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후 여성에서 Ipriflavone 의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영민,박창수,이진용,장윤석,문신용,김정구,신창재,김석현,이미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7

        폐경후 여성에서 Ipriflavone이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과 요배부 동통에 미치는 효 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폐경기 크리닉에 내원한 환자 60명을 Ipriflavone(제1군),위약(제2군) 프 로마린(제3군) 프레말린을 Ipriflavone에 병용(제 4군)하는 4군으로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배정 하여 척추와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검사, 요중 칼슘/creatinine비 및 요배부 동통의 정도를 치료 시작전과 치료 시작후 3개월과 6개월째에 추적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 1군과 제 2군에서 척추 골밀도는 투여기간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제 3군과 제4군 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제 4군에서 제 3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제 2군에서 투여기간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제 1군에서 는 투여 3개월째, 제 3군에서는 투여 6개월째, 제 4군에서는 투여 3개월, 및 6개월째에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특히 제 4군에서는 제 3군에서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요중 칼슘/ creatinine비는 투여 기간에 따라 제 1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제 2군은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고 제 3군 및 제 4군은 투여 3개월 및 6개월째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제 2군에 비해서 제 1군, 제 3군, 제 4군의 요중 칼슘/creatinine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제 2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투여 기간중 요배부 동통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투여 6개 월째 제1군, 제 3군, 제 4군에서 제 2군보다 유의하게 동통이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Ipriflavone은 폐경기 여성에서 골흡수의 억제효과 및 요배부 동통의 완화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프레마린과 병용할 때 골밀도 증가를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아 에 스트로젠의 사용이 어려운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에스트로젠 을 대치하거나 저용량의 에스토로젠과 병용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으 달성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Ipriflavone, a synthetic isoflavone derived flavonoid, is known to have inhibitory effect on bone resportion by inhibiting osteoclastic activity. Becasue Ipriflavone does not possess any estrogenic activity, it has no risk of breast or endometrial canc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ipriflavone on the bone mineral density, bone metabolism, and low risk pain in the postmenopausal women,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Ipriflavone alone with those of premarin or premarin plus Ipriflavone, Sixty postmenopausal women were randomly submitted to the 4 groups of treatment with; 600mg of Ipriflavone divided in 3 does daily by oral administration(group I), placebo(group II), 0.625 mg of premarin once a day (group III), and 0.625 mg of premarin once a day plus 600mg of Ipriflavone divided in 3 doses daily by oral administration(group IV) All women were given with 1g/day of calcium supplementation. In all subjects, bone mineral density(BMD) of lunmar spine and femur neck, urinary calcium/creatinine ratio. And the symptom scores for low back pain were measured before treatment and after 3 and 6 months of treatment . BMD of femur neck in group I, group III and group IV increased significantly{p$lt;0.05) compared to basal level at 3 months and/or 6 months rreatment. As for BMD of lumbar spine,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treatment in Group III and Group UV but not in Group I and Group II. BMD of lombar spine and femur neck in Group IV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Group III. Urinary calcium/creatinine ratio in Group I, Group III, and Group IV decreased significantly at 3 months and 6 months of treatment compared with Group II. There was a decrease in sympton score for low back pain in Group I, Group III and Group IV whereas Group II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These data suggest that ipriflavone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bone resoption and relieving low back pain in postmenopausal women and that in enhances the protective effect of estrogens on bone mineral density.

      • Superparamagnetic Adsorbent Based on Phosphonate Grafted Mesoporous Carbon for Uranium Removal

        Husnain, Syed M.,Kim, Hyun Ju,Um, Wooyong,Chang, Yoon-Young,Chang, Yoon-Seok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7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 Vol.56 No.35

        <P>A direct approach was presented to graft phosphonate groups on magnetic mesoporous carbon by an impregnation method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precursors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s involving a series of complicated steps and harsh conditions. Through the in situ reduction of Fe3+, magnetite particles of similar to 10 nm were successfully embedded into the mesopores, which was confirmed by HR-TEM. Surface characterization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revealed phosphonate functional groups anchored through multidentate bonding with the surface of P-Fe-CMK-3. Due to the combined advantages of mesoporous pore size (5.5 nm), phosphonate ligands (1.42 mmol g(-1)), and magnetic sensitivity (5.20 emu g(-1)), this multifunctional adsorbent captured >85% of UO22+ within 5 min an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150 mg g(-1) at pH 4. The exceptionally high selectivity and efficiency of P-Fe-CMK-3 toward uranyl capture even in groundwater (K-d = 1 x 10(5) mL g(-1)), radioactive wastewater (K-d = 3 x 10(4) mL g(-1)), and seawater (K-d = 1 x 10(4) mL g(-1)) at V/m = 1000 mL g(-1) was better than that of the previously reported adsorbents. Importantly, the adsorbent maintained UO22+ adsorption efficiency >99% over five cycles due to the excellent chemical and structural stabilities. Above all, the adsorbent could be manipulated for UO22+ capture with help of a magnetic field in the real world, especially in case of nuclear accidents,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and/or uranium recovery from seawater.</P>

