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ASHION CONSUMERS' ACCEPTANCE OF RETAIL TECHNOLOGY: A META-ANALYSIS OF TAM IN FASHION RETAIL CONTEXT

        Yoon-Jung Lee,Eunju Ko,Ho Jung Choo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5 Global Fashion Management Conference Vol.2015 No.06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affected many aspects of retail world as in other areas of human life. This makes understanding consumers’ acceptance and usage of such technological innovations a critical task for both retail businesses and scholars alike.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Davis 1989) is one of the most widely adopted theoretical frameworks for explaining and predicting consumers’ acceptance of technology. Implementing the meta-analysis method, this study aimed at testing the validity of TAM for understanding consumer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the various technologies adopted in fashion retail stores and online commerce sites. Specifically, the effect sizes of two TAM antecedents of perceived usefulness (PU) and ease of use (PEOU) were estimated and compared. Moderating factors that affect the effect sizes of PU and PEOU on attitudes and behaviors were also explored. A meta-analytical SEM methodology was expected to deliver more thorough and valid test of the model than single sample studies, because accumulation of multiple samples through meta-analysis would bolster the test's statistical power (Hom et al., 1992). A sample of studies on consumers’ acceptance of retail technology in fashion retail context that adopted the TAM model were collected through a systematic search through the databases such as EBSCO, Google Scholars, and Dissertation Abstracts. Efforts were made to include unpublished studies to avoid publication bias. A total of 31 published and unpublished research reports that allowed the calculation of effect sizes of the key paths in the model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out of the identified samples, and the homogeneities of the effect sizes were test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The types of technology, product type (apparel vs. general merchandise), subject characteristics (gender; country; student vs. general), and study setting (actual experience vs. simulated situation) were considered as moderators to explain for the variances in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Finally, a meta-SEM model was tested on the aggregated data using AMOS.

      • KCI등재

        Effects of rumen cannulation surgery o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rumen fluid pH in Korean native Hanwoo cattle

        Eunju Kim,Seong Bum Kim,Youl Chang Baek,Min Seok Kim,Changyong Choe,Jae Gyu Yoo,Younghun Jung,Ara Cho,김수희,Yoon Jung Do 한국동물위생학회 2018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41 No.4

        Rumen cannulation is used for nutritional and microbiological research, clinical diagnosis, and rumen component transfaunation. However, the cannulation procedure can affect parameters such as complete blood count findings, serum chemistry, and rumen fluid p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lth risks related to the rumen cannulation procedure over a 1-month period. We did not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d blood cell numbers or morphologies between pre- and postoperative timepoints. Moreover, no inflammation or infection was detected. Despite the absence of apparent clin-ical signs after surgery, serum chemistry results revealed changes in blood urea nitrogen levels and the activities of liver enzymes, including aspartate transaminase, lactate dehydrogenase, and creatinine kin-ase, from postoperative days 1 to 14. Rumen fluid pH, as measured from samples collected via an or-ogastric tube, was slightly increased after a preoperative fasting period and on postoperative day 1 but decreased thereafter from postoperative day 4, indicating a minor influence of cannulation surgery on ruminal fluid pH. This is the first study to evaluate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rumen pH before and after rumen cannulation surgery in Hanwoo cattl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better elucidate the potential effects of rumen cannulation surgery on animal health.

      • KCI등재

        대중교통 이용 궤적 분석에 의한 상습 경로 분류

        최정화(Jung-Hwa Choi),이향진(Hyang-Jin Lee),김은주(Eunju Kim),백혜정(Hea-Jung Back),박영택(Young-Tack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9 No.3

