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신생아와 산모의 혈청 페리틴 농도 및 적혈구 Zn-프로토포르피린/햄 비에 관한 연구

        이유미,채범석,채희동,김광례,한정호,기숙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태아의 철분공급원은 단지 산모로부터 유래되는 것이 유일하고 태반을 통한 철분의 이동은 농도경사를 거슬러 일어나기 때문에 산모의 철저장량이 신생아의 철분영양상태에 어떠한 영 향을 주는가 하는 의문은 오래전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나, 그동안의 연구보고는 서로 상반되는 면이 많아서 이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주지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모의 철저 장량이신생아의 철분영양상태에 영향을 주는가를 구명하고 또한 최근 성인과 어린이에서 철 결핍의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는 적혈구 ZPP/heme ratio가 신생아의 철분영양상태를 잘 반영 하며 혈청ferritin농도와도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확인하고자, 건강하게 정상분만을 한 산모 44 명과 그들의 신생아제대혈에서 Hb농도, 혈청 ferritin농도 및 적혈구 ZPP/heme ratio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4명의 대상자중 Hb농도, 혈청 ferritin농도 또는 적혈구 ZPP/heme ratio가 정상 참고치를 벗어난 산모는 각각 45.5%, 52.3%, 47.7%이었다. 신생아에서는 Hb농도와 혈청 ferritin농도가 평균 15.3g/dl와 166ng/ml으로 산모의 11.2g/dl와 11.0ng/m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반면 신생아의 ZPP/heme ratio는 62.9 u mol/mol로 산모의 88.7 u mol/mol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2. 철결핍 산모에서는 정상 산모와 비교하여 Hb농도와 혈청 ferritin농도의 평균이 유의하게 낮았고 ZPP/heme ratio는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이들 두군의 산모에서 분만된 신생아간 에는 철분영양상태 지표의 차이는 크지 않았고 그 유의성도 없었다. 3. 산모에서의 혈청 ferritin농도는 Hb농도와 강하고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 그리고 ZPP/heme ratio와는 유의한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신생아의 혈청 ferritine농도는 신생아 또는 산모의 철분영양상태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전혀 보이지 못하고 산모의 혈청 ferritin농도도 신생아의 철분영양상태 지표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신생아 중 8명은 geometric mean-1SD(102ng/ml)미만의 제대혈 ferritin농도를 보였고 ferritin 농도가 102ng/ml 미만인 신생아의 산모는 102ng/ml이상인 신생아의 산모보다 hb농도, 혈청 ferritin농도만 ZPP/heme ratio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p$lt;0.05). 그러나 신생아의 다른 철 분영양상태 지표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5.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비록 산모로부터 태아로의 철분의 이동은 농도경사를 거슬러 매우 효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산모의 철저장량이 신생아의 철분영양상태에서 일반적으로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하나, 저장철이 완전히 고갈된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임신기간 중 충분한 철분공급을 받지 못하고 출생 후 철결핍이 유발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는 것을 암시하였다. 한편 신생아제대혈의 적혈구 ZPP/heme ratio는 Hb농도나 혈청 ferritin 농도와 아무런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여서, 신생아의 저장철의 양을 반영하지 못함을 명확히 보여 주었다.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store on the infant iron status and to evalutate the usefulness of erythrocyte zine protoporthyrin (ZPP)/heme ratio in assessing iron status in newborn infants, hemoglobin(hb), serum ferritin and ZPP/heme ratio were determined in 44 mothers at parturition and in the umbilical cord of their newborn infants. Infa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b and serum ferritin than mothers(mean 15.3 vs 11.2 g/dl and geometric mean 166 vs 11.0 ng/ml), and lower ZPP/heme ratio (geometric mean 62.9 vs 88.7 u mol/mol). Thre maternal Hb(p$lt;0.001), serum ferritin(p$lt;0.001) and ZPP/heme ratio(p$lt;0.01) valu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thers of iron-depleted and iron-replet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ameters in infants born of these two groups. In mothers, significant and strong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serum ferritin, Hb and ZPP/heme ratio values, but cord serum ferritin and any other infants' parameters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each other and with maternal parameters. But eight infants showed low cord serum ferritin(below geometric mean-ISD) and their moth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Hb and serum fierritin, and higher ZPP/heme ratio(p$lt;0.05) compared with other subj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 maternal iron stores generally do not influence the iron states of infants during intrauterine life, newbone infants born of mothers with depleted iron stores may have a increased incidence of infantile iron deficieny and the erythrocyte ZPP/heme ratio do not reflect neonatal iron stores unlike their mothers.