      • KCI등재

        임신전자간증 및 자간증 태반의 효소조직 화학적 연구

        문신용(SY Moon),장윤석(YS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10

        25예의 정상만삭임신태반과 23예의 임신중독증 태반(경증의 자간전증 12예, 중증의 자간전증 7예, 자간증 4예)에서 ALP와 ACP의 활성도를 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LP ① 정상만삭임신 및 경증의 자간전증태반에서 생리적 노화현상을 나타내는 부위를 제외 하고는 syncytiotrophoblast 세포질내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나 혈관내피세포, 융모의 결 합조직등에서는 효소의 활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② 중증의 자간전증 및 자간증 태반에서는 정상만삭임신태반에 비하여 syncytiotro phoblast 세포질내에서 다소 강한 활성도를 보였고, 태반의 조기노화현상을 나타내는 부위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없었으며 정상만삭임신태반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불규칙적으 로 나타났다. 2) ACP ① 정상만삭임신 및 경증의 자간전증 태반에서는 생리적 노화현상을 나타내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syncytiotrophoblast 세포질내에 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융모기질세포, 융 모결합조직, 소동파내피세포에서 간혹 미약한 활성을 볼 수 있었다. ②중증의 자간전증 및 자간증 태반에서는 정상만삭태반임신에 비하여 syncytiotro phoblast의 세포질내에서 강한 활성도를 보이나 소동파내피세포등에서는 동일한 활성을 나타냈고 태반의 조기노화현상이 나타나는 부위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없었으며 전체적 으로 다소 불규칙적으로 나타났다. Two hydrolytic enxymes,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 were studied histochmically in 25 term, 19 preeclamptic and 4 eclamptic placentas. It is the purpose of this report to describe certain histochemical reactions of the placenta of the toxemia, and to present interpretations of the possibl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se reactions. The chorionic villi were prematurely aged as judged by their cytological and gistochemical apperance in the placenta of the toxemia. Many of the villi showed premature aging of the syncytium. There were noticeable changes in the amount and distribution of both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 Two most striking histochemical features in the toxemic placenta were the abnormally great quantity of both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 activities presented within the syncytium clothing the villi and both enzyme activities were prematurely increased in the trophoblastic syncytium.

      • KCI등재

        돼지난소 과립막세포 항원으로 면역된 가토에서 혈청 난포자극호르몬과 항난소항체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최영민,이진용,장윤석,김정구,신창재,김석현,문신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5

        난소 과립막세포 항원으로 면역후 혈청 FSH치의 증가 여부 및 형성된 항난소항체와 혈청 FSH치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돼지난소 과립막세포 항원으로 수동면역한 토끼 4마리, 과립막세포막 항원을 사용하여 수동면역한 4마리, 과립막세포 항원으로 수동면역된 토끼혈청을 사용하여 피동면역한 3마리, 양측 난소제거술이 시행된 4마리, 정상토끼 18마리, 총 33마리에서 혈청 FSH치와 항난소항체를 각각 이중항체방사면역법과 효소면역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소 과립막세포 또는 세포막 항원으로 수동면역된 토끼에서 면역 후 제 6주에 혈청 FSH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수동면역된 토끼에서 혈청 FSH치의 변화와 항난소항체역가의 변화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항체에 대한 혈청 FSH치 증가 정도는 토끼마다 달랐다. 3. 난소절제술이 시행된 토끼 및 정상 토끼의 혈청에서는 항난소항체가 검출되지 않았다. 4. 수동면역 후 제 4주 및 6주에서의 혈청 FSH의 증가치와 항난소항체 역가는 면역에 사용된 항원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5. 항난소항체를 함유한 혈청으로 피동면역을 한 경우 면역 후 제 1주에 혈청 FSH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serum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concentrations could be increased by immunizing rabbits with whole porcine granulosa cells or their membranes preparations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ovarian antibodies titers and serum FSH concentrations. A total of 33 rabbits including 18 normal mature rabbits and 4 ovariectomized rabbits were studied. Four rabbits were immunized with whole porcine granulosa cells, 4 with membranes preparations of granulosa cells, and 3 with pooled sera from granulosa cell-immunized rabbits. Rabbit serum FSH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specific homologous double antiboty radioimmunoassay and antiovarian antibodies by a biotin-streptavidin system based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rum FSH concentrations in granulosa cell-and membranes-immunized rabbits increased significantly at 6 weeks after immunization than preimmune levels. 2. Changes in antiovarian antibodies titers in an actively immunized rabbi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changes in serum FSH concentrations but an increase in serum FSH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antiovarian antibodies titers were variable in different immunized rabbits. 3. Antiovarian antibodies were not detectable in sera of ovariectomized rabbits and normal nonimmune rabbits. 4.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vated FSH concentrations and antiovarian antibodies titers at 4 weeks and 6 weeks after immunization were found between rabbits immunized with granulosa cell and those with membranes. 5. In rabbit immunized with pooled sera from granulosa cell-immunized rabbits, serum FSH concent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at 1 week after passive immunization compared to preimmune levels.