        본 논문은 Hi-path Navi(habitual path navigator)라 불리는 개인의 대중교통 이동 궤적에 따른 상습 경로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Hi-path Navi는 스마트폰의 GPS 센서로부터 수집한 대량의 위치와 속도 정보를 통해 개인의 이동 궤적을 학습하여 상습 경로(즉 상습적 정체 구간 또는 출/퇴근 버스 경로)를 분류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네 가지 기술을 포함한다. 첫째,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대량의 GPS 정보 중에 교통을 이용한 구간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교통 구간 내 이용한 버스 노선을 인지하기 위해 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정지 구간을 추출한다. 그리고 교통 구간 내 시작과 끝 위치를 지나는 버스 노선의 후보 집합을 구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이 이용한 궤적과 가장 유사한 버스 노선을 찾는다. 이를 위해 직교 거리를 이용한다. 본 연구는 상습적인 정체구간이 많은 한국의 서울 지역에서 3명의 사용자가 8주 동안 수집한 실제 이동궤적 데이터로 실험하였다. 실험한 결과, 사용자가 실제 이용하는 버스 번호를 정확히 맞췄으며, 개인 이동궤적과 일치하는 실제 버스 노선의 버스 정류장을 93.3% 정확하게 찾았다. 이 결과는 유클리디안(euclidean) 거리와 맨하탄(manhattan) 거리 측정법에 비해 평균적으로 17% 더 정확하고 13배 빠른 성능을 보였다. 제안한 방법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 여정에 따른 실시간 교통 정보 서비스에 활용되어 사용자의 인지로드(load)를 줄일 수 있다. We present a new method for assisting the automated public transportation routing services offered to smart phone users called Habitual path navigator (Hi-path Navi). Hi-path Navi uses a novel algorithm to classify the habitual paths (e.g., sections with a heavy traffic jam or one of the usual paths that lead to the user's workplace). The proposed method has four key applications: (1) extraction of transportation segments from the user's trajectories using image processing algorithm; (2) extraction of habitual stationary points to identify bus routes from transportation segments by analyzing the trajectory's velocity data; (3) detection of candidate bus routes which pass through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 of the transportation segment; (4) finding of the most likely bus route considering habitual stationary points of transportation segments. Especially, application (4) is based on a distance measure so called rectilinear distance. We experimentally validated the proposed method using the data of the actual trajectories of three users who collected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a success rate of 100% for a comparison of an actual bus route and showed the actual bus stops matching to the user's trajectory with precision of 93.3%. This result was found to be averagely 17% more precise and 13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Euclidean distance and Manhattan distance algorithms. In summary, we present a novel solution to assist an automated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offered to users during journeys and to minimize the cognitive load of the user.

      • KCI등재

        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서사적 시간의 양상 연구 : 돌아온 사람 과 낙타누깔 을 중심으로

        정은주(Eunju Ju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21 비평과이론 Vol.26 No.1

        본고는 황석영의 두 소설을 대상으로 화자인 ‘나’의 시간 속에서 서로 다른 삶의 경험이 어떻게 재현되며, 서사적 시간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시간’에 대한 이해는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기억’과 연관된 시간이며, 사회역사적인 현실과도 연관성을 맺는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돌아온 사람 은 ‘사회역사적인 시간’과 ‘인식론적인 시간’이 서로 섞이고 혼융되면서 화자인 ‘나’의 내면에서 균열의 시간을 형성하면서 자기반성적인 시간을 갖게 된다. 이 작품은 한국과 베트남을 둘러싼 여러 시간의 의미를 일인칭 화자의 내면의식 속에서 복합적으로 혼융되면서 서술자아와 경험자아의 시간이 나타나고 있다. 즉, 6.25 전쟁과 베트남 전쟁 사이의 시간적 거리에서 ‘나’가 회고한 서술의 시간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긴장을 유발하면서 변증법적인 의미 관계를 형성하고, 반성적인 사고에 이르게 된다. 낙타누깔 은 베트남 청년과 아이들이 미 제국주의와 그 하위 제국인 한국을 비판하면서 지배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담론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남성 중심의 섹슈얼리티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하위주체의 여성을 억압하고, 남성성의 권력을 행사하면서 남성중심적 시간을 나타낸다. 이런 관점에서, ‘나’의 시간은 ‘낙타누깔’이라는 타자의 응시로 내면의 두려움과 부끄러움을 느끼는 시간이다. ‘낙타누깔’은 스스로 자기 자신을 대상화 하여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나’는 타자의 응시의 힘으로 주체의 자기반성에 이르는 동시에 새로운 인간으로 거듭날 수 있는 부끄러움의 시간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different life experiences are reproduced in the time of “ego,” the first person speaker in the novel, and how the aspects of time appear.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time’ is a time that is associated with the ‘memory’ embodied in literary form, and it is also a time of connection with social and historical reality. Returned Person has a time of self-reflection as the “social-historical time” and the “epistemological time” are mixed and fused together, forming a time the narrator, “ego.” In this work, the time of the narrative and the experiential narrator is revealed by mixing the meanings of several times surrounding Korea and Vietnam in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narrator. In other words, in the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the time of the narrative that ‘I’ recalled interacts with each other and induces tension, forming a dialectical meaning relationship, leading to reflective thinking. Camel Nukal represents a discourse in which Vietnamese youth and children criticize US imperialism and its sub-empire, Korea, and resist the ruling ideology. In addition, it represses women, the sub-subjects necessary to realize male-centered sexuality, and expresses male-centered time by exercising masculinity powe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ime of ‘I’ is the time to feel inner fear and shame through the gaze of the other named Camel Nukal. Camel Nukal allows readers to see themselves by objectifying themselves. Like this, ‘ego’ has a time of shame to be reborn as a new human being at the same time reaching the subject s self-reflection through the power of the other’s gaze.

