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PP 모형을 활용한 대학 융복합 교육과정의 효과성 분석

        강경희,Kang, Kyunghee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convergence curriculum using CIPP model. With 758 data surveys of professors and students participating in K University's convergence educatio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recognition and course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class activity(CA) was the highest (M=3.85), and coursework design(CD) was the lowest (M=3.35),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urse objectives, course content, and clas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recognition and course satisfaction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were needs analysis, coursework design, learner activity, performance recognition, and course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from the planning stage, it should be designed to reflect the needs of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o improv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recognition with novel contents and ac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CIPP 모형을 활용하여 대학 융복합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K대학의 융복합 교육에 참여한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758개의 데이터로 집단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과 성과인식과 교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수업활동(CA)이 가장 높았고(M=3.85), 교과이수설계(CD)가 가장 낮았으며(M=3.35), 집단의 특성에 따라 교과목표와 교과내용, 수업활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융복합 교육 과정의 성과인식과 교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요구반영과 교과이수설계, 학습자활동, 성과인식, 교과만족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획단계에서부터 교수와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설계하고, 참신한 내용과 적극적인 교수학습활동으로 만족도와 성과인식을 높여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융복합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경희 ( Kang¸ Kyung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이 연구는 SSI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SSI 관련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전공 예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인성적 태도의 하위 영역으로 생태학적 세계관, 사회·도덕적 공감, 사회적 책임감에 대한 응답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SSI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인성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SSI 글쓰기 프로그램 적용 전후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SSI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예비 교사들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SSI 글쓰기프로그램을 교사교육과정에 도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SI writing program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 for SSI-related ‘character and values’ and ‘SSI teach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8 pre-service biology teachers at J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 and valu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In addition, the ecological worldview, social and moral empathy, and social responsi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SI writ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haracter and values of proe-service biology teacher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was any change in perception of SSI teaching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SI writing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perception of SSI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SI writ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s for ‘character and value’ and SSI teaching. Therefore, efforts to introduce the SSI writing program into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re needed to cultivate character and values, and to raise perception of SSI teaching.

      • KCI등재

        서울시 도시재생 공공디자인 사업 키워드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 텍스트마이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강경희 ( Kang Kyunghee ),지용규 ( Chi Yong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정책의 문제 극복을 위해 서울시에서는 도시재생 공공디자인 사업을 시행 중이다. 디자인 컨셉 설정 단계에서는 앞선 사업의 현황 파악과 키워드 도출을 위해 문헌조사, 인터뷰 등의 방법을 이용해 조사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일부 자료만을 다루며, 방향 설정과 작업 시간을 연장시켜 디자인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텍스트마이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키워드를 추출하고,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기존 조사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도시재생 공공디자인 사업의 과업내용서와 제안요청서를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대상지는 근린재생일반형인 장위, 신촌, 창3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재생의 의미와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서울형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 사업에 대해 파악하였다. 대상지에 따른 공공디자인 핵심 키워드를 알아보기 위해 데이터 전처리를 하고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텍스트마이닝 단계에서 빈출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키워드의 중심성을 계산하고 시각화하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도시정비 사업은 지역 불균형을 초래하였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시재생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지의 공공디자인 사업의 지원사업 유형은 가로환경과 기반시설이 가장 많았다. 셋째, 각 대상지의 물리·환경적 기반에 따라 공공디자인 사업의 유형은 차이가 있었다. 넷째, 분석을 통해 대상지에 따른 키워드와 단어의 군집을 도출하였으며, 특징을 유추했다. 선정 대상지에 따라 사업의 방향과 특징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연구 대상지에 따라 주민의 의견을 반영한 공동체 역량 강화, 활동 공간 연계, 지역 적용 등을 공공디자인의 중심 방향으로 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디자인 컨셉 설정 및 작업 단계에서의 기존 조사 방법의 한계를 텍스트마이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이 해소할 수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단시간에 객관적이고 거시적 관점의 키워드와 특성을 파악하였다는 데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urban polic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implementing an urban regeneration public design project. In the design concept setting stage, research is conducted using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preceding project and derive keywords. These methods only deal with some data, and their limitation is that they affect the design results by extending the orientation and working time.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solve the issues faced in the existing investigation methods by extracting keywords using text min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identifying characteristics. (Method) In this study, the task contents and proposals of the Seoul-type urban regeneration public design project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and the target sites were set as Jangwi, Sinchon, and Chang3, representing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addition, the meaning and changes in urban regenerat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eoul-type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projects were identified. To identify important keywords of public design by the target locations, data was preprocessed and the infrequent words were extracted at the text mining stage using a statistical program.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we calculated and visualized the centrality of keywords to derive keywor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urban reorganization project brought about regional imbalance, and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emerged to resolve this. Second, the most frequent types of support projects for public design projects in the study sites were street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projects. Third, the types of public design projects differ according to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nature of each target site. Fourth, clusters of keywords and words by the target location were drawn through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were inferr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in the selected destination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community capacity enhancement, activity space linkage, and regional application must be the core focus of public design,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in each research sit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words and characteristics of an objective and macroscopic viewpoint in a shorter time by checking whether the methods of text min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can be resolved by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urvey methods in setting design concept and working stage.