      • KCI등재

        무정자증 환자에서 고환조직내 정자를 이용한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 관한 연구

        장윤석,홍석호,강병문,김정훈,채희동,강은희,전용필,안태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목적: 고환조직내 정자를 이용한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시 폐쇄성 무정자증과 비폐쇄성 무정자증간의 난자 수정율, 임신율 등과 같은 시술 성적을 비교하고 또한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에 의하여 회수되는 정자의 상태에 따른 시술 성적을 비교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 12월부터 1999년 1월까지 무정자증으로 진단되어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비뇨기과 남성의학크리닉과 산부인과 불임크리닉에서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및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받은 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47명의 환자들중 폐쇄성 무정자증이 26명, 비폐쇄성 무정자증이 21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각각 36주기와 33주기의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및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이 시행되었다. 폐쇄성 무정자증군과 비폐쇄성 무정자증군간에 시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군내에서 회수된 정자의 상태에 따라 시술 결과를 다시 재분석하였다. 결과: 수정된 난자의 수에 있어서 폐쇄성 무정자증군에서 비폐쇄성 무정자증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많았으며 [p $lt; 0.05], 난자의 수정율도 폐쇄성 무정자증군에서 비폐쇄성 무정자증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lt; 0.001]. 시술주기당 임상적 임신율은 폐쇄성 무정자증군의 경우 33.3% [12/36], 비폐쇄성 무정자증군의 경우 18.2% [6/33]로 폐쇄성 무정자증군에서의 임상적 임신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에는 도달하지 높하였다 [p=0.17]. 임상적 임신당 다태임신율과 자연유산율에 있어서는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폐쇄성 무정자증군내에서 운동성 및 비운동성 정충이 혼재된 경우의 난자 수정율이 비운동성 정충만이었던 경우 그리고 정자세포인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 $lt; 0.005]. 시술주기당 임상적 임신율은 운동성 및 비운동성 정충이 혼재된 군에서 33.3% [3/9]로 비운동성 정충군의 14.3% [2/14], 정자세포군의 10.0% [1/10]에 비하여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임상적 임신당 자연유산율과 다태임신율에 있어서도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무정자증 환자들을 위한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및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함에 있어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들에 비하여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들에서 보다 높은 난자 수정율을 보였으며,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들중에서도 운동성 정충을 회수할 수 있었던 경우에 비운동성 정충이나 정자세포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난자 수정율을 보였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results of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with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in men suffering from obstructive and non-obstructive azoospermia. Methods: From December 1995 to January 1999, 26 patients with obstructive azoospermia and 21 patients with non-obstructive azoospermia were included in the study. In all patients, TESEs were performed to retrieve sperm which was used for ICSI. The results of ICSI were compared in obstructive versus non-obstructive azoospermia and also compared according to the status of sperm in patients with non-obstructive azoospermia. Results: Serum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level of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obstructive group than in the obstructive group. However, other parameters in patient`s characteristics were comparable in both groups. Thirty-six ICSI cycles were performed in the obstructive group and 33 ICSI cycles were performed in the non-obstructive group. The number of fertilized oocytes and fertilization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structive group than in the non-obstructive group [p $lt; 0.05; p $lt; 0.001, respectively]. The clinical pregnancy rate per ICSI cycle seemed to be higher in the obstructive group, but the difference did not achieve significance [33.3% vs 18.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iscarriage rate and multiple pregnancy rat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non-obstructive group, fertiliz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 mixed motile and immotile spermatozoa than in the group with only immotile spermatozoa or the group with spermatids [p $lt; 0.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regnancy rate per ICSI cylce, miscarriage rate and multiple pregnancy rate among 3 groups. Conclusion: Our data demonstrate that ICSI with TES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azoospermia results in significantly high fertilization rate as compared to non-obstructive cases. In addition, ICSI using motile spermatozoa results in high fertilization rate as compared to ICSI using immotile spermatozoa or spermatids.

