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부 제대륜이 분만과정 및 신생아 예후에 미치는 영향

        박만철,이용우,이경희,백승규,류문근,고은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목적: 경부 제대륜의 유무와 횟수가 분만과정 및 신생아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7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한림의료원 한강성심병원에서 만삭 분만한 산모 842명 중 경부 제대륜이 없는 산모 100명을 제 1군, 1회의 경부 제대륜이 있는 산모 125명을 제 2군, 2회 이상의 경부 제대륜이 있는 산모 25명을 제 3군으로 하여 분만과정[비정상 태아심음, 태변착색, 응급 제왕절개술]과 신생아 예후[1분/5분 아프가 점수, 태아체중, 거대아, 제대혈 가스분석]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1. 경부 제대륜은 17.81%의 빈도를 보였다. 이중 제 2군에서는 14.85% 그리고 제 3군에서는 2.96%의 빈도를 보였다. 2. 분만과정과 관련된 비정상 태아심음, 응급 제왕절개술, 태변착색의 빈도는 제 1군과 제 2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제 1군과 제 3군 그리고 제 2군과 제 3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신생아 예후에서 1분 아프가점수, 거대아의 빈도는 제 1,2군과 제 3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5분 아프가점수, 태아체중에 있어서는 각 군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제대혈의 가스분석에서 pH는 제 1,2군과 제 3군 사이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O2, pCO2, HCO3등의 다른 가스분석값에 있어서는 각 군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2회 이상의 경부 제대륜은 분만과정 및 신생아 예후에 영향을 미치므로 경부제대륜의 유무 및 횟수를 산전에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산모 및 태아 안녕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Objective: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effect in delivery and neonatal outcomes from the existence of nuchal cord coiling and its frequencies. Materials and Methods: The research had been made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 1997 and Jul, 1998 in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It examined the process of delivery and 1min/5min apgar score, fetal weight, and gas measurement of umbilical vessel with the objects of 1st group of 100 full-term women without nuchal cord coiling, 2nd group 125 full-term women with only 1 time of nuchal cord coiling, and 3rd group of 25 full-term women with more than 2 times of nuchal cord coiling. Results; Nuchal cord coiling showed the frequencies of 17.81% [14.85% in 2nd group, 2.96% in 3rd group]. There were almost no discrepancies between 1st group and 2nd group in the frequencies of an abnormal fetal heart rate, a meconium staining, and an emergency cesarean section. However, Discrepancies were found between 1st/2nd groups and 2nd/3rd groups. The frequencies of 1min apgar score, macrosomia in neonatal outcome we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1st/2nd groups and 3rd group. In 5min apgar score, fetal weight, no discrepancies were found. In gas measurement in umbilical vessels, pH showed some discrepancies only between 1st/2nd groups and 3rd group and no discrepancies between groups were found in gas measurement for pO2, pCO2, and HCO3. Conclusion: Because more than 2 times of nuchal cord coiling can affect the delivery and outcome, proper treatment from the prenatal diagnosis can help the being of pregnant women and her fetus.

      • KCI등재

        폐경후 여성에서 지속적인 복합호르몬 대치요법시 나타나는 질출혈에 대한 연구

        박만철,이용우,이경희,전현아,장전호,김병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1

        에스토로젠 대치요법시 자궁내막 증식증의 예방을 위하여 투여되는 황체호르몬제제는 주기 적으로 투여하였을 경우 소퇴성출혈이 거의 모든 환자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이러한 투여요 법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가 떨어지게 된다. 소퇴성출혈을 없애기 위하여 황체호르몬을 매일 소량으로 지속투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예기치 못했던 부정출혈을 일으키 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부정출혈의 빈도는 대상 여성의 체중, 무월경기간, 무월경 당시의 나이, 신체질량지수와 어느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한국인 여성에 서 지속적인 호르몬 대치요법으로 premarin 0.625mg 과 MPA 2.5mg을 매일 경구투여한 결과, 부 정출혈의 빈도 및 정도와 이러한 부정출혈이 대상 여성의 체중, 무월경 기간, 무월경 당시의 나이, 신체 질량지수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EE 0.625mg과 MPA 2.5mg을 매일 경구 복용하는 경우 63%에서 부정출혈을 보였고, 43% 에서는 3개월이상 출혈을 보였거나 부정출혈의 양이 많아서 약물 투여를 중단하였거나 주기적 투여요법으로 전환하였다. 2. 부정출혈의 빈도와 대상 여성의 무월경 기간, 무월경이 된 나이 및 신체질량지수와는 관련성이 없다. 3. 부정출혈이 계속되거나 그 양이 많았던 환자군에서 체중이 57kg이상이었던 환자의 비율이 의미있게 높았다. 즉 체중이 57kg이하인 환자군에서 지속적인 호르몬 대치요법을 실시하 였던 환자중 76.9%는 부정출혈의 발생빈도가 낮고 또한 그 양도 많지 않아서 6개월이후까 지 계속 호르몬 대치요법을 받을수 있었으나, 체중이 57kg이상인 환자군에서는 45.5%만이 6 개월이후까지 호르몬 대치요법을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체중 57kg이상인 한국여성의 폐경환자에서 지속적 호르몬 투여를 실시할 경우 부정출혈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미리 교육시키는 것이 환자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을것으로 생각되어진다. For women with an intact uterus, the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should consist of estrogen combined with a progestogen to eliminated the increased risk of endometrial hyperplasia and carcinoma. But sequentially added progestogen induced withdrawal bleeding in 80% to 90% so complance is very poor in cyclic therapy . The most attractive aspect of continuous combined therapy is the absence of a withrawal bleeding . In general there is as high incidence of irregular bleeding in the first 3 months of therapy ; however most are amenorrheic by 12 months of therapy . There has been reported about variable effect on bleeding pattern of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ge of menopause and duration of amenorrhea. To evaluate toe vaginal bleeding patterns in continuous combined estrogen-progestogen therapy, 0.625mg conjugate equine estogen and 2.5 mg medroxyprogesterone acetate were daily medicated in 70 postmenopausal women for at least 6 months. No vaginal bleeding or only vaginal spotting within 3 months has showed in 40 women (57%) (group I). All these women continue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for 6 months. 30 women have continued administration was stopped or changed to the sequential administration(group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duration of amenorrhea and age of menopause. But there were less bleeding and so better compliance in patients weighing$lt;57kg. So it can be supposed that when administered continuously combined the patients weighing over 57kg should be educated before treatment that she would have more common irregular vaginal spotting in the first 3 months of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의 임상적 고찰

