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eet Bee Venom 시술이 Rat의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

        이종영,권기록,Lee, Jong-Young,Kwon, Ki-Rok 대한약침학회 2011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14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effects of Sweet Bee Venom(SBV-purified melittin supported by G&V Co., the major component of honey bee venom) on the respiratory system in rats. Methods: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Biotoxtech Company, a non-clinical studies authorized institution, under the regulations of Good Laboratory Practice(GLP). Male rats of 5 weeks old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after confirming condition of rats was stable, SBV was administered in thigh muscle of rats in 0.175, 0.35 and 0.7 mg/kg dosage. And checked the effects of SBV on the respiratory system using the whole body plethysmography. And respiratory rate, tidal volume and minute volume of rats were checked after administered SBV (melittin). Results: 1. In the measurement of respiratory rate, there were not observ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In the measurement of tidal volume, there was not observ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In the measurement of minute volume, 0.35mg/kg dosag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we estimated that this result was caused by individual differences. Conclusions: Above findings suggest that SBV seems to be safe treatment in the respiratory system of rats. And further studies on the subject should be conducted to yield more concrete evidences.

      • KCI등재

        미세먼지, 악취 농도 예측을 위한 앙상블 방법

        이종영,최명진,주영인,양재경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9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2 No.4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produced research and reports in order to forecast more exactly air quality such as particulate matter and odor. However, such research mainly focuses on the atmospheric diffusion models that have been used for the air quality prediction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area. Even though it has various merits, it has some limitation in that it uses very limited spatial attributes such as geographical attributes. Thus, we propose the new approach to forecast an air quality using a deep learning based ensemble model combining temporal and spatial predictor. The temporal predictor employs the RNN LSTM and the spatial predictor is based on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The ensemble model also uses the RNN LSTM that combines two models with stacking structure. The ensemble model is capable of inferring the air quality of the areas withou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and even forecasting future air quality. We installed the IoT sensors measuring PM2.5, PM10, H2S, NH3, VOC at the 8 stations in Jeonju in order to gather air quality data.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our new model has very exact prediction capability with comparison to the real measured data. It implies that the spatial attributes should be considered to more exact air quality prediction.

      • 중소형 절삭가공업체를 위한 POP 시스템의 개발

        이종영,김동원,이찬기,조기현,하헌준,김병문,허은영,조민호 한국경영과학회 2010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생산현장에 대한 정보시스템의 부재는 비효율적인 생산공정 관리의 한 원인이 되고, 결국 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이 된다. 특히, 공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신속한 의사결정과 그 실행을 지원하는 시스템인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는 생산현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산정보시스템으로서, 생산현장의 관리활동이 주된 활동을 이루는 중소 제조기업에 더욱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MES구축을 위한 기반시스템으로서, 현장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는 POP(Point Of Production)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KCI등재

        제품안전기준에 관한 행정법적 문제

        이종영,조우성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7 No.-

        Securing the safety of these products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for numerous products that give convenience and freedom to many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For example, a cell phone that is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should not be at risk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a battery should not be at risk of fire or explosion. The function and design of the produc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but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development and use of the product. The state should make efforts to promote the convenience and happiness of consumers by introducing new products to the market, and at the same time, ensure that safe products are manufactured and sold to prevent physical and property risks from consumers. The government does not manufacture or sell products directly, but is constitutionally conferred on the management of product safety as a duty to protect the basic rights of the consumer not to be injured by the products manufactured and sold by operators. However, product safety does not presuppose complete safety. In reality, a completely safe product does not exist on Earth. Product safety must be realized in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product design, manufacturing process, and distribution process. Otherwise, the danger of the product will be stolen everywhere, and it may cause harm to people's life and body. Therefore, product safety related laws (for product safety) are mainly focused on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Also,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roduct safety is the product safety standard which applies to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es. Meanwhile, in the same manner, product safety standards cannot be based on complete safety. In other words, the product safety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a range that recognizes appropriate and socially acceptable safety systems in a considerable part based on scientific theory. In conclusion, under product safety laws, the objective risk theory with procedural safeguards can be reflected in the mixed state of individual regulations for safety concepts. Therefore, the legal theory of product safety cannot realize sufficient product safety simply by the social acceptance risk theory of setting safety standards for products. Therefore, on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theory of acceptance of product safety, the individual happiness from the use of products can start within the extent that accepts socially acceptable risks.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편리함과 자유를 주는 수많은 제품에 대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해당 제품의 안전성 확보이다. 예를 들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은 전자파의 위험이 없어야 하고 배터리는 화재나 폭발위험이 없어야 한다. 제품의 기능과 디자인 역시 제품의 개발과 사용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국가는 새로운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어 소비자의 편의와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는 동시에 제품으로 인한 소비자의 신체적ㆍ재산적인 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한 제품이 제조ㆍ판매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가는 제품을 직접 제조ㆍ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가 제조ㆍ판매하는 제품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생명과 신체에 위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품안전에 대한 관리를 헌법에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로 부여받고 있다. 그러나 제품의 안전은 완전한 안전을 전제하지 않고 있다. 실제 현실에서 완전하게 안전한 제품은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제품안전은 제품의 설계, 제조공정, 유통과정 등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실현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품의 위험성은 곳곳에 도사리게 되어 국민의 생명ㆍ신체에 위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제품안전 관련 법령이 제품의 설계와 제조에 집중되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제품안전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제품의 안전기준이다. 제품안전기준은 제품의 설계와 제조공정에 적용되는 법규로 완전한 안전을 전제로 그 기준을 정할 수는 없다. 즉, 제품안전기준은 과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면서 상당한 부분에서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적절한 안전한계를 인정하는 범위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제품안전 관련 법령상 안전 개념에 대해 개별적인 규정의 혼합적인 상태에서는 절차법적으로 안전장치가 있는 객관적 위험성 이론이 반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안전에 관한 법이론은 단순히 제품안전기준의 설정에 관한 사회적 수용성 위험이론만으로 충분한 제품안전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품안전에 관한 사회적 수용성 위험이론의 철학적 바탕 위에 제품의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개인의 행복은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위험을 수인하는 범위에서 출발할 수 있다.

