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결권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입법방안 연구 - 유럽인권법원 판례와 ILO 결사의 자유를 중심으로 -

        심민석 한국사회법학회 2020 社會法硏究 Vol.0 No.40

        우리나라는 국제노동기구(ILO)에 1991년에 가입하였지만, ILO의 8대 핵심협약 중 4개의 핵심협약인 ①‘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 협약(제87호, 1948년 채택)’, ②‘단결권 및 단체교섭 협약(제98호, 1949년 채택),’ ③‘강제노동협약(제29호, 1930년 채택)’, ④‘강제노동철폐 협약(제105호, 1957년 채택)’에 대해서는 비준하고 있지 않았다. 이에 문재인 정부는 ILO의 핵심협약 4개 중 제105호인 강제노동 철폐에 관한 협약을 제외한 3개의 핵심협약만을 우선 비준할 계획하에 새로운 여러 법안을 마련하였는데, ILO의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 협약과 관련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인 3개의 법률개정안은 입법 예고를 거친 후 2019년 10월 1일에 국무회의 심의・의결 거쳐 국회에 제출된 상태이지만 아직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동 논문에서는 단결권을 보호하는 데 있어서 유럽인권법원(ECtHR)의 판례와 「유럽인권협약」 제11조 집회 및 결사의 자유와 제14조 차별금지 규정에 관한 해석을 살펴보면서, ILO의 핵심협약 제87호, 98호에 관한 해석과 우리에게 권고한 사항들을 살펴보면서 개정안인 「노동조합법」, 「공무원노조법」, 「교원노조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단결권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노동조합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첫째,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포함할 수 있는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 개념을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고, 특수형태근로종사자들이 노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도록 명시적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둘째, 개정안의 경우 해고자는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게는 하였지만, 임원 또는 대의원의 자격이 없다. 이에 노동조합의 자유롭고 독립적인 활동의 보장 측면에서 임원 또는 대의원이 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조설립신고제도가 결사의 자유 원칙에 위배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지 못하도록 「노동조합법」상 노동조합의 결격사유 대상에 대해 거의 논의가 없는 부분만을 규정하여 노동조합 설립 신고에 있어서 형식적 심사만이 이뤄질 수 있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는, 근로시간면제 한도의 법적 구속력을 완화하여, 근로시간면제 한도에 관한 최저기준과 최고기준을 설정하여 동 범위 안에서 교섭할 수 있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될 수 있는 한 두 당사자의 자유로운 교섭에 의해서 근로시간면제한도 제도가 운영될 수 있도록 입법할 필요가 있다. The Moon Jae-in government prepared a number of new laws under the plan to prioritize only three core agreements, excluding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Forced Labor, which is No. 105 of the ILO's four core agreements. The three legislative amendments, the Labor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the Law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Unions of Public Officials, and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abor Unions of Teachers, etc. However, it has been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fter deliberation and resolution by the State Council, but has not yet passed.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European Human Rights Court (ECtHR) precedent in protecting the right to unity,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11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freedom of association and Article 14,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anti-discrimination provisions of the ILO. While reviewing the interpretations of 87 and 98 and recommendations to us, it present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revised bills, the Trade Union Act, the Public Officials Union Act, and the Teachers Union Act. For the amendment to the 「Labour Union Act」 to actively protect the right to unite, first, it is necessary to newly define the concept of workers under the 「Labor Standard Act」, which may include special type workers, and special type workers are established to establish unions. You need to make explicit provisions. Second, in the case of the amendment, the dismissal allowed the union to join, but it did not qualify as an executive or representative.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grant qualifications to become executives or delegates in terms of guaranteeing free and independent activities of trade unions. Third, in order to prevent the union establishment reporting system from operating in a way that violates the principle of freedom of association, only the formal examination of the union establishment declaration is made by defining only the part where there is little discussion about the reasons for the union's disqualification under the Trade Union Act. It needs to be defined so that it can be achieved. Fourth,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at the legal and binding restrictions on the working hours exemption limit should be relaxed, and the minimum and maximum standards for the working hours exemption limit should be set so that they can negotiate within this range. It is necessary to make legislation so that the working hours exemption limit system can be operated.

