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verseas Business Development in Emerging Market Environment

        Chanhi Park(박찬희) 한국경영사학회 2011 經營史學 Vol.57 No.-

        본 연구는 신흥시장 환경에서의 해외사업 개발 전략을 1990년대 대우의 우즈베키스탄 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시장에 대한 신뢰성 있는 공개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해외사업을 맡은 경영자는 현장의 사업을 진행하면서 정보를 얻고 경험을 쌓아가는 경우가 많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업 관계에서 신뢰를 쌓기 시작하면 예전에는 까다롭던 규제적 요인들도 의외로 쉽게 해결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의 국제경영학, 경영전략 분야 의 연구들은 이와 같은 신흥시장 특유의 여건을 활용한 창의적이고 차별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는데, 대우의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일련의 해외사업 활동들은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본 연구는 대우가 우즈베키스탄에서 자동차 사업을 시작으로 통신, 전자 등의 분야로 범위를 넓혀가는 일련의 역사적 과정을 저자의 직접 관찰과 현장 인터뷰, 회사 내부자료 등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시장개척과 사업개발의 과정은 신흥시장 특유의 환경에 대응한 한국 기업 고유의 경쟁력 요인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기업 내부 자료와 관계자 인터뷰 등을 통해서 경영사학 분야의 방법론적 다양성을 높이는데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y of the overseas business development in the emerging market environment. Due to the limits of the codified information about the market, the global managers cannot solely rely on the market analysis prepared behind the desk. The strict regulatory barriers often crumble once the government authorities trust the business developers. These ar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emerging market environment. The history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Daewoo and the Uzbekistan demonstrates the unique features of the emerging market environment. Starting from the automobile business, Daewoo extended its business scope to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consumer electronics.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and the personal observ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business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emerging markets, and the possible competitive edges of the Korean firms in the emerging market environment. Relying on the internal documents and the personal interview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ethodological variety of the business history field.

      • KCI등재

        3D 실감영상 발전 시나리오와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박찬희(Chanhi Park),김준호(Joon Ho Kim) 문화방송 2011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2 No.3

        3D 실감영상은 모노에서 스테레오로, 흑백에서 컬러로의 전환에 비견되는, 경제·문화·사회 전반에 걸쳐 비약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영화에서 시작된 3D 실감영상은 이제 TV, PC, 휴대폰 및 게임기 등으로 확산되었다. 영화관과 달리 TV, PC, 휴대폰 및 게임기 등은 보완재의 숫자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제품의 가치가 증가하는 간접 네트워크 효과가 존재하는 양면시장이다. 따라서 보완재와 관련한 제휴 및 경쟁 분야의 다양한 전략적 이슈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D 실감영상 생태계 발전 시나리오 작성을 통해 3D 실감영상으로 인한 산업구조의 변화를 전망하고 전략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PC 산업과 스마트폰 산업에서 발생한 개방형 플랫폼 중심으로의 생태계 재편 현상이 3D 실감영상 생태계에서도 발생할 것인지와 발생했을 경우 경쟁 및 협력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관해 가능한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미리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3D 실감영상 콘텐츠 유통 플랫폼과 2D 영상 콘텐츠 유통 플랫폼의 경쟁, 방송 플랫폼과 동영상 포털 등의 경쟁이 진행되면서, 플랫폼 흡수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전략적 이슈를 시나리오별로 도출한다. 3D visual contents is expected to bring dramatic ripple effect in economy, culture and society like the change from mono to stereo sound or black to color movie. 3D visual contents started from movies has expanded to TV, PC, smart phone and portable game machines. Unlike movies, TV, PC, smart phone are two-sided market with indirect network effect. Therefore various strategic issues of allinace and competition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volutionary changes in the 3D visual content eco-syste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proposes the future scenarios of the 3D visual content eco-system. The nature of this discontinuous change is carefully investigated through the scenario analysis. Relying on the stratified analysis using pair-wise compariso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significant decision variables. The multi-dimensional scenario analysis is expected to help the researchers and the industry insiders draw the strategic implication. The instrumental role of the production capabilities and experience validates the significance of the government policy support as well as the cooperative efforts among the firms.

