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기 전후 여성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권해,이해혁,문원실,김상엽,이석민,이명환,김진수,구도형,이효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8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폐경 연령은 만 48.3±4.1세였다. 2. 갱년기 증상 빈도는 Ⅰ군에서는 열성 홍조, 요통, 관절통 순, Ⅱ군에서는 요통, 관절통, 열성 홍조, 빈뇨 순, Ⅲ군에서는 요통, 빈뇨, 관절통, 열성 홍조 순이었으며, Ⅳ군에서는 요통, 관절통, 빈뇨, 불면증, 열성 홍조 순으 로 나타났다. 연령에 관계없이 전체 환자의 증상 빈도 순으로 보면 요통, 관절통, 열성 홍조, 빈뇨 등의 순서로 증 상이 나타났다. 3. 골밀도 측정의 결과는 요추 전후, 요추 측면, 대퇴 경부, 대퇴 Ward`s 삼각의 골밀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4. 골대사의 생화학적 지표는 혈청 오스테오칼신치와 요중 디옥시피리디놀린 배설량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일관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혈청 총 알칼라인포스파타제치는 연령이 증가함 에 따라 오히려 계속 증가되어, 폐경이 경과된 후에도 여 전히 골교체율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5. 혈청 지질의 변화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지 만, 혈청 총콜레스테롤치,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치와 중성지방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며,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6. 혈청 총 칼슘치와 혈청 요산치는 연령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당히 많은 폐경기 전후 여성이 폐경 기 증상으로 고통받고 골밀도가 감소하므로 호르몬 대 치요법을 적절한 시기에 시작한다면 갱년기의 불편한 증상을 줄이게 되고, 골밀도 및 혈청 지질 변화를 호전시 켜 폐경기 이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We hav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perimenopausal women in Korea, by the age of menopause, climacteric symptoms,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bone markers and lipid profiles. Methods: There is 233 perimenopausal women who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Ⅰ, Group Ⅱ, Group Ⅲ, Group Ⅳ) by age. The age distributions of Group Ⅰare below 50 years old. Those of Group Ⅱ, Ⅲ, Ⅳ are 51∼55 years old, 56∼60 years old and above 61 years old. We asked them for their climacteric symptoms and we checked them for the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bone markers and lipid profiles. Results : 1) The mean age of menopause is 48.3±4.1 years old. 2) The common symptoms of the Korean perimenopausal women were backache, arthralgia, hot flashing and urinary frequency in order of frequency. 3) The bone mineral densities of climacteric wom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increasing age. 4)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mong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as significantly increasing state by increasing age. 5)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were increasing tendency, but HDL-cholesterol was decreasing tendency by increasing age. 6) There are no variation by increasing age in the serum total calcium and serum uric acid. Conclusions: Increasing age had a great effect on bone mineral loss and lipid profiles in the climacteric women.

      • KCI등재

        임신중에 발생한 급성임파성 백혈병 1예

        이의순(WS Lee),이명우(MW Lee),이용희(Y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6 No.12

        Pregnancy associated with leukemia is rare. We are reporting a case of acute lymphocytic leukemia coexistant with pregnancy with literature reivew.

      • KCI등재

        사람 태반에서 GnRH 와 GnRH mRNA의 동정

        이종학,김종화,백원영,신반철,백상호,이순애,김명옥,이봉희,최완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2

        사람 태반에서 GnRH가 존재하는가 또한 자체합성되는가를 형태학적으로 확인하고 나아가서 GnRH 또는 GnRH mRNA가 태반내의 어느 부위에 주로 위치하며 이들의 분포가 임신시기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임신중의 각 시기별 태반조직을 실험대상으로 GnRH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과 GnRH mRNA에 대한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소견을 얻었다. 1. 사람 태반 조직내의 cytotrophoblast, syncytiotrophoblast, villous stroma 세포에서 GnRH peptide와 GnRH mRNA가 동정되었다. 2. GnRH peptide와 GnRH mRNA의 양성반응은 임신 전기간에 걸쳐 cytotrophoblast와 syncytiotro phoblast에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villous stroma에서는 임신이 진행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소견으로 볼때 사람의 태반내에 국소적으로 GnRH 또는 GnRH 유사물질이 생성되어 존재하며 이들은 임신의 유지에 필요한 호르몬의 합성 및 분비에 조절인자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부분비(paracrine) 또는 자가분비(autocrine)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Localization of the GnRH and its mRNA was performed in the human placentas by immunohis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s. Human placentas in first, second, and third trimester of normal pregnancy were obtained. These placentas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embedded in OCT compund, and sectioned by cryostat. For immunohistochemical study, 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ABC) method and immunofluorescence method were employed and for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digoxigenin-dCTP labeled cDNA and ^35S labeled RNA probes were used and followed by autoradiography. GnRH and its mRNA were localized in the cytotrophoblast, syncytiotrophoblast, and villous stromal cells of the human placental villi. The distribution and intensity in GnRH immunohistochemistry were showed to be similar to those in GnRH mRNA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GnRH immunoreactivity and its mRNA signals were identified nearly constantly in both the cytotrophoblast and syncytiotrophoblast cells throughout gestation. However, those in the villous stromal cells were shown to be gradually increased with placental development, although not in the cells of early placent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cal GnRH or GnRH-like substance may be synthesized in the human placental villi and may, thus, represent a local paracrine or autocrine role in endocrine control mechanism within the placenta.

