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pplications of the Heine and Bauer-Muir transformations to Rogers-Ramanujan type continued fractions

        Lee, J.,Mc Laughlin, J.,Sohn, J. Academic Press 2017 Journal of mathematical analysis and applications Vol.447 No.2

        <P>- (a - bq(2))(b - aq(2))q/1 - abq(4) - (1 - a(2)q(2))(1 - b(2)q(2))q(3)/1 - abq(6) - (a - bq(4))(b - aq(4))q(3)/1 - abq(8) - ... . (C) 2016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P>

      • KCI등재

        자궁외임신시 황체기능

        이권해,조태호,이민철,구자두,고영익,윤길중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2

        1988년 4월 1일부터 1989년 5월 31일까지 순천향대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자궁외임신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혈청 β-hCG와 혈청 progesterone을 측정하였고, 그 중 22명의 환자에서 수술시 복강내 혈액에서 β-hCG를 측정하여 파열형과 비파열형으로 나누어, 혈청 progesterone의 측정이 자궁외임신의 진단적 가치와 혈청 progesterone과 혈청 β-hCG, 혈청 progesterone과 다글라스와 β-hCG를 파열형과 비파열형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여 자궁외임신에서의 황체기능에 대한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외임신의 위치와 파열여부를 보면, 연구대상은 32예로 모두 난관임신이었으며, 부위별로 보면 난관 팽대부가 23예(71.8%), 체부가 5예(15.6%), 협부와 간질부는 각각 2예로 팽대부가 가장 많았으며, 파열여부로 보면 파열형이 19예(59.4%), 비파열형이 13예(40.6%)였다(Table 1). 2. 각 군별 평균치를 보면, Table 2에서 보는바와 같이, 파열형에서 혈청과 복강내 혈액의 β-hCG는 각각 2906.37 ± 720.17 mIU/ml, 8187.67 ± 1257.25mIU/ml이었고, 비파열형에서 β-hCG는 각각 1376.62 ± 480.67mIU/ml, 8239.20 ± 2210.46mIU/ml였다. 그리고 혈청 β-hCG 및 복강내 β-hCG를 파열형, 비파열형으로 나누어 보면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종합하여 보면 혈청 β-hCG는 2606.52 ± 578.38mIU/ml이고, 복강내 β-hCG는 8205.14 ± 1129.51 mIU/ml로 복강내 혈액에서의 β-hCG가 혈액에서보다 현저히 높았다(P$lt;0.0001). 그리고 자궁외임신에서 progesterone 평균치는 4.67로 정상임신시 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파열형(5.18 ± 0.84ng/ml)이 비파열형(4.27 ± 0.94ng/ml)보다 조금 더 높았으나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p=0.392). 3. 비파열형에서 혈청 progesterone치와 혈청 β-hCG와의 상관관계는 Y=0.001X + 2.94(r=0.49, P=0.09)였고, 혈청 progesterone치와 다글라스와 β-hCG와 상관관계는 Y=0.0001X + 2.71(r=0.352, P=0.318)로 다글라스와 β-hCG보다 혈청 β-hCG가 비교적 상관관계가 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Fig. 1). 4. 파열형에서 혈청 progesterone치와 혈청 β-hCG와의 상관관계는 Y=0.0005X + 3.85(r=0.39, P=0.10)이고, 혈청 progesterone치와 다글라스와 β-hCG와의 상관관계는 Y=0.0004X + 2.72(r=0.54, P=0.07)로써 다글라스와 β-hCG와 비교적 상관관계가 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5. 전체 자궁외임신에서 혈청 progesterone치와 혈청 β-hCG와의 상관관계는 Y=0.0002X + 4.08(r=0.21, P=0.24)로써 혈청 progesterone치와 다글라스와 β-hCG와 상관관계는 Y=0.0002X + 3.10(r=0.41, P=0.06)로써 다글라스와 β-hCG와 상관관계가 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whether the serum progesterone level can serve as a diagnostic tool for ectopic pregnancy and to know luteal function for ectopic pregnancy. In attempt to evaluate luteal function in ectopic pregnancy, we measured serum β-hCG, cul-de-sac and serum progesterone level of 32 women with ectopic pregnancies who were admitted to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 1988 to May 31, 1989.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β-hCG level in ruptured ectopic pregnancy was 2906.37 ± 720.17 mIU/ml (Mean ± S.E.M) in serum and 8187.67 ± 1257.25 mIU/ml in cul-de-sac. The mean value of β-hCG level in unruptured group was 1376.62 ± 480.67 mIU/ml in serum and 8239.20 ± 2210.46 mIU/ml in cul-de- sac. When comparing the β-hCG level in serum of the ruptured group with that of the unruptured group, we had no significant value. Also when comparing the β-hCG level in cul-de-sac of the ruptured group with that of the unruptured group, we has no significant value. However, the β-hCG level in cul-de-sac (8205.14 ± 1129.51 mIU/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erum β-hCG (2606.52 ± 578.38 mIU/ml)(p $lt; 0.001). The mean value of serum progesterone level in ectopic pregnancy was 4.67 ng/ml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value of serum progesterone in normal intrauterine pregnancy. The mean value of serum progesterone level in ruptured group (5.18 ± 0.84 ng/ml) was slightly higher than unruptured group (4.27 ± 0.94 ng/ml),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2. In unruptured group, the serum β-hCG and serum progesterone levels were slightly correlated, but had no significance (r=0.49, p=0.09), and the cul-de-sac β-hCG and serum progesterone levels also had no significance. (r=0.35, p=0.32). 3. In ruptured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progesterone and serum β-hCG was no significance (r=0.39, p=0.1), and serum progesterone and cul-de-sac β-hCG was slightly correlated, but had no significance.(r=0.54,p=0.07) 4. In all ectopic pregnancies,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progesterone and serum β-hCG was no significance(r=0.03,p=0.24), and serum progesterone and cul-de-sac β-hCG was slightly correlated,but had no significance.(r=0.41,p=0.06).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에서 단백뇨와 혈청 알부민치 관련성 및 임상적 의의