      • KCI등재

        제1부: 학술논문 : 초등학교 일반학급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연구에 관한 문헌 분석

        정은주 ( Eunju J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3

        최근 초등학교 일반학급에서는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고민과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일반학급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연구경향, 적용된 중재전략과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1997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내 학술지 연구 총 10편을 수집하여 그 내용을 분석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중학년(3, 4학년)이 저학년이나 고학년보다 많았고, 보편적 차원보다는 개별차원의 중재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설계로는 단일대상 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되었으며, 중재는 주로 교실에서 이루어졌고 중재기간은 다양하였지만 한 학기를 넘지 않았다. 중재 효과 측정을 위해서 관찰기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의 적용 전략으로는 보편적 차원에서는 학급규칙활용이, 개별차원에서는 선행사건 중재와 후속결과 중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교 또는 학급전체의 문제행동 감소와 개별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attention to the interven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s in inclusive classrooms are increas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recent literatures on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n the inclusiv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analyze th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PBS as well as the research trends appeared in the research. The search procedures through the Web-database systems were implemented to find the proper studies, and a total of 10 articles from 1997 to 2013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he results, first, indicated researchers had more interests in third and fourth graders as subjects and in providing interventions at a individual level than at a universal level. The single subject study method was mostly implemented as a research method. The PBS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mostly in the area of classrooms rather than other places. Intervention periods appeared in papers were diverse, but those did not go beyond one semester. Most researchers preferred observation methods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BS interventions. Results also foun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applying PBS were the ‘use of classroom rules’ as a universal level and antecedents intervention and consequences intervention as a individual level. Finally, the PBS interventions at both a individual level and a universal level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problem behavior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계획된 우연기술 잠재프로파일 : 영향요인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적응반응과의 관계

        정은주(Jung, Eunju),이용진(Lee, Yong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우연기술에 따른 대학생의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예측요인의 영향 및 결과 변인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4년제 대학생 52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계획된 우연기술의 다섯 개 하위요인 점수를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잠재프로파일 별 진로적응성과 진로적응반응에 대한 점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세 개의 잠재 집단(적극적 대응형, 평범한 대응형, 소극적 대응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영향요인 중 성별, 학년, 전공계열, 성적, 재학 중인 대학 소재지는 계획된 우연기술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일하게 긍정적 양육경험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진로적응성과 진로적응반응의 모든 하위요인 점수가 소극적 대응형에서 적극적 대응형으로 갈수록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계획된 우연기술 잠재프로파일 연구가 드문 가운데, 새로운 방법론적 시도를 통해 진로적응성 및 진로적응반응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계획된 우연기술을 활용하는 적극적인 진로발달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진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cide the most appropriate number of latent profiles underlying the five dimension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to test the predictors and outcomes of the latent profiles. Using nationwide data of 522 university students, we conduct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ree latent profiles (active respondent mediocre respondent and passive respondent) are tenable. Among the tested five predictors (gender, grade, major, GPA, university location, and positive nurturing experience) only the positive nurtur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atent profile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sub-scale scores of both career adaptability and adapting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latent profiles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While most of the studies o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ve been conducted under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our study is valuable in that we tried the person-centered approach. In addition, the study implies that career-related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should incorporate the elements which help university students view unplanned happenstance as opportunities and take actions that make the most out of the opportunities.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평가 실태 -서울시를 중심으로

        정은주 ( Eunju Jung ),류귀성 ( Guisung Ryu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학업평가 실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50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특수학급 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대체로 상세한 연간계획을 세워 학업평가를 실시 하고 있었다. 가장 많이 가르치고 있는 교과는 직업, 국어, 수학이었으며 관찰평가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평가결과는 대부분 학생의 IEP에만 기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체계적인 평가체제의 미비와 각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른 평가영역에서 다른 방법으로 평가를 실행해야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업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교과별 평가 방법 및 도구의 개발과 보급이 가장 우선시되었으며 국가수준의 고등학교 특수학급 평가 기준과 지침마련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 needs for academic assessment in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A total of 50 special teachers in high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nswered the survey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eachers assess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ll students who they were teaching with the detailed annual plans. They were teaching mostly the subjects related to Occupation,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They preferred the observation as the assessment method and recorded the results mostly only in the students’ IEPs. Second, teachers were struggling from the imperfect assessment systems and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various assessment methods to meet individual student’s needs. Third, the first and foremost support plan for academic assessments in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wa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for each subject, followed by nation-level assessment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academic assessment in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