        박만철,이용우,이경희,김정욱,전현아,장전호,김병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1990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5년동안 한림의대부속 한강성심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 치료한 산모 총 3,775명 중 326명의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분만수에 대한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의 발생빈도는 8.64%였다. 2. 분류에 의하면 경증 자간전증이 25.46%, 중증 자간전증이 69.33%, 자간증이 5.21%였다. 3. 연령변분포에 따른 발생수는 25-29세가 가장 많았으나 임신시 비고혈압성 질환군과 비교시에는 35세 이상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고(p$lt;0.05) 19세이하에서도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4. 분만 횟수별 발생수는 경산부에 비해 초산부에서 의미있게 높았고 비고혈압성 질환군과 비교시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001). 5. 모체 혈액형에 따른 빈도는 비고혈압성 질환군과 비교시 O형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었다(p$lt;0.05). 6. 태아 성별은 남아에서 52.08%로 약간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7. 개인의원이나 종합병원 이송되어 온 환자의 빈도가 58.28%로 높게 나타났다. 8.다태임신의 경우 발생빈도는 15.38%로 단태임신의 고혈압증 질환군과 비교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의미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gt;0.05). 9. 미혼분만의 경우 발생빈도는 35.94%로 기혼분만과 비교시 의미있게 높았다(p$lt;0.001). 10. 임신기간과 신생아 체중은 임신시 비고혈압성 질환군과 비교시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군에서 조산과 저체중아의 발생빈도가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p$lt;0.001). 11. 분만방법은 질식자연분만 16.87%, 질식유도분만 7.8%, 질식흡입분만이 1.14%였고 응급제왕술이 55.52%, 선택 제왕절개술이 5.52%였다. 12. 모성 합병증은 저알부민혈증 37.74%, 빈혈 29.75%, 조기진통 23.31%, 태반조기박리 5.21%.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4.6%를 나타냈다. 13. 태아 및 신생아 합병증은 자궁내 발육지언 28.57%, 사산아 5.35%, 신생아 사망 3.87%, 5분 Apgar 점수 7 미만 13.40%였고 태아심음곤란 11.01%, 양수내 태변침착 8.33%를 나타냈다. 14. 전자간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는 35.58%였다. 15. 평균혈색소, 적혈수 용적, 혈소판수치는 각각 11.36 gm/dl, 34.63%, 221.57(X10^3/mm^3)이었고 혈색소 14이상, 적혈구응적 42이상, 10만이하의 혈소판의 빈도는 각각 8.90%, 9.51%, 5.93%였다. 16. 혈청알부민의 평균치는 3.0gm/dl였고 2.7이하는 33.74%였다. 17. 혈장 섬유소원의 평균치는 305.20gm/dl로 300이하인 경우는 45.40% 였다. 18. 혈장 섬유소 분해산물이 40 ug/ml이상인 경우는 6.44%였다. 19. 입원당시 단백뇨가 2(+) 이상인 경우는 62.27%였다. A Clinical study was undertaken on 326 cases of hypertensive disorders in pregnancy who were admitted to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for the period of 5 years from January 1, 1990 to December 31, 1994, during which time, there were 3,775 deliveries in to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hypertensive disorders in pregnancy(HDIP) was 8.64% of total deliveries. 2. Using the classification of American Committee on Maternal Welfare, the incidence of HDIP was as follows; mild preeclampsia 25.46% severe preeclampsia 69.33% eclasmpsia 5.21% 3. The highest number of HDIP was observed in the age group of 25-29, but the frequency of disease was higher in their group above 35 years old and below 19 years old. 4. 65.64% of patients were nulliparity. 5. Among four blood type, the frequency of disease was higher in O blood group and follwed by AB, B, A in orders. 6. There was slightly higher male predominance in fetuses of the HDIP,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see. 7. 58.28% of the patients were transferred from local private clinic and general hospitals. 8. The incidence of HDIP in twin pregnancy was 15.38%. 9. The incidence of HDIP in unmarried pregnancy was 35.94%. 10. As the gestational age and the body weight, the preterm and the lower birth weight higher incidence in HDIP group than non-HDIP group. 11. 39.96% of the patients were delivered vaginally, 20.55% spontaneous, 16.87% induced, 1.54% with vacuum, and 61.04% of the patients were performed cesarean section, 5.52% elective, 55.52% emergency. 12. As to maternal complication, hypoalbuminemia 37.74%, anemia 29.75%, preterm labor 23.31%, abruptio placenta 5.21%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DIC) 4.6%, postpartal bleeding 4% were found. 13. As to fetal complicatio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was found in 28.57%, stillbirth in 5.36%, neonatal death in 3.87%, Apgar score in 5 min$lt;7 in 13.39% FDS in 11.01% and meconium stained in amniotic fluid in 8.33% 14. 35.58% of the patients developed aura signs. 15. The mean level of hemoglobin, hematocrit, platelet were 11.36gm/dl, 34.63%, 221,570/mm^3, respectively and the group more 14 mg/dl and 42% were 8.90%, 9.5% respectively and the group less than 100(X 10^3/mm^3) was 5.83%. 16. The mean level of albumin was 3.0gm/dl and the group less than 2.7 was 33.74%. 17. The mean level of fibrinogen was 305.20mg/dl, and the group less than 300 was 45.40%. 18. 6.44% of the patients were in group more than 40 ug/ml of FDP. 19. 62.27% of patients were in the degree of proteinuria ++ to ++++ on admission.

