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句麗·百濟遺民 墓誌의 出自 기록과 그 의미

        이성제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5

        The origin records of Koguryo and Baekje migrants’ epitaphs have been understoodas data showing their identities. However, in comparison of the epitaph and biographyof Cheon Namsaeng (泉男生: the oldest son of Yeon Gaesomun), the epitaph and biography used the same literature source, and these are ascertained as a sort of conduct descriptions presented by his family to the Tang royal court. To manufacture the epitaph, the intervention of third parties including good handwriters and masons was inevitable.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epitaph is understood as personal record and data containing public attributes. It cannot be regardedas the data that freely reveals self-consciousness like identity. Since the conduct descriptions were to be evaluated on the tomb owner’s activities from the Tang Dynastyby identifying the tomb owner's life history, and therefore, the epitaph based on theconduct descriptions should be identified in the same context. The origin of tomb owner started from identifying previous generations. Although,the description is conducted in detail like the epitaph of Cheon Namsaeng, some cases that never mentioned genealogy as shown in the epitaph of Gao Zuyu (高足酉, One of Koguryo’s migrants) are also shown. Cheon Namsaeng’s epitaph emphasizes that he was from the family dominating Koguryo’s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that Koguryo collapsed, because of his subjection to the Tang Dynasty. Meanwhile, Gao Zuyu’s epitaph was full of his activities as Tang’s general. From this, there was migrants’strategic selec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what would receive favorable evaluation from the Tang Dynasty in the life history of the dead including genealogy. It isunderstood that such a selection brought about the difference in the content between epitaphs. One’s native place is one of the important contents consisting the origin records,and the origin records were drawn up, according to a certain style or pattern. Since migrants were included as Tang’s subjects, according to their country collapse, the accountexplaining why the dead was entombed in the current residential area, leavingone's place of family register, was essential to mention the origin of obtaining publicoffice and various public offices held. Although, it was customary to show the changeof one’s native place by writing the place of family register and the newly acquired addressof family register, there are some cases that wrote only one of the two. This isconsidered to be derived from the difference in description mode taking into accounthow the dead person's activities can be seen remarkable, depending on the descriptionmode of the dead person's