      •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미디어경쟁 상황과 지상파 TV의 시청패턴

        이종영,조성동 한국방송학회 2006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이 연구는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접어들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로 인정받아 왔던 지상파 TV의 시청행태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케이블 TV가 도입된 이후 다채널에 의한 수용자들의 이용행태 변화를 연구를 시작했다. 그러나 뉴미디어의 영향력과 점유정도를 고려할 때, 그 본격적인 변화의 시점은 2000년 이후라고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현재까지 논의되는 많은 연구들은 뉴미디어들의 도입이 기존 미디어인 TV에 상호 보완적인지 혹은 상호 경쟁적인지를 다양한 연구방법에 의해 도출해오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인정하고, 동일 시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상호 경쟁적인 매체로 인정하지만, 실제 이용시간에서는 상호 보완적이라는 결론들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 하루의 시간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과연 그러한 결과를 사실로 받아들일 수 있는가?라는 의문으로부터 이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국민생활조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실제 이용시간 소비와 기존연구들이 주장하는 상호보완적 특성이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년도에 따른 국민생활시간조사를 코호트 분석하고, AGB닐슨의 2000년과 2006년 시청률데이터를 연령으로 코호트 비교한 결과 연령에 따른 이용특성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장르에 따른 세대별 특성도 분명하게 나타났다. 연령과 장르에 따른 세대별 특성들은 국민생활조사와 개인별 ID로 조사된 AGB닐슨 시청률 데이터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임의적 설명을 배제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과 실제 데이터 현황을 통해 세대별 시청 특성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용행태 연구 전반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를 가진다. 그러나 현재의 분석 결과를 통해 시청률의 직접적인 감소 원인이나 세대별로 나타나는 특성들의 원인을 외부적 요인으로 환원하여 설명하는 것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개발과 타당도

        이양현,임효덕,이종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최근 감정표현불능증은 정서조절의 장애(disorder of emotion regulation) 또는 정신생물학적 조절이상(psychobiological dysregulation)으로 재개00념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측정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장애를 검사할 타당도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도구가 없는 실정이었다. 그래서 TAS가 개발되고 뒤이어 TAS-R이 개발되었으며, 새로이 TAS-20이 개발되어 여러 나라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를 인정받았다. 그리하여 저자는 TAS-20을 문화와 언어가 다른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역을 하여 한국에서의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판 20항목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특징적인 세가지 요인에 따른 감정표현 불능증의 전반적 차원을 확정적 요인 분석으로 검사하였다. 대상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의학과와 간호학과 학생 388명(남자 216명, 여자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확정적 요인 분석에서 TAS-20K의 타당도가 독일, 미국, 캐나다에서의 연구 결과보다 더욱 높게 나왔다. 다만 #5 항목은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할 때 “나는 어떤 문제를 단순히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는 그 문제의 이유를 이해할려고 노력하는 편이다.”라는 내용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검사가 더욱 다양한 연령군이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다양한 종류의 질환군을 표본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한국형 척도의 개발을 위해서는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 또는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하여 강조되었다. Alexithymia has been reconceptualized as a disorder of emotion regulation or psychobiological dysregulation in humans, and various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se measures have been found to lack adequate reliability and /or validity. So, Taylor and others initially developed the TAS, and later developed an improved version of the TAS(the TAS-R). More recent studies led to further refinement of the TAS-R,and to the introduction of a 20-item version(the TAS-20), which has demonstrat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several countries. The aim of the this study was to translate the English questionnaire of the TAS-20 into Korean, so that it will be applicable to Korean society. Next,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TAS-20K. This study tested a general dimension of alexithymia with a three factor-model in the TAS-20K,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bject were 388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216 males and 172 females in the medical and nursing school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tudy, we found the Korean version of the TAS-20 to be replicable and vali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revealed more valid results than the ones obtained in Germany,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Finally, this research should also assess samples of various age groups or various kind of patients The author stres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in developing a korean version of foreign sc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