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재판소의 공영방송 판단기준에 관한 비판적 고찰

        고민수(Ko, Min Su) 문화방송 2015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1

        우리 헌법재판소가 문화방송이 제기한 헌법소원사건에서 공영방송에 대한 유권해석을 내놓았다. 문화방송이 주식회사 형태의 공영방송이라고 밝힌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공영방송이 의미하는 바가 명확하지 않다는 데 있다. 조직법상 개념으로 파악한 것인지 아니면 기능적 측면 내지 과제 개념으로 판단하였는지 모호하다. 이 사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비록 문화방송이라는 방송사업자의 법적 지위와 관련된 것이기는 하지만, 공영방송에 대한 이해와 유리되어서 접근될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문제이기 때문에 공영방송 전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근본적인 이해를 가늠해볼 수 있는 유용한 단서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최고의 유권헌법해석기관인 헌법재판소의 해석론이 미치는 파급효과 내지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헌법재판소 논증의 타당성에 대한 검증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우선, 헌법재판소의 다른 결정에 나타난 공영방송 개념의 의의 내지 본질을 탐색하고, 이에 기초해 이 사건 결정에서 헌법재판소가 문화방송을 공영방송이라고 평가한 것이 과연 논리적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 체계적 해석인지 비판적으로 분석ㆍ평가하고자 한다. 또, 헌법재판소가 논증에서 제시한 문화방송에게 부여되었다는 ‘특별한 공적 책임’이 존재하는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판단의 논거로 제시한 공영방송이란 논거가 과연 타당한 것인지를 헌법재판소가 비교 대상으로 제시한 한국방송공사와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사례를 통해 공법인론(公法人論)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방송법」은 물론 「공직선거법」, 「정당법」상 문화방송에 부여되었다는 특별한 권한과 의무가 공영방송으로서 인정되는 것인지 또, 의무부과는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presented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public service broadcasting concerning the status of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2012Hun-ma271). However, the Court was not able to show that it has a consistent stance on how to determine the legal character of the public service broadcasting whether to regard it as a public task or as a public juristic person based on the Organization Act. This article analyze the legal reasoning of the Court current decision at the point of view the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s a public task. in other words, the public service broadcasting is undertaken with a welfare consciousness.

      • KCI등재

        국내 방송 광고 판매제도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 : 경제학적 접근

        김원식(Weonseek Kim),박민수(Minsoo Park),이상우(Sang-Woo Lee) 문화방송 2010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방송의 공공재적 특성으로 인하여 방송 광고 판매가 방송사재원으로 도입되어 작동하는 경제학적 원리를 통해, 미디어랩의 도입 필요성과 도입 시 경쟁구조 및 소유구조에 대한 합리적 방안을 연구했다. 연구해본 결과, 미디어랩은 방송사의 직접 광고 판매보다 거래비용을 증가시키는 측면이 있으나 방송사와 광고주 간 상호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방송 공익성 차원의 존재 정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 · 민영미어랩 제한경쟁체제는 민영방송사의 독점력을 고려할 때, 차선책으로 1개의 민영미어랩 도입으로 쌍방독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민영방송사의 협상력을 상쇄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 된다. 다수의 미디어랩이 도입되어 완전경쟁체제가 만들어진다면 방송사가 미디어랩을 자회사로 보유할 것인지 여부는 방송사의 결정에 맡길 수 있다. 즉, 방송사는 미디어랩의 전문성 효과와 거래비용의 증가를 비교해 자회사 또는 내부 부서의 결정을 내리게 하고, 규제기구는 미디어랩 간의 경쟁을 보장함으로써 수직적 구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수직적 제한이나 경쟁사 비용 올리기와 같은 반경쟁효과를 제거하는 것이다. This paper reconsiders the functions of KOBACO for terrestrial broadcast advertisement sales in a view of economics and studies pros and cons of various ways of introducing competition to the ‘media rep’ system in Korea. It is found that media reps can increase transaction costs compared to direct sales system of broadcasting companies, but it is justified to exist in that it can promote public interest by reducing mutual influence between broadcasters and advertisers. If public-private media rep system were introduced, it would be desirable to suppress monopoly power of private broadcasters by making bilateral monopoly between one private media rep and private broadcasters. Terrestrial broadcasters can be allowed to decide whether to have media reps as subsidiary companies as far as media rep market is in perfect competition. That is, terrestrial broadcasters may choose to have a media rep as a subsidiary, a division, or a contractor by comparing specialization effects and transaction costs. In this case, regulators should monitor anti-competitive behaviors, such as vertical constraints or raising rival’s costs.

