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경희 ( Kang¸ Kyung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이 연구는 SSI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SSI 관련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전공 예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인성적 태도의 하위 영역으로 생태학적 세계관, 사회·도덕적 공감, 사회적 책임감에 대한 응답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SSI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인성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SSI 글쓰기 프로그램 적용 전후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SSI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예비 교사들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SSI 글쓰기프로그램을 교사교육과정에 도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SI writing program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 for SSI-related ‘character and values’ and ‘SSI teach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8 pre-service biology teachers at J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 and valu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In addition, the ecological worldview, social and moral empathy, and social responsi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SI writ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haracter and values of proe-service biology teacher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was any change in perception of SSI teaching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SI writing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perception of SSI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SI writ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s for ‘character and value’ and SSI teaching. Therefore, efforts to introduce the SSI writing program into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re needed to cultivate character and values, and to raise perception of SSI teaching.

      • KCI등재

        Development of Storytelling Program for Science Learning Utilizing Local Myths as Contents

        Kyunghee Kang 한국콘텐츠학회(IJOC)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0 No.3

        Existing science education that excludes narrative thinking imped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workbook content.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torytelling-learning program based on narrative thinking to elevate learners’ interest in science and expand their inven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Following an analysis of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eight types of storytelling materials that utilize local content were developed for grades 7?9. The learning program used quest storytelling and was designed such that learning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on, discussion, and experimentation were included in the process of solving each quest. Learners experienced an interest in storytelling learning resulting from participation in this storytelling-learning program. Moreover, learners demonstrated inven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stories.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torytelling materials, the students interacted with enthusiasm and generated ideas. The teachers indicated a positive feedback to the storytelling program as a new attempt to stimulate learners’ interests. In the future, with continuou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orytelling-science-learning programs that base science learning on narrative thinking are expected to be successful.

      • KCI등재후보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Motivation

        Kyunghee Lee(Kyunghee Lee),Chaemi Kang(Chaemi Kang) J-INSTITUTE 2024 Public Value Vol.9 No.-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explore the impacts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motivation in this process. Method: To this en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650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buk, Daegu, Gyeongnam, and Ulsan regions, and data from 565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self-leadership and career motivation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 Furthermore, there was a dual mediation effect, where the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of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both self-leadership and career motivation.

      • KCI등재

        수치심의 건설적 역할에 관한 고찰

        KANG KYUNGHEE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4 No.1

        수치심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논의가 팽배한 현상은 상대적으로 수치심의 도덕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약화시킨다. 수치심은 자신이 수치를 느끼는 감정소지자이면서 자신에 대한 가치평가를 반영하는 자의식적 감정인 동시에 타자의 시선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타율적인 감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중적 인지구조는 수치심의 도덕적 역할에 대한 논란의 원인이 된다. 이 글은 수치심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평가판단을 구성요소로 하는 감정이며, 건설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마사 누스바움의 수치심 분석을 도구로 이를 위한 방법을 탐구한다. 누스바움은 수치심을 원초적 수치심과 건설적 수치심으로 구분한다. 원초적 수치심은 완전성을 지향하는 욕구와 외접해 있으며 나르시시즘적 좌절에서 유래한다. 이런 이유로 완벽주의는 원초적 수치심을 강화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반면에 건설적 수치심은 자신들이 지닌 삶의 방식과 책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결과로 갖게 된다. 수치심이 건설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원초적 수치심이 우리에게 배경감정으로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완전성에 대한 욕구를 자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은 원초적 수치심을 지양하면서 수치심이 건설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토대로 자존감과 자기 인식의 확장을 제시함으로써 수치심의 도덕적 역할에 대한 환기를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Storytelling Program for Science Learning Utilizing Local Myths as Contents

        Kang, Kyunghe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0 No.3

        Existing science education that excludes narrative thinking imped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workbook content.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torytelling-learning program based on narrative thinking to elevate learners' interest in science and expand their inven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Following an analysis of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eight types of storytelling materials that utilize local content were developed for grades 7-9. The learning program used quest storytelling and was designed such that learning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on, discussion, and experimentation were included in the process of solving each quest. Learners experienced an interest in storytelling learning resulting from participation in this storytelling-learning program. Moreover, learners demonstrated inven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stories.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torytelling materials, the students interacted with enthusiasm and generated ideas. The teachers indicated a positive feedback to the storytelling program as a new attempt to stimulate learners' interests. In the future, with continuou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orytelling-science-learning programs that base science learning on narrative thinking are expected to be successful.

