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서의 치아이동 시 피질골 천공이 치주조직의 OPG, RANK, RANKL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박우경,김성식,박수병,손우성,김용덕,전은숙,박미화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3

        치아이동 시 피질골 천공이 치조골 재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생후 15주된 자성백서를 사용하여 피질골 천공 후 치아이동을 실시한 실험군(Tooth movement with cortical punching: TMC group, n = 16)과 교정적 치아이동만 실시한 대조군(Tooth movement only group: TM group, n = 16)의 치아주위조직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동물에 20 gm의 힘으로 상악 전치부 사이를 이개시키는 치아이동을 시행하였으며 실험군에서는 상악 전치부 구개부위에 피질골 천공을 실시하였다. 치아이동 후 1, 4, 7, 14일째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동물을 희생시켰다.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OPG, RANK, RANKL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 OPG의 발현은 양 군 모두에서 미처치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으나, 실험군에서의 발현이 대조군보다 컸으며, RANK, RANKL은 피질골 천공을 시행한 경우에 더 강한 발현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피질골 천공이 치주조직의 OPG, RANK, RANKL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치조골의 재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ortical punching could stimulate the expression of OPG, RANK, and RANKL during tooth movement by immunohistochemistry. Methods: 34 sprague-dawley rats (15 weeks old) were allocated into 3 groups: TMC group (experimental group; Tooth Movement with Corticotomy, n = 16), TM group (control group; Tooth Movement only group, n = 16), and non-treatment group (n = 2). 20 gm of orthodontic force was applied to rat incisors by inserting elastic bands. The duration of force application was 1, 4, 7 and 14 days. A microscrew (diameter 1.2 mm) was used for cortical punching of the palatal side of the upper incisors in the TMC group. Results: Distributions of OPG, RANK, and RANKL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OPG, RANK and RANKL were observed o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n the compression side, the degree of the expression of OPG decreased in both groups. The expression of RANK was most promin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day 4. The expression of RANKL was most intensive and extensive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day 7. However, the expression of OPG was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mpared to the non treatment group. The expression of OPG, RANK and RANKL after force application were decreased at day 14.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cortical punching might stimulate remodeling of alveolar bone during a 2 week period of tooth movement without any pathologic change.

      • Cu CMP에 의한 웨이퍼 불균일도 특성 개선

        이우선,이영식,손동민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2002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논문지 Vol.24 No.2

        A Study on wafer non uniformity characteristic improvement using Cu CMP were studie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of copper has been studied on a platen polisher by using an experimental copper slurry containing alumina oxide as the abrasive compon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a design of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the experiment, the effects of polishing parameters such as polishing pressure, platen speed, and speed of wafer carrier on the removal rate of copper and the uniformity in copper removal were calculated and discussed. From the relative velocity modeling, all points on the wafer would have the same relative velocity if the platen rotation speed equals that of the wafer carrier. During polishing, pad temperature and copper removal rate were both lineally dependent on the product of rotation speed and polishing pressure. Some incremental polish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mechanism of copper CMP as a function of polishing time. I t has been demonstrated that copper CMP starts with surface smoothing instead of significant material removal. In this study, WIWNU of silicon wafer and parameter of Cu CMP were presented.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에 대한 하악이부의 형태 및 하악절치의 위치에 대한 연구

        김성식,박재억,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5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골격형태가 하악이부형태와 하악전치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후방적인 악골부조화가 나타나지 않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정상군)와, 하악전돌의 악골부조화를 보이며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하악전돌군)를 비교하여, 두개안면골격형태에 따른 하악이부형태와 하악전치의 위치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안면골격형태의 비교에서 하악에 관련된 ∠SN-Mn, ∠FMA, ∠Pal-Mn, ∠LFH은 하악전돌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지만, (p<0.05) 상악에 관련된 항목은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p>0.05). 2. 하악전치를 둘러 싸고 있는 치조돌기는 하악전돌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수평적으로 좁고, 수직적으로 긴 형태를 나타내었다(p<0.05). 하악이부의 형태에서도 수평적으로는 하악전돌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좁게 나타났으나, 수직적으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p>0.05). 3. 하악전돌군의 두개안면골격형태와 이부계측항목과의 상관관계에서 두개저와 하악하연에 기인하는 수직적인 악골부조화가 증가할수록 LaABH, LiACBW, LaACBW, LiABBW, SW, ∠LISA가 감소하는 역상관계를 나타냈지만(p<0.05), 전후반적인 악골부조화와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4. 하악전돌군에서 수직적인 두개안면골격형태를 나타내는 ∠SN-Mn, ∠FMA, ∠Pal_Mn, ∠LFH와 하악이부의 계측항목인 ∠LiACBW. LiaBBW, SW, ∠LISA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여, 수직적인 악골부조화로 하악이부의 형태와 하악전치의 경사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p<0.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orphology of mandibular symphysis and location of lower incisor under the influence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sample consisted of 132 adults who have severe Class III malocclusion (prognathism group, 33 males and 33 females), and who have normal occlusion (normal group, 33 males and 33 females). They had not received any orthodontic treatment or orthognathic surgery. The lateral cephalogram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rognathism group were larger than normal group in comparison of facial skeleton (p<0.05) with the exception of ∠FH-Pal, ∠SNA. 2. In the morphology of symphysis, measurements of anteroposterior width(LaABBW, LiABBW, SW) of prognathism group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normal group(p<0.001). 3. In the correlative analysis between the craniofacial skeleton and symphysis measurements of prognathism group, vertical measurements in relation with cranial base and mandibular plane showed reverse correlationship with anteroposterior with of symphysis(LiACBW, LaACBW, LiABBW, SW)(p<0.05). But, there was not distinct difference between horizontal skeletal measurements and symphysis measurements(p>0.05). 4. The probability by regression test between vertical measurements(∠SN-Mn, ∠FMA, ∠Pal-Mn, ∠LFH) and symphysis measurements(LiACBW, LiABBW, SW, ∠LISA)were very high(p<0.001).

