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RiC(Record in Context) 톺아보기 : 실무적·학술적 관점으로
강주연,이진성,윤선우,오효정 한국기록관리학회 2025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5 No.2
Since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ICA) announced RiC-CM v0.1 in 2016, nearly a decade has passed, during which related groups have expressed various opinions, and numerous academic studies have been conducted. H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RiC by deeply exploring its development process and the responses of relevant groups. To this end, the study reviews the development and the advanced process of RiC, analyzes the differences and improvements between each version, and explores the trends and perspectives among related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RiC-CM has been simplified and improved to better reflect the digital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RiC-O has been refined to achieve greater structural consistency with RiC-CM. Practitioners expressed caution about implementation, citing insufficient representation of digital records management and a lack of specific guidelines. Meanwhile, researchers, though acknowledging limitations in connecting with other standards, evaluated that RiC implementation is advantageou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al resource for researchers and relevant groups prepar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RiC in Korea. 올해는 2016년 ICA가 RiC-CM v0.1을 발표한 이래 약 10년이 되는 시점으로, 그간 관련자 및 관련 기관이 다채로운 의견을 제시하고 다양한 학술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이에본연구는지금까지의RiC개발및발전과정과관련자및기관의반응을깊이 톺아봄으로써 RiC의 도입과 적용 방향을 재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RiC의 개발과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각 버전 간 차이점 및 개선 사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외 학술단체, 실무 그룹, 국가기록원 등 관련 그룹의 동향과 입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RiC-CM은 모델의 지속적 간소화와 기록관리 환경 반영을 통해 사용성이 강화되었고, RiC-O는 RiC-CM과의 정합성을 확보하며 온톨로지의 정교화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실무 그룹은 전자기록관리 환경 반영과 구체적 지침 제공의 미흡함을 지적하며 도입에 신중한 입장을 보인 반면, 학술단체는 타 표준과의 연계에 한계점이 존재함에도 도입 시 이점이 크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가 국내 RiC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연구자와 기관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강주연,이진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between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mothers' play beliefs. For this study, 160 mothers and 160 children aged 4-5 years who were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in Area J were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orrelation and mediation using SPSS Statistic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playfulness and their mothers' play belief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mother's play-support beliefs and their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playfulnes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learning-support beliefs and her child's peer competence and playfulness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in the young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hildren's play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others' play-support belief and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we found that playfulness has a partial mediating role.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청소년상담1388’ 빅데이터 분석: 2011~2018 네이버 지식iN을 중심으로
강주연,이이든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e study aims to draw significant results of 'Youth Counseling 1388' as extracting and analyzing big data which contains the key words of 'Youth Counseling 1388' by utilizing NAVER Knowledge iN, one of the largest portal sites in South Korea, and to create baseline data for providing effective youth counseling services.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which was retrieved by the key words of 'Youth Counseling 1388' via NAVER Knowledge iN for 8 years, from January 1st, 2011, to December 31st, 2018. Pre-processing, such as pretreatment and word-category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llected 46,859 data, and the data was analyzed and visualized applying N-gram and semantic net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2011 to 2018, the number of search results for 'Youth Counseling 1388' revealed a tendency of increase. Second, the top words related to the search results of 'Youth Counseling 1388' mainly had a connection with the life radius of adolescents such as the associated words with school life, family, and work and the words expressing their psychological situation. Third, a total of 4 clusters were constructed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Youth Counseling 1388.' In order of group 1: key words associated with the schools and peer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group 2: key words related to schoolwork of adolescents; group 3: key words connected with changes in family environment of adolescents; and group 4: key words linked to work of adolescents; the group sizes were created. Overall, the big data analysis of 'Youth Counseling 1388' utilizing text mining was confirmed to identify the interest area of users who also utilize the public services through unstructured data, beyond the existing structured data. 본 연구는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지식iN을 활용해 ‘청소년상담1388’ 키워드가 포함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청소년상담1388’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효과적인 청소년 상담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만드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1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총 8년의 기간 동안 네이버 지식iN에서 ‘청소년상담1388’을 키워드로 검색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46,859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전처리와 품사분석 등 전처리과정을 실시하였고 N-gram과 의미연결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Python 3.6.5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는 TEXTOM, UCINET6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청소년상담1388’의 검색결과의 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상담1388’ 검색결과에 관한 상위 단어는 학교생활과 관련된 단어, 가정과 관련된 단어, 심리적 상황을 표현하는 단어, 근로와 관련된 단어 등 청소년의 생활반경에 관련된 것들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청소년상담1388’ 검색결과에 관한 의미연결망 분석에서는 총 4개의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그룹1: 청소년의 학교와 교우관계에 관련된 키워드, 그룹2: 청소년의 학업과 관련된 키워드, 그룹3: 청소년의 가족환경 변화와 관련된 키워드, 그룹4: 청소년의 근로와 관련된 키워드 순으로 크기가 형성되었다. 종합해보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청소년상담1388’ 빅데이터 분석은 기존의 정형적 데이터를 벗어나 비정형 데이터를 통해서도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이슈 영역을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평생학습활성화를 위한 학습자특성분석: 방송대프라임칼리지를 중심으로