      • KCI등재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에서 단백뇨와 혈청 알부민치 관련성 및 임상적 의의

        박만철,이용우,이경희,김기환,김형우,류문근,고은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저자들은 1990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한림의료원 한강성심병원에 내원하여 임신시 고혈압질환으로 진단되어 분만한 총 326명 중 단백뇨와 혈청 알부민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288명과 임신 주수 및 연령이 비슷하고 혈압이 정상인 산모 200명을 대상으로 임상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군과 정상 임산부 간의 혈청 알부민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p< 0.05). 2.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의 심각성과 단백뇨 정도 비교시 2(+) 이상의 단백뇨를 나타내는 비율이 경증 자간전증과 중증 자간전증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중증 자간전증과 자간증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의 심각 정도와 혈청 알부민치 비교시 정상 임산부와 경증 자간전증군 간의 혈청 알부민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증 자간전증군과 자간증군 사이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경증 자간전증군과 중증 자간전증군, 경증 자간전증군과 자간증군 사이에는 혈청 알부민치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에서 단백뇨의 정도에 따른 혈청 알부민치 비교시(±)와 1(+) 간의 혈청 알부민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1(+)와 2(+) 사이에서, 2 (+) 이상군 간의 혈청 알부민치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 이외의 서로 다른 단백뇨군 간의 혈청 알부민 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으로 볼 때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 중 자간전증 에서는 단백뇨의 정도가 질환의 심각성을 반영하지만 자간증에서는 질환의 심각 정도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자간증에서는 오히려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단백뇨보다 평균 혈청 알부민치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 다. 자간전증에서는 혈청 알부민치 감소가 대부분 소변으로의 알부민 소실로 여겨지나 자간증에서는 단백뇨뿐 만 아니라 다른 병태 생리 기전이 혈청 알부민치 감소를 유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임신시 고혈압증 질환의 심각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단백뇨뿐만 아니라 혈청 알부민치도 고려해 보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고 향후 저알부민 혈증을 일으키는 다른 병태 생리 기전의 연구가 자간증의 예견 및 처치에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Maternal urine protein and serum albumin levels were studied in 288 cases of PIH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who were admitted to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for the period of 5 years from January 1, 1990 to December 31, 1994. Serum albumin levels were decreased in PIH, compared with normal pregnancy. Urine protein and serum albumin levels were correlated with severity of preeclampsia but not with eclampsia. Urine protein levels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albumin in PIH.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gree of proteinuria was highest in severe preeclampsia and the level of serum albumin was lowest in eclampsia.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not only the proteinuria but also the serum albumin level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dicting the severity of PIH. In addition, hypoalbuminemia might be developed mainly due to urinary albumin loss in preeclampsia, but other pathophysiological factors seems to be involved in pathogenesis of proteinuria in eclamp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