      • KCI등재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 기반 철학상담 기초 연구 - 누스바움 감정론을 중심으로 -

        KANG KYUNGHEE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1 No.-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guidance to improve one's life by observing and exploring the emotional experience. The disjunction between thought and emotion not only gives one a narrow understanding of one's actions, but also hinders one's journey to human flourishing. Emotional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offers us the opportunity to face what we value, to change our thoughts and actions, and consequently takes us a step closer to human flourishing. I selected the emotional theory of Nussbaum as the basi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hrough Self-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erience’ to deline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s a means of developing philosophical counseling. To do so, I first describe the outline of Stoic emotional theory and of Nussbaum's emotional theory, and then expo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ries in section two. Emotional theory of Nussbaum, largely based on that of Stoic’s, stems from the position of cognitivism. But Nussbaum argues that something emerging from the attachment to external things does not always imply that such emotion is unreasonable, and realization of the holistic life needs to embrace human's imperfection and not exclude emotional life. Section three depicts how emotional experience can act as the passage of self-comprehension referred to in the statement in section two. Emotion informs what is valuable to us; the intensity of the felt emotion depends on the eudaimonistic evaluation. In section four, I propose how to deal with such emotional experience in philosophical counseling, explicating how to apply emotional experience and self-comprehension to the steps of counseling by capturing one scene from the novel “Kim Jiyoung born in 1982”. 이 글은 사고와 감정을 분리시키는 것은 행위에 대한 이해를 편협하게 할 뿐만 아니라 행복한 삶을 향한 여정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염려에서 출발하여 감정경험을 관찰하고 탐색함으로써 삶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정경험은 우리에게 자신이 귀중하게 여기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사고와 행위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행복한 삶을 향해 한걸음 더 다가가도록 하는 계기가 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논자는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 기반 철학상담’의 이론적 근거로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채택하고, 철학상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의 일환으로 감정경험과 자기이해의 상관관계를 해명한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는 스토아학파의 감정론과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소개하고, 이 둘이 갈라지는 지점을 지적한다. 누스바움은 스토아학파의 감정론을 기초로 하여 감정이란 믿음과 판단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며 지향적 대상을 갖는다는 인지주의적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누스바움의 감정론은 외적인 것에 대한 애착으로 생겨난다는 사실이 감정이 반드시 비합리적이라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고, 온전한 삶은 인간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감정적 삶을 배제하지 않을 때 실현된다고 보는 점에서 스토아학파의 감정론과 차이를 보인다. 제3절에서는 제2절에서 지적한 내용을 토대로 감정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기이해의 통로가 될 수 있는지를 보인다. 감정이 자기이해의 통로가 되는 근거는 자신이 중요하다고 가치를 두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준다는 점과 감정적 반응의 강렬한 정도의 차이는 행복주의적 가치평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있다. 그리고 제4절에서는 소설 『82년생 김지영』의 한 장면을 포착하여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가 철학상담에서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임으로써 상담에서 감정경험이 다루어져야 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f-assessment Accur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Microteaching

        Kang, Kyunghee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spondence between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and how the trend is associated with science teaching efficacy. During microteaching, pre-service teachers reflected well on technical aspects in self-assessment. Evaluators in peer assessment during microteaching pointed out class demonstration in very detail. The number of those whose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analysis results corresponded with each other was 6. The number of those with an underestimation tendency whose self-assessment scores were lower than peer assessment scores was 2. The number of those with an overestimation tendency whose self-assessment scores were higher than peer assessment scores was 2.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self-assessment accur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result was that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ose who had a corresponding result and of those who had an underestimation tendency did not notably differ. Also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correspondence group and overestimation group did not notably diff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framework to analyze accuracy of pre-service teachers’ self-assessment by comparing peer 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in teacher training courses. This study also may be utilized in verifying the effects of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as a factor that can influence science teaching efficacy. 이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일치도를 분석하고, 그 경향성이 과학교수효능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티칭 동안 예비교사들은 자기평가에서 수업 기술적 측면에 대해 반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티칭 과정 중 동료평가에서 평가자들은 동료예비교사의 수업 시연에 대해 세부적인 내용까지 지적했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분석 결과 평가 일치 경향을 나타낸 예비교사는 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자기평가 점수가 동료평가 점수 보다 낮게 나타난 과소 경향의 예비교사는 2명, 자기평가 점수가 동료평가 점수보다 높은 과대경향의 예비교사는 2명이었다. 자기평가 정확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비교한 결과 일치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들과 과소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일치 경향 집단과 과대 경향 집단의 과학교수 효능감도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등 다면적 평가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기평가의 정확도를 근거로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

