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천성기형에 대한 임상적 고찰

        강재성,이규완,황인구,이한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6

        1980년부터 1988년까지 9년동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부속 혜화병원에서 분만한 9,095명중 187례의 선천성기형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출산아중 선천성기형의 발생빈도는 2.07%였다. 2. 산모의 연령별 기형 발생분포는 41셰이상에서 5.88%, 20세이하에서 4.23%였으며, 21~25세에서 1.55%로 가장 낮았고, 21세이상에서는 연령에 따라 기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3. 분만횟수별 기형 발생빈도는 4회 경산부에서 5.17%로 가장 높았으며, 분만경험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분만횟수의 증가에 따라 기형의 발생빈도도 증가하였다. 4. 남녀별 기형아 발생빈도 남아 2.12%, 여아 1.99%로 남아에서 높았다. 5. 체중별 기형 발생빈도는 저체중아 4.01%, 성숙아 1.89%로 저 체중아에서 발생빈도를 보였다. 6. 사산아에서 기형아의 발생빈도는 13.74%로 출생아 1.71%에 비해 약 8배의 빈도를 보였다. 7. 기형아의 분만시 선진부는 2500g이상에서 비정상위가 5.03%로 정상아 3.72%보아 발생빈도가 약간 높았으나 2500g미만에서는 비정상위가 28.57%로 정상아 14.02%에 비해 약 2배가 높았다. 8. 기관별 발생빈도는 근 골격제 24.60%로 가장 높았고, 소화기계 15.51%, 순환호흡기계 14.97%, 중추신경계 11.76%, 다발성기형 11.23%, 비뇨생식기계 9.09%, 피부계 6.95%, 염색체이상 5.89%순으로 관찰되었다. 9. 기관별 기형아의 사망율은 33.15%(62/187)이고, 이중 중추신경계가 94.45%로 가장 높았고, 다발성기형 57.14%, 염색체이상 45.45%, 순환호흡기계 32.14%, 비뇨생식기계 23.53%, 근 골격계 8.96%, 순이었으며, 피부계기형아의 사망이 없었다. 10. 다발성기형중 가장 많이 동반된 기형은 근 골격계로 54.76%였으며, 동반된 기형이 2가지였던 경우가 29.56%로 가장 많았고, 여아가 21례중 13례로 더 많았다. This report was based on the 187 cases of the congenital anomalies among 9,095 deliveries after 20 weeks gestation from Jan.1, 1980 to Dec.31, 1988 at Hae Wha Hospital.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incidence of the congenital anomaly were 187 cases (2.07 %) among 9,095 deliveries. 2. The incidence of the congenital anomaly of over 41 year old groups was 5.86 % and of under 20 years old group was 4.23 % and 21 ~ 25 years old group was lowest (1.55 %). 3. The incidence of the congenital anomaly according to parity was the highest in the para 4 group and increased as the parity increased except nullipara (2.33 %). 4. The frequency of the congenital anomaly in male (2.12 %)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1.99 %). 5. The incidence of congenitally malformed babies in prematurity (4.05 %) was higher than in matured babies (1.89 %). 6. The incidence of the congenital anomaly in the stillbirth was 13.74 %, which was about 8 times higher than that of live birth (1.71 %). 7. The incidence of the types of the congenital anomaly were 24.60 %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15.51 % in digestive system, 14.97 % in cardiopulmonary system, 11.76 % in CNS, 11.23 % in multiple anomaly, 9.09 % in urogenital system, 6.95 % in skin, 5.89 % in chromosomal anomaly. 8. The incidence of the abnormal presentation in the congenital anomaly was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newborns. 9. The incidence of the perinatal death of the congenital anomaly were the highest in the CNS anomaly 94.45 %, the next multiple anomaly 57.14 %, chromosomal anomaly 45.45 %, cardiopulmonary anomaly 32.14 %, digestive anomaly 24.14 %, urogenital anomaly 23.53 %, musculoskeletal anomaly 8.69 %, but none in skin anomaly. 10 .The multiple anomalies were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54.76 %).

