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olar urticaria in Korean patients

        ( Sung Min Kim ),( Young Ah Cho ),( Ji Su Lee ),( Ji Youn Hong ),( Jin Hee Kim ),( Joo Ran Hong ),( Hye In Cheon ),( Yang Won Lee ),( Yong Beom Choe ),( Kyu Joong Ahn ) 대한피부과학회 2020 대한피부과학회 학술발표대회집 Vol.72 No.1

        Background: Solar urticaria (SU) is an uncommon type of photodermatoses characterized by erythematous wheal with pruritus after sunlight exposure, which shows a female predominance. Only a few studies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SU were reported in Asia. Objectives: We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and phot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 in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SU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5 to January 2020. Results: Of a total of 44 patients, 36 (81.8%) were male and 8 (18.2%) were female. The mean age at onset was 17.6 years (range, 5-47) and the mean threshold time was 19.7 minutes. Among 32 patients who underwent phototesting, the action spectrum most commonly implicated was ultraviolet (UV) A only in 12 (37.5%), and then visible light (415nm) only was responsible for SU in 8 (25.0%). Three patients (9.4%) were induced by both UVA and visible light (415nm). Even 4 patients (12.5%) were triggered by only natural sunlight. Serum immunoglobulin E levels were measured in 33 patients, and 17 (51.5%) showed values higher than normal. The treatment most widely used were oral antihistamine (43.2%), followed by phototherapy (13.6%). Conclusion: SU is a rare photodermatosis in Korea, which shows a male preponderance. In this study, UVA and visible light (415nm) were predominant action spectrum of SU.

      • 광미를 사용한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및 내약품성

        이병철,이주경,이윤수,이필호,이구연,전철수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1999 석재연 논문집 Vol.4 No.-

        본 연구는 세골재의 일부를 광미로 치환하고 혼화제로 SBR 라택스를 사용하여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한 후 강도특성 및 내약품성을 실험적으로 구명한 것이다. 그 결과 광미를 사용하지 않고 P/C비가 10%일 때 압축강도가 323㎏/㎠로 최고 값을 나타냈으며, 휨강도는 P/C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P/C비가 10%일 때 89㎏/㎠를 나타냈다. 그리고 광미를 사용한 경우는 P/C비가 10%일때 압축강도가 357㎏/㎠, 휨강도가 92㎏/㎠로서 광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10% HCI, 20%, NaOH 10% NaCl 수용액에 공시체를 3, 7, 14, 21, 28일간 침적 시킨 후 중량변화를 측정하여 내약품성을 실험한다. 광미를 사용한 경우가 우수한 내약품성을 나타냈다. 즉광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P/C=0%일 때 28일 후 중량 변화가 11%였으나 P/C=20%일 때는 2%였고, 광미를 사용한 경우는 P/C=0%일 때 질량 변화가 6%였으나 P/C=20%일 때는 1.5%였으며 20% ,NaOH 10% NaCl 수용액에서는 질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olymer cement concrete is made by the modifying ordinary cement concrete with polymer additive. Until now polymer cement concrete is not used for the structural member, but it is growing to be considered as developing uses such as a waterproof of roof slab, and a road pavement. The polymer cement concrete, being used for those uses, is superior to the cement concrete against the inorganic, organic acid, salt of acetic acid and organic solvents generally. In this paper, the polymer cement concrete was made by the ratio of 1:1 of sands and metal-mine waste rocks in fine aggregate in order to sol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causes the social problem by metal-mine waste rocks. It was measured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chemicals resistance was tested by dealing with 10% HCI, 20% NaOH and 10% NaCI aqueous solution.

      • 폴리머 콘크리트 식생블록 제조기술개발

        이윤수,주명기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2004 석재연 논문집 Vol.9 No.-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식생블록을 개발할 목적으로 폴리머 결합재비에 따른 공극률, 연속공극률, 투수계수 및 강도 특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결과, 폴리머 콘크리트 식생블록의 공극률, 연속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폴리머 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폴리머 콘크리트 식생블록의 압축, 휨, 인장강도는 폴리머 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폴리머 콘크리트 식생블록의 강도는 투수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binder content on void ratio, continuous void ratio,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strength properties of polymr concrete vegetation block are examined.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void ratio, continuous void ratio and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polymer concrete vegetation block decrease with increasing binder content. The flexural, tensile and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polymer concrete vegetation block increase with increasing binder content. The flexural, tensile and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polymer concrete vegetation block decrease with increasing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 오류 수정 부호를 이용한 IMT-2000 인증 프로토콜 설계

