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Disruption of rsmA Gene of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LY34 and Effect on Pathogenicity

        Kim, Min Keun,Kang, Tae Ho,Kim, Sung Kyum,Jeong, Yu Seok,Yun, Han Dae,Kim, Hoon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 2012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5 No.6

        The rsmA gene was cloned from soft-rot bacterium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LY34 (Pcc LY34), and its role in pathogenicity was investigated by marker exchange mutagenesis. From a cosmid library of Pcc LY34 genomic DNA, a positive clone carrying the rsmA gene was selected, and the gene was clo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The gene is 186 bp in size and encodes a protein of 62 amino acids with a predicted molecular mass of 6,839 Da. The calculated pI of the RsmA is 8.16. The phylogenetic tree showed that the RsmA of Pcc LY34 appeared genetically identical to the CsrA of Pectobacterium atrosepticum SCRI1043 (100% identity) and similar to the CsrA of Yersinia pestis KIM10+(98.3%). The gene was disrupted by the $Km^r$ gene, and the cells became mutated (i.e., $RsmA^-$ mutant). The pathogenicity test revealed that the disease rating of the $RsmA^-$ mutant only differed slightly from that of the wild type on a slice of potato tuber and a Chinese cabbage stalk. These results suggest that RsmA is not an essential factor for the pathogenicity of Pcc LY34 and that the rsmA gene of Pcc LY34 is not completely derepressed in the $RsmA^-$ mutant for virulence-related genes, contrary to the results of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RsmA^-$ mutant, which proved hypervirulent for celery petiol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icro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host and/or strain of pathogen are important for the coordination of virulence gene expression.

      • 제 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위장관 간질종양 1예

        원경준,이준,변유미,조민근,한경택,김원,홍란,임성철,김경종,김영대,박찬국,김만우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7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2 No.2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is the most common non-epithelial neoplasm arising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ut this tumor is rarely seen in association with type l neurofibromatosis (NFl) Generally, the majority of GISTs are isolated neoplasm and they are sporadically found in the stomach, but the GISTs in NFl patients are usually multiple and usually found in the small intestine. We report a case of multiple GISTs in the jejunum of a 63-year-old woman diagnosed as NFl accompanied by complication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this case, Patient had multiple cafe-au lait spots and neurofibroma on skin and had freckling on axilla and groin, and then, we made a diagnosis of NFl. Gastrointestinal bleeding is controlled by resection of multiple GISTs. Generally, only 3-5% of all gastrointestinal bleeding comes from the small bowel. Causes of small intestinal bleeding are angiodysplasia, neoplasm, NSAIDs induced ulcer etc. but, If patients have NFl accompanied by complication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GISTs on small bowel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Protect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against FK506-induced damage in LLC-PK1 cells

        Lee, Dahae,Kang, Ki Sung,Yu, Jae Sik,Woo, Jung-Yoon,Hwang, Gwi Seo,Eom, Dae-Woon,Baek, Seung-Hoon,Lee, Hye Lim,Kim, Ki Hyun,Yamabe, Noriko The Korean Society of Ginseng 2017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41 No.3

        Background: Compound FK506 is an immunosuppressant agent that is frequently used to prevent rejection of solid organs upon transplant. However, nephrotoxicity due to apoptosis and inflammatory response mediated by FK506 limit its usefulness. In this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KRG) against FK506-induced damage in LLC-PK1 pig kidney epithelial cells was investigated. Methods: LLC-PK1 cells were exposed to FK506 with KRG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Western blotting and RT-PCR analyses evaluated protein expression of MAPKs, caspase-3, and KIM-1. TLR-4 gene expression was assessed. Caspase-3 activities were also determined.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was measured using an image-based cytometric assay. Results: The reduction in LLC-PK1 cell viability by $60{\mu}M$ FK506 was recovered by KRG co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phosphorylation of p38, p44/42 MAPKs (ERK), KIM-1, cleaved caspase-3, and TLR-4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markedly in LLC-PK1 cells treated with $60{\mu}M$ FK506.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p-ERK, elevated levels of p-p38, KIM-1, cleaved caspase-3, and TLR-4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cotreatment with KRG. Activity level of caspase-3 was also attenuated by KRG cotreatment. Moreover, image-based cytometric assay showed that apoptotic cell death was increased by $60{\mu}M$ FK506 treatment, whereas it was decreased after cotreatment with KRG.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lecular mechanism of KRG in the FK506-induced nephrotoxicity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an adjuvant for the inhibition of adverse effect FK506 in the kidney.