      • KCI등재

        Mayer-Rokitansky-Kuster-Hauser증후군 1 예의 경험

        강재성,주인명,김수자,이강우,김선자,고영균,이운희,유운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저자들은 본 병원 산부인과에서 선천성 질결손증 1례에 대하여 피부절편을 이용한 McIndoe 수술방법과 개복수술후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of congenital absence of the vagina is known as Mayer-Rokitansky-Kuster-Hauser Syndrom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the vagina and uterus, the presence of apparently normal tubes and ovaries, feminine appearance, normal female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a normal 46,XX karyotypes, and a feminine psychosexual orientation. Absence of the vagina results from an embryological arrest in the developmen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ullerian system. Congenital absence of the vagina, first described in 1572 by Realdus Columbus, is a rare anomaly. It is encountered about once in every 4000 to 5000 gynecologic patients. We report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McIndoe procedure and laparotomy in one case.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환자의 치료에서 CP (cyclophosphamide, cisplatin) 와 CAP (cyclophosphamide , doxorubicin , cisplatin) 복합항암요법의 효용성에 관한 비교 연구

        강재성,이규완,오민정,이용호,김종오,신진우,박용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0

        1990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6년간 상피성 난소암 Ⅰc기 이상으로 진단된 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차 수술 후 25명의 CP군과 22명의 CAP군으로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CP군 18명과 CAP군 10명을 2차 추시 개복술 후 후향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P군에서는 완전 관해 6예(24.0%)와 부분 관해 10 예(40.0%)로 관해율 64%를 보였고, CAP군에서는 완전 관해 9예(41.0%)와 부분 관해 9예(41.0%)로 82.0%의 관 해율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5). 2. 18예의 CP군과 10예의 CAP군의 2차 추시 개복술 결과 CP군에서 12예로 66.7%, CAP군에서 6예로 60%의 양성을 나타냈으나 두 군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 고 잔존 종양의 크기도 두 군간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잔존 종양의 크기가 1∼5 cm인 group에서 CP군이 p=0.04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 내나 그 수가 적어 CP군의 우수성이 의문시 되었다. 3. 혈액학적 독성은 백혈구 감소증이 CP군에서 10예 로 40.0%가 발생했고 CAP군에서는 14예로 63.6%가 발생하였다(p=0.5042). 혈소판 감소증은 CP군 7예로 28.0%, CAP군 8예로 36.3%에서 나타났으며(p>0.5) CAP군에서 혈소판 치가 25,000/mm3 미만인 경우가 1예 있었다. 혈색 소 치가 9.5 g/dl 미만이 CP군에서 7예로 28.0%, CAP군에 서 14예로 63.7%(p=0.2103)로 CAP군에서 혈액학적인 독성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두 군간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4. 신장에 대한 독성은 CP군에서 4예로 16%, CAP군 에서 5예로 22.7%가 발생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 었다(p>0.5). 그러나 CAP군 1예에서 신장에 대한 독성으로 인해 혈액 투석이 시행되었다. 5. 신경 독성에 의한 지각이상이 CP군에서 8예로 32% 가 있었으나 모두 경증 내지는 중등도였으며 CAP군에서는 11예로 50%에서 지각이상이 발생하였고 그중 3예 (13.6%)에서는 그 정도가 심하였다(p=0.5866). CAP군에서 1예의 울혈성 심부전이 발생하였으나 CP군에서는 심장 독성을 보인 예가 없었다. 6. 구토증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나타났는데 이중 항 구토제(ondansetron)에도 잘 반응하지 않는 심한 구토증세를 보인 경우가 각 군에서 1예씩 있었다(p=0.5268). 탈 모증은 CP군 18예로 72%, CAP군 15예로 62.8%에서 나타났고(p>0.5) 구내염 및 발열이 CP군에서 각 10예 (40.0%), CAP군에서 11예(50.0%)와 6예(27.3%)에서 발생 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5). 7. CP군과 CAP군에서의 2년간 생존률은 p=0.1943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CP와 CAP 복합 항 암화학요법시 두 군간에서는 생존율, 임상적 관해율과 혈액학적 독성 및 기타 부작용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으나 CAP 복합 항암화학요법군에서 doxorubicin의 심독성을 감안할 때 CP 복합 항암화학요법이 안전한 치료 방법 이라고 사료된다. Systemic chemotherapy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metastatic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For many years, oral single-agent alkylating therapy was used, but the introduction of cisplatin in the latter half of the 1970s changed the therapeutic approach for most patients, and cisplatin-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has been the most frequently used treatment regimen in the world for the past decade. The CAP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cisplatin) regimen has been extensively used for advanced epithelial ovarian cancer. The role of additional agents, in particular doxorubicin, when used in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cisplatin, has been investigated in several large, well controlled clinical trials. No stu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We studied retrospectively, forty seve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who treated with cisplatin and cyclophosphamide (CP) versus cisplatin, cyclophosphamide, and doxorubicin (CAP) after cytoreductive surgery. The remission rates and two years survival rat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except cardiotoxicity of doxorubicin.