      • KCI등재

        미디어 생태계 변화와 참여기업의 정책적 시사점: 플랫폼 전략의 관점에서

        박찬희 ( Chanhi Park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4

        ICT산업은 CNPT(Contents - Network - Platform- Terminal)가 서로 맞물린 생태계를 이루어 진화하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제작과 유통, 소비 또한 마찬가지인데, 스마트 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전개되는 새로운 환경에서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바탕으로 사용자 접점(user interface)를 확보한 사업자가 주도권을 행사하게 된다.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모바일 단말기의 광범한 보급은 이러한 생태계적 변화의 중요한 동인(driver)이다. 모바일 기기의 광범한 보급으로 인해 사용자의 주도적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미디어 콘텐츠의 확보와 공급이 핵심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 플랫폼 환경은 융복합 콘텐츠 생성을 위한 콘텐츠 처리능력을 요구하는데,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감을 충족하는 실시간 대응력이 핵심이다. 미디어 콘텐츠를 접속하여 소비하는 OTT(Over the Top)은 기존의 사업 주도권의 구조가 바뀌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사업적 주도권의 핵심에는 사용자 접점(User Interface)를 누가 장악하느냐의 과제가 있으며, 사용자 체험(User Experience)은 이러한 사용자 접점의 방향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콘텐츠의 제작과 공급, 네트워크를 통한 전달과 소비가 과거에 비해 훨씬 쉽게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글로벌 플랫폼을 추구하는 미디어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물리적 전달의 부담이 크게 덜어진 콘텐츠의 성격은 개방과 공유의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쉽게 만들며, 국경을 넘는 콘텐츠의 소비와 공급에도 훨씬 유리한 여건을 제공하게 되었다. 관련 기업들은 이러한 여건에서 차별화된 콘텐츠의 확보,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최적화된 콘텐츠의 가공을 도모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맞춘 개별화된 콘텐츠 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생태계적 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적절한 보조금 혹은 무료정책 또한 중요한 부분이다. 모바일과 OTT플랫폼에 걸쳐서 콘텐츠를 짧은 시간에 전송하고 배급하는 사업협력 모델이 절실하며, 특히 멀티플랫폼 모델의 등장은 더욱 복잡한 전략적 선택을 요구하고 있다. 양면시장과 플랫폼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ICT산업의 생태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사업적 주도권이 전개되는지에 대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양한 사업자와 사용자가 맞물린 관계 속에서 어떻게 가치가 만들어지는지, 이러한 가치창출을 매개하는 사업자가 어떻게 사업적 주도권을 확보하는지 보여준다.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역시 이러한 이론적 틀에서 설명될 수 있다. SNS와 결합된 스마트 미디어 플랫폼은 미디어 생태계의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기회와 위협을 던져주는데, 이와 관련된 본격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형편이다. 일반 대중의 미디어 소비패턴과 달리 일부 현상만이 과도하게 확대되어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양상을 돌아보고 미디어 기업, 특히 통신서비스 사산업자의 관점에서 전략적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기업들의 전략적 선택과 실행을 문헌연구와 인터뷰를 통해 추적하였으며, 주요 기업들의 컨설팅 보고서와 이에 대한 회의내용, 경영진의 코멘트를 함께 검토하였다. 또한, 특정 사안에 대해서 제기될 수 있는 복수의 대체적 가설을 검토하여 주관적 편향성을 제어하고자 노력했다. 관련 분야의 연구들을 주요 기업들의 사례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살펴본 결과, 본 연구는 세 가지의 핵심적 논점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미디어 플랫폼 생태계 내 생존을 위해서는 차별화된 콘텐츠의 확보가 절실하다. 둘째, 가상현실 기술의 대중화로 관련 콘텐츠 개발 및 제작, 유통을 활성화시킬 것이다. 셋째, 생태계적 변화에 맞춘 가격정책과 프로모션 정책이 필요하며, 이는 관련 참여자들 사이의 네트워크 효과에 대한 정교한 분석에 근거해야 한다. 본 연구는 콘텐츠, 단말기, 네트워크 등 부분적 수준에서 논의되는 현재의 미디어 생태계에 대한 논의에 있어 통합적 분석의 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사례들에 대한 심층 분석이 이루어지면 더욱 타당성이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CT ecosystem is an outcome of evolution. A vareity of business partners and users interact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ecosystem of CNPT(Contents - Network - Platform - Terminal). The same logic is applied to the media business. Prevalent use of the `personal media device` has changed the landscape of media consumption pattern. At the core of the value chain is the mobile contents which make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In the business eco-system of CNPT, a player capturing user-interface enjoys platform leadership. Why was camera included in the smart phone? Why wasn`t the communication function to the camera? User experience has a pivotal role in the formation of user interface. Why does smart phone companies sponsor TV dramas or movies? With so many heart-pounding memories related with the smart phone, user experience grows in the minds of users. What is the reason for the Hyundai Moror Comapny`s aggressive sponsorship to the art exhibitions? With the rise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connected vehicle (coupled with the electronic vehicle), Hyundai Motor Company need to build premium user experience (in turn, premium user interface) through the artistic event. Without its own operating system and processor, it needs to highlight design capavilities. Transmission and consumption of digital media contents do not have as high barrier as traditional contents with the smaller need of physical delivery. OTT(Over the Top) is the illustrative case of the competition toward the platform position. Only with the valid business model (including partnership structure), business participants cannot sustain their position in this rapid change. Prevalence of mobile devices has brought a significant change in media eco-system. Contrary to the traditional media eco-system led by the media firms, media users have much stronger initiative. Without meaningful contents, traditional media firms cannot sustain their position. Convergence of media devices pose another threat (as well as opportunity). Globalization of the ecosystem is a natural outcome. Digitalization of media contents has lowered the barrier of physical delivery and censorship. `Open and shared` communication is the other face of this change. Hegemony of the traditional media is threatened. Players in the changed business eco-system are trying to build platform leadership by capturing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Recent development in industrial economics provide meaningful insights. Theories about network externality and cross-side network externality explain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value in the media eco-system. Evolution of platform in the media eco-system is also explained by this theoretical frame. Prevalence of SNS also pose big opportunity and threat to the various participants of media eco-system.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ritical features of this change, and propose the strategic implication for the various participants in the ecosystem. The focus of analysis will be laid on the role of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Based on the liaterature review, there was a critical review of company reports (internal reports, consulting reports, meeting minutes, and mangement memos). Interview with the working managers were also included. In order to avoid sujective construal, this study tried to validate the various data points and observation points through careful triangul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pose a couple of key ideas. Firstly, faced with the growing diversity of media devices and content providers, securing killer contents which lea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should be the biggest challenge. Secondly, in the short-run, VR(virtual reality) will mak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reative as well as executive production. Thirdly, pricing and promotion of the business participants require rigorous economic analysis on the network externality and cross-side network externality.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integrated view over the media ecosystem. A wider range of case analysis will make up various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중개형 플랫폼의 성장과 지원정책