      • SCIESCOPUSKCI등재

        Protect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against FK506-induced damage in LLC-PK1 cells

        Dahae Lee,Ki Sung Kang,Jae Sik Yu,Jung-Yoon Woo,Gwi Seo Hwang,Dae-Woon Eom,Seung-Hoon Baek,Hye Lim Lee,Ki Hyun Kim,Noriko Yamabe 고려인삼학회 2017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41 No.3

        Background: Compound FK506 is an immunosuppressant agent that is frequently used to prevent rejection of solid organs upon transplant. However, nephrotoxicity due to apoptosis and inflammatory response mediated by FK506 limit its usefulness. In this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KRG) against FK506-induced damage in LLC-PK1 pig kidney epithelial cells was investigated. Methods: LLC-PK1 cells were exposed to FK506 with KRG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Western blotting and RT-PCR analyses evaluated protein expression of MAPKs, caspase-3, and KIM-1. TLR-4 gene expression was assessed. Caspase-3 activities were also determined.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was measured using an image-based cytometric assay. Results: The reduction in LLC-PK1 cell viability by 60mM FK506 was recovered by KRG co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phosphorylation of p38, p44/42 MAPKs (ERK), KIM-1, cleaved caspase-3, and TLR-4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markedly in LLC-PK1 cells treated with 60mM FK506.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p-ERK, elevated levels of p-p38, KIM-1, cleaved caspase-3, and TLR-4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cotreatment with KRG. Activity level of caspase-3 was also attenuated by KRG cotreatment. Moreover, image-based cytometric assay showed that apoptotic cell death was increased by 60mM FK506 treatment, whereas it was decreased after cotreatment with KRG.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lecular mechanism of KRG in the FK506-induced nephrotoxicity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an adjuvant for the inhibition of adverse effect FK506 in the kidney.

      • 부산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 2015년도 신라대학교 '부산의 하루'수강생 설문조사 결과 분석

        김대래, 유명길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7 부산연구 Vol.15 No.1

        '부산의 하루'를 수강하는 신라대학교 재학생 가운데 부산에서 출생한 185명을 대상으로 별첨의 설문조사를 한 결과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수강생의 절반이 1학년이었으며, 남학생이 선호하는 과목이었다. 이 과목 이전에 부산에 관한 교육은 거의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은 부산인구의 규모에 대해서는 실제인구보다 약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앞으로 부산에 생겼으면 하는 것으로 공원과 광장이 가장 높은 선택을 받았다. 앞으로 부산에 생겼으면 하는 것으로 공원과 광장이 가장 높은 선택을 받았다. 둘째, 부산하면 떠오르는 것으로는 해운대>광안대교>광안리해변>서면>벡스코 순이었다. 타지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곳으로는 광안대교>해운대>서면>불꽃놀이>롯데야구 순이었다. 부산의 대표적인 으식으로는 돼지국밥>생선회>밀면>동래파전 순이었다. 셋째, 부산의 정체성 가운데 해양성과 해양성의 속성으로서 투박성과 인정미를 중점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존의 이해와 대체로 부합되는 답변이 많았다. 시끄럽고 거칠지만 인정이 많고 의리가 있다고 학생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질서의식과 배려를 살펴 본 바 질서의식은 높지 않은 것으로 타나났다. 줄서기나 쓰레기 버리기 등에서 부정적인 평가가 긍정적인 평가보다 많았다. 그러나 배려와 양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하였다.

