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화경 경력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

        김지영 ( Kim¸ Jiyoung ),박윤희 ( Park¸ Yoonh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0 HRD연구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만화경 경력 연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만화경 경력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orraco(2005, 2016)의 통합적 문헌 분석방법과 절차에 따라 2020년 4월까지 국내외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만화경 경력을 제목과 키워드로 검색하여 총 26편의 논문(국내논문 2편, 국외논문 24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경 경력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2018년, 국외에서는 2005년 이후로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분야 측면에서는 인적자원개발을 포함하여 인적자원관리, 경영학, 여성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만화경 경력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만화경 경력 연구주제는 경력태도, 경력이동, 경력환경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성별, 경력단계, 직업, 국가별로 살펴보았는데, 부분별로 제한을 두지 않고 진행한 연구가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므로 앞으로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시도한 만화경 경력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방향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bout kaleidoscope career with studie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and to analyze subjects, samples, methods with kaleidoscope career. The title and keyword related to kaleidoscope career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in research information database and a total of 26 articles were finally remained for the analysis through the Toracco(2005, 2016)'s guidelines of conducting the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n kaleidoscope career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year of 2018 in Korea and since the year of 2005 in abroad. The previous studies of kaleidoscope career have been conducted in the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women's studi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econd, main topic of research was focused on career attitude, career movement, and career environment. Third, the sample of the most studies was examined by gender, career level, occupation, and nationality without restrictions. Fourth, the most literatures of kaleidoscope career heavily focused on qualitative research, but several other methods are also used. Based on the results,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금융투자자의 자기책임 인식 수준 및 결정요인: 펀드투자 관련 자기결정성과 투자권유 서비스의 질을 중심으로

        강지영 ( Kang¸ Jiyoung ),최현자 ( Choe¸ Hyuncha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21 금융소비자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2015년~2019년 펀드투자자조사를 활용하여 금융투자자의 자기책임의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을 투자권유의 질과 자기결정성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금융투자자들은 평균적으로 투자 결과의 63.11%만이 본인의 책임이고 나머지는 판매직원 등 금융회사의 책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별과 결혼 여부는 유의한 요인이 아니었으나, 연령, 학력, 금융자산의 규모, 펀드투자의 자발성 여부, 위험감수성향은 자기책임 인식에 모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고, 특히, 펀드이해력이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자기결정성의 하위 항목인 자율성과 유능감의 경우, 자기책임 인식의 유의한 선행 변수로 나타났고, 투자권유의 질의 하위 항목인 펀드상담만족도 및 설명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영향이 있었으나 적합성 원칙 준수도는 그렇지 않았다. 투자권유의 질은 직접 경로 외에 자기결정성을 통한 간접 경로를 통해서도 자기책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현재 법시스템이 추구하는 금융투자자의 자기책임 수준과 투자자의 인식에 괴리가 있음을 의미하며, 투자권유 서비스의 개선 등 투자자의 자기책임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정책의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lf awareness level of financial investor accountability and factors affecting it, using the 2015-2019 fund investor survey collected by the Korea Financial Consumers Protection Foundation. As a result, financial investors recognized that only 63.11% of the investment results were their accountability. While gender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ignificant age, education, and financial asset size, willingness of fund investment, and financial risk tolerance and fund literacy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ccountability awareness. Autonomy and competence which ar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also appeared as significant antecedent variables for accountability awareness and consultation and explanation satisfaction except for the compliance with suitability rule which are sub-items of the quality of investment recommend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mply that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gap between the self awareness level of financial investors accountability pursued by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he recognition of investors, and to seek appropriate policies to reduce the gap, such as improving the quality of investment recommendation services.