        박찬희(Chanhi Park)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2 전자무역연구 Vol.20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개형 플랫폼으로서 종합무역상사가 정부의 지원정책을 활용하여 양면 시장에서 플랫폼의 지위를 확대하고 네트워크 효과와 교차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종합무역상사 지정과 제도적 지원이 주는 시그널링(signaling)효과와 함께 해외법인에 부여된 현지금융과 외환관리의 재량이 어떻게 종합무역상사의 활동과 계열기업을 포함한 사업포트폴리오 재편에 활용되었는지 살펴본다. 해외 주요거점에 집중된 외화자금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위한 투융자에 활용된 점도 살펴본다. 논문구성/논리: 연구의 전반적 내용과 구조에 대한 설명에 이어 (제I장), 종합무역상사 사업모델의 진화를 이론적 틀에서 조명하였다(제II장). 제III장에서는 종합무역상사에 대한 정책지원이 구체적 경영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문헌자료와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다. 특히, 환경변화가 주는 전략적 과제를 플랫폼 흡수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제IV장에서는 본 연구가 주는 정책적 의미와 학문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제V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 정리하고 연구의 의미와 한계,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결과: 양면 시장과 플랫폼 전략의 관점은 종합무역상사의 제도적 배경, 구조와 전략에 대해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부의 정책은 국내 수출입 절차와 금융에 대한 직접적 지원과 함께 국내외 관계자들에게 지원의 의지를 입증하는 효과가 있었고, 해외법인의 현지활동에 있어 정부와 기업, 금융사가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해외법인의 현지금융은 중개형 플랫폼의 입지를 강화하고 관련 기업들의 네트워크 효과를 확대시켰다. 독창성/가치: 기존의 종합무역상사에 대한 연구들이 제도의 변화나 상사 활동의 경쟁요인에 초점을 둔 반면, 본 연구는 산업경제학과 경영전략의 연구를 바탕으로 중개형 플랫폼으로서 종합무역상사의 사업모델과 가치창출 과정을 밝혔다. 정책지원이 경영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종합무역상사와 계열기업에 있어 현지금융이 수행한 역할을 밝힌 점, 특히 주요 거점에 외화를 집중시켜서 금융역량을 확대한 과정을 살핀 점은 본 연구의 공헌이다. Purpose: Based on the ideas of two-sided market and platform intermediary,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s in the evolution of General Trading Companies(GTC). As part of the export-driven growth strategy,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various privileges to GTCs. Contrary to the role of export-financing program,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signaling implication and the privileges for the overseas activities. Pooling of financial resources in the selected overseas subsidiaries also need further atten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ontribution of these activities in the evolution of GTC platform. Composition/Logic: Following the general overview of the study (Chapter I), Chapter II analyzes the GTC business model through the lens of platform intermediary in the historical context. Chapter III analyzes the role of export-promotion programs in the trading practice. Signaling implication and role of overseas subsidiaries are highlighted. Chapter IV draws policy implication from this study, and proposes alternative points of view limit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implication are summarized in Chapter V. Findings: Korean government provided General Trading Companies with the privileged access to the export financing for effective control. In addition to the privileged of export financing program, the various support programs contributed to the platform position of GTCs. Effective use of trade-financing further strengthened the role of platform intermediaries. Resource pooling in the selected overseas subsidiaries contributed to enhanced financing capacity of the GTC platform as a whole. Originality/Value: His study explains the privileged financing programs as ‘subsidy’ in the platform intermediaries. Contrary to the past studies,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role of selected overseas subsidiaries in project financing. Signaling implication of the government support programs is another contribu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한국 uTradeHub 서비스 현황과 전략

