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splatin이 포함된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오심과 구토의 예방에 Ondansetron 단독요법과 Dexamethasone과의 복합요법에 대한 비교 연구

        윤만수,김원희,박상원,이승환,김연주,김기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8

        저자들은 1993년 7월부터 1995년 6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악성종양으로 진단받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하는 복합항암요법을 받은 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ondansetron 단독투여군과 ondansetron, dexamethasone 복합투여군으로 나누어 항구토효과 및 부작용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겨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Cisplatin투여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급성구토의 조절효과는 완전조절이 복합투여군에서는 78%(18.23), 단독투여군에서는 60%(12/20)로 복합투여군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지연성 구토의 경우는 복합투여군에서는 65%(15/23), 단독투여군에서는 55%(11/20)로 복합 투여에서 다소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나 역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2. 오심에 대한 효과적인 조절은 복합투여군에서 82%, 단독투여군에서는 75%로 복합투여군에서 다소 우수한 것으로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p>0.05), 100 mm 눈금자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복합투여군에서의 오심의 정도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치료 후 평균 19.4 vs 33.8), 구토발현까지 시간의 비교에서도 단독투여군에서 10시간 20분, 복합투여군에서 19시간 40분으로 의미있게 긴것으로 나타났다. Chemotherapy induced nausea and vomiting is a still significant problem in the care of patients receiving cisplatin 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Existing antiemetic regimens, such as high dose metoclopramide have demonstrated clinical efficacy. Recently the more effective regimens, such as ondansetron or ondansetron combined dexamethasone hve been reported. Ondansetron, a serotonin antagonist have improved the treatment of chemotherapy induced nausea and vomiting. But the antiemetiv effect of delayed emesis is questionable. We compared the effectiveness and side effects of two antiemetic regimens using ondansetron alone versus ondansetron combined with dexamethasone, in the prevention of emesis induced by cisplatin 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A total of 43 patients were enrolled and assessable for efficacy. Patients who received ondansetron plus dexamethasone had a higher complete antiemetic response rate(acute emesis: 78% vs 60%, p0.05). Headache(9%), diarrhea(4%) and andominal colic(4%) were the most common antiemetic related adverse events.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was similar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 KCI등재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의 치료적 원추 절제술

        윤만수,강기주,양승홍,안영도,채호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5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의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1993년 3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으로 진단받은 69례를 대상으로하여 일반 적 임상 소견 및 자궁 경부 생검 조직, 원추 절제술 조직, 수술후 최종 조직 등의 슬라이드를 다시 면밀히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의 연령 분포는 30대가 43.5 %로 가장 많았으며, 출산력은 경산부가 97.1 %를 차지하였다. 술 전 진단적으로 시행한 자궁 경부 세포진 검사 소견은 class III가 34.8 %로 가장 많았고, 자궁 경부 생검 결과는 상피내암이 31.9 %로 가장 많이 나타나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의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서는 원추 절제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미세침윤암 Ia1 환자 61례의 치료로는 37례[60.7 %]에서 단순 자궁적출술을, 16례[26.2 %]에서 변형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그리고 나머지 8례[13.1 %]에서는 치료적 원추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Ia2 환자 8례에서는 모두 변형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다. 자궁적출술 후의 조직 검사에서 단순 또는 변형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53례의 Ia1 환자 중 41례[77.4 %]에서는 술 후 잔여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12례에서는 잔여 병변이 관찰되었고 12례 중 10례에서는 원추 절제술 결과상 절제 변연부에서 병변이 발견되었던 경우였다. 3. 원추 절제 조직 소견 중 절제 변연부에 병변의 침범이 있는지 유무, HPV 감염의 형태학적 증거 유무, 임파혈관 침윤 유무 등과 자궁 적출술 후 잔여 병변이 발견될 확률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원추 절제 조직의 변연부에 병변의 침범 및 HPV 감염의 형태학적 증거 등이 자궁 적출술 후 잔여 병변이 관찰될 가능성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궁 경부 미세 침윤암의 경우 원추 절제 조직의 변연부에 병변이 없고 침윤의 깊이가 3 mm 이하이며 임파혈관 침윤 및 HPV 감염의 형태학적 증거가 없을 때는 보존적 치료인 원추 절제술이 적절한 치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했을 때는 반드시 세포진 검사나 질확대경 등으로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침윤의 깊이가 3.1-5 mm인 경우에는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보존적 치료의 적합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is a subject associated with decades of confusion and multiplicity of definitions. And so the treatment of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is controversial. Simple hysterectomy has been performed in almost all cases, associated or not with more radical procedures. But the morbidity associated with simple hysterectomy or more radical procedures must be weighed against the possibility of residual neoplasia. Currently, there is a tendency to adopt conservative management to treat patients with microinvasion, as long as it can be assured that the whole lesion has been removed.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clinical aspects of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and to establish which histological informations should be obtained from the cones that would give the best possible assurance of absence of residual neoplasia in the patient. This was done by comparing cone and hysterectomy specimens from each patient. Sixty nine cases who were diagnosed with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and treate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3 to 1997 were presented. Eight of these patients have been done conization as a therapeutic modality. We evaluated the following histological features in the cones: depth of invasion, lymphovascular invasion, morphological signs of HPV infection, and free or involved cone surgical margins. Residual neoplasia in the hysterectomy specimen was more frequent when margins of the cones were involved by atypical epithelium and in cases with signs of HPV infection. In conclusion, preoperative correct diagnosis of microinvasive cervical carcinoma was not easy and diagnostic conization should be done for correct diagnosis. Patients with a depth of invasion of 3 mm or less without signs of HPV infection and lymphovascular invasion safely can be treated with therapeutic conization. It cannot be overemphasized, however, that when conservative treatment is chosen, a close follow up with cytological and colposcopic control is indispens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