      • KCI등재

        법인 임원의 최고보수상한제에 관한 법적 타당성과 입법방안 연구

        심민석 한국사회법학회 2019 社會法硏究 Vol.0 No.39

        The polarization of income is the main reason for the polarization of society.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istics data, the income gap between the people is only growing. A good illustration of this profile of income disparity is the wage disparity between executives and general employees of corporations. The average wage gap between registered executives and registered employees of the top ten listed companies is 13.6 times, and the average annual salary of registered executives is about 1.14 billion won. In addition, as of the first quarter of 2019, our household debt balance reached KRW 1540 trillion, an increase of 4.9%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According to the Oxford Economic Analysis, which analyzes our economic situation, the ratio of household debt to gross domestic product (GDP) in Korea is close to 100%, the third highest among the 28 countries analyzed. Oxford Economics ranks Korea as the country with the greatest risk when analyzing the household debt-to-GDP ratio above 65-85% and the ratio increased by more than 7 percentage points over five years. Adam Slater, senior economist at the Institute, said, “The most dangerous combination is the high debt ratio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debt ratio.” “Many studies have pointed to this threshold, and beyond that, there is a risk of a rapid slowdown in GDP growth or the financial crisis. It increases significantly.” In this paper, one of the various measures to close this income gap is the foreign legislative trend of the maximum salary limit of corporate executives, also known as the Fat Cat Act, and the legislative bills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It examines the ordinances and ordinance trends and suggests possible future legislation. 소득의 양극화는 사회의 양극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국민들의 소득 격차는 점차 커져만 가고 있다. 이러한 소득 격차의 단면을 잘 보여주는 것이 법인의 임원과 일반 직원 간의 임금격차일 것이다. 상장된 주식회사인 10대 그룹의 등기임원 연봉과 일반직원 간의 평균 임금 격차는 13.6배나 되고, 등기 임원의 연봉은 평균 11억 4천만원 정도이다. 이와 더불어 2019년 1분기 기준으로 우리의 가계부채 잔액은 1540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71조8000억 원) 증가했다. 이러한 우리의 경제상황을 분석한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분석에 따르면 최근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에 근접해 분석대상 28개국 가운데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65∼85%를 넘고 이 비율이 5년간 7%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가장 큰 위험을 안고 있는 나라로 한국을 꼽고 있다. 이 연구소의 애덤 슬레이터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가장 위험한 조합이 높은 부채비율과 급격한 부채비율 상승”이라며 “많은 연구 결과가 이를 문턱(threshold)으로 지목해 왔으며 이를 넘어서면 급격한 GDP 성장 둔화 또는 금융위기의 리스크가 상당히 증가한다.”고 밝히고 있다. 동 논문에서는 이러한 소득 격차를 줄이기 위한 여러 제도 중의 하나로 일명 ‘살찐 고양이법’으로 불리는 법인 임원의 최고보수상한제도에 대한 외국의 입법동향과 현재 국회에 계류 중에 있는 입법안과 현재 실행 중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및 조례제정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있고, 향후 입법 가능한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대체복무제도의 제한조건과 양심적 병역거부 - 유럽인권재판소의 판례를 중심으로 -