native place. It is revealed from the epitaphs that describedthe change of native place of Gao Zuyu, who was a Tang’s general, or Heukchi Sasngji(黑齒常之, Heichi Changzhi: One of Baekje migrants), unlike the epitaph of CheonNamsaeng that mentioned only the place of family register. The reason why tomb owner’s native place was described as Pyeongyang Fortressperson (平壤城人) in Liadong Commandery or Yuyi person (嵎夷人) in Ungjin (熊津,Xiongjin) is to reveal the dead person’s native place that belongs to the mentionedarea. It actually followed the description mode of ‘Doudufu (都督府)+area’, which isconfirmed from the fact that the same kind of description can be found from the OldTurkish, typical migrant group during the Tang Dynasty. Some epitaphs show some cases that ancestors are originated from Chinese legendaryfigure or famous person, and the dead think themselves as their descendants. Such a phenomenon is also found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the migrants, and cannotbe viewed as the change of genealogy recognition. The phenomenon is understood as a survival strategy of those who settled in Tang as ethnic citizens in that the same phenomenon is demonstrated from the Old Turkish and Sogdian. 그동안 高句麗・百濟遺民 묘지의 출자 기록은 이들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자료라고이해해왔다. 하지만 泉男生의 묘지와 列傳을 비교해보면, 두 기록은 동일한 典據를 이용하였고, 그것이 일족이 唐 朝廷에 제출한 行狀이었음이 확인된다. 또한 묘지의 제작을위해서는 書家・石工 등 제 3자의 관여가 불가피하였다. 그 제작과정으로 보아 묘지는 私的인 기록이면서 公的인 성격을 띤 자료로 이해되는 것이다. 정체성과 같은 자의식을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자료라고는 여길 수 없겠다. 행장이 墓主의 이력을 밝혀 그 활약상을 唐朝로부터 평가받고자 하는데 있었던 만큼 이를 전거로 삼은 묘지도 이 같은 성격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본다. 묘주의 출자는 先代를 밝히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천남생 묘지처럼 자세하게 기술하기도 하지만, 高足酉 묘지와 같이 그 계보를 아예 언급하지 않은 경우도 보인다. 전자는 그가 고구려 國政을 오로지했던 가문 출신으로 그의 귀부로 고구려가 무너졌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고족유의 것은 당 장수로서의 활약상만으로 그 이력을 채웠다. 이로 보아 계보를 포함한 망자의 이력 가운데 어떤 내용이 당조의 평가를 더 받을 것인가를 고려한 유민들의 전략적 선택이 있었고, 그것이 묘지 간 기술 내용의 차이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출신지는 출자를 구성하는 주요 내용 가운데 하나로, 어떻게 쓴다라는 일정한양식에 따라 작성되었다. 유민은 망국에 따라 당의 臣民으로 편입된 까닭에, 본적을 떠나 현재의 거주지에 안치된 경위는 就官의 유래와 歷官을 언급하기 위해 꼭 필요한 내용이었다. 이에 본적과 새로 얻은 貫籍을 기재하여 출신지의 변화상을 보이는 것이 상례였지만, 둘 가운데 하나만을 기재한 경우도 보인다. 이는 출신지를 어떻게 기재하는 것이망자의 활약상을 돋보이게 할 것인가를 고려한 기술방식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본적만을 언급한 천남생과 달리 藩將으로 활약했던 고족유나 黑齒常之가 출신지의 변화상을기재했다는 사실에서 그러하다. 한편 묘주의 출신지를 ‘遼東郡 平壤城人’이나 ‘熊津 嵎夷人’이라 기술한 것은 망자가어디 소속의 지역 출신임을 밝히는 것으로, ‘都督府+지역’의 기재방식에 따른 것이다. 이는 당대 대표적 유민집단인 突厥人에게서도 동일한 기술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일부 묘지에는 조상의 기원을 중국 전설상의 인물이나 유명인에 두고 그 후손임을자처한 사례들이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유민 1세대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계보인식의 변화라고는 볼 수 없다. 돌궐인과 소그드인에게서도 동일한 현상이 보인다는 점에서 이민족으로 당에 정착하게 된 이들의 생존전략이었다고 이해된다.