      • KCI등재후보

        분절호선법으로 상하악 절치부 압하 시 순측경사도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김동우,양훈철,김기태,김성식,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상하악 절치부의 압하를 도모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인 분절호선장치를 사용하여 절치부의 순측경사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와 변화양상, 그리고 치축경사 개선과 압하를 동시에 이루기 위해 필요한 최소 후방 견인력의 크기 및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시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축 경사도의 변화에 따른 상악 절치부 저항중심은 1) 정상 치축경사를 가진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6mm에 위치하였다. 2) 순측경사가 10˚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의 원심면 후방 9mm에 위치하였다. 3) 순측경사가 20˚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2mm에 위치하였다. 4) 순측경사가 30˚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6mm에 위치하였다. 2. 치축 경사도의 변화에 따른 하악 절치부 저항중심은 1) 정상 치축경사를 가진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0mm에 위치하였다. 2) 순측경사가 10˚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3mm에 위치하였다. 3) 순측경사가 20˚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5mm에 위치하였다. 4) 순측경사가 30˚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8mm에 위치하였다. 3. 응력 분포 양상은 1) 각 저항중심에서 압하력을 가한 경우에 치주인대에 균일한 압축응력을 나타내었다. 2) 후방 견인력을 동시에 적용한 경우에 순측경사가 증가할수록 응력분포 양상이 복잡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4. 상하악 절치부가 20˚까지 순측경사된 경우에서 pure intrusion을 위하여 필요한 후방 견인력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sition of anteroposterior center of resistance for genuine intrusion and the mode of change of the minimum distal force for simultanous intrusion and retraction of the upper and lower incisor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labial inclin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three-piece intrusion arch appliance an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of upper and lower incisors. 1. Positions of the center of resistance in upper incisor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were as follows; 1) In normal inclination situation,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6mm behind the distal surface of the lateral incisor bracket. 2) In 10˚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situation,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9mm behind the distal surface of the lateral incisor bracket. 3) In 20˚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situation,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12m behind the distal surface of the lateral incisor bracket. 4) In 30˚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situation,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16m behind the distal surface of the lateral incisor bracket. 2. Positions of the center of resistance in lower incisor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were as follows; 1) In normal inclination situation,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10mm behind the distal surface of the lateral incisor bracket. 2) In 10˚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situation,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13mm behind the distal surface of the lateral incisor bracket. 3) In 20˚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situation,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15m behind the distal surface of the lateral incisor bracket. 4) In 30˚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situation,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18m behind the distal surface of the lateral incisor bracket. 3. The patterns of stress distribution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even compressive stresses in and periodontal ligament when intrusion force was applied through determined center of resistance. 2) There were gradual increase of complexity in compressive stress distribution pattern with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when intrusion and retraction force were applied simultaneously. 4. With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of the upper and lower incisors,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moved posteriorly. And the distal force for pure intrusion was increased until 20˚ increase of the labial inclination.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수 종의 도재 수복물에 부착된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에 열순환이 미치는 영향