      • 딸기 비가림 포트 육묘 시 자묘의 유인 위치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대영,김승유,이희수,이선이 忠北大學校 農業科學硏究所 2015 農業科學硏究 Vol.31 No.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growth in response to position of daughter plant of strawberry (Fragaria×ananassa)‘Seolhyang’ during the pot nursery in rain shelter. Mixture of soil mother material medium and rice hull(1:1, volume/volume) and commercial medium were used for nursery medium. Uniform daughter plants of about 2.5 expanded leaves were placed on the center and the side of pot and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daughter plants after 60 days. As a result, daughter plants on the side of po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otal fresh weight, number of primary root, root weight, and crown diameter which is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lantlet quality. Number of primary root, root weight, and crown diameter of daughter plants on the side of pot compared to those on the center of pot were increased to 3% and 11%, 7% and 41%, and 5%,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root zone using the root analysis system, the total root length, root surface area and root volume of daughter plants on the side of pot compared to those on the center of po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ose differences were greater in the commercial medium compared to the mixture of soil mother material medium and rice hull(1:1, volume/volume). Thus, it is expected to be improved the plantlet quality of daughter plants and increase the production ratio of high-quality plantlet when daughter plants were placed on the side of pot during the pot nursery in rain shelter.

      • 2017년도 2학기 신라대학교 재학생의 부산인식 설문조사의 분석

        김대래, 김상권, 유영명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8 부산연구 Vol.16 No.1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s of 90 students born in Busan who are attending Silla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7. In religion, 65.6%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are non-religious, followed by Buddhism with 18.9%. Protestantism 13.3% and Catholicism with 2.2%. Surveyee’s fathers’ hometown was Busan(45.6%), Gyeongnam(30%), Daegu·Gyeongbuk(4.4%) and Honam·Jeju(4.4%). Mothers’ hometown was Busan(47.8%), Gyeongnam(28.9%), Daegu·Gyeongbuk(6.7%) and Honam·Jeju(4.4%). In terms of baseball games, 2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ve never watched baseball game. 23.3%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ve watched it once, and 16.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atched baseball games twice. 20% of students never visited overseas. In the survey of favorite drinks, coffee was 32.2% the highest. Sports beverage and cola were the second most popular drinks after coffee. I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representative food of Busan, pork rice soup, fish cake, wheat noodle, seed hoddok were ranked high in order. In the survey of where you want to show to your friend from outside of Busan was Gwangalli>Haeundae>Seomyun>Centum City>Lotte baseball game<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the questionnaire of what kind of new facilities do you want in Busan was parks>extreme stadium>bungee jumping site>dome baseball complex>hang glider>opera house. I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participation in the Busan international festival in 2017, 65.6% of the students said they did not participate. And 24.4% said that they do not want to participate in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2018. 41.1% responded that they have never thought participating the festival. Inquiry into the perception of Busan people’s disposition showed that they boast their successes, and think that age works as one of important social status. At the same time, the students believed that people in Busan are honest, smily and kind, and quick to greet others. Moreover, the students thought that Busan people are energetic and loyal and do not hold grudges. However, they believe that Busan people are loud, impetuous, curt, and irascible, and drive recklessly. 2017년도 2학기 신라대학교에 재학 중인 부산출신 90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종교는 65.6%의 학생들이 무교라고 응답을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불교가 18.9%였다. 개신교가 13.3% 그리고 가톨릭이 2.2%였다. 아버지의 고향은 부산이 45.6%, 경남이 30%, 대구경북이 4.4% 그리고 호남제주가 4.4%였다. 어머니의 고향은 부산이 47.8%, 경남이 28.9%, 대구경북이 6.7%, 호남제주가 4.4%였다. 프로야구 관람횟수를 보면 응답자의 20%가 한 번도 본적이 없으며 1번 보러 간 학생이 23.3%, 2회 본 학생이 16.7%로 나타나고 있다. 해외여행의 경험을 묻는 설문응답을 보면 응답자 의 20%가 해외여행 경험이 없다고 하였다. 즐겨 마시는 음료는 커피가 32.2%로 가장 선호하는 음료였고 그 뒤를 스포츠음료와 콜라가 비슷한 비율로 따르고 있다. 부산사투리의 사용에는 대체로 관대하였다. 부산의 인구가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는지 적어보라는 설문에 대한 응답은 근사치인 350만명이라고 답한 학생은 12.2%에 불과하였다. 대형쇼핑몰이 입점하는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가 하는 설문에는 65.6%가 그렇다고 답하였다. 부산의 대표음식으로는 돼지국밥>어묵>밀면>씨앗호떡>파전순이었다. 외지에서 오는 친구에게 소개하고 싶은 부산의 장소는 광안리>해운대>서면>센텀시티>롯데야구>해안순환대교 순이었다. 부산에 새로 생겼으면 하는 것으로는 공원>익스트림 경기장>번지점프>돔야구장>행글라이 더>오페라하우스 순이었다. 