      • SCOPUSKCI등재

        혈액투석 환자의 산-염기 불평형에 관한 연구

        강종명,박한철,안정경,이창화,강경원,김상목,박찬현 대한신장학회 200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19 No.2

        To study the effect of metabolic acidosis, which is generally present o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blood gas analysis of A-V fistula blood, chemical chemistry data, nutritional parameters, and illness outcome were correlated on 146 patients. The results : 1) 28 paired samples of A-V fistula blood pH(7.318 ±0.052) were different from femoral artery blood pH(7.332±0.048), but the two were closely correlated (p=0.000). The correlation on PO₂and PCO₂tests were also strong. 2) The average of A-V fistula blood gas studies were pH 7.282±0.061. 3) The values of A-V fistula blood pH were most closely related with serum CO₂content, followed by PCO₂BUN, PO₂and phosphate and not with nutri-tional status, frequencies of hospital admission and Karnofsky score. 4) During the 18 months observation, 8 of 146 patients died of medical causes. The expired cases were low in serum albumin, old in age, long in dialysis interval. The mortality rate was not related with blood gas parameters. 5) The nutritional parameterslthough loose, worse in the group of serum CC4 content more than 20mEq/L. 6) After sodium bicarbonate 1.5-3.0gm/day by mouth, there were insignificant rise in pH and in nutritional parameters. The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however,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clusion, nutritionally better patients were scattered in the serum CO₂content below 20mEq/L, and therefore, near normal acid-base stuatus may suggest poor nutritional status. However, in acidotic patients, treatment with alkali may improve nutritional state further.

      • KCI등재

        Retinoblastoma 종양억제 유전자의 유방암 계대세포에서 Steroid 수용체 활성억제에 관한 연구

        강재성,이규완,구병삼,이진용,김선행,조성진,송준,이경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0

        Cancer results from mutations that disrupt the harmonious checks and balances that regulate normal cellular growth and development. These mutations arise in two classes of interacting genes:those that facilitate cell growth and tumor formation(oncogenes), in which mutation or overexpression is oncogenic, and those that inhibit these processes(tumor supp-ressor genes) whose loss is oncogenic. The human retinoblastoma(Rb) protein, a tumor suppressor, acts as transcription factor or/and cell cycle regulator. Heterogenous expression of the Rb gene product contributes to the genesis of a diverse group of human neoplasma such as breast, prostate, small cell lu- ng, bladder carcinoma and leukemia. Its structural aberrations were observed in 25% of br- east tumor cell lines studied and 7% of the primary tumors, such as homozygous internal deletions and total deletion.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Rb protein is involved in bre- ast cancer development. Here we report that Rb protein represses steroid receptor function and its involvement of cell cycle process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cells. 1. The overexpression of Rb protein repressed the steroid receptor function in breast cancer cell line, MCF 7. 2. When we introduced the mutant type Rb expression vector(deletion of exon 22), such repression was not observed. 3. By introducing E2F expression vector, the action of Rb protein was repressed. 4. Rb protein modulated the binding patterns of proteins to Kil-GRE site. 5.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that Rb protein acts on G0/G1 stage of cell cycle process. These findings provide the molecular basis of breast cancer therapy using Rb protei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저용량 및 고용량 옥시토신 투여가 진통의 경과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구화,김현호,황태영,차문석,곽재환,강주연,황소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8