      • (Bi_2O_3)_0.73(CaO)_0.27 세라믹 산소이온전도체의 저온에서의 전기전도 특성

        李晟齊,盧鎭孝,白鉉德 홍익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6 産業技術 Vol.6 No.-

        Low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ionic conduction in (Bi_2O_3)_0.73(CaO)_0.27 ceramics were investigated by ac impedance analysis. In the 200 to 500℃ temperature range grain boundary effect was not separated in the impedance plane. The speciments with larger grain size exhibited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and lower activation energy than deternined to be 101 kJ/mol, which was very close to the reported value, 106 kJ/mol. At 300℃ and lower temperatures conductivity curve bent toward higher conductivity, as was reported in the some other ion conducrors. The conductivity showed aging effect at temperatures lower than 350℃, but conductivity decrease was not significant.

      • 中國의 長城資源調査事業과 장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이성제 한국성곽학회 2013 한국성곽학보 Vol.24 No.-

        이 글은 중국의 장성자원조사사업(2005∼2014)에서 보이는 새로운 장성의 정의는 무엇이며 논리적 근거로 삼은 것은 어떤 것인지, 거기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이제 중국은 길게 이어진 성벽과 거기에 세워진 關門만이 아니라 烽燧나 城堡와 같이 점점으로 떨어져 있는 시설물까지 장성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들도 성벽과 유사한 방어선으로 파악하여 장성 성벽이 없더라도 장성으로 기능했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북방의 胡人을 막기위해 세운 장벽만이 아니라 漢人이 세우지 않은 장벽이라 해도 장성자원에 넣고 있다. 축조 주체가 누구인가의 구분 없이 역사상 명멸했던 제 왕조 모두를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장성을 민족 융합의 장으로 보려는 중국 당국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지만 장성은 고대 중국인과 다른 민족의 경계를 구분짓고 이동을 차단하기위한 구조물이라는 종래의 이해를 대체하기엔 여전히 역부족으로 보인다. 장성은 그 자체가 정치 군사적 경계이자 민족적 경계인 것이다. 또한 중국 학계는 西北지역의 漢代변경유적 연구를 근거로 삼아 東北지역의 烽燧線과 郡縣의 城城을 장성 방어체제의 일부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두 지역의 봉수선은 분포형태와 기능에서 전혀 다른 유적이었다. 서북지역의 봉수선은 군현의 前方에 위치하여 최전선이 되었던 것에 반해 동북지역의 것은 군현 내의 성곽을 연결하는 형태를 이루었다. 또한 전자는 봉수선의 전면에 방벽(塞)이 축조되어 방어선을 이루었지만, 동북지역에서는 새가 찾아지지 않는다. 街道를 따라 설치된 봉수선(道上燧)인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장성자원조사사업이 의지한 새로운 정의는 서북지역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는 제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를 근거로 동북지역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던 유적을 재해석하여 장성 유적으로 간주한 것은 결코 학술적인 연구방법이라고 볼 수가 없는 것이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new definition of China's Great Wall, what logical grounds are involved for the definition and what problems arise therefrom in regards with China's Great Wall Resource Investigation Project (2005~2014). Nowadays, China regards facilities like beacon fire stations or fortresses that are away from the Great Wall of China itself as part of the Great Wall, not to mention the long walls and gateways. Chinese people view facilities without ramparts as functioning as part of the Great Wall of China by identifying them as similar defense line. Not only the ramparts built to prevent Northern barbarians (胡人), but those built by other peoples rather than by Han Chinese(漢人) are regarded as the Great Wall resources. Irrelevant of who built the Great Wall of China, all the dynasties in Chinese history become the Great Wall builders. Although, such an understanding reflects Chinese authorities' intention to regard the Great Wall of China as the arena to harmonize ethnic groups, it is still insufficient to replace the previous understanding that it is a structure to draw boundaries with other peoples and block the movement of ethnic groups different from ancient Chinese. The Great Wall of China itself is the political, military and ethnic boundaries. The Chinese academia regards the beacon lines formed along beacon fire stations(烽燧線) and the fortresse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郡縣, administrative units) in the northeastern region as part of the defense system, based on the studies on the remains in the frontiers of the China's Han Dynasty in northwestern region. The beacon lines of the two regions are totally different remains in terms of distribution type and function. The beacon line in northwestern region was located in the forward area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thus, became the front line. Meanwhile, the beacon line in the northeastern region was a type of line connecting fortresses within counties and prefectures. The former became the defense line by building bulwarks in the frontline areas of the beacon line, but, the bulwark is not found in the northeastern region. Actually, the beacon line in the northeastern area was built along the thoroughfare. The new definition of the Great Wall of China by China's Great Wall Resource Investigation Project can only be restrictively applied to the northwestern region. Based on this, it cannot be viewed as an appropriate academic research method to regard the existing remains as the ones of the Great Wall of China by reinterpreting those in the northeastern region.