부산국제영화제에 가본 적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65.6%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2018년도 국제영화제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24.4%가 없다라고 응답하였으며, 41.1%가 생각해 보지 않았다고 하여 국제영화제에 참여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과 거의 같은 비율을 보였다. 부산사람들의 기질을 분석한 결과 부산사람들은 자기자랑을 많이 하고, 나이를 잘 따지며, 남의 일에 간섭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잘난체 하는 경향도 약하지만 확인되었다. 그런 반면 부산사람들은 솔직하고 웃는 얼굴을 하고 있으며 친절하고 인사를 잘 하는 것으로 대학생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아울러 부산사람들의 성격은 화끈하고 활기차며 뒤끝이 없고 의리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런 반면 부산사람들은 목소리가 크고, 성격이 급하며, 무뚝뚝하고 화를 잘 내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운전습관도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2017년 하반기 신라대학교 ‘부산의 하루’ 수강생 및 재학생 대상 설문조사의 분석(Ⅰ) : 종교, 부모의 고향 그리고 부산의 발전과 미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김대래, 장희정, 유영명, 박희정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8 부산연구 Vol.16 No.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 about 212 people born in Busan, non-religion was the most with 61.8%, 20.3% Buddhism, 10.4% Protestant and 6.1% Catholic. These ratios were roughly similar to those of the past. However, the proportion of Buddhism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past, and the proportion of Catholicism was high. Fathers’ hometown was Busan (53.3%) and Gyeongnam (29.7%). Daegu and Gyeongbuk were 4.2% and 4.7% respectively. mothers's home is Busan's 51.4%, and Gyeongnam's 25%, so Busan and Gyeongnam has an overwhelming weight. There was a positive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on the development and future of Busan. It was optimistic that the questionnaire on 'what will happen to the development of Busan in 10 years' would be much better. The answer of "Yes" was much superior to the question "The future of Busan is bright." Only 13.2% of respondents said “No” to the question. However,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normal" was 39.2%. Overall, respondents were still brightly looking at the future of Busan, even though they knew there were not many jobs.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about safety and environment in Busan were mixed. While the rate of feeling safe about terrorism was not high, the risk for nuclear power plants, earthquakes and typhoons was felt to be higher.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negative perceptions in the environmental survey. Negative responses predominated in all environmental questions.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air, water and cleaning of Busan. Busan's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questionnaires had many negative responses. Although respondents who were the first grade in college may have difficulty in responding to the survey, many responded to the decision, but in general, there were more negative responses in the questionnaires on politicians, administration, and public officials. Busan's traffic-related questionnaire was positive. Transportation routes, fare, and transportati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on Busan's culture and arts, and whether Busan is a good city to live in, were positive. Students did not think that Busan's culture and arts level was low, and Busan was perceived as a beautiful and livable city. The recognition of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is noteworthy because it is contrary to the general belief that Busan is a barren and not a good place for culture and arts. 부산출생자 212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종교는 무교가 61.8%로 대부분을 점하는 가운데 불교 20.3%, 개신교 10.4%, 가톨릭 6.1%였다. 이러한 비율은 과거의 조사와 대체로 비슷하였다. 다만 불교의 비중이 과거의 조사에 비해 다소 낮았고 가톨릭의 비중은 높았다. 아빠의 고향은 부산이 53.3%, 경남이 29.7%로 압도적으로 부산/경남이 점하고 있었다. 대구/경북은 4.2%, 호남/제주는 4.7%였다. 엄마의 고향은 부산이 51.4%, 경남이 25%로 역시 부산/경남이 압도적인 비중을 점하고 있다. 부산의 발전과 미래에 대한 설문은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10년후 부산의 발전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설문에는 대부분 더 나아질 것이라고 응답을 하여 낙관적인 전망을 보였다. ‘부산의 미래는 밝은가’라는 설문에 대해서도 ‘그렇다’는 응답이 훨씬 우세하였다. ‘그렇지않다’는 응답은 13.2%에 불과하였다. 다만 ‘보통이다’는 응답비율이 39.2%로 상당히 높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응답자들은 일자리가 많이 없다는 것을 알고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산의 미래를 아직은 밝게 보고 있었다. 부산의 안전과 환경에 대한 설문 응답은 엇갈린 응답이 나왔다. 테러에 대해서는 안전하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던 반면, 원전과 지진 그리고 태풍에 대해서는 그로 인한 위험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경과 관련된 설문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환경 관련 모든 문항에서 부정적인 응답이 우세하였다. 응답자들은 부산의 공기, 물, 청소 등이 좋지 않다고 판단 하고 있었다. 부산의 행정과 정치에 관한 설문은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대학 1학년이 주축인 응답자들에게는 다소 어려운 설문들일 수도 있어 판단을 유보한 응답이 많았지만 대체로 정치인과 행정 그리고 공무원 등에 관한 설문에서 모두 부정적인 응답이 더 많았다. 부산의 교통관련 설문은 긍정적이었다. 교통노선, 요금 그리고 교통수단간의 연계 등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부산의 문화와 예술 그리고 부산이 살기좋은 도시인가 등에 관한 설문결과는 긍정적인 응답이 우세하였다. 학생들은 부산의 문화예술 수준이 낮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부산이 아름답고 살기좋은 도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신라대학교 재학생들의 인식은 일반적으로 부산이 문화예술의 불모지이고 아름답지 않다는 통념과는 반대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관해서는 좀 더 장기적으로 그리고 타대학 학생들의 설문과 비교하면서 그 의미를 이해해 보아야 할 것이다.