      • KCI등재

        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화면해설방송 편성의 개선방안 연구

        이영희(Young Hee Lee),진승현(Seung Hyun Jin),정삼희(Sam Hee Chung),이재진(Jae Jin Lee) 문화방송 2015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2

        국내 지상파 3사의 화면해설방송 편성현황을 분석한 결과 의무제공 첫해인 2014년 1월~8월까지 화면해설방송 건수별, 시간량, 편성량 모두에서 KBS1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SBS는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화면해설방송의 프로그램 유형은 모든 지상파 방송사들이 특정 장르에 편중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방영 시간대는 주로 낮 시간대와 심야 시간대에 집중되어 있었고 프라임타임에는 극히 소수의 방송만이 편성되어 있었다. 또한 지상파 3사 모두 화면해설방송의 재방송 비율도 낮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장애인방송 의무편성 제도가 10% 달성이라는 단순한 수치상의 규정을 제시하는 것이 그 원인으로 파악되며, 이러한 분석은 추가로 시행한 화면해설방송 제작진인터뷰 결과와도 부합한다. 결과적으로 장애인방송이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영국 오프콤(Ofcom)이 규정한 세부 조항처럼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방송사업자들이 자발적으로 장애인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analysis of the Descriptive Video Services(DVS) programmings by the three terrestrial TV broadcasters in the period from January to August in 2014 when DVS became mandatory shows that KBS1 provided the most in airtime and program numbers while SBS did the least. All the three have trouble in achieving diversity in contents of the programs. The DVS programs are furnished only in some limited genres and mostly scheduled in daytime or midnight, rarely in prime-time. A number of programs were rerunned by all the broadcasters. Such problems are deemed to stem from quantitative regulation on programming which demands time allocation of at least 10% for DVS, without any accounts on types, time slots, availabilities of the programs. Concurrent conclusion was drawn from the exploratory interviews with DVS making crew. To achieve adequate access to broadcasting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pecific and detailed requirement, such as set by Ofcom in UK, should be provided. Social circumstances for voluntary provision of DVS by broadcasters need be arranged as well.

      • KCI등재

        프랑스 지상파방송의 다채널화 및 디지털 컨버전스 전략(1996~2014)

        박진우(PARK, Jin-Woo),송영주(SONG, Yung-Joo) 문화방송 2014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4