      • KCI등재

        외발 소수자 ‘兀者’의 함의 고찰 ― <양생주>와 <덕충부>를 중심으로

        高志英 ( Ko¸ Jiyoung ) 중국어문연구회 2021 中國語文論叢 Vol.- No.107

        There are many disabled people in Zhuangzi. Among them, Youshi of Yangshengzhu, Wang Tai of Dechongfu, Shen Tujia and Shushan The Toeless are an acquired disabled people. Youshi was expressed as one foot and the other three people was expressed as Wuzhe(兀者). In Shuowen, the word Wu (兀) means “high and flat above”. However, Kangxi dictionary added the meaning “cutting feet”. However, in the original sense of Wu(兀), Wuzhe(兀者) was not just a punished person, but also highly educated, could have been the one who received the “Criminal Punishment Of Cutting Off The Feet”. Those who have been punished and cut their foot are likely to have been involved in matters of national interest. It also shows that, in reverse terms, they were in positions that could affect national interests. It is not clear why the people in Zhuangzi were cut their foot, but Zhuang Zi’s descriptions suggest that they were in some position and were well-educated. Therefore, the three Wuzhe(兀者) characters in Dechongfu should not be regarded as “the person with their feet cut off”, but rather as a double meaning, adding to the meaning of “Proud Loneliness”. Just like “Sun Bin(孫臏)”. Zhuang Zi showed “life(生)” through Youshi, and “virtue(德)” through Wuzhe (兀者). This can be said to be not only a role model for the disabled to grow and nurture their remaining lives, but also a token or an example if they are full of their inner virtues.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 구현된 가상세계로서의 역사

        이지영 ( Yi¸ Jiyoung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50 No.-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중국의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품에 따라 역사적 사건이 소설의 서사와 긴밀히 연관되는 경우부터 소설의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거의 무관한 경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지만, 서사의 중심이 역사적 사건보다는 집안 구성원간의 갈등에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보인다. 또한 한글장편소설이 수용한 '역사'는 연의소설 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서와는 그 의미가 다르다. 한글장편소설의 주향유층은 역사서가 아닌 연의소설을 통해서 역사를 학습했기에, 한문 식자층과는 역사 인식이 달랐다. 이들은 연의소설에 서술된 허구를 역사적 사실과 구별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역사적 사건보다는 등장인물 간의 갈등에 더 관심을 보인다. 한글장편소설 향유층에게 '역사'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칠 수 있는 허구적 공간으로 존재했다. 이 점에서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한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오늘날 픽션 사극과 상응한다.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서 '역사'를 통해서 구축된 가상세계(fictional world)는 가문을 중심으로 한 인물구도와 함께 연작과 파생작 등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하는 장이었다.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set in Chinese historical past. The way of fictionalizing history varies depending on the work. There are some novels in which historical ev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of the novel, while in many novels historical event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narrative of the novels. But in common these novels focus on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meaning of hi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istory book. Readers of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ho learned history through historical novels, had a different understanding on history from the intellectuals. They did not distinguish historical facts from fictional narrative and more were interested in the conflict of characters than in historical events. To readers of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history was a fictional world in which interesting stories unfolded. In this regard,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correspond to the fictional historical dramas of today. The historical fictional world of Joseon's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as a space in which new story like derivative novels and series novels is created.

      • 미용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외래어 학습 방안 연구 - 뷰티테라피&메이크업 전공을 중심으로 -

