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 젠더이슈의 변화과정 연구

        장지현 ( Jang¸ Jihy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3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한 원조 공여국들에게서 중요성을 더 해 가고 있는 젠더 관련 사업의 중요 이슈들을 파악해서 향후 한국의 젠더 ODA 사업의 효과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통하여 3 시기별 토픽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연구를 위한 시기 구분은 MDGs시기와 SDGs 시기 및 코로나 이후 시기이다. 분석기간은 MDGs 기간은 2010-2015, SDGs 기간은 2016-2020, 그리고 코로나 이후 시기는 2020-2021년으로 하였다. 분석의 한계는 있으나 MDGs 시기와 SDGs 시기 사이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다고 보여진다. 다만, 코로나 시기 이후에는 학술지 논문의 성격상 아직 뚜렷한 젠더 이슈가 부각되어 있지는 못하다. 이는 코로나가 젠더 이슈와 관련성이 없다기 보다는, 아직 학술지 논문으로 많이 발표되지 않은 것이 주된 이유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일정한 시기가 지난 후 보다 많은 학술지에서 코로나 관련 젠더 이슈가 논의되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들이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s ODA project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important issues related to gender which are gaining importance in aid donors including Korea. To this end, topic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for three research periods. Here, the three periods are the MDGs (millennium goals) period, the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period, and the post-Coronavirus period. Although the analysis has limitations, it appear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DGs and SDGs. However, after the Corona period, a clear gender issue has not yet been highlighted due to some reasons. This does not mean that Corona has nothing to do with gender issues, but the author thinks that the issue has not been addressed in many academic papers ye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author also thinks that more meaningful studies will be conducted if the gender issue related to Corona is discussed in the academia.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일-삶 균형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장지현 ( Jang¸ Jihyun ),박재국 ( Park¸ Jaekook ),김은라 ( Kim¸ Eunr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일-삶 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을 파악하고, 교사효능감과 일-삶 균형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향후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일-삶 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일-삶 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 향상을 통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Teacher-Student Interaction. [Method] 251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First,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is positive. Second,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normal. Third, the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s positive. Fourth,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will use it as basic data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work-life balance, and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teachers. Also it can be used as evidence when planning a counseling program for people having difficulties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

      • SCOPUSKCI등재

        Challenges and Improvements of All-Solid-State Batteries

        Jihyun Jang Korean Chemical Society 2023 대한화학회지 Vol.67 No.3

        The development of all-solid-state batteries (ASSBs) has been gain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their potential to offer higher energy densities, improved safety, and longer cycle life compared to conventional lithium-ion batteries. However, several challenges must be addressed to achiev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SSBs, such as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solid-state electrolytes, stable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s, and cost-effective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is review paper, we present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e of ASSB research, including recent progress in solid-state electrolyte and cathode/anode materials, and cell architecture. We also summarize the recent advancements and highlight the remaining challenges in ASSB research, with an outlook on the future of this promising technology.

      • KCI등재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재난안전인식과 안전문화가 기관안전도에 미치는 영향

        장지현(Jang, Jihyun),송영지(Song, Youngji),김내현(Kim, Nahyun),이원익(Lee, Wonik)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재난안전인식과 그 조직의 안전문화가 시설의 안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안전문화는 시설의 안전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난안전인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복지시설의 안전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종사자 개인의 인식을 높이는 것보다 조직 차원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더욱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aster safety awareness among employees and institutional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employees of such facilities in Busan.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safety cult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fety of the facilities, but disaster safety awar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implied that to improve the safety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developing a safety culture is more important than changing individual awareness.

      • KCI등재

        재난피해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지현 ( Jihyun Jang ),이원익 ( Wonik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여성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피해 여성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구축한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 추적조사’ 3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재난피해 경험이 있는 여성 854명의 자료를 기초통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가구 월 평균 소득이 재난피해여성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난피해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공동체 스스로의 힘으로 또는 외부자원의 적절한 동원을 통하여 사회적 지지 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재난지역의 경제회복을 위하여 지역차원의 종합적인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am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s. The 3rd wave data from the Life Change Panel study of Disaster Victims colle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 total of 854 women’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and household income we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fter experiencing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mong female victims. Suggests were addressed that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 and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among disaster victims and local economy recovery.

      • KCI등재후보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피이드백 루프 탐색과 정책시뮬레이션

        장지현(Jang, Jihyu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7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교육경쟁력에 대한 기존의 접근방법들이 단선적인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과는 달리 시스템관점에서 접근하여 교육경쟁력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이를 인과론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교육경쟁력이라는 시스템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피이드백 루프를 탐색하고 아울러 이를 활용하여 향후 정책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잠재적 모형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경쟁력 시스템을 인과지도로 나타내고 모두 10개의 피이드백 루프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피이드백 루프는 향후 정책지렛대를 발견하여 구체화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서 세 개의 정책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교육경쟁력 미래 추정 값의 분포를 산출하여 보았다.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causal diagrams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educational competitiveness using systems thinking approach, to discover the diverse reinforcing and balancing feed-back loops included in the diagrams to explore policy leverages facilitating policy process regard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policy, and to put forward alternative policy tools by which the policy measures to strengthen educational competitiveness could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pplied to stake-holders concerned.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in this analysis are systems thinking approach and sensitivity analysis based on system simul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 couple of positive (reinforcing) feed-back loops and balancing feed-back loops were discovered in the causal maps construc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ffect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ese feed-loops can be utilized to find out policy leverages to make policy process relating to educational competitiveness easy and effective. It is hoped that the estimation results which have been derived from sensitivity analysis and policy simulation could be of benefit to educational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as well.

      • KCI등재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노동환경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장지현(Jihyun Jang),최상연(Sangyun Choi),황채은(Chaeeun Hwang),김진현(Jinhyun K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21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58

        특수형태근로종사자는 일반적인 직종에 비해 다양한 사회안전망의 대상에서 벗어나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다. 불안정한 고용상태는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선행연구들은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법적 지위 개선 측면만 다루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노동환경이 그들의 주관적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17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조사한 제5차 근로환경조사에 포함된 특수형태근로종사자 1,128명을 대상으로 노동환경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정서적 환경과 일·가정양립 환경이 좋고, 근로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파도 일한 경험을 가질수록 주관적 건강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물리적 환경은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건강을 위한 안정적인 노동환경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have been more instable due to exclusions from various social safety net than workers in general types of employment. Despi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ecure employment status and health, previous studies regarding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had limitations because they tended to focus on legal issues.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labor environment on self-rated health among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For data analyses, this study utilized 1,128 samples from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in 2017.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environment, work and life balance environment, and higher satisfaction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tter self-rated health. On the other hand, coming to work while sick significantly predicted worse self-rated health.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s and self-rated health were found. Based on these findings, ways of enhancing secure employment environments for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SC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