강주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 정책과제 Vol.13 No.-
이 연구에서는 100세 시대 평생학습시대를 준비하면서 방송대에서 구축한 성인학습자 친화형 교육 시스템인 프라임칼리지의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교육 프로그램에 실제 등록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배경 요소 및 프라임칼리지 선택동기, 학습 경험 등 학습자 특성을 분석, 파악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또한, 프라임칼리지 학습자들의 교육만족도 및 요구를 파악하여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 과정 및 방법을 제공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프라임칼리지의 배경 분석이다. 이 장에서는 프라임칼리지의 설립 배경 및 주요 사업에 대한 설명과 프라임칼리지의 조직 구성 및 체계, 교육프로그램 운영 내용 및 방식을 요약하여 기술하였다. 둘째, 프라임칼리지 등록생의 규모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분석이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5월까지 프라임칼리지에 등록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프라임칼리지의 등록생들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등록생 규모 분석 결과, 2012년 9월 초기 설립당시에는 홍보 부족 등의 이유로 등록인원수가 적었으나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트랙별 등록생 수의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랙별 선호도는 성별과 연령대별로도 차이를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인생대학, 귀농귀촌, 창업, 사회적 경제 트랙의 경우에는 50대 남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전문자격, 외국어지도, 학습지원프로그램의 경우에는 40대 여성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각 연령대가 제2인생을 준비하는 경로와 방법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등록생 대상 설문지 문항 분석에 따른 기초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프라임칼리지 등록한 학습자들의 입학 경로 및 동기, 학습 경험 및 선호도, 프라임칼리지에 대한 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각 영역에 대한 성별, 연령별, 트랙별, 최종학력별 등의 변수를 중심으로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프라임칼리지의 학습자 특성 및 프로그램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프라임칼리지의주요 연령층인 40대와 50대의 학습동기가 지식 습득과 배움으로 나타났지만, 40대의 경우에는 자격증이나 면허증, 경력개발, 창업 등에 관심이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격증 관련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특히, 방송대 재학생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프라임칼리지를 통해 방송대를 병행하면서 프라임칼리지를 통해 자격증과 면허증 취득에 도움을 받고자하는 기대가 더 큰 것으로 보인다. 학습 경험 및 선호도 결과에서는 학습자들의 학습 시간이 적고, 시간이 활용이 규칙적이지 않는 패턴으로 나타나 온라인 기반 강의들을 주기적인 단위로 분산하여 탑재하는것 외에 가능한 시간에 가능한 만큼 볼 수 있도록 하는 탄력적인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프라임칼리지 만족도를 살펴보면, 교육과정 운영방식이나 프로그램 질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만족도가 가장 낮았던 영역은 ‘학습자들의 학습네트워크 형성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등록생들이 학습의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 등에 대한 지원 및 상담 그리고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학습 네트워크의 지원이 제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프라임칼리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을 다루었다. 우선, 학습자들의 학업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프라임칼리지의 고유한 교육과정 운영방식, 즉 ‘과목단위등록 및 수강’, ‘학점과목 및 비학점과목 동시운영’, ‘온라인-오프라인 결합방식’에 대해 그들의 기대만큼 만족하지 않을수록 수강중단을 고민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프라임칼리지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 지를 확인하기 위해 학업동기와 학습 경험 및 선호도의 변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라임칼리지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프라임칼리지 선택 목적 및 동기가 어떤 영향을 미쳤을 지를 확인한 결과 ‘지식습득 및 배움이 좋아서’라는 이유로 프라임칼리지 교육프로그램을 선택한 사람들의 프라임칼리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재취업 및 창업 준비’라는 보다 실제적인 목표를 가지고 입학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학습자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지원’, ‘수업에 대한 지원 및 상담’, ‘학사 일정 정보 획득’ 및 ‘직원의 안내’ 등에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입학 동기에 따라 요구사항과 기대 수준이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를 고려해 교육내용과 방식에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다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프라임칼리지 학습자를 위한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재등록율을 높이기 위한 입학자원 관리정책의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족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주연,이주연 한국생애학회 2023 생애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variables, family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car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29 mothers, raising school-age and adolescen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siding in Gwangju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bserved in life satisfaction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mother’s level of education, child’s age, economic statu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stodial helper. Second,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variables that best explained the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enting stress, followed by family support and economic status. In other words,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parenting stress, higher family support, and improved economic conditions. These findings provide the basis for implementing systematic and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an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car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hedding light on the relative impact of life satisfaction, family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ounseling.