        이수연 천안대학교 2001 천안외국어대학논문집 Vol.- No.1

        IMT-2000 system is expected to start its service at the beginning of 2000 on the purpose of providing with the highest qualitative service through one mobile terminal.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ome of the important issues which need to be addressed in designing an authentication protocol for IMT-2000 using error correcting codes. Also proposed is an authentication protocol which addresses the above issues and we design a correct and efficient authentication protocol to establish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Our protocol provides an authentication of the communicating entities, location privacy, and secure messaging as well as global roaming service.

      • 높은 휨강도를 갖는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개발

        이윤수,주명기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2003 석재연 논문집 Vol.8 No.-

        본 연구에서는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프리캐스트 판넬을 개발할 목적으로 폴리머 및 단섬유 혼입한 시벤트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시벤트 모르타르의 물리ㆍ역학적 성질에 미치는 폴리머 및 단섬유 혼입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 고강도 모르타르에서는 보동강도 모르타르에 비해 섬유의 부착강도가 크게 되기 때문에 아라미드의 고장도 섬유를 혼입함에 따라 휨강도는 매우 증가하였다. 또한 폴리머 및 단섬유 혼입에 의해서 고강도 모르타르의 취성이 개선되어 휨 변형에 대한 신장능력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A high flexural strength results in a reduction of wall thicknesses of precast concrete products such as curtain walls and permanent formworks which assists craneage requirements or allows for larger panels. In the previous paper, flexural strength of 24MPa can be attained in water-cured cement mortars by reducing W/C, and using an optimum grading high strength san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olymer-modification and discontinuous short fiber reinforcement on th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mortars in the fresh and hardened states were assessed experimentally. The studied variables include polymer-cement ratio(0 to 10%), polymer types(SBR, PAE and epoxy), fiber types(vinylon and aramid), fiber volume fractions(0 to 3%), strength of matrix mortar(compressive strength of 42MPa and 112MPa), and curing conditions(water, wet and dry). The test data generated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improvements in flexural strength and toughness characteristics of air-cured high strength mortars can be achieved by PAE and epoxy polymers with dosage of 10% of the cement amount. It is found that use of high strength fibers such as aramid, not only reduces the brittle nature of high strength cementitious matrices, but also increases the maximum matrix strength.

      • KCI등재

        鹽生植物 나문재의 生育特性과 利用可能性

        이봉호,문윤호,정병춘,김관수,류수노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4 No.2

        기능성식품 원료, 채소, 식물성 소금 재료 및 제염식물 등으로 개발이 유망시되는 염생식물인 나문재의 육지부 재배 가능성을 조사하고, 내륙지방에서의 작물화 가능성을 검토코자 전남 서해안의 염전 부근에 자생하는 나문재의 종자와 식물체를 공시하여 내륙지방인 전남 무안군 소재의 『목포시험장』포장에서 시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나문재는 식물체를 이식하여도 생육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2년 묵은 종 자에서도 발아가 잘되었으며 발아소요 기간은 9일 정도 였고, 나문재의 생육은 소금기가 부족한 내륙에서도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병충해나 기타 재해도 거의 없어 내륙에서의 재배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인정되었다. 나. 나문재의 생육에 미치는 소금물의 공급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1주일 간격으로 바닷물 농도의 소금물을 공급한 결과, 초장은 소금물을 공급한 것이 공급하지 않은 것 보다 양호하였으나 줄기의 굵기와 분지발생 수 는 소금물 공급효과가 크지 않았다. 다. 나문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종자파종의 경우 7월 10일 현재 소금물 처리구는 각각 주당 33.75g, 2.62g인데 비해 무처리구는 각각 23.52g, 1.84g으로서 소금물 처리구가 무겁고, 생체중에 대한 건물중의 비율은 대체로 7.14∼11.58% 범위로서 수분함량은 92.86∼88.42%정도 되는 다육식물 이었다. 라. 결론적으로 나문재는 소금기가 많은 곳에서 잘 생육할 뿐만 아니라 소금 기가 적은 곳에서도 생육이 비교적 양호하며, 식물전체에 짠맛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물성 소금, 기능성 식품, 채소, 그리고 간척지나 음식물쓰레기의 염분제거 식물로서의 이용 가능성 등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he plant of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MIQ, which is mainly inhabit on tidal flat was investigated on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traits on inland condition, in order to get some informations on it's possible use for functional food, vegetables, medicinal herb, and salt removing plant from tideland, or food-waste. The plant, Suaeda asparagoides M_IQ., is well grown on inland condition. But the salt applicated plants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non-treated plants in its vegetable growth. The plant height is about 78.5cm in salt application, compared to the 64.5cm in non-treated plot. But the stem diameter and the number of branches are not better in salt application compared to the non-treated ones. However, the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the plant in salt-application are better than those of the non-treated ones, which means the total biomass is more productive by the salt application. As a conclusion, the plant Suaeda asparagoides M_IQ, seems to be an available plant and need to more discussion for possible use mentioned in the above sectors, from the results of inland cultivation of which well grown and characteristics.