      • KCI등재후보

        중,고등학생들의 탐구보고서에 나타난 탐구주제의 변인 유형과 가설검증 방법

        강경희 ( Kyunghee K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ㆍ고등학생들의 탐구보고서에 나타난 탐구주제의 변인 유형과 가설검증 방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개방형 탐구프로그램에 참여한 중ㆍ고등학생들의 보고서 133편이다. 탐구보고서에 나타난 탐 구주제 변인들에 관한 교차분석 결과 범주형 독립변인과 연속형 종속변인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가설검증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는 긍정비교법보다 다른 4개 유형의 가설검증 방법이 더 많이 활용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유사반응 비교와 비례 비교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다음으로는 직접 관찰법과 긍정 부정 비교법 순이었다. 이 연구에서 수행된 탐구보고서에 대한 분석은 학생들이 수행하는 과학적 탐구의 기본적인 체계에 관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적 탐구를 가르치는 데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 types of inquiry topics and hypothesis testing methods exhibited in inquiry report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 reports from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had applied to participate in three open inquiry programs. The results of the χ2 analysis on the variable types of inquiry topics in the inquiry reports revealed that 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tinuous dependent variables were most frequently sugges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hypothesis testing methods in the inquiry reports presented relatively more utilization levels in four types of hypothesis testing methods than the positive comparison method. The similar response comparison and proportional comparison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followed by the direct observation and positive-negative comparison methods. The analysis of the inquiry reports performed in this study findings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oviding the data regarding the basic framework of scientific inquiry which students have.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offer implications on scientific inquiry teaching.

      • KCI등재
      • KCI등재

        포트폴리오 활용이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강경희 ( Kyunghee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2

        이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들의 포트폴리오에 나타난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또한 내러티브에 나타난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 차원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기 초에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는 대부분 초점차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성적 사고의 수준은 즉각적이고 기술적이었다. 학기 말에 실시된 분석 결과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가 질문 차원과 변화 차원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대부분대해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과정에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반성적 사고의 수준은 대화적이고 변혁적인 수준으로 높아졌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들은 포트폴리오 활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과정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rtfolio applicati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For the purpose, we used narrative inquiry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ortfolios. We also analyzed the dimensions and leve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mostly centered on focus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In addition, they exhibited routine and technical levels of reflective thinking.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showed it as gradually extending to the dimension of inquiry and dimension of change by the end of semester. Here,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was higher at the dialogic level and transformative level.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making portfolios. However, they answered positively about application of portfolio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introduce portfolio assessment in teacher education courses in order to increase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KCI등재

