks)의 정립과 그 타당성을 평가하 기 위한 도구들을 살펴보고 있다. 셋째, 리스크의 정의 및 평가의 문제, 리스크에 의해 제기된 핵심적인 규제의 난 제들, 그리고 리스크 규제를 위한 ‘접근법’을 구성하는 몇 가지 방법들에 초점을 맞추어, 좋은 규제를 적용하는 방안을 탐구한다. 하지만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해 결책들은 리스크 규제를 다루는 최상의 방법을 찾기 위해 제공되었다기보다는, “리스크 규제는 특정한 사회 시스템의 취약성에 관한 근본적인 가정을 반영하고 있는 선택에 관한 것”이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에 유의하 여야 한다. “Understanding Regulation(Oxford Univ, 2011)” written by Baldwin, Robert, Cave, Martin, Lodge, Martin introduces foundation of various legal theories that comprehend historical, social, and economic context about ‘regulation’ of nations in areas of England and America after modern times. Furthermore, this book systematically reviews stereotyping of regulating method, assessment method etc., so that this not only adds theoretical interest of regulation law for a policy maker in charge of various industrial regulations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in-dept learning. The article tries to intensively introduce these. First, 'market Failure' which is traditional and theoretical ground about regulation is discussed, and by investigating reason of another regulation such as human rights or social solidarity etc., modern conceptualization of regulation was tried. Second, This article explores establishment of benchmarks to decide what regulating system is good, if it is acceptable, or whether reform is necessary or not etc. And tools to assess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are examined. Third, The article focuses on definition of risk and issue of its assessment, difficult problems of essential regulations raised by risk, and several methods to compose ‘approaches’ for regulating risk, so that measures to apply good regulation is explored. But it should be carefully noted that solutions suggested here put the point to emphasize the fact that “regulation of risk is related to choice to reflect fundamental assumption about vulnerabilities of a specific social system”, rather than provided to find best method dealing with regulation of risk.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정치자금법의 현황과 과제 - 법인ㆍ단체의 정치자금 기부금지 조항에 대한 학제간 논의를 중심으로

        기현석,고범승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명지법학 Vol.12 No.-

        In modern democracy, a lot of money is needed to operate a political party. Some critic even says that money is the ‘Mother’s milk of politics’. However, the dark side of political fund cannot be ignored. Most of all, it causes cozy relations between politics and business.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review the validity of the political donation system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constitutional law and company law). From the viewpoint of company law research, it is legal issue whether political contributions by companies are limited within the purpose of articles. If the political contributions by companies are limited, it can be said that the company law control the dark side of political fund. But following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it could not reach the goal. To date, the goal is reached by the 'Political Fund Law’ in Korea. Concretely, this law prohibit all donations by companies to eradicate the cozy relations between politics and business. 정치자금의 문제는 오늘날 정당정치를 전제로 하는 민주국가에서 중요한 관심사 로 다뤄져왔고, 특히 우리 사회에서 회사의 정치자금 기부(정치헌금)와 관련된 논 의는 최근까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법학계에서는 그동안 정치자금법의 여러 법적 쟁점에 대하여 주로 헌법학과 회사법학에서 논의를 진행하여왔으나 이 른바 학제간 연구라 부를 만한 것은 많지 않았다. 여기서 본 논문은 양 학문 간의 논의를 정리함으로써, 기존의 논의에 보다 포괄적인 관점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회사의 정치헌금은 많은 경우에, 부정적인 가치를 지닌 어 떤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법학계의 주된 관심사 또한 이러한 회사의 행위를 되도록 통제하는 관점에서 진행되어왔다. 예컨대, 그간의 회사법학의 논의 에서 주된 쟁점은 ‘사인인 주주’의 이익에 반하는, 다른 ‘사인인 경영자’의 판단의 결과로서 정치헌금에 대한 사법상 유효성의 인정여부라고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대법원 판례에 따라 적어도 실무적으로는 회사의 정치헌금이라는, 사회적으로 부 정적인 가치한 통제의 문제는 우리사회에서 헌법의 영역에서 기본권 제한의 형식 으로 통제되고 있다. 여기서 기본권의 보장이란 관점에서, 향후 서구 제국(諸國)에 서와 같은 전면적인 관련 제도의 개선이 이뤄지려면 우리 사회에서도 정치자금 지출내용의 투명성 확보 등과 같은 선결과제가 해결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의 법적 문제에 관한 시론