      •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경량바닥재 개발

        이윤수,주명기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2003 석재연 논문집 Vol.8 No.-

        본 연구에서는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경량바닥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중질탄산칼슘 및 폴리머를 결합재로 하고 목분을 골재로 한 폴리머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폴리머 모르타르의 흡수율, 휨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목분 혼입량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 폴리머 모르타르의 흡수율은 목분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폴리머 모르타르의 휨 및 압축강도는 목분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In this study the lightweight polymer composites were made in which the polypropylene as binder, the heavy calcium carbonate as filler, the splinter as aggregate. The effects of splinter content on the water absorption, flexural and compressive strengths of lightweight polymer mortars with polypropylene and splinter are examined. As a result, the water absorption of the lightweight polymer mortars with polypropylene te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plinter content. The flexural and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lightweight polymer mortars with polypropylene te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splinter content.

      • 콘크리트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적정 배합비 및 두께 결정

        이윤수,이기원,전철수,지경용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2000 석재연 논문집 Vol.5 No.-

        피로하중, 산성비, 염해 및 동결융해 등 각종 원인에 의해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저하가 건설산업분야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능이 저하된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재로는 폴리머 복합재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에 폴리머를 첨가하면, 작업성의 경우 폴리머의 혼입량이 증가 할수록 작업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공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압축강도는 폴리머 시멘트비가 10%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휨강도의 경우는 폴리머 시멘트비가 증가할수록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직접인장접착강도에서는 폴리머-시멘트비 10%, 소포제 1%에서 가장 높은 접착강도가 나타났으며, 내후성 시럼 후의 직접인장접착강도 실험에서는 보두 수께 5mm가 가장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를 볼 때 보수재로 사용되는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는 폴리머 시멘트비 10%, 소포제1%의 배합으로 약 5mm의 두께로 보수를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erimental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nsile adhesion strength of polymer cement mortar for repair of cement concrete structures. Air content of polymer cement mortar was improved with increment of polymer cement ratio. Water absorption of polymer cement mortar was decreased with increment of polymer cement ratio. Compressive strength of polymer cement ratio 10%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Flexural strength of polymer cement mortar was improved with increment of polymer cement ration. The tensile adhesion strength of polymer cement ration 10% and antiformer agent content 1%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After weathering test, the tensile adhesion strength of thickness 5mm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others.

      • 섬유보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특성

        이윤수,주명기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2004 석재연 논문집 Vol.9 No.-

        본 연구에서는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프리캐스트 건축부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폴리머 및 단섬유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역학적 성질에 미치는 폴리머 및 단섬유 혼입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휨 및 압축강도는 섬유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폴리머 및 단섬유 혼입에 의해서 시멘트 모르타르의 취성이 개선되어 휨 변형에 대한 신장능력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Increment of flexural strength can results in a reduction of wall thicknesses of precast concrete products such as curtain walls and permanent formworks which assists craneage requirments or allows for larger panel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olymer modification and discontinuous short fiber reinforcement on th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mortars in the fresh and hardened states were assessed experimentally. The studied variables include polymer-binder ratio (0 to 10%), polymer types(SBR, PAE and EVA), fiber type(vinylon), fiber volume fractions (0 to 3%), strength of matrix mortar (compressive strength of 36 MPa and 63 MPa), and wet and dry curing condition. The test data generated in this study shows that improvements in flexural strength and toughness characteristics of polymer-modified mortars can be achieved by PAE with dosage of 10% of the cement am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