      • KCI등재

        폐경후 여성에서 경구용 에스트로젠 및 경피적 에스트론젠을 이용한 호르몬보충요법이 혈중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최영민,이진용,장윤석,문신용,김정구,신창재,김석현,이성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6

        한국인 여성에서 경구용 에스트로젠 및 경피용 에스트로젠을 이용한 호르몬보충요법이 혈중 지질대사에 미치는 장기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자궁의 양성질환으로 자궁적출술을 시행받고 혈중호르몬검사로 폐경이 확인된 여성 62명을 대상으로 에스트로젠을 12개월간 투여하였으며, 투여직전 및 투여 매 3개월마다 혈중 지단백질 치를 측정하였다. 경구용 에스트로젠로서는 conjugated estrogen(Premarin)을 1일 0.625 mg을, 경피적으로는 transdermal patch(Estraderm TTS)로 1일 50 micro g의 17-b-estradiol을 투여하여, 이러한 소량의 에스트로젠에 의한 효과를 판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중 HDL cholesterol치는 Premarin군에서 전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12%-27%)하였으며, Estraderm군에서는 투여 3개월, 9개월, 12개월에서 유의한 증가(11%-28%)를 보였다. 투여 3개월시 HDL cholesterol의 증가폭은 Premarin군(15%)이 Estraderm군(11%)보다 다소 높았다. 2. 혈중 LDL cholesterol치는 양군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3. 혈중 총 cholesterol치는 Premarin군의 경우 투여 3-9개월 동안 변화가 없었으나 12개월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Estraderm군의 경우 전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4. 혈중 triglyceride치는 Premarin군의 경우 투여 6개월이후부터 유의하게 증가(38%-55%)하였으나 Estraderm군의 경우는 전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폐경후 여성에서 경구용 에스트로젠 및 경피적 에스트로젠의 투여는 투여 3개월부터 혈중 지질대사의 유익한 변화를 나타내며 그 변화는 장기간 투여중 지속되고, 이러한 효과는 소량의 에스트로젠 즉 Premarin의 경우 1일 0.625 mg, Estraderm TTS의 경우 1일 50 micro g으로도 유발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그리고 경피 투여인 경우 경구 투여보다 혈중지질대사의 유익한 변화가 다소 늦게 나타남을 시사한다.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is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and its beneficial effect is thought to be mediated in part by the favorable changes in serum lipoprotein levels. However, the long-term effects on serum lipoprotein levels of setrogens in low doses currently used have not been precisely evaluated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e conducted the randomized 1-year trials of estrogens in postmenopausal women to evaluate the long-term effects of oral estrogen (Premarin at the dose of 0.625 mg per day, 32 patients) and transdermal estrogen (Estraderm TTS at the dose of 50 micro g per day, 30 patients) on serum lipoprotein levels.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levels in fasting state were measured in all subjects at baseline and every 3 month during treatment for 12 months. The values during treatment levels were compared with that of baseline levels. The conjugated estrogen (Premarin) and trasdermal estrogen increased the serm HDL cholesterol level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The increase of HDL cholesterol in the Estraderm group was somewhat less than that in the Premarin group at 3 months of treatment, but the thereaft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wo groups. Serum LDL cholesterol level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nd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also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except at 12 months of treatment in the Premarine group. Significant increases in serum triglyceride levels were noted in the Premarin group from 6 months of treatment, but not in the Estraderm group. These data suggest that estrogens in low doses, administered by either oral or percutaneous route, maintain the long-term favorable effects on serum lipoprotein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정상 및 클로이펜 과배란유도 월경주기에서의 혈청 B-endorphin 치의 동태에 관한 연구