        박지영 ( Park¸ Ji-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본 연구는 미용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전공 서적에 등장하는 외래어 어휘 학습 방안 연구에 목적이 있다. 미용 전공 외국인 유학생들은 같은 전공인 한국인들과 마찬가지의 환경 안에서 같은 전공 교재로 해당 전공의 내용을 학습하게 된다. 이에 그들은 외래어 어휘 학습에서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아 전공 수학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본고에서는 미용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어휘 학습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전공 어휘 학습에서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과반수 이상은 전공을 공부하는 데 어휘를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중 외래어를 가장 학습하기 힘든 어종으로 꼽았다. 그리고 그것의 이유는 영어나 다른 외국어를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가장 많은 수의 학습자들이 답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미용 전공 기초 어휘를 어종별로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어종별로 느끼는 난해함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어휘인 외래어는 단계별, 주제별로 정리하여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게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미용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외래어 교육 방안으로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등급별 외래어 어휘에 따른 학습 및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는 주제별 외래어 어휘 학습이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때 교재 또한 학습자들의 요구 조사를 통하여 구성하며, 외래어 어휘는 원어와 같이 표기하여 의미의 정확성을 높여 어휘 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핵심어: 대학극, 1960년대 대학극 운동, 대학문화, 아카데미즘, 문화운동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eign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methods appearing in major textbooks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beauty.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eauty will learn the content of the major with same main textbooks, in the same environment as Koreans who are in the same major. Accordingly, it affects their study because there are a lot of cases where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to learn the foreign vocabulary. In this paper, we were able to figure out their needs in vocabulary learning, by means of a survey of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eauty. The majority of the learners believed that the vocabulary is an integral part of the studies in their major and indicated foreign language as the most difficult subject to learn, ahead of archaic vocabulary and Chinese characters in the Korean language. Moreover, most students stated the reason was their lack of knowledge of English or other foreign languag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the difficulties that learners experience in foreign languages, by presenting basic vocabulary for beauty majors. In addition, the most difficult vocabulary for learners, the vocabulary which is in a foreign language, were organized by their level of difficulty and topics so that they can identify and learn according to their needs. Lastly, as a method to improve foreign language knowledge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eauty, we proposed the nee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to improve their general level and study foreign vocabulary per subjec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learners. Furthermore, the textbook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learner's needs, as identified through this survey, and foreign vocabulary (loanwords) are written together with the original language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vocabulary learning.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대상 스마트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하지영 ( Ha¸ Ji Yo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대상의 스마트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학술지 논문 114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보면, 2012년부터 관련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하여 10년 가까이 꾸준히 발표되어 왔으며, 2020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라서는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으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주제와 내용에 따라서는 부모의 양육과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다음으로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에 대한 부모 인식,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대한 부모 인식’, ‘부모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 ‘부모의 스마트미디어 중재’, ‘부모의 양육’ 등 주제별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와 부모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향후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smart media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 total of 114 articles published from 2012 to 2020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lated research began to be published in 2012 and has been published steadily for nearly a decade, with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in 2020. Second, the study subjects showed the greatest number of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mother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e most as a research type, and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he most as a data collection method. Forth,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 and content,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followed by parents’ awareness of their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Lastly, major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opics such as parents’ awareness of smart media use, parents’ use of smart media, parents’ smart media guidance, and parenting were analyz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provide practical help to the appropriate use of smart media by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 KCI등재

        정신사의 알레고리와 지식의 지정학 - 최인훈의 「라울전」, 「광장」을 중심으로 -

        장지영 ( Chang¸ Ji-young ) 반교어문학회 2021 泮橋語文硏究 Vol.- No.58

        본고의 관심은 최인훈의 「광장」이 교양을 서사 동력으로 삼고 있을 때 그것을 떠받치는 논리가 무엇인지 그의 다른 초기 작품인 「라울전」과의 연관성 속에서 밝히는 데 있다. 이 단편이 근대 이전과 이후로 나뉜 앎의 형태를 각각 등장인물인 바울과 라울에게 부별(賦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본다면, 20세기라는 같은 시간에 살되 ‘근대’를 후행하는 운명에 처한 후식민지 지식인의 자의식이 하나의 알레고리적 서사로 구성되었음을 알게 된다. 한편 「광장」의 이명준은 세계를 책에 유비하거나 책을 통해 세계를 읽어내면서 부단히 이동하다가 근대성을 후행하는 한국 사회에 오리지널리티가 부재하여 자유의 실현이 곤란하다는 판단에 이르자 편력을 멈춘다. 근대적 지식의 특징이 매개적인 성격에 있다고 「라울전」을 따라 상정해 본다면,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서는 그것에 박래성과 함께 지역화된 시간성(시간차)이 덧씌워진다는 것을 「광장」의 서사로부터 우리는 발견하게 된다. 최인훈의 초기 작품들은 일종의 역사철학적인 사유에 지역을 시간대로 가르는 지정학적 사유가 포개어져 있다는 점에서, 또한 주체성을 오리지널리티와 동일시한다는 점에서, 이처럼 비서구가 피할 수 없는 배밀도의 근대 경험과 강박을 노출한다. 세계, 책, 독해가 연관을 이루는 정신사의 알레고리적 사유는 최인훈이 세계에 관해 메타적인 비판을 시도하게 해준 동력이면서도 그의 초기작들이 보여주는 아포리아의 뿌리인 것이다. This paper’s main concern is the logic of Gwang-jang(「광장」), Choi In-hoon(崔仁勳)’s novel, and I argue that this logic consists in the allegorical thought of era by which space is divided. His early work, Raul-jeon(「라울전」) contrasts different forms of knowledge, which are of ‘before’ modern times and ‘after’ it. This short story examines and reveals Korean intellectual’s self-consciousness by allegorical narrative. The narrative shows that they cannot acquire subjectivity because they live in a post-colonial society. For example, Lee Myung-joon(이명준), the character in Gwang-jang, was frustrated by inconsistency between ideal and reality, or by crudeness of reality which fell behind modern knowledge. This means that Choi was able to make meta-criticism on the world thanks to the allegorical thought about intellectual history. This was the root of the aporia shown in his early works.