        이 연구는 1996년 프랑스에서 디지털 전환 계획이 제출된 이후 지상파방송의 디지털화, 다채널화 및 디지털 컨버전스의 추진 과정에서 제시된 여러 가지 정책과 이를 둘러싼 담론 경쟁 및 그 결과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시도한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에 관한 정책이 시장 내 주요 행위자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어떤 현실적인 결과를 빚어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996년부터 2005년까지의 디지털 전환 및 다채널화 논쟁, 2005년에서 2010년까지의 방송 시장 재편, 그리고 2011년 이후의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컨버전스 전략을 중심으로 프랑스 디지털 방송 정책의 시기별 주요 특징을 살펴본다. 연구 결과, 프랑스의 디지털 전환은 방송의 공익성 구현 및 시청자 복지, 그리고 민영방송 지배적인 방송산업 구조의 급진적 개편이라는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채널화, 고화질 방송, 직접 수신율의 유지, 그리고 공영방송에 의한 디지털 컨버전스 선도는 이를 대변하는 정책 의제들이자 그 성과물이다. 하지만 프랑스의 디지털 방송 정책은 방송 시장 구조의 근본적인 재편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는 디지털 전환의 공익성 이념과 시장의 성장 전략이 결합된 결과물이자, 또 다른 관점에서는 프랑스의 디지털 정책의 구조적인 불안정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research is devoted to mak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digitization and the convergen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in France starting from 1996. It explores how the market has responded to the government’s decision making. By focusing on discourses of concerned parti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dynamics in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to understand its influence on the structure of today’s French television landscape.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the research has replaced the arguments in three periods: the digitization preparatory period(1996~2005), the reorganization of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market(2005~2010) and the new convergence strategy period(2011~present). The public authority’s main goal was to increase the number of channels to provide a more attractive terrestrial plat-form and to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public television. However, private broadcasting groups have continuously advanced discourses to justify their domination by eliminating the competitors, sometimes by attempting diverse offensive business strategies. Though in a reserved manner and in a long term perspectiv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despite the initial objective, the authority couldn’t achieve to reorganize the private sector centered market but has successfully defended DTT plat-form penetr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paradoxical consequenc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cent media policies and the reaction of the market.

      • KCI등재

        지상파방송과 차별화된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시장 경쟁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주(Lee Yeong-Ju),박정우(Park Jeong-Woo) 문화방송 2011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2 No.4

        방송통신 시장에서는 시장 지배적 사업자에 대한 비대칭 규제를 통해 유효 경쟁 수준을 유지해 이용자에게 혜택이 돌아가게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공정 경쟁과 매체균형발전론에 근거를 두고 이루어진 지상파방송사에 대한 비대칭 규제의 타당성과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적 지원의 타당성을 의무전송규정과 광고 직접 판매 방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로 채널 측면에서 지상파방송사와 계열 PP의 합계 시청점유율은 여전히 경쟁적 우위를 가지고 있지만 지상파의 직접 수신 비중이 감소하고 종합유선방송 가입자의 비중이 60% 이상으로 확대되면서 플랫폼 측면의 시장 지배력은 매우 약화되었다. 따라서 지상파방송사에 대한 비대칭 규제의 시장 조건은 충족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로 종합편성채널의 의무전송규정은 무료 지상파와 유료방송채널 공통적으로 공익적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방송의 공익성과 다양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정책적 목표와 거리가 있음이 밝혀졌다. 상업방송이면서 오락프로그램의 비중이 많은 종편 PP의 의무전송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정부의 필수적 이익이 명확하지 않다. 종편 PP에 대한 의무전송규정은 후발 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도와 가입자 기반을 확대하고 유효 경쟁을 촉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한시적으로 타당성을 가질 수 있으나 플랫폼 사업자의 편성권을 제약하고 중소 PP의 퇴출가능성이 높아지는 부정적 효과를 상쇄하기는 충분하지 않다. 셋째로 종편 PP의 광고 판매방식은 정기적인 경쟁 상황 평가와 종편 PP의 콘텐츠 공급 현황 그리고 경영 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종편 PP가 성공적으로 안착해 평균 시청률 5% 내외를 유지해 지상파 수준의 영향력을 가지게 되면 방송의 공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규 콘텐츠 편성비율을 늘리고 지상파와 동일하게 미디어렙을 통한 광고 판매를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종편 PP가 MPP 수준에 머물러 1% 미만의 시청률로 매체 영향력이 미미하다면 일반 PP와 동일하게 광고 자체 판매를 허용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In the market of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s we may have often the effective competition and the audience welfare through asymmetric regulations against dominant enterprise. This study analyzes the feasibility of asymmetric regulations against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based on the fair competition and the theory of balanced media development and favored policy support for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hereinafter referred to as CPC) focusing on the must-carry rule and direct advertising sales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ng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ir affiliated PP have had a competitive superiority but they lost the market dominant power in terms of the network as the ratio of direct reception of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has still been low and subscribers of MVPD(multi video program distributor) have increased up to 90% or more. In this point the asymmetric regulations against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lost its legitimacy. Second the must-carry rule of CPC is so far from the broadcasting policies objectives for the public interest and the diversity because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pursues them. The must-carry rule of CPC may have a temporary feasibility because it can makes it easy for late movers to penetrate market and accelerate the fair competition. But there are concerns that it may restrict the MVPD's right of channel line-up and small PPs are thrown out. And finally the regulation on the CPC's way of advertising sales should be reconsidered and decided after analyzing the market competition dynamics content quality as well as business performance. If CPCs enter the market successfully and achieve the average viewership of 5% or m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regulations on CPC for public interest and fair competition; ratio of first-run program and indirect advertising sales. But if CPCs' rating is under 1% and their influences are as weak as PP's the present level of regulation is feasible in terms of fair competition and balanced media development.