        심민석 유럽헌법학회 2019 유럽헌법연구 Vol.0 No.31

        In relation to conscientious objection, nearly 20,000 people have been in prison since 1950. At that time,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o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or convocation was 1 year and 6 month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onstitutional mismatch made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rticle 5, paragraph 1 of the Military Service Act on June 28, 2018 is very tortured. However, in order to prevent legislative gaps that could occur when a simple unconstitutional decision was made, it was ordered to improve legislation by 31 December, 2019. Accordingly, on 19 November, 2019, the bills on the transfer and service of alternative services and the partial amendment of the Military Service Act were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Defense Committee for the National Assembly's plenary session. However, 「the Act on Incorporation and alternative service」 is a very poor legislation that falls short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nd the Commission on Freedom of Rights. In fact, before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UN Freedom Rules Committee recognized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s a universal right that occurs in Article 18 of the Freedom Rights Rule, changing its position in the case of Yoon Yeo-beom and Choi Myung-jin in 2006, and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which was influenced by this, changed its position in the case of "living document theory" The right to refuse military service is recognized as a universal right that occurs in Article 9 of the Convention. In the 2017 Adyan and Others v. Armenia ruling,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ruled that Armenia's alternative service law violates Article 9 of the Convention, saying, "Alternative service should be a form that is compatible with the reason for conscientious objection as a non-conventional civilian personality for the public interest."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for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nd the restriction of alternative service system have already been prepared.Nevertheless, the legislation of the alternative service system has been adopted, but it suggests the legislative improvement plan that can meet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nd recommend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in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urging for legislation to improve it in the future. 양심적 병역거부와 관련하여 1950년 이후부터 수감된 인원을 따져보면 약 2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수감되어 왔다. 당시의 이러한 양심적 병역거부를 이유로 입영하지 않거나 소집에 응하지 않은 경우 받게 되는 이른바 정찰제 선고형이 1년 6개월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헌법재판소가 2018년 6월 28일에 병역법 제5조 1항에 대해 내린 헌법불합치 결정은 매우 고문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단순위헌 결정을 내렸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입법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2019년 12월 31일까지 개선 입법을 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2019년 11월 19일에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 등에 관한 법률안」과 「병역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국방위원회를 통과하여 국회 본회의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 등에 관한 법률안」은 유럽인권재판소와 자유권규약위원회가 판시한 국제인권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매우 미흡한 입법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우리의 헌재 결정보다 앞서 UN의 자유권규칙위원회는 2006년 윤여범, 최명진 사건에서 종래의 입장을 변경하면서 양심적 병역거부권을 자유권규칙 제18조에서 발생하는 보편적인 권리로 인정하였고, 이에 영향을 받은 유럽인권재판소는 2011년 7월 7일에 Bayatyan v. Armenia판결에서 ‘살아있는 문서이론’을 이용해 종래의 입장을 변경하면서 양심적 병역거부권을 협약 제9조에서 발생하는 보편적인 권리로 인정하였다. 그리고 유럽인권재판소는 2017년 Adyan and Others v. Armenia 판결에서 아르메니아의 대체복무법이 협약 제9조를 위반하고 있음을 판결하면서 “대체복무는 징벌적인 성격을 벗어나야 하고 공익을 위하여 비전투적 민간적 성격으로서 양심적 병역거부의 이유와 양립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미 양심적 병역거부와 대체복무제도의 제한조건에 대한 국제인권기준은 마련되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우 미흡한 대체복무제도의 입법안을 채택하게 되었지만, 향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헌재의 입법 촉구 시에 추가로 국제인권기준을 권고할 수 있도록 하며, 국제인권기준에 부합할 수 있는 입법적 개선방안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학제별 법학교육에 관한 개선방안 - 프랑스의 법학교육을 중심으로 -

        심민석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7 법률실무연구 Vol.5 No.3

        It is true that our legal education is in a great crisis because of the opening of a law school. However, since the graduate school of law was inaugurated, it does not seem that the crisis in law education has come. I think that this is because there are not many merits that can be received as a law major in graduating from law school and entering society. This is because our legal education has been going too far and long for the education system to prepare for the judicial examination. However, when the law school is opened, our law education is transformed into an education system that prepares students to enter the law school again. In the case of the local universities that can not follow this, the law department is abolished or merged. First of all, the value of current legal education should be devoted to the training of lawyers. In order to do this, specialized theoretical and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those who majored in law to be treated as professional intellectuals. Those who have completed at least B credits of the first examination in various qualifications need to be given the benefit of exemption from the first examination. As a person who has received colle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bject of law related to law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o as to cultivate qualities such as criticism, universal love for human beings, sense of justice, understanding of others and spirit of tolerance as democratic citizens . Also, it is necessary to revise curriculum to enhance the legal sense of the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democratic citizen consciousness. The law should not be exclusive to any particular class or class or legal expert. The law must be fully supported by the people and should remain alive in the people. This is for the realization of the rule of law and is the inevitability of the rule of law. 현재 법학전문대학원의 개원과 변호사 자격시험이 시행되면서 ‘비싼 등록금’의 문제, ‘특혜(부정) 입학’의 문제 등의 부정적 인식은 아직도 많이 표출되어 오고 있으며, 특히 사법시험 과열현상으로 인한 대학교육의 황폐화 문제가 이젠 법학전문대학원의 입문기관화라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법학전문대학원의 제도적인 문제점은 차치하더라도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으로 인한 각 대학 내의 법학교육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데, 특히 법과대학의 인원감축과 법과대학의 폐지 또는 다른 전공과 통합시키는 대학교들이 늘면서 정통적인 법과대학이 큰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법학전문대학원이 개원되었기 때문에 법학교육에 위기가 왔다고 보지는 않는다. 이보다는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회에 진출하는데 있어서 법학전공자로서 받을 수 있는 메리트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의 법학교육이 사법시험 준비를 위한 교육체계를 너무 오랜 장기간 지속해 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법학전문대학원이 개원하면서 우리의 법학교육은 다시 법학전문대학원 입학을 준비하는 교육체계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를 따를 수 없는 지방대학의 경우에는 법학과를 폐지하거나 통폐합할 수밖에 없는 길로 내 몰리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선 현행 법학교육의 가치평가가 법조인양성에만 집중되고 있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법학을 전공한 자들이 전문 지식인으로 대우 받을 수 있도록 전문화된 이론 및 실무교육을 실시하여, 법학 전공자를 요구하는 다양한 수요자들에게 충족시켜줘야 한다. 그리고 각종 자격증 1차 시험의 과목을 B학점 이상 이수한 자들에게는 1차 시험을 면제해 주는 혜택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대학교육을 받은 사람으로서 비판정신, 인간에 대한 보편적 사랑, 정의감, 타인에 대한 이해와 관용의 정신 등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연마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기관 내에 법과 관련한 교양과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중등학생들의 법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과과목 개편이 필요하다. 법은 어느 특정 계층이나 부류 및 법률전문가들의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법은 온전히 국민들의 지지를 받아야 하며, 국민 속에 살아 숨 쉬는 존재로 남아있어야 한다. 이는 법치국가의 실현을 위한 것이며, 법치국가의 필연인 것이다.