        현재 산과 영역에서 분만진통의 유도와 촉진을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옥시토신을 생리적 분비량과 유사한 2.75 mU/min의 농도로 지속적으로 투여시 분만진통의 경과와 태아에 어떠한 이점이 있는지 알기 위하여 1993년 4월부터 7월까지 동아대학교 병원 분만실로 입원한 제태기간 38주에서 42주의 미산부 중 임신으로 인한 합병증, 아두골반 불균형, 자궁내 태아발육지연, 태아심음감시장치상 태아곤란증 등의 증거가 없는 미산부 67명을 대상으로 하여 생리적 용량의 저용량 옥시토신 투여군과 분만진통의 능동적 관리를 위한 고용량 옥시토신 투여군으로 나누어 분만진통의 경과와 태아에 대한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산모의 연령이나 신생아의 체중에 있어서 양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분만형태에 있어 양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양 군간의 투여된 옥시토신 총량의 평균은 저용량 옥시토신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나(p<0.05) 분만 진통 경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충분한 진통촉진, 과도한 자궁수축, 태아 심박동수 감소, 자궁파열, 수분중독에 대한 양 군간의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 5. 태변착색, 1분 및 5분의 Apgar 점수, 제대 동맥혈의 산도, 산도가 7.2 이하였던 경우, 염기부족이 7 mEq/L 이 상인 경우, 신생아에서의 고빌리루빈혈증의 빈도, 출생 후 입원하였던 경우에 대한 양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 었으나 제대 동맥혈의 요산의 농도는 저용량 옥시토신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는 생리적 용량의 옥시토신 투여가 적은 용량임에도 불구하고 분만진통의 능동적 관리를 위한 고용량 옥시토신 투여 만큼 효과적으로 분만진통을 촉진할 수 있으며 태아에서 일반적인 지표로서 나타나지 않는 급성 저산소증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 사하고 있다. Oxytocin is frequently used in obstetrics for induction and augmentation of labor. Injudicious use of oxytocin can cause hyperstimulation and subsequent fetal hypoxia. In this study, low and high dose protocols of oxytocin were used to augment nonprogressive labor in normal nulliparous women. In the low dose oxytocin group, the rate of oxytocin infusion was maintained at the physiologic dose (2.75 mU/min) and in the high dose oxytocin group, was started at 4 mU/min and was increased by 4 mU/min to a maximum 40 mU/m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low physiologic dose and high dose oxytocin augmentation on labor and perinatal outcomes in nulliparous wo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maternal age and birth weight were comparable. 2.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mode of delivery. 3.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duration of the active phase of the first stage of labor and of the second stage of labor but marked reduction in the total amount of oxytocin in the low dose oxytocin group (p< 0.05). 4.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incidence of adequate labor, hyperstimulation, and fetal heart rate deceleration. 5.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occurrence of fetal asphyxia as measured by the incidence of meconium staining, umbilical arterial pH, umbilical arterial base excess, and Apgar score below 7 at 5 minutes. But the uric acid concentration in umbilical blood was higher in the high dose oxytocin group (p<0.05).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use of the low physiologic dose oxytocin was able to augment nonprogressive labor effectively, reduce the total amount of oxytocin and possibility of acute hypoxemia that was not documented by standard markers of perinatal hypoxia at delivery.

      • KCI등재

        거대 난소낭종 1 례

        이규완,김해중,이광호,임옥룡,강준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본례는 20세 미혼녀의 좌측난소에서 발생하여 빠른 발육을 보인 거대낭종으로서 조직학적으 로는 다방성 점액성 난소 낭종이며, 그 무게는 15kg에 달하였으며 수술적 적출치료를 받고 양호한 상태로 퇴원하였던 증례로 저자들은 간단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 report a huge ovarian cyst, which observed in a nulligravida 20-years old woman. This tumor measured 34.5 X 32 X 14.5cm in size, and it weighed 15kg and the volume of cystic content was 11L. Pathologic diagnosis was mucinous cystadenoma, left ovary. And we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Prostaglandin F2a의 분만유도 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이규완(KW Lee),강대웅(DW Kang),송시종(SJ Song),조동욱(DW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3

        저자들은 1981년 1월부터 9월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만삭 임신 산모 중 유도분만의 적응증이 되었던 총 35예를 대상으로 PGF2a를 정맥내 지속점적 주입하여 유도분만을 실시한 예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유도분만을 실시한 예는 초산부가 21예 경산부가 14예로 총 35예로서 그 중 31예가 성공함으로서 89%였으며 초산부는 86% 경산부는 92%였다. 2. 유도분만을 시작하여 만출 까지의 평균 소요시간은 초산부가 8시간 53분 경산부가 5시간 20분 이었으며 유도분만을 시작하여 규칙적 진통유발까지의 평균소요시간은 초산부 1시간 56분 경산부가 1시간 34분으로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3. Pelvic score가 높은 용이군에서는 분만유도가 실패한 예는 단지 1예였고 pelvic score가 9이하로 낮은 곤란군에서는 유도분만 실패율은 3예로 14.5%를 차지하였다. 4. PGF2 주입 중 uterine hypertonicity, fetal distress 및 산모의 혈압이나 맥박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PG주입 후 발생한 부작용은 모두 7예로서 그 빈도는 20%였으며 오심과 구토가 가장 많아 4례였고 그 정도는 아주 경미하여 특별한 치료없이 분만을 진행시킬 수 있었으며 그 외에 안면홍조가 2예 산후 자궁 이완성 출혈이 1례등 이었다. 5. 유도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의 apgar score는 출산 후 첫 1분에서 8이상이 28예로 80.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prostaglandin E and F2a are effective in uterine contraction in both pregnant and non-pregnant uterus. Karim reported the first successful trials of induction of labor with prostaglandin F2a. Since then a large number of publication on induction of labor with prostaglandins was reported in the literatures. This is a preliminary report to determine the optimal dosage and effecacy of prostalandin F2a in induction of labor. Induction of labor with Prostaglandin F2a was carried out in 35 pregnant women who were in 37 to 43 weeks of gestation. The pelvic score for inductivity was determin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easy (9-13) and difficulty (0-8) in pelvic scores. The prostaglandin F2a was administered by continous intravenous drip infusion in a stepwise fashion (from 5 to 40 mg/min in dos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ccess rate in induction with PG F2a were 86% in primigravida (18 of 21 cases) and 92%) in multigravida (13 of 14 cases). 2. All but one patient in the easy category were successfuly induced and deliveried. 3. Mean induction-delivery time in primigravida was 8 hours 53 minutes and that in multigravida was 5 hours 20 minutes. 4. Neither uterine hypertonisity nor fetal bradycardia was observed. 5. In 7 cases among 35 cases, we observed mild and transient side effects in terms of nausea, vomiting (4 cases), facial flushing (2 cases) and atonic bleeding (1 case).