        박인회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명지법학 Vol.10 No.-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buy a smartphone rather than a feature phone. Basically, a smartphone is a mobile phone with ability of processing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oth features of phone-bas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a smartphone provides, make a confusion in the area of legal study. That’s why more study should be made. First, In the case of iPhone, unlocking and jailbreaking could be problems. Unlocking is making iPhone possible of using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provider. Jailbreaking is making iPhone possible of using uncertified application by producer. These problems means not only that these could be out of warranty, but also that these could infringe copyrights of producer. but these are exempted of copyright infringement in general. A smartphone is distinguished clearly by its mobility from other kinds of data processing devices.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mobility of smartphone can be used most efficiently. In gener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person is accepted as a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consent of the party, however, the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illegal. Actually, many cases have arisen in the many countries. With a smartphone, many works can be made in any time and anywhere. but when cloud computing is made via smartphone, many problem could be arisen. If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ata process result and display information are transferred, it could be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This is a matter of interpretation of contract basically, but when the proper interpretation cannot be made, the interpretation should be made adequate for the purpose of copyright act. 국내 휴대전화 시장에서 스마트폰의 점유율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전화기능 이외에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여러 가지 편의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휴대전화와 관련된 법제 에서는 정보처리능력이 고려되지 않고, 전기통신망과 관련된 법제에서는 휴대전화가 고려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융합되는 과정에서 이전에 예상하지 못한 문제 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서 선제적으로 법학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우선 스마트폰 열풍을 주도한 아이폰의 경우, 제조사가 행한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 그리고 제조사가 인증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탈옥 등이 문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히 제조사로부터 수리를 받을 수 없게 된다는 문제를 넘어, 저작권 침해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나 실무적으로는 저작권을 침해 하지 않는 기술적 보호조치의 우회로 처리되고 있다. 스마트폰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비하여 크게 장점을 가지는 것이 그 휴대성이다. 어디든 쉽게 휴대할 수 있고, 이러한 휴대성은 위치정보와 결합되어 그 효과가 극 대화된다. 그러나 어느 개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의 경우에 개인 정보로 인정되어, 당사자의 동의 없이 이를 수집하는 것은 불법이고, 이러한 동의 없는 위치정보 수집과 관련하여 각국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사무실이나 집에서만 일정 업무를 처리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스마트폰을 통하여 언제 어디에서든 원하는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전산처리능력 이 한정된 만큼 스마트폰을 통하여 컴퓨터와 같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속된 컴퓨터의 정 보처리결과나 그 처리화면 등이 전산망을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공 중송신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원칙적으로 계약의 해석으 로 해결할 문제이나, 해석만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저작권법의 목적을 고려 하여 목적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비교할 때 이에 대한 법학적 연구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자신의 영역에서 근본적인 개념 및 원칙을 되짚어 보는 것부터 시작 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불확실한 위험의 규제