      • KCI등재

        미국의 방송 내용 규제 법제 연구 : 규제의 근거와 범위를 중심으로

        심석태(Seog Tae SHIM) 문화방송 2013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4 No.1

        방송 심의가 논란이 되면서 바람직한 방송 내용 규제의 범위, 방식 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논의 과정에서 외국의 방송 내용 규제, 특히 미국의 방송 내용 규제에 대한 언급이 빠지지 않는다. 하지만 지금까지 미국의 규제 체제에 대해서는 자율 규제나 수정헌법 제1조에 관련된 규제 이론이나 음란물 등 특정 규범을 중심으로만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실제로 지금 미국에서 작동되고 있는 방송 내용 규제와 근거는 무엇인지를 실제 법규 등을 통해 파악해 보았다. 미국의 방송 내용 규제는 우리와는 달리 직접적인 법률 근거를 갖고 있으며 범위도 매우 제한적이다. 상당수가 위반 행위를 형사 처벌할 정도로 핵심적인 정책 목표에 한해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 안전이나 범죄 등으로 인한 피해 예방, 청소년 보호 등 규제의 정책 목표도 분명하다. 방송 내용에 대한 규제는 엄격한 헌법적 심사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법률에 근거한 명확한 규제, 제한적인 범위, 엄격한 헌법적 심사가 미국 방송 내용 규제 체제의 특징이다. 국내에서도 제재를 전제로 한 내용 규제와 방송에 대한 일반적 정책을 구분하는 등 내용 규제를 단순화하는 방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Under the current controversy on the broadcast deliberation system, the discussion for desirable way and scope of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is robust. The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takes very important part in those discussions. But until now, the studies on the regula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mostly focused on the theory of regulation regarding self-regulatory system and the theory of the First Amendment, or on the particular statutory regulation like obscenity and indecency. This article, however, tackled the current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regim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tatutory basis of each regulation. Contrary to that of Korea, the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in the United States is based on statutes and has very limited scope. The fact that most of the violations of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is sanctioned with criminal punishment shows us that the only key policy objectives are regulated. The objectives of content regulation, like public safety, prevention of injury from crime and deceptive practices, protection of children, are very clear. It is because the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should satisfy the elements of strict constitutional scrutiny. Clear and statute-based regulation, limited scope, strict constitutional scrutiny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regime of the United States. In Korea, it is needed to consider to simplify the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system by distinguishing the compulsory regulation and general broadcast policy guide.