        박찬희(Chanhi Park)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3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3 No.4

        The rise of the internet-based on-line shopping has brought about the efforts for the "one click" settlement of the international trading. Korea started its policy initiative for the IT-enabled trade settlement system since the late 1990s. Pursuing the "seamless platform", the Korean government and its related agencies have sustained the policy initiative for the IT-enabled trade settlement system.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mixed results of the "e-trade platform" so called the "uTradeHub". Contrary to the success stories in the media, the practitioners in the trade business do not actively rely on the "uTradeHub" as "e-trade platform".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some provocative questions regarding its limited effectiveness. Despite the recent development in the IT infrastructure, a variety of efforts to introduce "e-trade platform" has failed. Unless the "uTradeHub" takes the platform role in the international trade, it cannot accommodate various players in the physical distribution as well as the financial settlement process.

      • KCI등재

        문화산업클러스터에 대한 교차네트워크 효과 측면의 검토

        박찬희(Chanhi Park),박다인(Dain Park)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1

        창조경제가 국가경쟁력을 위한 정책대안으로 제시되면서 구체적 실천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문화산업 클러스터를 네트워크 효과와 교차 네트워크 효과의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다양한 사업자들과 사용자들의 관계를 살피고 시너지 창출을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개인의 창의적 역량을 키우는 인적자원 정책에서 더 나아가 관련된 인재와 자원, 이들을 엮어주는 사업자들이 맞물린 생태계적 구조에서 더 큰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 조건과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산업 클러스터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산업 클러스터 고유의 특질과 정책적 과제를 살펴본 후, 기존의 정책제안들이 갖는 의미를 네트워크 효과와 교차 네트워크 효과의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다양한 사업들이 맞물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경우, 특정 산업을 넘는 연결과 변화를 이해하는데 있어 특히 교차 네트워크 효과는 매우 유용한 분석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도 네트워크의 범위와 구성원, 연결 구조를 중심으로 생태계적 발전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Creative Economy’ has been proposed as a national agendum of the incumbent government. Assumed to be a booste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national agendum still needs implementable policy details. ‘Cultural Industry Cluster(CIC)’ is considered a promising vehicle of Creative Economy. Extant research on the industry cluster provides useful insights, but does not fully explain the synergy creation potential among the players in the ‘unrelated’ fields. Base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IC through the lens of network effect and cross-side network effect, and identify the synergy creation potential. Network effect provides a strong analytical tool to validate the roles of the player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mong them. Through the critical review of the various policy agenda, this study will propose key discussion points for the policy makers.