      • KCI등재

        절박유산 환자에서 hCG의 외부투여가 내인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값에 미치는 영향

        강병철(BC Kang),박병호(BH Park),김기원(KW Kim),이진우(JW Lee),김창이(CY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1

        1. 임신 제 6-10주의 고위험 절박유산 20예중 정상임신으로 이행한 12예에 있어서의 혈정 estradiol-17B의 hCG투여전 기초수준은 1143.3±455.67 pg/ml이었으며 최초의 hCG 5000 I.U 투여후 1시간에 1996.2±724.01 pg/ml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초수준의 187.1±61.84%에 해 당하였다. 2. 이들 12예에 있어서 최초의 hCG투여후 제 5 및 제10일의 혈중 estradiol-17B는 각각 1440.3±571.22 pg/ml 및 1793.0±512.6pg/ml로 증가하여 각각 기초수준의 132.9±41.22% 및 172.9±57.63%에 해당하였다. 3. 이들 12예에 있어서 혈중 progesterone의 hCG투여전 기초수준은 38.9+-20.58 ng/ml이었으 며 최초의 hCG투여후 1, 2 및 3시간에는 유의한 증가를 볼 수 없었다. 4. 이들 12예에 있어서 최초의 hCG투여후 제 5일 및 제 10일의 혈중 progesterone은 각각 49.0±17.31 ng/ml 및 61.6±20.31 ng/ml로 증가하여 각각 기초수준의 142.5±44.63% 및 182.5±68.08%에 해당하였다. 5. 임신 제 11-15 및 16-20주에 잇어서는 임신주수가 증가하고 투여전 기초수준이 높아질수 록 최초의 hCG투여후 1,2 및 3시간과 제 5, 제 10일의 혈정 estradiol-17B 및 progesterone 의 증가폭은 점점 감소하여 통계적 의의를 상실하였다. 이상의 관찰로 보아 절박유산환자에서 투여한 hCG에 대하여 estrogen은 민감한 반응을 즉 시 보이나 progesterone은 서서히 반응하여 이는 주로 초기 임신에서 더 현저하고 임신주수 가 증가할수록 미약한 반응을 나타냄을 측정할 수 있었다. 1. Serum estradiol-17B responsed immediatly to the administered hCG ; basal value of 1143±455.67 pg/ml increased to 1996.2±724.01 pg/ml corresponding to 187.1±61.84% of basal level 1 hour after first administraion of hCG in the group of 6-10 weeks gestation 2. The level of serum estradiol-17B on the 5 and 10 days after first administraion increased from the basal level to 1440.3±571.22 pg/ml and 1793.0+-512.6 pg/ml corresponding to 132.9±41.22% and 172.9±57.63% of basal value respectively. 3. Serum progesterone did not revealed such as early response 1 hour after administration of hCG as estradiol-17B and no significant increase was noted even 3 hours after the first administration of hCG. 4. The level of serum progesterone on the 5 and 10 days after the first administration of hCG increased from the basal value of 38.9+-20.58 , to 49.0±17.31ng/ml and 61.6±20.31 ng/ml corresponding to 142.5±44.63% and 182.5+-68.08% of basal value respectively. 5. Both early response at 1 hour and late response on 5 and 10 days after first administration of hCG become gradually neligabl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estational weeks, the groups of 11-15 and 16-19 weeks gestation and basal hormonal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