        강상욱,손우성,박수병,김성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도재 수복물에 부착된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에 열순환과 도재 수복물의 종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도재전장관에 사용되는 재료들 중 Ceramco 3, Empress II, Zi-ceram/Vintage ZR 세 가지를 선택하여 각 20개씩 총 60개의 시편을 원반형태(두께 2 mm, 직경 12 mm)로 제작하였다. 동일한 접착 술식으로 세라믹 브라켓을 부착한 후 열순환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두 군으로 나누어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을 평가하였다. 열순환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전단접착강도는 Ceramco 3는 7.06 ± 1.76 MPa, Empress II는 7.55 ± 2.38 MPa 그리고 Zi-ceram/Vintage ZR은 7.19 ± 1.38 MPa로 추천되는 전단접착강도(6 - 8 MPa)에 적합한 강도를 보였으나 열순환을 시행한 실험군은 전단접착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 0.05) 열순환 후의 전단접착강도는 Ceramco 3는 4.88 ± 1.00 MPa, Empress II는 5.46 ± 1.35 MPa 그리고 Zi-ceram/ Vintage ZR은 4.84 ± 1.01 MPa로 임상적으로 추천되는 것보다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도재의 종류에 따른 전단접착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파절양상은 대조군에서는 모두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으며, 실험군에서는 2개의 시편(Ceramco 3과 Zi-ceram/Vintage ZR군에서 각 1개)만이 접착제내 파절을 보였으며 28개의 시편은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았을 때 도재 수복물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열순환에 의해 전단접착강도가 약화되므로 실제 임상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rmocycling and type of porcelain restoration on shear bond strength (SBS) and mode of failure of monocrystalline ceramic brackets. Methods: A total of 60 porcelain discs were made and divided into three equal groups as follows: Ceramco 3, IPS Empress II, Zi-ceram/Vintage ZR. ceramic brackets were bonded to the prepared porcelain surfaces in the same manner. Each group was divided randomly into two subgroups: thermocycled group and non-thermocycled group (control). All samples were tested in shear mode on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Results: SBS of the non-thermocycled group was clinically acceptable (Ceramco 3: 7.06 ± 1.76 MPa, IPS Empress II: 7.55 ± 2.38 MPa, Zi-ceram/ Vintage ZR: 7.19 ± 1.38 MPa). But, SBS of the thermocycl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eramco 3: 4.88 ± 1.00 MPa, IPS Empress II: 5.46 ± 1.35 MPa, Zi-ceram/Vintage ZR: 4.84 ± 1.01 MPa, p < 0.05).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hear bond strength by type of porcelain restoration. All bonding failure occurred between bracket base and adhesive, except for 2 sampl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ype of porcelain restoration did not affect SBS, but thermocycling weakened SBS. Therefore, the effect of thermocycling should be considered when using ceramic brackets in practice.

      • KCI등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술 전 교정치료 전과 후의 수술계획의 차이

        이은주,손우성,박수병,김성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는 술 전 교정치료 전 치아 이동 예측치(initial STO)와 술 전 교정치료 후 실측치에 바탕을 둔 STO (finalSTO)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 및 악교정수술 복합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하악만 수술한 환자 40명을 선정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발치 여부에 따라 두 그룹(발치 그룹 20명, 비발치그룹 20명)으로 분류하였다. 술 전 교정치료 전의 initial STO, 술 전 교정치료 후의 final STO를 작성하여 각 계측치를 수평, 수직 기준선에 대해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발치 그룹의 두 STO 비교 시 수직적으로 상악 중절치절단연과 치근단, 상악 제1대구치 협측교두에서,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교두, 하악 중절치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과 근심협측교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비발치 그룹의 경우는 수직적으로 하악 중절치 치근단,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하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두 STO의 차이와 initial STO 수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진단 요소와의 상관성 평가 시 상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상악 전치의 수평, 수직 및 제1대구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으며 두 그룹 모두 하악 전치 치축 각도와 하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하악 전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InitialSTO 작성과 술 전 교정 단계에서 이를 고려하여 진행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치료 계획 수립 및 전체적인 치료 기간을 줄이는 것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and final STO in Class III malocclusions and to find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the discrepancies. Methods: Twenty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e extraction group and 20 patients for the non-extraction group. They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an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dibular set-back surger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for initial STO (T1s) at pretreatment and final STO (T2s)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specified the landmarks as coordinates of the X and Y axes. Results: Differences in hard tissue points (T1s-T2s) in the X coordinates of upper central incisor edge, upper first molar mesial end surface, lower central incisor apex, lower first molar mesial end surface and mesio-buccal cusp and Y coordinates of upper central incisor edge, upper central incisor apex, upper first molar mesio-buccal cus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xtraction group. Differences in hard tissue points (T1s-T2s) in the X coordinates of upper central incisor edge, lower central incisor apex, lower first molar mesial end surface and Y coordinates of lower central incisor ape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on-extraction group. In the extraction group, the upper arch length discrepancy (UAL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xillary incisor and first molar estimation. Lower arch length discrepancy and IMPA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mandibular incisor estimation in both groups. Conclusions: Discrepancies between initial STO and final STO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curacy of initial STO must be considered in treatment planning of Class III surgical patien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on.