      • KCI등재

        부서의 업무과정특성과 가족친화분위기가 듀얼아젠다에 미치는 영향

        박보람(Boram Park),김효선(Hyosun Kim),구자숙(Jasook Koo),박찬희(Chanhi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2

          여성 인력의 사회 진출과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의 사회변화로 인해 조직구성원들의 일과 가족의 조화는 조직에게도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일과 가족의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는 것과 ‘조직 효과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밝혀낸 듀얼아젠다(Dual Agenda)의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두 가지 변인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부서의 업무과정의 특성과 부서의 가족친화분위기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부서의 업무과정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한 부서를 중심으로 현장관찰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40개부서의 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서의 방해적인 업무과 정특성은 부서의 가족친화분위기와 부(-)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부서의 효과성(성과ㆍ몰입ㆍ만족)과도 부(-)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부서의 방해적인 업무과정 특성은 종업원의 직장-가정 간 갈등과 직접적으로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서의 가족친화적인 분위기의 경우 직장-가정 간 갈등에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부서의 효과성과는 오히려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부서의 분위기가 가족 친화적이지 않을수록 부서의 성과지각과 부서몰입, 그리고 부서만족이 높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부서의 방해적인 업무과정 특성은 직접적으로는 부서의 효과성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으나 부서의 분위기가 가족 친화적이지 않은 것이 오히려 부서의 효과성을 높인다는 모순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가 앞으로의 듀얼아젠다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female labor market grows and dual income families increase, work-family balance is becoming a very important issue for corporate organizations. Dual agenda perspective proposes that the concern for work-family balance can enhance workplace effectiveness as it exposes ineffective work practices and aims to correct them. From this dual agenda perspective, we examined the effects that work process routines and family friendly atmosphere within a department have on an employees’ perception of work-family conflict and on departmental effectiveness. To measure the departmental effectiveness, we used three sub-constructs of team effectiveness: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department, departmenta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bout the department.<BR>  Our hypotheses are as follows. Negative work process routines would increase the work-family conflict felt by employees (Hypothesis 1) and lower the departmental effectiveness (Hypothesis 2).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department will decrease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Hypothesis 3), while heighten the departmental effectiveness (Hypothesis 4). We also suggested that these relationships may differ by gender and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BR>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nk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t a PR department in a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for 6 weeks from October to November, 2005. Through time logs, shadowing and interviews,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work process routine that has implication for both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and departmental effectiveness. At the end of our participant observation, we delivered the questionnaire with four major constructs of our study (work process routine, family-friendly atmosphere, work-family conflict, and departmental effectiveness) to every employee of the organization. Among the 700 employees who received the questionnaire, 297 returned it, showing 42% of response rate. The final sample is composed of 289 respondent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sample are as follows: 65% were male employees, 81% were married, 53% belong to dual income family, 48% belonged to the 7th rank within the organization, and 74% is in the age group of between 30 and 50.<BR>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4.0. In our model, we set the work process routine and family-friendly atmosphere as exogenous variables and work-family conflict and departmental effectiveness as endogenous variables. Since there was a correlation of .49 between work process routine and family friendly atmosphere, we incorpo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xogenous variables into our model.<BR>  Our results show that positive work process routine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rejecting Hypothesis 1. However, positive work process routines did increase all three dimensions of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department, supporting Hypothesis 2. In other words, employees working in the department with positive routines seem to perceive their departmental performance to be relatively high. They are also more committed to and satisfied with their department. As for the family-friendly atmosphere, it neither reduced the work family conflicts of employees nor increased the departmental effectiveness, rejecting both Hypothesis 3 and 4. On the contrary, we found that family-friendly atmosphere actually lowered the perceived departmental effectiveness. We also examined whether gender and employee’s career aspiration moderate the relationship among four major constructs. The result showed that neither gender nor individual career aspiration showed an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o summarize, our findings showed that department characteristics, such as work process routines and family friendly atmosphere, had li