        강경희(Kyunghee Kang),박선희(Sun Hee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책무를 지닌 교원들의 교수역량도구를 개발하고 변화 필요도를 분석한 것이다. 대학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교원의 책무 수행과 대학내외 공동체 활동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수역량을 도출하였고, 24명의 교수학습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토받아 교수역량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K대학의 교원 83명을 대상으로 진단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기초역량, 교육실천역량, 공동체역량을 도출하였다. 기초역량에는 ‘대학교육의 이해’, ‘교육철학과 자세’, ‘교수자 태도’, 교육실천역량에는 ‘분석설계’, ‘수업실행’, ‘지도관리’, ‘평가환류’, 공동체역량에는 ‘창조적 학문융합’, ‘공감학습문화’, ‘글로벌 공유’로 분류하였다. K대학 교원들의 교수역량을 진단한 후, 대응표본 t-검정과 Borich 계수 분석을 통한 변화필요도를 살펴본 결과 기초역량에서는 대학교육의 이해(4순위), 교육실천역량에서는 분석설계(5순위), 수업실행(2순위), 공동체역량에서는 공감학습문화(1순위), 글로벌 공유(3순위)로 나타났다. 대학 교원의 역량은 잘 가르치기 위한 교육실천의 역량뿐 아니라 대학교육에 대한 이해와 대학내외 공동체 구성원과의 공감과 공유의 역량이 필요하다. 대학에서는 앞으로 교수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 competency tool of university teachers with responsibility for college education and analyze the need for change. We have developed teaching competency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university professors responsibilities and community activities in and out of universities and the contents validity was examined from 24 experts. The developed tools were used to diagnose the 83 teachers of K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and to derive basic competence, educational practice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eaching competencies include Understanding of college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attitude, Teacher attitude, Analysis design, Instruction execution, Guidance management, Evaluation feedback, Academic convergence, Sympathy learning culture, and Global sharing. The results of the paired t-test and the analysis of the need for change through the analysis of Borich coefficient analysis were as follows: Understanding of university education (4th rank), analysis design (5th rank), instruction execution(2nd rank), empathy learning culture (1st rank), and global sharing (3rd rank). The competence of university teachers is not only the ability to practice teaching, but also the ability to understand university education and to empathize and share with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In the future, the university should actively develop and provide ongoing support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professor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전후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 비교 분석

        강경희(Kyunghee K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6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발생 전후 경기도의 119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에 나타난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19 구급 신고 건수를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2019년 1월 20일∼2020년 1월 19일 vs. 2020년 1월 20일∼2021년 1월 19일)을 비교할 때, 694,238건에서 640,938건으로 53,300건 감소하였으며, 일평균 119 구급 신고 건수도 직전 1년간의 1,893.8건에서 1,761.7건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 119 신고 접수로부터 구급차 귀소까지 구급 서비스 시간을 평균으로 보면, 49.12 min에서 55.96 min으로 6.84 min, 중위수로 보면 39 min에서 42 min으로 3 min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현재COVID-19의 전파가 지속되고 있으며, 향후 유사한 감염병의 재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감염병이 수반된 사고 또는 질병 등을 보다 세분화하고, 광역시도 또는 시군구 기준의 지역 특성과 가계의 소득 특성 등을 반영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감염병의 발생과 지속적 확산 과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119 구급 서비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emergency ambulance call volume and emergency ambulance time (interval) in Gyeonggi-do,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mbulance call volume to 119 (South Korea's emergency telephone number) decreased by 53,300 from 694,238 in the one-year period of January 20, 2019–January 19, 2020 to 640,938 in January 20, 2020–January 19, 2021. Similarly, the daily average 119 ambulance call volume also decreased from 1,893.8 to 1,761.7 in the same one-year perio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mbulance time from activation to return record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6.84 min from 49.12 min to 55.96 min on average, with a median of 3 min from 39 min to 42 min, for the one-year perio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mid the continued spread of COVID-19 and the high probability of recurrence of a similar pandemic in the future, future research should distinguish between emergency response to accidents and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by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ousehold incom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metropolitan or city, county, and other government units, an effective 119 ambulance service system can be established—one that can respond to the occurrence and continuous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 KCI등재

        응급실 다빈도 방문과 119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 분석

        강경희(Kyunghee K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한국의료패널(Version 1.6) 2017년 데이터를 이용해 개인 및 가구 특성, 응급 상황 특성이 119 구급차/개인용 차량의 이용 여부 및 응급실 방문 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개인용 차량으로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가 59.0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19 구급차가 18.89%로 나타났다. 또한 119 구급차 이용자가 개인용 차량의 이용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령이 높고, 연간 총 가구소득이 낮으며, 질병보다 사고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더욱이 응급실 방문 횟수를 1회 방문과 2회 이상 방문으로 구분하여 비교할 경우에 개인용 차량의 이용자의 연령, 연간 총 가구소득, 이용 계절, 이용 이유 등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 119 구급차 이용자의 특성 차이는 없었다. 119 구급 이송 서비스가 공공 안전망으로서사회적인 필수 서비스라고 할 때, 비응급환자의 119 신고 남용 또는 119 구급차 상습 이용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고한정된 구급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This study aimed to the socioecono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use of 119 ambulance/private carsand the number of emergency room visits based on the 2017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The analysis revealed thatduring emergencies, the use of private cars (59.02%) was more common than 119 ambulance services (18.89%). Moreover,119 ambulance users were significantly older, had a lower annual total household income, and had relatively more accidentsthan diseases when compared to private car users. On comparing the number of emergency room visits between single andmultiple visi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otal annual household income, season of use, andreasons for use for private car usage than 119 ambulances. The 119 ambulance service is an essential public safety net. Therefore,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solve the frequent use of 119 ambulances by non-emergency patients, andefficiently utilize limited ambulance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