퇴직연금 이해도와 만족도 분석 - DB형과 DC형 비교를 중심으로
강주연,차경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퇴직연금 가입유형(DB, DC형)과 각 가입유형별 가입자 특성에 따라 퇴직연금에 대한 이해도와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퇴직연금 이해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퇴직연금에 가입한 20대 이상 남녀 근로자 1,19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32%는 퇴직연금사업자(금융회사)를 모르고 있었고, 36%는 퇴직연금가입자교육을 받은적이 없다고 답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퇴직연금 이해도는 11점 만점에 3.38점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DB형 가입자의 경우, 연령, 교육수준이 높고, 대규모 사업장에 종사하며, 퇴직연금 가입기간이 길고, 개인형IRP에 추가 가입한 집단, 가입자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집단의 이해도 수준이 그렇지 않은 집단 보다 유의하게높았다. DC형 가입자의 이해도 수준은 퇴직연금 가입 특성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정보제공, 업무전문성, 가입자교육, 부가서비스로 나누어 조사한 퇴직연금 만족도는 5점 환산평균 2.81점으로 보통 이하의 수준이었다. 적립금을 근로자가 직접 운용하는 DC형의 경우, 운용능력과 대면서비스 만족도를 추가로 조사하였으나, 이 역시 2.84점의 낮은 수준이었다. 넷째, DB형 가입자들이 연령, 교육수준, 종사산업, 사업장소재지, 가입기간, 개인형IRP 추가가입 여부, 퇴직연금사업자 금융권역, 교육이수방법 등에서 만족도 차이를 나타낸것과 달리, DC형 가입자들은 종사산업, 개인형IRP 추가가입 여부, 금융권역에서만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퇴직연금 이해도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유통․서비스업 종사자인 경우, DC형 가입자이고, 퇴직연금 가입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 개인형 IRP에 추가가입한 경우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연금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전문기술서비스업 종사자, 개인형IRP 추가가입 집단, 퇴직연금이해도로 나타났다. 연령, 교육수준, 종사산업, 퇴직연금 가입유형, 가입기간, 개인형IRP 추가가입 여부는 퇴직연금 이해도 변수를 거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mployees’ knowledge and satisfaction of pension plans. It comparedthe pension knowledge and satisfaction by DB (Defined Benefit) and DC (Defined Contribution)retirement pension plan participants. And it analyz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ensionknowledge and satisfaction by OLS and the path analysis. Based on responses from 1,190 pension participan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About32% of respondents did not know their financial institution of the pension plan, 36% had nevereducated on pension plan. Respondents’ average score of pension knowledge was 3.83 in therange of 0-11. DB plan participants had lower score than that of DC plan participants. Thepension satisfaction was measured on 4 factors (information providing, profession, educationprogram, additional services), and respondents’ satisfaction level was averaged on 2.84 from 5point scale. DC plan participants were questioned by 2 additional satisfaction factors(fundmanagement, face-to-face services), and their average score was 2.81. The age, education level,and the period of pension particip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pension knowledge. Those who participated in DC plan, occupied in services industry, and had an IRP(individualretirement plan) had higher level of pension knowledge. And those who occupied in professions,had an IRP(individual retirement plan) had higher level of pension satisfaction. The pensionknowledge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pension satisfaction.
뇌질환 치료제 Tacrine 유도체의 합성 및 COX-2 저해효과 평가
강주연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Vol.7 No.-
Several novel derivatives of 9-amino-1,2,3,4-tetrahydroacridine that a drug currently in use for the treatment of the Alzheimer's disease have been synthesized and tested for their activities for selective COX-2 inhibition. A series of new derivatives of 9-amino-1,2,3,4-tetrahydroacridine has been prepared through the alkly substitution or the ring expansion. Several studies have indicated that COX-2 inhibitor is associated with delayed onset or slowed progress of Alzheimer's disease symptoms. And prostaglandin synthase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the deposition of beta- amyloid protein in neuritic plaques in brain inflammation. Therefore, designed COX-2 inhibitor was expected to retain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inhibition of prostaglandin production with reduction of side effect as the selective prostaglandin synthase inhibitor. New derivatives of 9-amino-1,2,3,4-tetrahydroacridine were screened with accumulation of prostaglandin by lipopolysaccharide in aspirin-treated murine macrophage cell to evaluate inhibitory effect of COX-2. Most of novel derivatives of 9-amino-1,2,3,4-tetrahydroacridine have showed significant COX-2 activities in vitro screening with 66.2±13.27 ~ 75.8±22.64% inhib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