      • KCI등재

        공연예술 투자 프로세스의 현황과 과제 : 벤처캐피탈의 뮤지컬 투자를 중심으로

        박다인,박찬희,Park, Dain,Park, Chanhi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6

        최근 공연 예술 산업 시장이 증대하면서 공연 예술 콘텐츠에 대한 투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공연예술 분야 중 뮤지컬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에 따라 벤처캐피탈의 벤처 투자율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뮤지컬 시장에 대한 벤처캐피탈 투자자 관점에 초점을 맞춰 투자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정보비대칭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공연 예술의 기획과 실행에 대한 연구에 있어 투자자의 관점을 직접 분석한 연구가 부족했던 점에 착안하여, 뮤지컬 공연에 대한 투자에 있어 다양한 범위의 경험을 가진 벤처캐피탈 투자 담당자들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공연 예술에 대한 '예술적인 가치와 '수익률' 이라는 극단적인 입장차이로 인해 뮤지컬 투자자의 경우 공연예술 자금 운용의 투명성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주관적으로 판단되는 예술적 가치를 중시하게 될 때 투자자 및 공연예술 제작사 간의 정보비대칭이 더욱 심화된다. 이러한 문제가 공연 예술 관련 내부시장 뿐 아니라 전반적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해결방안이 촉구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거나 공연 예술 사업에 대한 SPC(특수목적회사) 운용을 활발하게 하여 거래구조를 투명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비대칭문제를 줄이기 위해 통합적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고 뮤지컬 작품 투자를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Source and use of investment money in the content business has been subject to closer attentio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 in the performing art are, focusing on the Korean musical play. Despite the various discussions in the venture capital practice in the performing art area, there has been few studies analyzing the investors' perspective. While juggling with the 'artistic value' and 'rate of return', the investors are concerned about the 'transparency' of the performing art practice. When coupled with the subjective judgment of 'artistic value',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 investor and the performing art manager becomes more delicate. In the performing art business, 'SPC(Special Purpose Company)' is considered a possible solution to organize the deal structure in this field.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SPC regard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

      • KCI등재

        IT를 통한 고용창출 : 정책 이슈와 제안

        성태윤,박찬희,박기영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9 정보화정책 Vol.16 No.2

        본 연구는 IT 산업 발전이 고용에 미치는 직·간접적 효과에 대한 기존의 여러 논의들을 정리하고, IT를 통한 고용창출에 있어서 정부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IT 기술발전이나 투자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먼저 IT 기술발전에 따라 고용은 직접적으로는 감소한다는 입장, 전반적으로는 고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입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용 자체의 변화보다는 인력구성이 변화한다는 입장으로 크게 정리가능하다. IT 산업은 특히 산업 자체의 성격상 외부효과 및 다른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므로, IT를 통한 고용창출 효과를 논의할 때에는 직접적인 산업 내의 고용효과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고용창출 효과, 신사업 창출, 생산성 향상 효과를 구분하여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정부의 투자는 특정 산업 및 기업에 대한 직접 지원보다는 대체인력흡수 지원기반 조성에 노력하고 동시에 민간 부분의 수요창출을 통한 외부효과가 큰 기간설비(infrastructure)에 상대적으로 더 집중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기업들이 자발적인 투자와 경쟁을 할 때 고용효과도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인프라 조성에 있어서 민간부분의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 역시 중요하다. This paper reviews previous studies on how the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employment in the economy and discusses the appropriate role of the government in maintaining and creating job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effects of IT development and investment on employment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First, IT development directly reduces employment. Second overall employment could increase. Third, composition of workforce rather than employment itself could change. When discussing the employment effect of IT, policymakers should take into account not only direct employment in the industry but also indirect effects including job creation in other industries, new business cre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since the IT industry exerts positive externality and feedback effects to other industries. Government investment should be focused on infrastructures, which have positive externality effects by creating demands in the private sector, not on direct support for specific firms or industri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lay a foundation for absorbing labor released from the current employment. Accordingly, constructing infrastructures should accompany a system that reflects the private sector's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