        박만철,이용우,이경희,김기환,김형우,류문근,고은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저자들은 1990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한림의료원 한강성심병원에 내원하여 임신시 고혈압질환으로 진단되어 분만한 총 326명 중 단백뇨와 혈청 알부민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288명과 임신 주수 및 연령이 비슷하고 혈압이 정상인 산모 200명을 대상으로 임상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군과 정상 임산부 간의 혈청 알부민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p< 0.05). 2.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의 심각성과 단백뇨 정도 비교시 2(+) 이상의 단백뇨를 나타내는 비율이 경증 자간전증과 중증 자간전증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중증 자간전증과 자간증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의 심각 정도와 혈청 알부민치 비교시 정상 임산부와 경증 자간전증군 간의 혈청 알부민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증 자간전증군과 자간증군 사이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경증 자간전증군과 중증 자간전증군, 경증 자간전증군과 자간증군 사이에는 혈청 알부민치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에서 단백뇨의 정도에 따른 혈청 알부민치 비교시(±)와 1(+) 간의 혈청 알부민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1(+)와 2(+) 사이에서, 2 (+) 이상군 간의 혈청 알부민치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 이외의 서로 다른 단백뇨군 간의 혈청 알부민 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으로 볼 때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 중 자간전증 에서는 단백뇨의 정도가 질환의 심각성을 반영하지만 자간증에서는 질환의 심각 정도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자간증에서는 오히려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단백뇨보다 평균 혈청 알부민치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 다. 자간전증에서는 혈청 알부민치 감소가 대부분 소변으로의 알부민 소실로 여겨지나 자간증에서는 단백뇨뿐 만 아니라 다른 병태 생리 기전이 혈청 알부민치 감소를 유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의 심각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단백뇨뿐만 아니라 혈청 알부민치도 고려해 보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고 향후 저알부민 혈증을 일으키는 다른 병태 생리 기전의 연구가 자간증의 예견 및 처치에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Maternal urine protein and serum albumin levels were studied in 288 cases of PIH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who were admitted to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for the period of 5 years from January 1, 1990 to December 31, 1994. Serum albumin levels were decreased in PIH, compared with normal pregnancy. Urine protein and serum albumin levels were correlated with severity of preeclampsia but not with eclampsia. Urine protein levels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albumin in PIH.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gree of proteinuria was highest in severe preeclampsia and the level of serum albumin was lowest in eclampsia.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not only the proteinuria but also the serum albumin level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dicting the severity of PIH. In addition, hypoalbuminemia might be developed mainly due to urinary albumin loss in preeclampsia, but other pathophysiological factors seems to be involved in pathogenesis of proteinuria in eclampsia.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에 관한 연구

        박만철,이용우,이경희,김정욱,김기환,정현아,김형우,박종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7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uration of menopause on bone loss, 60 healthy women, aged 34~74 years in 1995 were studied. After exclusion of past or present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or past history of chronic disease, 60 women formed the final study population. Bone masses were measured at 3 sited of femur(femoral neck, Wards triangle & trochanter) and in the L2~L4 lumbar spine by Dual energy X-ray bone densitometry(DEX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gynecological variables(age, body mass index:BMI), and years since menopause(YSM) with bone mineral density(BMD) of lumbar spin and the three different sites of femur.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r) of the bone mineral density(%) at the lumbar spine and the three different sites of femur with YSM were ranged -0.37~-0.48(p$lt;0.01). Only YSM was independently related to BMD(%) data at all sites, except Wards triangle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p$lt;0.01). In conclusion, the menopause and the duration of menopause have a great effect on bone mineral loss.

      • KCI등재

        임신 오조증산모에서 갑상선호르몬에 대한 연구

        박만철,이용우,이경희,김기환,전현아,장전호,김형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0

        Nausea and vomiting during early pregnancy is a common phenomenon, but very little data is available about the mechanism of this condition, and the etiology of hypereme sis is still unknown. One of the most popular hypothesis is that abnormal hormone levels, especi-ally thyroid hormone, may be possible etiologic factor of nausea and vomiting.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usea and vomiting in early pregnancy and thyroid function. Twenty patients suffering from hyperemesis gravidarum of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and twenty from morning sickness were selected. 20 non-pregnant and 20 pregnant women without nausea and vomiting were selected to age-matched control groups. Thyroid function was evaluated by using T3, T4, and TSH radioimmunoassay. Comparison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with the paired t-test. In this study, we found that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total T4(p<0.001) and T3 (p<0.05),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TSH(p<0.001) were observed in pregnancy with hyperemesis gravidarum relative to the level in normal pregnancy. Thes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nausea and vomiting. In conclusion, highly elevated T3 and T4 were closely linked to the cause of the vomi- ting in pregnancy with hyperemesis gravidarum.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more clearly the thyroid status of patients with hyperemesis gravidarum and to seek a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