      • KCI등재

        로봇과 인공지능(AI)의 법적․윤리적 입법방안에 관한 연구

        심민석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19 比較法硏究 Vol.19 No.2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e stand at the threshold of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can not be stopped. There are many positive views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ich is the core technology of this new industrial revolution, but there are also high voices of concern. At this level, the resolution of the European Union's 「Civil Law Rules on Robotics」 in 2017 is highly suggestive of our legislation on legal and ethical issu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of all, as described in the preface of the resoluti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safety devices for automated algorithms and the establishment of human control and verification. Basic ethical principles and codes of conduct for designers, producers and users should be established. As far as possible, the parts that can be disputed within the scope of current liability should be judged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In addition, the definitions of our intelligent robots need to be defined more specifically, such as 「Civil Law Rules on Robotics」. And a registration system for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needs to be established,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gency that can do this. And securing the openness of the digital infrastructure proposed by 「Civil Law Rules on Robotics」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form our desirabl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ethical principles of robotics, which are described in 「Civil Law Rules on Robotic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future intelligent robot ethics charters. These legislations can be a great reference for us in defining the legal responsibiliti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우리는 멈출 수 없는 새로운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인 변화의 문턱에 서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러한 새로운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인공지능기술에 관해서는 긍정적인 시각도 많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이러한 차원에서 2017년에 의결한 EU의 「로봇공학에 관한 민법 규칙」의 결의안은 제4차 산업혁명에 있어서의 법적․윤리적인 문제에 관한 우리의 입법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우리의 지능형 로봇에 관한 정의 규정을 「로봇공학에 관한 민법 규칙」과 같이 좀 더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고, 국내 및 국제적인 차원에서 등록시스템의 구축은 필요하며 이를 전담할 수 있는 기관의 설립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아직 지능형 로봇윤리헌장은 정식으로 공표되어 있지는 않아 「로봇공학에 관한 민법 규칙」 결의안에 밝히고 있는 로봇공학의 윤리적인 원칙은 향후 지능형 로봇윤리헌장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로봇공학에 관한 민법 규칙」은 로봇의 잠재적인 피해에 대해 보험에 가입하도록 의무보험제도를 수립하도록 하고 있고, 회복될 수 있는 피해의 유형이나 범위를 피해가 인간이 아닌 행위자에 의해 야기되었다고 보상의 형태를 제한하여서는 안 된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향후 로봇과 인공지능의 개발에 따른 법적 책임을 규정하는데 있어 크게 참고가 될 수 있는 규정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미래의 입법안에는 자율형 살상무기시스템의 개발을 전면적으로 금지할 수 있는 금지규정을 입법화해야 한다. 그리고 독립적인 윤리심사가 확보될 수 있도록 국가 기관 내에 연구윤리위원회를 설립하여야 하며, 위원회의 운영과 절차는 투명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또한 로봇과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위험영향평가와 윤리영향평가를 받도록 할 필요도 있다.

