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강도 성곽의 체제와 위치 고찰

        이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0 No.-

        The Goryeosa (a history book of the Goryeo Dynasty) shows that there was a defensive Three Wall System around the castle in the temporary capital of Gangdo, Goryeo Dynasty. These walls were called the Outer Castle Wall (外城), the Middle Castle Wall (中城), and the Inner Castle Wall (內城). Some historians argue that the Outer Castle Wall was constructed along the east coastline to defend an invasion from the mainland. The capital of Gangdo was also surrounded by the Middle Castle Wall. In addition, it has been argued that the Inner Castle Wall was not actually constructed at that time period, but the Royal Castle Wall or Middle Castle Wall was mislabeled as the Inner Castle Wall. However, based on archeological and geological evidence, as well as newly interpreted written records, other theories have been proposed recently. For example, one theory proposes that the Outer Castle Wall on the east coast of Ganghwa Island was not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Instead, the Outer Castle Wall was actually constructed during the Jeoson Dynasty. Based on this view, this paper focuses on the structure and location of the Three Wall System of Gangdo.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astle Wall was consisted of stone-cubic bases, but the core of the castle was constructed with the mud-tamping technique.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castle was covered and trimmed with mud. Considering the size and technique of the Three Walls System, its size and technology was equivalent to that of Gaegyeong, which was the original capital of Goryeo, as well as Seoul, which was the capital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seems that the 2.8m long stone bases of the eastern gate of Ganghwasanseong(江華山城) is the actually the remains of the Middle Castle Wall. It seems to surround the central area of Gangdo.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Inner Castle Wall was not constructed during the Gangdo era, but it was actually the Middle Castle Wall of another time period. Therefore, the castle system of capital Gangdo consisted of three castles: Outer Castle(capital castle), Middle Castle(or Inner Castle), Castle of Palace. Comparing Gangdo with Gaegyeong, the castle system of Gangdo is almost equal to Gaegyeong, except city scale and construction sequence of castle. It means that the castle systems of Gangdo after Gaegyeong systems. 고려 강도에는 외성과 중성이 있었고, 축조기록은 없지만 내성이 존재했던 것으로 전한다. 지금까지 강도성곽체제에 대해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주장은 내륙으로부터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강화도 동쪽 해안가를 따라 외성을 쌓았고, 중성으로 강도를 둘러쌌다는 것이다. 내성은 실제로 축성된 것이 아니라 궁성 혹은 중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필자는 최근의 고고학 자료와 강도의 지형변화, 역사적 정황, 그리고 문헌자료의 재검토를 통해강도시기 강화도 동쪽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외성은 존재하지 않았고, 그동안 중성으로 보았던 강도의 도성이외성이라는 견해를 제기한 바 있다. 이 글은 강도시기 해안 외성의 존재를 부정하는 견지에서 강도 외성의 구체적인 범위와 구조를 파악하고, 중성과 내성의 비정을 통해 강도의 성곽체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강도의 외성은 기단석렬을 설치한 후 판축으로 중심토루를 쌓고 그 위에 외피를 덮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성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여타의 유적과 비교하면 기단석렬과 판축의 정밀도가 높고, 규모면에서도 개경나성, 한양도성에 견줄 정도로 고려 도성의 위상에 걸맞게 건설되었다. 중성은 강화산성 동문지 부근에서 확인된 폭 2.8m의 석렬이 그 흔적으로 파악되며 구체적인 범위는 아직알 수 없지만 최항의 묘지명에 중성이 황도를 감쌌다는 기록과 견자산 부근의 성벽의 축선으로 보아 궁궐이위치했었을 오늘날 관청리 일대를 둘러싸는 형태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으로 볼 때 중성은 개경의 황성과같은 위상을 가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내성은 강도시기에 실제로 축조된 성곽이 아니라 중성을 의미하는것으로 보인다. 강도에는 외성–중성(내성) –궁성의 3개의 성곽이 존재했고 이를 개경과 비교해 보면 강도의 외성과 중성은 각각 개경의 나성과 황성에 상응한다. 이는 개경과 강도의 지형이 비슷하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강도의 성곽을 건설하는데 개경에서의 경험이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이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 명의 초등학교 학생이 1-4학년 동안 작성한 일기글 사례에서 담화 유형을 연대기성과 비연대기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일기글 쓰기의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생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에 대한 종단적 분석을 위해 총 412일의 일기글의 담화 유형을 연대기성과 비연대기성으로구분하였으며, 연대기성 일기의 표현 정교과 특성을 학년과 학기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1-4학년 일기글의 담화 유형이 연대기성에서 비연대기성으로 점차 발달하며 이러한 변화는 2학년 1학기에 시작됨을확인하였다. 4학년 일기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교과내용이나 사회적 현상에 대한 기술로 점차 변화하면서 주제글의 형식을 띄는 설명글로 발달하게 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연대기성 일기의 표현정교화 특성이 2학년 시기부터 매우 안정적인 특성을 갖추게 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2학년이 비연대기성 쓰기 특성의 발달이 시작되는 시기임을 확인하였으며, 초등 중학년 시기에 담화 형식에 대한 구체적인구분이 완성되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였고, 초등학생의 쓰기 교육 및 분석 자료로써의 연구 의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령 전 아동의 담화결속장치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이희란(Hee Ran Lee),이승복(Seung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 아동의 다양한 담화결속장치의 발달을 아동의 자발적인 표현언어 관찰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방법: 3;10세∼6;4세 5명 아동의 1년간의 자발적 산출 자료에서 담화의 응집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접속사, 연결어미, 대용어 등의 담화결속장치의 표현을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담화 결속장치의 표현이 증가하였고, 그 유형이 다양해졌다. 둘째, 개인차를 고려하여야 하지만 연령에 따라 다른 결속장치와 비교하여 접속부사의 증가가 비교적 현저하게 나타나, 발달지표로서의 작용 가능성을 논의할 수 있었다. 셋째, 연결어미의 경우 비교적 개인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세 가지의 담화 결속장치 가운데 특히 접속부사의 사용빈도가 학령전 시기 아동의 자발적 산출자료의 분석에서 언어발달의 유용한 분석지표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298-306.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ohesion devices in children aged 3 to 6 years were examine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five Korean preschool childre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wice a week for 12 months and were transcribed from video recordings recorded in natural situations in the children’s homes with their mothers present from the ages of 3;9-6;4 years. Cohesion devices including conjunctives, connective endings, and anaphors were analyzed using the longitudinal data. Results: First, the number of utterances for analysis increased with age. Second, the use of conjunctions increased with the age, which appeared to be the developmental index for this age group. Third,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age of each child. Discussion & Conclusion: The use of conjunctions is suggested to be the best developmental index in preschool aged children among the three cohesion devices tested in this stud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298-306)