        응급실 다빈도 방문과 119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 분석

        강경희(Kyunghee K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한국의료패널(Version 1.6) 2017년 데이터를 이용해 개인 및 가구 특성, 응급 상황 특성이 119 구급차/개인용 차량의 이용 여부 및 응급실 방문 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개인용 차량으로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가 59.0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19 구급차가 18.89%로 나타났다. 또한 119 구급차 이용자가 개인용 차량의 이용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령이 높고, 연간 총 가구소득이 낮으며, 질병보다 사고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더욱이 응급실 방문 횟수를 1회 방문과 2회 이상 방문으로 구분하여 비교할 경우에 개인용 차량의 이용자의 연령, 연간 총 가구소득, 이용 계절, 이용 이유 등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 119 구급차 이용자의 특성 차이는 없었다. 119 구급 이송 서비스가 공공 안전망으로서사회적인 필수 서비스라고 할 때, 비응급환자의 119 신고 남용 또는 119 구급차 상습 이용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고한정된 구급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This study aimed to the socioecono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use of 119 ambulance/private carsand the number of emergency room visits based on the 2017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The analysis revealed thatduring emergencies, the use of private cars (59.02%) was more common than 119 ambulance services (18.89%). Moreover,119 ambulance users were significantly older, had a lower annual total household income, and had relatively more accidentsthan diseases when compared to private car users. On comparing the number of emergency room visits between single andmultiple visi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otal annual household income, season of use, andreasons for use for private car usage than 119 ambulances. The 119 ambulance service is an essential public safety net. Therefore,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solve the frequent use of 119 ambulances by non-emergency patients, andefficiently utilize limited ambulance resources.

      • KCI등재

        응급실 방문 소요시간 분석 : 119 구급차, 개인 차량, 택시

        강경희(Kyunghee K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5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Version 1.7) 2018년 연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119 구급차, 개인 차량, 택시의 응급실방문 소요시간을 분석하고, 개인⋅가구 특성 및 응급 상황 특성 변수를 이용해 119 구급차, 개인 차량, 택시의 소요시간 영향요인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분석 대상인 2,032건 중 119 구급차가 427건(21.0%), 개인차량이 1,276건(62.8%), 택시가 329건(16.2%)이었다. 둘째, 소요시간은 119 구급차가 23.14 min, 개인 차량이 25.06min, 택시가 19.01 min이었으며, 전체 평균은 23.68 min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와 농산어촌의 차이가 119 구급차,개인 차량, 택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소요시간의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특히 농산어촌은 도시보다 소요시간이약 7-10 min 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차량에서 소득이 적을수록 소요시간이 더 걸렸다. 응급실 방문소요시간에 미치는 경제사회적 특성이나 지역적 요인을 고려하여 구급 서비스의 소요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면, 구급 서비스의 품질 제고를 크게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portation time of 119 ambulances, private cars, and taxis to arrive at the emergency room,and estim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ime using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emergency statistics fromthe 2018 annual data of the Korea Health Panel Study (Version 1.7). Out of 2,032 cases that were analyzed, 427 cases(21.0%) were brought by 119 ambulances; 1,276 (62.8%) by private cars; and 329 cases (16.2%) by taxis. On average, the119 ambulances took 23.14 minutes, private cars took 25.06 minutes, and taxis took 19.01 minutes to reach the emergencyroom. The overall average was 23.68 minutes. Moreover, the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as a statistically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time for all three methods of transport. It took approximately 7-10 minutes longer in ruralareas than in urban areas. In addition, the lower the income, the longer it took in the case of private cars. If thetransportation time for ambulance services is efficiently managed in terms of econom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r regionalfactors, the quality of the ambulance service is expected to improve significantly.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전후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 비교 분석