      • SCIESCOPUSKCI등재
      • TiO<sub>2</sub> nanofiber/nanoparticles composite photoelectrodes with improved light harvesting ability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Vu, Hong Ha Thi,Atabaev, Timur Sh.,Pham-Cong, De,Hossain, Md Ashraf,Lee, Dongyun,Dinh, Nguyen Nang,Cho, Chae-Ryong,Kim, Hyung-Kook,Hwang, Yoon-Hwae Elsevier 2016 ELECTROCHIMICA ACTA Vol.193 No.-

        <P><B>Abstract</B></P> <P>In this study, a TiO<SUB>2</SUB> nanofiber/nanoparticles composite photoelectrode was combined with spectral convertors to improve the overall efficiency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In a typical preparation process, several photoelectrodes (PE) with equal thickness but different compositions were prepared. The DSSC composed of TiO<SUB>2</SUB> nanofiber/nanoparticles incorporated with 15wt.% spectral convertors showed an optimal light-to-electric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8.94%. This light-to-electricity conversion efficiency was 38.6% higher than that of the bare DSSC with TiO<SUB>2</SUB> nanoparticles only. The significantly enhanced efficiency of the DSSC was attributed to the highly favored scattering effect from the TiO<SUB>2</SUB> nanofibers in combination with enhanced incident light harvesting from spectral convertors.</P>

      • KCI등재

        가스냉방 보급효과에 대한 연구

        한정옥(JO Han),채정민(JM Chae),최경식(KS Choi),홍성호(SH Hong) 한국가스학회 2011 한국가스학회지 Vol.15 No.3

        냉방용 에너지는 크게 전력과 가스로 대별할 수 있는데, 전기냉방 시스템은 하절기 최대전력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전기에너지는 수요 공급 특성상 저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상되는 최대전력을 상회하는 공급능력을 보유해야 하며 매년 하절기의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한편 가스냉방의 경우 흡수식 시스템과 GHP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가스냉방 보급용량은 전기 냉방에 비해 매우 적으며 소형시장은 대부분 전기냉방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냉방에너지 현황을 살펴보고 에너지원간의 부하분담 비중을 분석하여 냉방에너지의 합리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2024년까지 장기적인 가스냉방 보급 규모를 전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스냉방 보급효과를 분석하여 가스냉방의 확대 필요성을 뒷받침 하고자 하였다. Generally, the generation methods of cooling energy are electric air conditioning (EAC) and gas air conditioning (GAC). The EAC system is caused by increasing peak power during summer. Because the electric energy has a characteristic of non-storage, the peak electric load has been issued social problem annually whether the facility to supply is enough or not. Another way to supply cooling energy, GAC system is worked by gas energy. The absorption chiller and gas engine heat pump have been commercialized for cooling. However, the total capacity of GAC is much less than EAC and it almost depends on EAC for small market. This paper described the status of cooling energy consumption in domestic and expected the cooling energy to be consumed by electric and gas energy up to 2024 year. And also the benefit of GAC was analyzed with the case of its expansion and it was aimed to give background to fit the GAC policy.