      • KCI등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상악골 전진술을 동반한 양악 수술 시 중안면 연조직 형태의 변화

        정종현,김성식,손우성,박수병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중안면 함몰이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중안면의 형태를 정상 표본과 비교하고, 악교정수술에 의하여 연조직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 전진술과 하악 후퇴술을 시행받은 환자 34명 (남자:15명, 여자:19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분석하였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중안면의 경조직 계측치 S'-Or, Or⊥NA, S'Or/SN, ∠SNOr에서 남녀 모두에서 정상 교합자와 큰 차이가 있었다. 상악골이 평균 5.03 mm 전방이동 될 때 연조직 Orbitale는 2.26 mm 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상관계수는 0.599였다(p < 0.05). 상악 평면각의 변화(시계방향으로 회전)와 상악골의 수직 이동은 연조직 Orbitale의 전방이동과 유의성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상악골 전방이동에 대한 연조직 Orbitale와 Subnasale의 전방이동 비율은 각각 43.57%, 81.54%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중안면 함몰이 있는 환자는 상악골 전방이동시 상순과 비부 외에도 연조직 Orbitale를 포함한 중안면 연조직이 전방으로 이동하지만, 상악골의 회전이동 및 수직이동에 대해서는 연조직의 변화량이 적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악골의 수술에 따른 중안면 함몰의 해소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upper midface morpholgy, focusing on the soft tissues, between skeletal Class III maloccusion patients with midfacial depression and the norm. The second objective was to estimate and analyze the change in the upper midface soft tissues following surgical correction with maxillary advancement by Lefort I osteotomy and mandibular setback by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RO). Methods: The samples consisted of 34 adult patients (15 males and 12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21 years, who had severe anteroposterior discrepancy with midfacial depression. These patients ha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which consisted of simultaneous Lefort I osteotomy and BSSRO. Resul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hanges in maxillary advancement and changes in Or' (soft tissue orbitale) was 0.599 (P < 0.05). Change in maxillary plane angle and vertical change of the maxilla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change in Or' (P < 0.05). The ratio of soft tissue change in Or' to maxillary advancement was 43.57 %, and 81.54 % in Sn.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maxillary movement and Or' were devised. The r² value was 0.476. Conclusions: The majority of measurements in the upper midface in skeletal Class III maloccusions when compared to the nor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idfacial depression, maxillary advancement produces soft tissue change in the upper midface.

      • KCI등재

        유착치의 교정치료 : 골절단술과 치조골 신장술의 적용

        김용일,김성식,손우성,박수병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3

        치아 유착은 손상에 의해서 치조골과 상아질 또는 백악질이 유합된 상태로, 외상, 내분비 질환, 쇄골 두개 이형성증 등의 선천성 기형 또는 원인 불명의 맹출 장애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유착 치아로 인해 인접치의 경사, 공간상실 및 대합치의 정출이 나타날 수 있고, 성장기 아동에서 유착이 발생한 경우 치조골의 발육 부전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상악 전치부에 이환되면 심각한 심미적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유착이 의심되면, 병력 청취와 타진 및 방사선 사진 상의 치근막 공간 평가, 또는 가장 직접적이고 확실한 방법인 교정력을 직접 적용해 보는 방법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려야 한다. 통상적으로 치료는 유착된 치아의 발거, 자가 치아이식, 외과적 탈구, 수술적 방법을 통한 재위치술 등을 선택하게 된다. 그 중, 수술적 방법을 통한 재위치술은 유착치의 발거 시 상당한 골소실이 예상될 때 시행할 수 있으며, 단일치아 골절단술과 치조골 신장술이 대표적이다. 본 보고에서는 이러한 수술적 방법으로 상악 전치부의 유착치를 심미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Tooth anklylosis is defined as the adhesion state of alveolar bone to dentin or cementum. Trauma, disturbed metabolic disease, and congenital disease have been given as etiologic factors. Complications of tooth ankylosis are tipping of the neighboring teeth, space loss, and supraeruption of the opposing teeth. Particularly if dental ankylosis occurs in maxillary incisors of a growing child, the ankylosed tooth can not move vertically with subsequent disturbance in vertical growth of the alveolar process. With an appropriate treatment approach, an esthetic condition must be achieved especially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In this report, two cases are presented which were treated by the surgical repositioning method. One is treated by alveolar bone distraction osteogenesis which used a tooth-borne type distraction device and the other by single tooth osteot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