        진성만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명지법학 Vol.13 No.-

        The article tries to intensively introduce these. First, regulatory regimes of U.S. provide scientific bases for dietary supplement and focus on regulation. Furthermore, this book systematically reviews stereotyping of regulating method, assessment method etc., so that this not only adds theoretical interest of regulation law for a policy maker in charge of various industrial regulations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in dept learning. Second, 'market Failure' which is traditional and theoretical ground about regulation of unreasonable risk is discussed, and this article explores establishment of benchmarks to decide what regulating system of unreasonable risk is good, if it is acceptable, or whether reform is necessary or not etc. And tools to assess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are examined. But it should be carefully noted that solutions suggested here put the point to emphasize the fact that “regulation of unreasonable risk is related to choice to reflect fundamental assumption about vulnerabilities of a specific social system”, rather than provided to find best method dealing with regulation of unreasonable risk. 이제 환경위험 및 식품위험에 대한 이야기는 사회학 분야뿐만 아니라, 법학 분 야에서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식품안전을 보 장할 수 있는 행정조직은 지속적으로 정비되어 왔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연 시 민들이 우리 식품의 안정성을 신뢰하게 된 것인가 이러한 의문들은 분명 복잡 한 것이며, 많은 논쟁을 야기하는 것이다. 불확실한 위험(unreasonable risk)은 대부분 환경, 건강, 소비자안전 등의 문제 와 관련하여 미국의 법제도들을 통해 소개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불확실한 위 험은 일반적으로 분명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없는 위험을 의미한다. 즉, 식품의 안전성에 관한 시민들의 불안 속에는 식품의 제조·유통 과정에 불확실한 위험이 존재하고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사회는 이제 무엇이 불 확실한 위험에 해당하는지를 규정하여야 하는 매우 복잡하고 논쟁적인 논의가 불가피하다. 이에 이 글에서 중점적으로 소개하고자 하는 것은, 첫째, 미국의 식이보충제 규 제기술을 통해 역사학적, 사회학적, 경제학적 맥락을 포괄하는 다양한 불합리한 위험 규제법과 이론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규제방식의 유형화, 평가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검토해 놓고 있어서 각종 산업규제를 담당하는 정책자에 게 규제법학의 이론적 흥미를 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깊이 있는 학습의 기회 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규제에 관한 전통적인 이론적 근거인 ‘시장의 실패’를 중심으로 불확실한 위험의 개념 및 불확실한 위험을 왜 규제해야 하는지 나아가 어떻게 규제하여 야 하는지 등을 구체화하고 있다. 어떤 규제 시스템이 좋은 것인지, 수용할만한 것인지, 아니면 개혁의 필요성이 있는지 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benchmarks) 의 정립과 그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들을 살펴보고 있다. 다만, 이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 불확실한 위험에 대한 규제기술은 불확실한 위 험들에 대한 최상의 규제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 즉, “규제 시스템 상에서의 선택이 필요한 문제”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국가위기관리와 법공학의 상호관계 -원자력발전소 안전성 확보를 중심으로

        김동주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명지법학 Vol.19 No.2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미세먼지, 원자력발전사고 등과 같은 재난안전사고의 피해 범위 및 규모와 영향력이 국내에 국한되지 않고 발생하는 현상을 보면 현대사회에서의 위험이 광범위하고 복합적임을 실감하게 된다. 특히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사고로 인해 방사능 오염 물질이 대기, 해양, 대륙 전 범위에서 누출 및 확산하여 10년이 지난 지금도 방사능으로 인한 피해가 계속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재난안전사고의 영향은 세기를 초월하여 발생할 수 있다. 재난안전사고는 예측 불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므로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발생하는 것이 어렵다. 결국, 현대사회에서 공존하고 있으며 자연재해, 환경오염, 건강, 경제 및 사회생활, 대외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현대인은 ‘위험’을 직면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재난안전사고를 국가 위기관리 측면에서 보면 국민의 안전권 보장에 관한 문제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34조 제6항에 근거하여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임무를 수행해야 하고 이를 위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위기 발생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등의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국가적·정치적·경제적·사회문화적·개인의 위기와 같이 다양한 의미의 위기에 대한 위기관리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재난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재난 안전관리 패러다임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국민의 안전권 보장이 국가의 의무인지 혹은 책무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가 위기관리에서의 폭넓은 의미로 재난안전사고에 관한 체계적인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써, 원자력발전 사고에서의 효율적인 위기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법공학(Forensic Engineering)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The extent, scale, and impact of disaster safety accidents such as coronavirus infection (COVID-19), fine dust,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etc. are not limited to Korea, and the risks in modern society are wide and complex. For example, radiation damage continues nine year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 Japan caused radioactive contaminants to leak and spread throughout the atmosphere, oceans and continents. Unpredictable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coexist in the civilization of modern society, and it cannot be denied that modern people face ‘risk’ in various fields such as natural disasters, environmental pollution, health, economic and social life, and external relations. In terms of national crisis management, disaster safety accidents are a matter of guaranteeing the people's right to safety. Based on Article 34 (6)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tate must perform its mission to prevent disasters and protect the people from such dangers, and to this end, protect the lives and assets of the people and minimize the possibility of a crisis. At this time, it is a question of whether it is the duty or responsibility of the state to guarantee the people's right to safety. Therefore, crisis management must be established for crises in various meanings, such as national, political, economic, sociocultural, and individual cris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paradigm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to protect the lives and assets of the people from disaster and safety accidents. Therefore, as a prior study to establish a systematic crisis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safety accidents in a broad sense in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we decided to review the role of forensic engineering as a way to efficiently manage crises in nuclear power generation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