      • KCI등재

        의대생 및 전공의가 보여준 임종환자에 대한 태도

        이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79 신경정신의학 Vol.18 No.1

        As the medicine advances, chronic diseases, instead of acute ones have become leading causes of death. At the same time the advancement has made the dying process itself longer than ever before. So the number of patients who are "on dying" is remarkably increased. That the management of dying patient has become an important matter in medical practise. The present research is aimed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oward the terminally ill patients. Thirty medical students and sixty-four residents who major either in Internal Medicine or in General Surgery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xty one or (65%) of respondents agreed in telling the prognosis to the patient. 2. About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 patient's own home as the place for dying to hospitals. 3. Seventy five% of the residents told that they had experienced such patients. 4. In the commentary to their opinions, the respondents disclosed two mutually contradictory attitudes toward the patients who are on dying. One is the attitude which the physician thinks and makes decisions with regard for his patient. The other is the attitude which physician thinks and decides without regard to both the treatment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patient.

      • 모션캡쳐를 위한 거리측정방법

        이희 서원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2001 응용과학연구 Vol.10 No.1

        In this paper, the distance measuring algorithm employing stereo color video cameras capturing the color markers attached on the articulations of an actor is implemented. The color region which is the same color of the marker's in the captured images are separated from the other colors by finding the dominant wavelength of colors. The color data in the RGB color space is converted into the CIE color space for the purpose of calculating wavelength. The dominant wavelength is selected from the histogram of the neighbor wavelengths.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markers is calculated to animate the character, called avat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