      • 페미니즘 연극에서 창작자들이 사유해야 할 지점들에 대한 고찰

        이지영 ( Yi¸ Ji 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국내 연극계는 서지현 검사의 미투(#Me Too) 이후로 페미니즘 관점을 적극 수용하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특히, 2010년대 후반부터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은 여성과 소수자들의 드러나지 않았던 목소리와 그동안 묵과했던 사회구조적 문제점들을 전면에 내세우며 자성의 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여성 창작자들이 주목받는 부차적인 효과 역시 견인하고 있다. 관객들도 이제는 젠더-프리(Gender-free) 캐스팅이나 젠더-밴딩 (Gender-bending, 성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 캐스팅을 유쾌한 전복으로 받아들이는 등 짧은 사이에 변화되고 성숙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더 안정적으로 국내 공연계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창작자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과 논의 되어야 하는 지점들이 있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페미니즘 공연의 창작자들이 사유하고 경계해야 할 지점들을 크게 세 가지로 압축해 보았다. 첫 번째는 공연을 통해 여성 또는 소수자들의 다양한 정체성과 교차성 (intersectionality)을 입체적으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접근법의 답습이 아닌 새로운 접근 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페미니즘 공연의 주제나 소재가 실존 인물이나 사건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에 다른 공연들과 달리 조심스러운 접근법이 필요한데 이 경우,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Feminist Pedagogy) 전략들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두 번째는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공연의 전략과 표현들이 상투적이거나 단순하면 그것은 오히려 기존의 젠더 고정관념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창작자들이 인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성성과 남성성을 단순 도치시키는 방법, 성별의 고착화 된 특성을 희화화해서 웃음을 유발하는 표현방식들은 자칫하다가 기존의 성별 고정관념을 더 강화시킬 수 있으니 경계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위의 페미니즘 접근법과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다양한 전략을 찾기 위해서는 창작자 모두가 수평적 관계에서 협업하며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는 공동창작의 방식이 가장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고는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화 되고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기 위해 창작 주체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들을 짚어봄으로써 페미니즘 공연의 발전에 아주 작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the domestic theater community, a performance in which feminist perspectives are actively embraced is sprouting like a fashion, after the #Me Too declaration by prosecutor Seo Ji-Hyun. In particular, since the late 2010s, feminist performances in Korea have uncovered hidden voices of women and minorities,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at have been overlooked so far were brought to the fore. This provides a time for self-reflection and at the same time unexpectedly brings female creators to the spotlight. The theater community is showing a changed and mature attitude in a very short time; for example, it accepts gender-free casting or gender banding (which obscures the gender distinction) casting as a pleasant turnaround. However, it seems that in order for feminist performances to more stably settle in the domestic performance community, there are things that the creators must consider and discuss. In this paper, three major points are summarized that the creators of feminist performances should consider and be warned against. The first is that in order to three-dimensionally restore the various identities and intersectionalities of women or minorities through performances, a new approach is needed, instead of repeating the existing approach. In particular, when the subject or subject matter in feminist performances is based on real people or events, unlike in other performances, a careful approach is needed. In this case, it seems that the answer can be found in the feminist pedagogical strategy. Second, If the strategies and expressions used in the performances that defy gender dichotomy are clichéd or simple, they can reinforce the existing gender stereotypes, which creators should recognize. Since methods of simply switching between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expressions that mock the stereotyped characteristics of gender to induce laughter may backfire, reinforcing existing gender stereotypes, to which the creators should pay attention. Third, we need to find a variety of approaches about the above feminist approach and how to defy gender dichotomy. To that end, the co-creation method, in which all creators collaborat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present various approaches, seems to be the most useful. This paper explored the points that the creators should consider in order to stabilize domestic feminist performances and open up new horizons. Thus, I believe this exploration can make a very smal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eminist performances.

