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동조합과 사회주의

        이상봉 대한정치학회 2023 大韓政治學會報 Vol.31 No.1

        협동조합사상이나 운동은 사회주의사상의 조류 속에서 출현하였지만 그동안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주도하던 사회주의운동의 한 흐름으로 인정받지는 못해 왔다.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나 사회주의로의 이행방법에서의 차이 등으로 협동조합운동은 사회주의운동과 거리를 두면서 정치적 중립을 중요한 원칙으로 삼아왔던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한편으로 소련 및 동유럽 국가사회주의의 붕괴와 함께 사회주의의 본원적 형태에 대한 재고가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 사회적 협동조합과 같은 사회주의적 성격을 강화한 새로운 협동조합이 분출하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협동조합과 사회주의의 관계에 대한 관심과 분석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토대로, 이 글은 협동조합과 사회주의의 관계와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 즉 협동조합은 사회주의사상의 하나의 흐름인가? 초기사회주의자들은 협동조합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협동조합운동과 사회주의운동은 각각 서로를 어떻게 인식하며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가? 협동조합과 사회주의의 이론 및 실천에 있어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대안적 사회주의로서 제기되는 어소시에이션론과 협동조합의 관계는 어떠한가? 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高句麗 古墳壁畵 模寫圖의 현황과 일제강점기 자료의 검토

        박아림(Ah Rim Park)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고구려 벽화고분이 20세기 초 학술적으로 발굴되면서 발굴한 벽화를 기록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벽화의 선과 색채, 그리고 석실 내부의 상태를 재현하면서 화폭에 그대로 옮기는 모사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제작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현존하는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관련 자료들을 비교하여 모사도 제작자와 제작시기에 대하여 재조명하였다. 다음으로 가장 이르게 모사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여 여러 본의 모사도가 현존하는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의 각 모사도 세트를 유리건판으로 남은 촬영사진, 모사도 초본, 흑백모사도, 소장정보 등을 검토하여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모사도 제작 작가에 대한 정보를 조선총독부 문서를 살펴서 재검토하였다. 1914년 평안남도 용강군 쌍영총 외 3개 고분벽화 모사에 오바 스네키치(小場恒吉)와 오타 후쿠조(太田福藏)와 같이 잘 알려진 모사도 제작 작가 외에 후나고시 겐(船越謙)이라는 인물이 참여한 기록이 있다. 마지막으로 여러 본의 모사도가 존재하는 감신총의 모사도들의 원화사진, 현존 모사도, 모사도에 남은 서명과 필치, 소장번호 등을 비교 검토하여 고구려 벽화 모사도의 제작 과정과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12년 오바 스네키치와 오타 후쿠조의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의 모사도 제작에서 시작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는 현재까지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종류의 모사도들이 존재한다. 일제강점기 모사도 관련 자료를 통해 본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제작과 보존 및 활용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이러한 모사도들이 학술적이고 자료적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각 모사도의 제작방법과 기술에 대해 상세한 기록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제작된 모사도들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의 관련 자료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각 모사도의 제작 시기, 제작 방법, 열화 표현 정도, 바탕 처리 정도 등을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 모사 방법을 달리하는 여러 본의 모사도가 존재하는 강서대묘와 강서중묘, 감신총, 쌍영총 등도 각 모사도의 계통과 작가에 대하여 보다 고찰이 필요하다. 현존 모사도와 출간 도록에 실린 모사도, 모사도 제작 기록과 모사도를 찍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과 조선 총독부 문서 등을 검토하여 현재까지 남은 모사도의 제작 과정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는 것이 향후의 연구과제이다. Since the Koguryo mural tombs have been excavated academically in the early 20th century, a replica painting has been produced as one of the measures to record the discovered murals as it reconstructed the linework, the colors, and the interior condition of a stone chamber. This paper looked up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tate of mural replicas of Koguryo since the Japanese colonial time period and then reexamined the painters and the dates of replicas as comparng the remaining materials regarding the Koguryo mural tombs. The Koguryo mural replicas started in 1912 when Oba Tsunekichi and Ota Fukujo made copies of wall paintings inside the Great Tomb at Kangso and the Middle Tomb at Kangso. Currently, they have been continuously produced in South Korea, North Korea, Japan, and China in various methods. As the paper investigated the production and the preservation as well as the usage of those replicas, in order to study those replicas as the academical and authentic research sourc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onditions must be recorded in details. As of the already existing replicas, we need to thoroughly examine the related materials to figure out the dates, the techniques, the expression of the deterioration, the painters, etc. Several tombs with different versions of replicas such as the Great Tomb and the Middle Tomb at Kangso and the Niche Spirit Tomb, and the Twin Pillars Tomb should be more carefully studied along with the remaining replicas and the replicas on the published catalogs as well as the written records of the replica produc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the glass dry-plates of Koguryo murals and replicas

      • KCI등재
      • KCI등재

        컨설턴트역량과 기업참여도가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역량을 조절변수로

        이상봉,이철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최근 국내 경영컨설팅 생태계의 변화에 대응하여 수요자 입장에서 컨설팅특성과 컨설팅활용도 및 경영성과 간 영향 관계와 흡수역 량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경영컨설팅 성과 관련 선행연구들의 논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검토와 연구가설을 수립 하고 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각 구성개념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후 구조방정식모형분석으로 직접 및 간접효과 와 조절효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컨설턴트역량과 기업참여도가 컨설팅활용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기업참여도와 컨설 팅활용도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컨설턴트역량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설턴트역량과 기업참여도가 컨설팅활용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넷째, 기업참여도와 컨설팅활용도 간 그리고 기업참여도와 경영성과 간 영향 관계에서 흡 수역량 수준이 원인변수의 영향력을 강화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혁신형 중소기업은 경영컨설팅 성과 향상을 위하여 적격성 있는 컨 설턴트와 기업 수행팀 간 협업 및 목표의 공동 달성 노력과 컨설팅 수행단계별 성과 간 시너지효과의 최대화 그리고 컨설팅 결과의 적용 및 활용 여건 조성을 위한 조직 내 변화관리 전략을 병행하여야 한다. 혁신형 중소기업은 이와 같은 한시적 및 일상적 경영활동 과정에서 자체 보유 흡수 역량을 이용하여 경영컨설팅 성과를 제고하고 내부화 및 안정화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 제고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recent changes in the domestic management consulting ecosystem,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discussion of previous studies on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lting characteristics, consulting utiliz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fromthe service consumer's point of view. To this en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ere reviewed,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innovative SMEs. After secur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construct, the direct & indirect effect hypotheses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mode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sultant competency and corporat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lting utilization. Second, corporate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but consultant competency was found to be non-significant. Third, consultant competency and corporat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directly through consulting utiliza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tilization, and between corporate particip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level of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to positively control the influence of causal variables. Therefore, themain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of innovation type SMEs are as follows: First, the joint achievement of goals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qualified consultants and corporate execution team, Second, maximizing synergies between the outcomes of each stage of consulting execution processes, Third,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and its maturity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create conditions for the high utilization of consulting results.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innovative SMEs will be able to achieve the goals of stabilizing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and enhancing corporat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