      • KCI등재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의 치료적 원추 절제술

        윤만수,강기주,양승홍,안영도,채호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5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의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1993년 3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으로 진단받은 69례를 대상으로하여 일반 적 임상 소견 및 자궁 경부 생검 조직, 원추 절제술 조직, 수술후 최종 조직 등의 슬라이드를 다시 면밀히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의 연령 분포는 30대가 43.5 %로 가장 많았으며, 출산력은 경산부가 97.1 %를 차지하였다. 술 전 진단적으로 시행한 자궁 경부 세포진 검사 소견은 class III가 34.8 %로 가장 많았고, 자궁 경부 생검 결과는 상피내암이 31.9 %로 가장 많이 나타나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의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서는 원추 절제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미세침윤암 Ia1 환자 61례의 치료로는 37례[60.7 %]에서 단순 자궁적출술을, 16례[26.2 %]에서 변형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그리고 나머지 8례[13.1 %]에서는 치료적 원추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Ia2 환자 8례에서는 모두 변형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다. 자궁적출술 후의 조직 검사에서 단순 또는 변형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53례의 Ia1 환자 중 41례[77.4 %]에서는 술 후 잔여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12례에서는 잔여 병변이 관찰되었고 12례 중 10례에서는 원추 절제술 결과상 절제 변연부에서 병변이 발견되었던 경우였다. 3. 원추 절제 조직 소견 중 절제 변연부에 병변의 침범이 있는지 유무, HPV 감염의 형태학적 증거 유무, 임파혈관 침윤 유무 등과 자궁 적출술 후 잔여 병변이 발견될 확률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원추 절제 조직의 변연부에 병변의 침범 및 HPV 감염의 형태학적 증거 등이 자궁 적출술 후 잔여 병변이 관찰될 가능성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궁 경부 미세 침윤암의 경우 원추 절제 조직의 변연부에 병변이 없고 침윤의 깊이가 3 mm 이하이며 임파혈관 침윤 및 HPV 감염의 형태학적 증거가 없을 때는 보존적 치료인 원추 절제술이 적절한 치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했을 때는 반드시 세포진 검사나 질확대경 등으로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침윤의 깊이가 3.1-5 mm인 경우에는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보존적 치료의 적합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is a subject associated with decades of confusion and multiplicity of definitions. And so the treatment of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is controversial. Simple hysterectomy has been performed in almost all cases, associated or not with more radical procedures. But the morbidity associated with simple hysterectomy or more radical procedures must be weighed against the possibility of residual neoplasia. Currently, there is a tendency to adopt conservative management to treat patients with microinvasion, as long as it can be assured that the whole lesion has been removed.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clinical aspects of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and to establish which histological informations should be obtained from the cones that would give the best possible assurance of absence of residual neoplasia in the patient. This was done by comparing cone and hysterectomy specimens from each patient. Sixty nine cases who were diagnosed with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and treate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3 to 1997 were presented. Eight of these patients have been done conization as a therapeutic modality. We evaluated the following histological features in the cones: depth of invasion, lymphovascular invasion, morphological signs of HPV infection, and free or involved cone surgical margins. Residual neoplasia in the hysterectomy specimen was more frequent when margins of the cones were involved by atypical epithelium and in cases with signs of HPV infection. In conclusion, preoperative correct diagnosis of microinvasive cervical carcinoma was not easy and diagnostic conization should be done for correct diagnosis. Patients with a depth of invasion of 3 mm or less without signs of HPV infection and lymphovascular invasion safely can be treated with therapeutic conization. It cannot be overemphasized, however, that when conservative treatment is chosen, a close follow up with cytological and colposcopic control is indispensable.

      • KCI등재

        Comparison of Clinico-Physiologic and CT Imaging Risk Factors for COPD Exacerbation

        Yoo, Jung-Wan,Hong, Yoonki,Seo, Joon Beom,Chae, Eun Jin,Ra, Seung Won,Lee, Ji-Hyun,Kim, Eun Kyung,Baek, Seunghee,Kim, Tae-Hyung,Kim, Woo Jin,Lee, Jin Hwa,Lee, Sang-Min,Lee, Sangyeub,Lim, Seong Yong,Sh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2011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6 No.12

        <P>To date, clinico-physiologic indices have not been compared with quantitative CT imaging indices in determining the risk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exacerbation. We therefore compared clinico-physiologic and CT imaging indices as risk factors for COPD exacerbation in patients with COP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60 COPD patients from pulmonary clinics at 11 hospitals in Korea from June 2005 to November 2009 and followed-up for at least one year. At the time of enrollment, none of these patients had COPD exacerbations for at least 2 months. All underwent clinico-physiologic and radiological evaluation for risk factors of COPD exacerbation. After 1 yr, 106 of the 260 patients had at least one exacerbation of COP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ld age, high Charlson Index, and low FEV<SUB>1</SUB> were significant in a clinico-physiologic model, with C-statistics of 0.69, and that increased age and emphysema index were significant in a radiologic model, with C-statistics of 0.64.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P</I> = 0.04 by bootstrap analysis). Combinations of clinico-physiologic risk factors may be better than those of imaging risk factors in predicting COPD exacerbation.</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