      • KCI등재

        교정시설의 과밀수용에 관한 법ㆍ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심민석 법과사회이론학회 2017 법과 사회 Vol.0 No.56

        The problem of Overcrowded Correctional Facilities is not only a violation of human rights but also a social problem. The recent decision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on the violation of Article 3 of the Convention and the unconstitutional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n overcrowded correctional facilities are once again awakening the seriousness of overcrowding. We will compare the decisions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nd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majority opinion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is regarded as illegal if it is accepted beyond the prisoner,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 not mention it. In this respect, the judgment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can be said to be more faithful to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we will present a legislative measures for the current 「Act on Execution of the Sentence and Treatment of Prisoners」. Provisions consistent with the view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re Article 146 of 「Strafvollzugsgesetz」of the German, which prohibits the acceptance of overcrowding. We must, in principle, prohibit the acceptance of overcrowding in the 「Act on Execution of the Sentence and Treatment of Prisoners」and, in exceptional cases, permit it to be limited. And we must raise the minimum capacity per capita in the future to meet the standards of the European Torture Commission. In addition, we should establish an agency with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hat can continuously monitor the acceptance status of all reception facilities. The agency has to annually report and announce the annual status of the acceptance. The agency also should make recommendations against illegal accommodation. Because we have to improve the level of human rights protection and strengthen the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브라질 교도소의 연이은 폭동사건은 교정시설의 과밀수용문제가 개인의 인권침해를 넘어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의 헌법재판소의 과밀수용행위에 대한 위헌결정은 현재 교정시설의 과밀수용실태의 심각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밀수용의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확장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법적ㆍ정책적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한 최근의 유럽인권재판소의 과밀수용행위에 대한 협약 제3조 위반의 판결은 헌법재판소의 과밀수용행위의 위헌결정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 사례를 비교검토하면서 현행 「형집행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법적인 입법방안과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유럽인권재판소의 다수견해는 초과수용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위법을 강하게 추정하지만 예외적으로 위법을 보정할 수 있는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과밀수용의 위법성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지나치게 협소한 수용은 국가형벌권 행사의 한계를 넘어 수형자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한다고만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유럽인권재판소의 판결이 인권보호에 대해 보다 더 근본적으로 접근한 판결이며 법적인 기준제시가 보다 더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럽인권재판소의 판결취지에 부합하면서도, 보다 더 근본적으로 교정시설의 과밀수용을 금지하고 있는 것은 독일의 「행형법」 제146조이다. 따라서 독일의 「행형법」 제146조와 같이「형집행법」에 원칙적으로 과밀수용을 금지하는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아주 제한적인 사항에 대해서만 예외를 허용하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는 행정의 자의적 행사를 방지하고, 국민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법치주의의 이념이기 때문이다. 또한 과밀수용금지규정의 입법화 는 형사사법절차의 여러 단계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양한 다이버전제도를 주무기관(경찰, 검찰, 법원 교정본부등)들이 서로 협의하여 대안을 제시하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적극적인 실행에 많은 고려를 하게 할 수 있어서 과밀수용해소에 보다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과밀수용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수도권 내 구치소의 증설 또는 증축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이며, 구치소가 없어 기결수용자와 미결수용자가 같이 수용되고 있는 전라도와 강원도에는 구치소를 신설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1인당 최소수용면적에 대해 국제적 기준이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체적으로 국제적 기준으로 많이 참고가 되고 있는 국제적십자위원회나 유럽고문방지위원회가 제시하고 있는 기준에 맞춰 1인당 최소수용면적을 향후 상향조정할 필요성도 있다. 또한 모든 교정시설의 수용실태를 지속적으로 관리ㆍ감독할 수 있는 전문기관을 국가인권위원회 내에 신설하여 매년 수용실태를 파악하고 보고서를 작성ㆍ발표하게 하며, 위법한 교정시설에 대한 권고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인권보호 수준의 향상과 인권보호시스템이 강화될 수 있을 뿐더러 과밀수용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