        김정구(JK Kim),문신용(SY Moon),이진용(JY Lee),장윤석(YS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9

        월경주기에 따른 혈청 B-endorphin치의 동태와 혈청 17 B-endorphin치와 혈청 B-endorphin 치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정상월경주기군 12명과 클로미펜 과배란유도 월경주기군 8군 총 20명에서 혈청 B-endorphin과 17 B-endorphin을 방사면역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정상월경주기군에서 혈청 B-endorphin치는 배란전 제 2일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기 시작 하여 배란전 제 1일에 최대치에 도달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2. 클로미펜 과배란유도 월경주기군에서는 난자흡인 제 3일전에 혈청 B-endorphin치의 작은 정점이 있었으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3. 정상월경주기군과 클로미펜 과배란유도 월경주기군에서 혈청 B-endorphin치는 17 B-endorphin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 in serum B-endorphin level in the human menstrual cyc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serum 17 B-endorphin levels. Daily suerm B-endorphin levels in conjunction with 17 B-endorphin were measured during the normal menstrual cycle in healthy control subjects(n=8) and the clomiphene-hyperstimulated ovulatory menstraul cycle in in vitro fertilization candidates (n=1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normal menstrual cycle the mean serum B-endorphin level began to change significantly on 2 day before ovulation reached its maximum on 1 day before ovulation and then declined slowly. 2. In the clomiphene-hyperstimulated ovulatory menstraul cycle there was a small peak of the mean serum B-endorphin level on 3 days before aspiration of oocyte but no significantly change was found 3. There was no significantly correlation between serum B-endorphin and 17 B-endorphin levles.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의 에스트로젠 보충요법시 지속적 황체호르몬 병합요법이 혈중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최영민,이진용,장윤석,문신용,김정구,신창재,김석현,최진,이경순,서창석,박서영,이배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0