      • KCI등재

        방송내용 심의기준 관련법·규정의 체계성

        조연하(Youn-Ha Cho) 문화방송 2012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3 No.4

        본 연구는 방송내용 심의의 판단기준인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과 그것의 근거법인 「방송법」과의 체계성을 위임입법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입법 개선의 근거를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심의기준과 관련하여 「방송법」이 「심의규정」에 위임하는 내용과 「심의규정」에서 「방송법」이 위임하는 취지와 범위에서 벗어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방송법」에서 발견된 위임조항의 한계와 조항 간 체계성 결여를 해결하기 위해 「방송법」에 심의기준의 이념적 근거인 공정성·공공성·공익성의 개념에 대한 정의조항을 두거나 이를 「심의규정」에 위임하는 조항을 추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심의기준의 위임조항인 동 법 제33조 제2항에서 “건전한” “민족의 주체성”과 같은 애매모호하고 추상적인 표현을 구체화하거나 삭제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의규정」 제정권 부여에 관한 동 법 제33조 제1항에서 규정의 위임목적을 명확하게 특정하고, 방송의 지향가치와 방송 심의의 목표를 공공성이나 공익성 중 어느 하나로 일관성 있게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심의규정」에서 상위법의 위임 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심의대상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해 공정성 조항에 심의대상을 보도·논평으로 한정하는 조항을 두거나 “방송”이란 표현을 “보도·논평”으로 바꾸어 개정하고, 공정성 개념을 좀 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하위 개념으로 설명하면서 공정성 심의를 위한 구체적인 세부지침을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상위법의 위임조항의 동어반복에 그치는 편성의 비차별성에 관한 「심의규정」 제9조 제5항에서 구체적인 내용으로 세부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행정입법의 전문성과 탄력성을 발휘하여야 한다. 그 밖에 「심의규정」에서 사용하는 어린이시청보호시간대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방송법」에 그에 대한 정의조항을 둠으로써, 법률유보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roblems of the legal system of Law and Standards for Broadcasting Content Regulation from the viewpoint of delegated legislation and to present concrete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gislation. Th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put the provisions for the definition for fairness, publicness and public interest, or the provision to delegate the legislative power for the definition to the Standard of Broadcasting Deliberation in the Broadcasting Act. The purpose of the delegation should be clearly specified in the Article 33 Section 1 of the Act and the pursuing value of the broadcasting and the aim of the broadcasting content regulation should be in accord with either publicness or public interest. The provision which limits the target of deliberation to the news and commentary program should be put in the provision of fairness of the Standard, or "news and commentary program" instead of "broadcasting" should be put in the Standard in order to reflect fully the contents of delegation of the Act. The expertise and flexibility of the administrative legislation should be exerted by providing the detail guidelines in Article 9 Section 5 of the Standard, which is tautological with the Act.

      • KCI등재

        지상파 방송광고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중간광고 없는 방송광고총량제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홍문기 ( Hong Moonki ) 방송문화진흥회 2017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1

        본 연구는 2015년 11월 19일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방송법 시행령`으로 인해 중간광고 없이 도입된 방송광고총량제가 방송광고시장 활성화에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지 살펴봤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개정된 시행령이 개정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타당한 조치였는지 논의하고 그 개정 조치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중간광고 없이 도입된 방송광고총량제가 왜 논란이 되고 있는지 설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논의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우선 방송법 시행령이 어떻게 개정되었는지 살펴봤다. 다음으로 방송광고총량제 도입 이후 지상파방송 광고시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연구했고, 방송광고 규제 완화와 관련된 일련의 조치들이 방송산업 재원 확보 등 방송법 시행령 개선 목적에 부합하는지 구체적인 사례에 근거해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방송광고 시행령 개정 내용에서의 한계와 문제점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 살펴봤다. In this study, the current researcher observed the recently(2015.11.19) executed broadcasting ordinances in order to improve broadcasting advertisement system. To explore the value and meaning of this amendments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broadcasting advertise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is amendment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mpared and contrasted the multiple nations` broadcasting advertisement laws and regulations with those of Korean broadcasting companies. Observing rules and regulations related to indirect, middle, and virtual broadcasting advertisement with quota system of broadcasting companie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newly amended rules and regulations of broadcasting advertisement on the way to secure the money resources in contents generating system. Finally, additional impl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re proposed and discuss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effects in broadcasting advertisement policy.