        강경희(Kyunghee K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6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발생 전후 경기도의 119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에 나타난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19 구급 신고 건수를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2019년 1월 20일∼2020년 1월 19일 vs. 2020년 1월 20일∼2021년 1월 19일)을 비교할 때, 694,238건에서 640,938건으로 53,300건 감소하였으며, 일평균 119 구급 신고 건수도 직전 1년간의 1,893.8건에서 1,761.7건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 119 신고 접수로부터 구급차 귀소까지 구급 서비스 시간을 평균으로 보면, 49.12 min에서 55.96 min으로 6.84 min, 중위수로 보면 39 min에서 42 min으로 3 min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현재COVID-19의 전파가 지속되고 있으며, 향후 유사한 감염병의 재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감염병이 수반된 사고 또는 질병 등을 보다 세분화하고, 광역시도 또는 시군구 기준의 지역 특성과 가계의 소득 특성 등을 반영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감염병의 발생과 지속적 확산 과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119 구급 서비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emergency ambulance call volume and emergency ambulance time (interval) in Gyeonggi-do,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mbulance call volume to 119 (South Korea's emergency telephone number) decreased by 53,300 from 694,238 in the one-year period of January 20, 2019–January 19, 2020 to 640,938 in January 20, 2020–January 19, 2021. Similarly, the daily average 119 ambulance call volume also decreased from 1,893.8 to 1,761.7 in the same one-year perio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mbulance time from activation to return record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6.84 min from 49.12 min to 55.96 min on average, with a median of 3 min from 39 min to 42 min, for the one-year perio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mid the continued spread of COVID-19 and the high probability of recurrence of a similar pandemic in the future, future research should distinguish between emergency response to accidents and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by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ousehold incom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metropolitan or city, county, and other government units, an effective 119 ambulance service system can be established—one that can respond to the occurrence and continuous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

        강경희(Kyunghee Kang),박선희(Sun Hee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책무를 지닌 교원들의 교수역량도구를 개발하고 변화 필요도를 분석한 것이다. 대학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교원의 책무 수행과 대학내외 공동체 활동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수역량을 도출하였고, 24명의 교수학습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토받아 교수역량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K대학의 교원 83명을 대상으로 진단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기초역량, 교육실천역량, 공동체역량을 도출하였다. 기초역량에는 ‘대학교육의 이해’, ‘교육철학과 자세’, ‘교수자 태도’, 교육실천역량에는 ‘분석설계’, ‘수업실행’, ‘지도관리’, ‘평가환류’, 공동체역량에는 ‘창조적 학문융합’, ‘공감학습문화’, ‘글로벌 공유’로 분류하였다. K대학 교원들의 교수역량을 진단한 후, 대응표본 t-검정과 Borich 계수 분석을 통한 변화필요도를 살펴본 결과 기초역량에서는 대학교육의 이해(4순위), 교육실천역량에서는 분석설계(5순위), 수업실행(2순위), 공동체역량에서는 공감학습문화(1순위), 글로벌 공유(3순위)로 나타났다. 대학 교원의 역량은 잘 가르치기 위한 교육실천의 역량뿐 아니라 대학교육에 대한 이해와 대학내외 공동체 구성원과의 공감과 공유의 역량이 필요하다. 대학에서는 앞으로 교수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 competency tool of university teachers with responsibility for college education and analyze the need for change. We have developed teaching competency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university professors responsibilities and community activities in and out of universities and the contents validity was examined from 24 experts. The developed tools were used to diagnose the 83 teachers of K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and to derive basic competence, educational practice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eaching competencies include Understanding of college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attitude, Teacher attitude, Analysis design, Instruction execution, Guidance management, Evaluation feedback, Academic convergence, Sympathy learning culture, and Global sharing. The results of the paired t-test and the analysis of the need for change through the analysis of Borich coefficient analysis were as follows: Understanding of university education (4th rank), analysis design (5th rank), instruction execution(2nd rank), empathy learning culture (1st rank), and global sharing (3rd rank). The competence of university teachers is not only the ability to practice teaching, but also the ability to understand university education and to empathize and share with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In the future, the university should actively develop and provide ongoing support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profess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