        폐경 후 여성의 에스트로젠 보충요법시 지속적 황체호르몬 병합요법에 있어서 심혈관 보호 작용의 주요 지표인 혈중 지질 대사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지속적 황체호르몬 병합요법을 받는 49명의 폐경 후 여성을 실험군으로 하고, 주기적 황체호르몬 병합요법을 받는 109명의 폐경 후 여성 및 에스트로젠 단독요법을 받는 127명의 폐경 후 여성을 대조군으로 하여, 12개월간의 투여 기간 중 혈중 총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등의 수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속적 황체호르몬 병합요법의 경우는 Premarin 0.625 mg과 MPA (medroxyprogesteron acetate) 2.5 mg을 매일 복용하도록 하였고, 주기적 황체호르몬 병합요법의 경우는 Premarin 0.625 mg을 매일 복용하고 MPA 10 mg 을 매달 1일부터 12일까지 복용하도록 하였으며, 에스트 로젠 단독요법군에서는 Premarin 0.625 mg만을 매일 복 용하도록 하였다. 1. 혈중 HDL cholesterol 치의 변화는 지속적 황체호르 몬 병합요법군(group Ⅰ)의 경우 투여 3개월과 6개월에 각각 약 13.5%, 8.1%의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 은 없었으며, 투여 9개월과 12개월에는 각각 약 15.0%, 14.7%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33, p=0.029).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증가 양상(5.6%-9.1%)을 보인 주기적 황체호르몬 병합요법군(group Ⅱ)보다 우수한 결 과이며, 그 증가폭이 유의한 차이(12.2∼18.9%)를 보인 에스트로젠 단독요법군(group Ⅲ)과 비슷한 효과이다. 2. 혈중 LDL cholesterol치의 변화는 지속적 병합요법 군(group Ⅰ)의 경우 치료 후 감소하였는데(약 -13.5%, -10.5%, -10.0%, -4.7%), 투여 9개월 이후에는 주기적 병합요법군(group Ⅱ)이 더 많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에스트로젠 단독요법군 (group Ⅲ)과 비교해 보면 그 감소치가 투여 전 기간에 걸쳐 에 스트로젠 단독요법의 경우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컸다. 3. 혈중 triglyceride 치의 변화는 지속적 병합요법군 (group Ⅰ)의 경우 치료 후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 이 없었던 반면, 주기적 병합요법군(group Ⅱ)과 에스트 로젠 단독요법군(group Ⅲ)의 경우는 치료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혈중 총 cholesterol 치는 지속적 병합요법군(group I)과 주기적 병합요법군(group Ⅱ) 및 에스트로젠 단독요 법군(group Ⅲ) 둥 세 군 모두에서 치료 후 유의한 변화 가 없었고, 투여 전 기간에 걸쳐 각 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폐경 후 여성의 에스트로젠 보충요법에 있어 지속적 황체호르몬 병합요법은 혈중 HDL cholesterol 치를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LDL cholesterol 치를 유의하게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혈중 지 질 대사에는 좋은 변화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으며, 9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에스트로젠 단독요법에 상응하는 지질 대사의 호전 효과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효과가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In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for postmenopausal women, progestins used to oppose neoplastic effects of estrogen on endometrium may negate the beneficial effects on serum lipoprotein profiles. Two hundred and eighty five postmenopausal women were recruited to evaluate the impact on serum lipid profiles of continuous combined estrogen-progestin (CCEP) replacement therapy. All women received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 0.625 mg Premarin) for days 1-31; with group I (49 patients) receiving 2.5 mg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for days 1-31, group Ⅱ (109 patients) receiving 10 mg MPA for days 1-12, and group Ⅲ (127 patients) receiving only CEE. Total duration of the study was 12 cycles (12 months). In group I,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HDL cholesterol level was observed after 9 months of treatment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LDL cholesterol level at 3 months and no significant change in serum triglyceride level. Continuous combined regimen blunted the increase in serum 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duced by CEE only, but it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sequential regimen of progestin, CCEP showed a little increase in HDL cholesterol, but a comparable decrease in LDL cholesterol. These data suggest that continuous combined regimen of Premarin (0.625 mg daily) and MPA (2.5 mg daily) induces a beneficial change in serum lipoprotein levels, with a little blunted increase in HDL cholesterol compared with unopposed estrogen.

      • KCI등재

        임신과 분만시 모체혈장 beta-endorphin에 관한 연구

        정동근(DK Chung),김정구(JK Kim),문신용(SY Moon),이진용(JY Lee),장윤석(YS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0

        1986년 4월부터 1986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외래에 내원한 정상임부 43명, 분만을 위하여 보원에 입원한 임부중 질식분만한 임부 33명과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임부 21명 및 정상 비임부 21명을 대상으로 모체혈장 -Ep치를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기간중 모체혈장 -Ep치는 치는 각 임신기수에서 유의한 변화를 하지 않았으며 정상 비임부의 것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가 없었다. 2. 모체혈장 -Ep치는 분만 제 1기에서 임신 제 3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진통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분만 제 2기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에 감소되어 분만 제 3기에서 분만 제 1기의 후기의 수준이 되었다. 3. 각 분만기수에서 자연분만과 oxytocin유도분만시의 모체혈장 -Ep치 사이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4. 분만방식에 따른 모체혈장 -Ep치는 응급제왕절개분만의 경우가 선택적 제왕절개분만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자연질식분만 및 흡인질식분만의 경우와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5. 응급제왕절개술과 선택적 제왕절개술의 경우 마취전과 마취후의 모체혈장 -Ep치는 각각 유의한 차가 없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hanges in maternal plasma beta-endorphin level during pregnancy, labor, and delivery, and the effects of the mode of delivery and general anesthesia o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Immunoreactive -endorphin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in venous plasma of 43 pregnant women during pregnancy, 33 pregnant women during labor, and 21 pregnant women submitted to emergency or elective cesarean section prior to induction and immediately after fetal extration. The venous plasma samples of 21 nonpregnant women were taken as contr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pregnancy and was slightly increased in pregnant women than in nonpregnant women. 2.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first stage of labor than in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As labor progressed,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increased furthermore, peakde at the second stage of labor, and thereafter declined to the level of the first stage of labor.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maternal plasm -endorphin levles between spontaneous and oxytocin-induced labor and delivery. 4.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in emergency section group after fetal extr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elective secti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among the spontaneous delivery group, the vacuum extraction group and the cesarean section group. 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s of women underwent emergency or elective cesarean section prior to induction of anesthesia and immediately after fetal extrac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