      • 부산 출생 대학생들의 부산인식1 : 2017년도 설문조사의 분석(Ⅰ)

        김대래, 유명길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7 부산연구 Vol.15 No.1

        2017년도 부산출생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출생연도는 1998년도 출생이 전체의 29.4%로 가장 많았다. 아버지의 고향은 부산이 48.9%, 경남이 22.6%로 두 지역 춠니이 전체의 71.5%를 점하였다. 어머니 고향에서도 부산이 51.6%, 경남이 22.6%로 압도적이었다. 해외여행 경험이 없는 응답자가 전체의 28.2%를 차지하였고, 2회 이상의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약 40%를 차지하였다. 부산을 대표하는 주요 컨텐츠인 국제영화제에 참여한 경험이 전혀 ㅇ벗는 응답자가 약 55.6%인 것으로 나타나 주최측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부산시를 대표하는 주요 스포츠인 야구경기 관람에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월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부산의 상징으로 부산하면 떠오르는 키워드를 쓰도록 한 설문에서는 압도적 다수가 바다를 떠올렸으며, 부산을 대표하는 음식에 대한 설문에서는 돼지국밥>어묵>밀면>씨앗호떡>동래파전>생선회 순으로 신세대의 취향이 음식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외지인에게 구경시켜 주고 싶은 곳은 광안리>해운대>서면>센텀시티>자갈치시장>국제영화제>불꽃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산의 미래에 대한 전망에서 대학생들은 대체로 낙관적이었으며, 부산에 새로 생겼으면 좋은 것에 대한 조사에서 공원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스포츠 관련 시설들을 꼽았다. 부산의 인구규모를 써보라는 설문에서 학생들은 부산의 인구를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자신이 사는 곳에 대형쇼핑몰이 입지하면 그 지역이 발전할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넷째, 응답자들은 대체로 부산시민의 성격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미에 대해서는 비교적 호의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산시의 정치행정, 안전, 공중질서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부산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부산 출생 대학생들의 부산인식2 : 2017년도 설문조사의 분석(Ⅱ)

        김대래, 유명길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7 부산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부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도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아내고 이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도시의 특징에 대해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첫 번째는 한 도시의 매력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경제 수준, 정치행정, 문화예술, 그리고 안전성으로 분류하였고, 주 번째로 시민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공중질서, 의식수준, 인간미, 기질 그리고 타인에 대한 배려심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도시의 전반적인 특성이 맍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경제와 문화예술의 발전정도는 도시에 대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전성과 정치행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문화예술수준이 도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젊은 세대를 정착시키고 다른 도시로 이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문화예술과 연관된 다양한 인프라 구축을 포함한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시민의 일반적인 특성이 만족에 미치는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인간미, 기질, 타인에 대한 배려심은 5%의 유의수준에서 도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의식수준은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중질서는 도시에 대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