      • KCI등재

        한국어 분석 프로그램(KLIWC)을 이용한 남북한 방송극의 언어문화 구조 차이 분석

        박종민(Jongmin Park),이창환(Chang Hwan Lee) 문화방송 2011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2 No.3

        본 연구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알기 위해 언어 분석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KLIWC[9]를 사용해 2000년 이후 약 10년간 남북한 방송극에 사용된 언어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총 84개의 KLIWC 변인들 가운데 언어학적 변인 7개와 내용어 변인 4개 등 총 11개의 변인에서 남북 간 언어 차이가 나타났다. 우선 언어적 차원을 보면 북한방송극은 문장당 어절과 형태소, 접두사 및 양수사의 사용이 남한 방송극보다 높았으며, 북한 방송극에서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의 사용 빈도가 높고 남한 방송극에서는 2인칭 단수 대명사의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내용어 변인에서는 친구 관련 단어는 북한방송극이 많았고, 타인 참조 단어는 남한 방송극이 많았다. 더불어 남한 방송극에서는 속어나 맹세 단어가 북한 방송극보다 많았다. 이는 전반적으로 남북한 방송 간에 내용적인 면에서는 단어 사용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Differences of Language Styles in South and North Korea’s Broadcasting Drama were analyzed by K(Korean)-LIWC(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the proven program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We analyzed dramas with 10 year range since 2000. The results showed that 4 linguistic variables and 5 content variables were different among 84 KLIWC variables. First of all, the usage of phrase and morpheme per sentence, prefix, and number particle were used more in North Korea’s Broadcasting Drama than in South. In addition, the usage of first person plural pronoun was used more in North Korea’s Broadcasting Drama than in South, whereas the usage of second person single pronoun was the other way round. Among content variables, friend-related words were used more in North whereas other-person related word used more in South. Lastly, more slangs and pledges were used in South than Nort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age of content word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outh and North.

      • KCI등재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방송의 시청자 평가프로그램 분석

        양승찬(Yang, SeungChan),이미나(Lee, MiNa),서희정(Seo, Hee-Jung) 문화방송 2014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4

        본 연구는 지상파 3사(KBS, MBC, SBS)와 종합편성채널 4개 방송사(채널A, JTBC, MBN, TV조선)의 시청자 평가프로그램의 시청자의견 코너를 대상으로 시청자의견이 어떻게 제시되는지를 내용 분석했다. 2012년 7월 1일부터 2013년 6월 30일까지 1년 동안 방송된 시청자 평가프로그램 중에서 30회(전체의 약 57.7%)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총 210회의 시청자의견 코너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시청자의견 코너의 방송시간과 시청자의견 수, 시청자의견이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장르, 시청자의견의 평가적 속성, 시청자의견이 제시되는 프로그램의 속성 등을 분석했다. 그러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의견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시청자 평가프로그램 내 시청자의 의견을 전달하는 시간이 충분한지 검토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둘째, 연예/오락 장르에 대한 의견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보도 장르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 제시는 지상파 및 종편 모두 부족했다. 셋째, 시청자의견에서 칭찬이 불만이나 제언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채널방송사의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시청자 평가프로그램이 시청자의 의견 제시의 장이 되고 시청자와 제작자의 소통 채널로서 역할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audiences’ opinions were presented in the ombudsman programs on national terrestrial broadcasting networks(KBS, MBC, SBS) and TV channels of general services(Channel A, JTBC, MBN, TV Chosun). In one year from July 1, 2012 through June 30, 2013, 30 programs per channel were randomly selected(N = 210, 57.7%) and the corner which presents audiences’ opinions were content-analyzed. Items were coded including a number of audiences’ opinions, average time, types of opinions, program genres mentioned in audiences opinions, and attributes of the program audience made comments on.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time spent in presenting audiences’ opinion is put into question and raised the issue that the average time is long enough to deliver a sufficient volume of the audiences’ opinion. Second, a greater number of audiences’ opinion involve with the entertainment genres with less number of comments involving with the news reporting genre. Third, audiences’ opinions addressed more praises rather than providing criticisms or sugg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