      • KCI등재

        난관복원수술 후 임신율과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1008 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위현,윤태기,차선희,성혜리,이우식,박원식,이정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난관복원수술 후에 임신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들을 살펴보고자 1989년 1월부터 1994년 4월까지 5년 3개월간 미세난관복원수술을 시행받은 1008예를 검토하여, 그 중 1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764예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관복원술을 받게 된 이유로서는 아이를 더 가지려는 경우(44.5%), 자녀의 잃음(36.8%), 재혼(18.7 %) 등이 주 원인이었다. 2.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34.1세였으며, 그들 중 복강경 전기소작으로 불임시술을 받았던 경우가 51.4% 였다. 3. 난관문합시술의 가장 흔한 부위는 협부-팽대부 (66.8%)였으며, 다음으로 협부-협부, 자궁각-팽대부의 순 이었다. 4. 복원수술 후의 잔여 난관의 길이는 71.5%에서 4.1cm 이상을 보였다. 5. 복원수술 후의 임신율은 75.0%를 보였고, 그 임신의 결과 만삭분만이 80.5%, 분만안된 경우가 11.2%, 조산 0.3%, 자궁내 태아 사망 0.3%, 자연유산 4.9%, 그리고 자궁외임신이 2.9% 였다. 6. 기왕의 불임수술 방법과 난관문합시술의 위치 그리고 술후의 잔여 난관의 길이에 따른 임신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7. 수술 후 연령별 임신율은 40세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01). 8. 수술 후 임신까지의 평균 기간은 4.8개월이었으며, 4 cm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난관의 길이에 따른 임신율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연령이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gnancy outcomes of microsurgical tubal reanastomosis. Study design: During 64 months from Jan. 1989 to Apr. 1994, 1008 cases of microsurgical tubal reversal were performed and 764 cases of them were followed up and analysed retrospectively for more than 1 year postoperatively. Results: The overall pregnancy rate was 75.0%, ectopic pregnancy was 2.7%(not involved in overall pregnancy rate) and spontaneous abortion was 4.9%.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gnancy rat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vious sterilization, the site of tubal reanastomosis and postoperative tubal length. The tubal length did not influence the mean interval from operation to pregnancy and pregnancy rate. But the pregnancy rate de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age of over fourty. Conclusions: The age was the only factor influencing the pregnancy outcomes of microsurgical reanastomosis of tubal sterilization.

      • KCI등재

        만삭임신부의 유도분만에서 Misoprostol 경구투여와 Dinoprostone 경구투여의 비교

        이우영,이병익,임문환,김우성,원영석,이정례,방금화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1997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인하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유도분만을 목적으로 내원한 산모 120명을 대상으로 misoprostol 경구투여 및 dinoprostone 경구투여를 통해 그 효능과 안전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경구 misoprostol 사용군 60명과 경구 dinoprostone 60 명은 무작위로 선별되었으며, 양 군간의 연령, 분만력, 임신주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도분만시작전 Bishop 점수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경구복용 후 질식 분만까지의 시간은 mi soprostol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p<0.05). 유도분만중 oxytocin 정맥주입이 필요했던 경우는 miso prostol군에서 빈도가 높았고 12시간내 분만의 빈도는 misooprostol 경구투여군이 높았으며(p<0.05), 12시간에 서 24시간 사이의 분만의 빈도는 dinoprostone군에서 높았다(p<0.05). 양 군간에 태아곤란증, 빈맥 수축 및 과도긴장, 과자극 증후군의 빈도, 자궁수축억제제의 사용 빈도, 분만실패 빈도와 분만 방법을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산모의 합병증도 양 군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만삭 임신의 유도 분만에 있어서 경구 misoprostol이 dinoprostone 경구투여보다 더 빨리 분만이 이루어졌고, 태아와 산모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었으며, 경구 misoprostol 또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유도분만을 위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앞으로 misoprostol 경구 투여의 적절한 용량과 안전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oral misoprostol with oral dinoprostone for induction of labor at term pregnancy. One hundred twenty patients at term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200μg of misoprostol orally or 0.5 mg dinoprostone 1 tablets orally every 1 hour for a maximum of six tablets. Labor was induced with intravenous oxytocin infusion 8 hours after the onset of oral medication if the patients did not go into labor. We compared the frequency of oxytocin augmentation, oral administration-to-delivery interval, vaginal delivery within 12 hours & 24 hours, intrapartum complications, induction failure, mode of delivery, neonatal outcomes, and maternal complications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a less frequency of oxytocin augmentation in the misoprostol group than in the dinoproston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terval from oral administration to vaginal delivery was shorter in the misoprostol group (543.6 276.7 minutes) than in the dinoprostone group (864.4 272)(p<0.05). The frequency of vaginal delivery within 12 hours was higher in the misoprostol group (78.3%) than in the dinoprostone group (20.0%)(p<0.05) and the frequency of vaginal delivery within 12 hours to 24 hours was lower in the misoprostol group (6.7%) than in the dinoprostone group (53.3%)(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rapartum complications, the frequency of induction failure, mode of delivery, neonatal outcomes, maternal complications. Orally administered misoprostol is an effective than dinoprostone and safe agent for induction of labor at term pregnancy,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lineate an optimal dosing regimen for oral misoprostol.

      • KCI등재

        완전 고환성 여성화증후군 1 례

        이종학,임화석,홍순도,송재경,이무원,이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5

        저자들은 19세된 외형상 여성으로서 원발성무월경을 주소로 입원한 완전 고환성 여성화증후 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mplete testicular feminization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presence of testis in phenotypic female with good breast development and complete female external genitalia and absence of female internal reproductive organs. In most of patient, sexual hairs were completely absent. We presented a case of testicular feminization syndrome with normal development of breast and female external genitalia, but with blindly ended vagina.

      • KCI등재

        자궁근종에서 발생한 자궁평활근 육종 1예

        황우석(WS Hwang),김덕남(DN Kim),이건용(KY Lee),이명우(MW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10

        Sarcomatous changes originated from uterine myoma is rare disease. A case of leiomyosarcoma found postoperatively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concer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