      • KCI등재

        1970-1980년대 프랑스에 입양된 한인여성의 입양 경험과 초국적 정체성-< 한국뿌리(Racines Coréennes) >의 입양 증언을 중심으로-

        문지영 ( Moon¸ Ji-you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1 사총 Vol.104 No.-

        한국현대사에서 국제입양은 부정할 수 없는 유산이다. 그동안 국내의 일반이주 및 디아스포라 연구는 한인이주 양상을 포괄적으로 다뤄왔던 반면, 한인여성 이주와 젠더와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규명하거나 가시화하는 연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노동이주나 결혼이주 같은 일반이주에서 볼 수 있듯 국제입양에서도 여성의 수와 존재감이 두드러지는 ‘이주의 여성화’ 현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동안 한국현대사와 트랜스내셔널 이주역사에 잊히고 배제되어온 한인입양여성의 삶의 경험과 기억을 역사화 하는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70~1980년대에 프랑스에 입양된 한인여성의 입양 경험과 정체성 형성과 초국적 정체성 수용, 그리고 그들의 ‘엄마 되기’ 과정을 통해 한인입양여성의 삶의 경험과 기억을 역사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랑스한인입양인협회 < 한국뿌리(Racines Coreennes) >의 정기발행지인 「Hamkae(함께)」에 실린 입양여성의 자필 증언과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코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프랑스에 입양된 한인여성의 진짜 목소리에 귀 기울임으로써 트랜스내셔널 이주역사를 다각도로 고찰하고 관련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henomenon of international adoption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is an undeniable legacy. While the studies of general migration and diaspora in Korea have dealt with the pattern of Korean migration in a comprehensive way, the studies of historically identifying or visualizing the relation between Korean female migration and gender have not been properly conducted. As seen in general migration such as labor migration and marriage migration, international adoption also shows a ‘feminization of migration’ phenomenon that the number and presence of women remarkably increases. In this regard, there is needed a multi-faceted research to historicize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Korean female adoptees who have been forgotten and excluded from Korean contemporary history and transnational migration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storicize the lives and memories of Korean female adoptees through the adoption experiences and transnational identity formation of Korean women who were adopted to France in the 1970s and 1980s, and their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To this end, we will analyze the contents of interviews and handwritten testimonies of Korean female adoptees published in Hamkae, a regular publication of the French Korean Adoptee Association < Racines Coreennes >. Through this study, by listening to the real voices of Korean female adoptees in France,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transnational migration history from various angles and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horizons of related research.

      • KCI등재

        일상적 평화 : 미시적 평화담론의 한반도 적용과 의의

        허지영 ( Heo¸ Ji Y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한반도의 평화논의는 남북한의 정치적인 통합에 치중하며 평화의 다양한 개념과 형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통일중심 평화논의를 확장하고자 갈등사회를 살아가는 평범한 개인들이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미시적 차원의 평화적인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에 주목하는 일상적 평화이론을 고찰한다. 국제기구나 서구국가가 중심이 되어 자유주의 체제를 분쟁지역에 일률적으로 이식하는 방식의 자유주의 평화구축에 대한 비평적 성찰을 바탕으로 등장한 개념이 포스트자유주의 평화 담론이다. 평화구축 과정에서 갈등지역의 고유한 역사, 정치,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과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한다. 일상적 평화는 포스트자유주의 담론 중에서도 갈등사회의 가장 미시적인 차원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개인들의 평화적인 행동과 사고방식, 그리고 미시적 차원의 평화활동이 거시적인 사회체제나 구조와 영향을 주고받는 평화의 구성성에 주목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일상적 평화의 정의와 특징을 맥긴티의 이론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정치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에 치중하는 평화이론들과 차별화되는 일상적 평화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확장성에 대해 고찰한다. 일상적 평화이론은 통일이라는 거대 담론을 넘어 한반도의 평화논의를 다양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veryday peace,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varieties of peace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dominant unification discourse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focuses on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Everyday peace refers to the routinized pro-peace and pro-social practices by individuals and collectives living in deeply divided post-conflict societies. Everyday peace, one of post-liberal peace discourses which emerged as a critique of liberal peace, a dominant form of peace-support intervention, occurs in spaces or localities over whic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exercise limited control. Everyday peace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s to go beyond the dichotomies in peace and conflict studies of local vs. global or agent vs. structure. This article closely studies the theory of everyday peace focusing on Mac Ginty’s research, discussing its scalability as well as its limits. As a liberal-local hybrid form of peace, everyday peace can contribute to diversifying the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in South Korea, in which peace is often regarded as political processes for un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