      • KCI등재

        高句麗와 北朝의 冊封朝貢關係 - 領護東夷中郞將·領護東夷校尉의 授受와 그 의미 -

        이성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58 No.-

        Since the first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was forged between Koguryeo and NorthernWei(北魏) in 435, Koguryeo received appointment titles including territory protection officer titlessuch as Dongi Jungnangjang and Dongi Gyowi from various Nothern Dynasties of China includingEastern Wei(東魏) and Northern Qi(北齊). In the studies so far, such appointment titles have beenunderstood as officially recognizing Koguryeo’s independent sphere of power. That is, theappointment titles were regarded as Northern Wei’s intention to have amicable relations withKoguryeo. However, Northern Wei had no intention to officially recognize Koguryeo’s sphere of power,given that the appointment titles of Northern Wei were a political scheme for the unification ofNorthern China. Such an understanding can be confirmed from Tuyuhun(吐谷渾)’s example, whichhad been regarded as another case of Northern Wei’s officially recognizing a strong country’sindependent sphere of power. Tuyuhun was a powerful nation in the west of Northern Wei, andreceived appointment titles in the same content as the appointment titles of Koguryeo’s KingJangsu(長壽王), which were only different in terms of the proper nouns of east and west. But,Northern Wei did not recognize Tuyuhun as the ruler of the west part. Due to Northern Wei’sintervention, Tuyuhun was in the position not to solve even the disputes with neighboringcountries independently. Meanwhile, although, the Northern Wei people’s taking office of Dongi Gyowi disappearedafter 470, such a situation appeared in the Koguryeo King’s appointment title again. This is alsoregarded as Koguryeo King’s succession of the role that Northern Wei’s Dongi Gyowi played. However, this actually ignored that the appointment title of Dongi Gyowi was different from theappointment title that a local official took in terms of its attributes. The case of Seoyung Gyowi(西戎校尉) similar in terms of function tells that the acceptance of Gyowi office appointment titlecannot be a proof recognizing a prominent position in the regional world. Therefore, it seems tobe later than those days that Koguryeo had friendly relationship with Northern Wei, and that itsindependent sphere of power was recognized by Northern Wei. Concerning Koguryeo’s international status as the ruler in the regional world, the author of thispaper thinks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onversation between Northern Wei’s EmperorXuan Wen(宣文帝) and Koguryeo’s envoy in 503. Here, Northern Wei’s emperor declared thatKoguryeo should fulfil its responsibility, since he entrusted the responsibility for stability in theeastern regional world to Koguryeo. The appointment title, Dongi Gyowi, awarded subsequentlyby such a declaration, made the institutional meaning contained in the title significant. Amongmany countries that received the office of territory protection officer from Northern Wei, it can benewly ascertained that only Koguryeo’s independent sphere of power was recognized in line withits appointment title. 435년 高句麗와 北魏가 최초의 冊封朝貢關係를 맺은 이래, 고구려는 북위에 대해 당시 유례를 찾기 어려울정도로 빈번히 조공하였고, 북위는 동방의 여러 나라 가운데 고구려에게만 冊封號를 수여하였다. 東夷中郞將·東夷校尉의 領護軍官 職을 포함한 책봉호가 그것이다. 이들 영호군관의 영호대상이 동이라는 점에서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책봉호의 수여를 고구려의 독자적 세력권을 공인하는 조치라고 이해해왔다. 북위가 다른 민족을 통제하기 위해 개설한 영호군관 직에는 동이교위 외에도 서융중랑장·서융교위 등 여럿이 있었고, 이들은 고구려와 같이 책봉호의 일부로 수여되기도 하였다. 특히 토욕혼은 북위 서방의 강국으로고구려 장수왕의 책봉호와 비교해 볼 때 ‘동서’의 고유명사만 다를 뿐 동일한 내용의 책봉호를 수여받았다. 이점에서 북위가 인접 강국에게 독자적 세력권을 공인해 준 또 하나의 사례가 되어야 하였지만, 실제 양국 관계를 검토한 결과 북위는 토욕혼을 서방의 패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었다. 북위의 간섭으로 인해 토욕혼은 인접국과의 분쟁조차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한편 북위인이 동이교위를 역임한 모습은 470년 이후 사라지지만, 고구려 국왕의 책봉호에서 다시 모습을보인다. 이에 북위의 동이교위가 맡았던 역할을 고구려 국왕이 이어받은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책봉호의 동이교위가 북위의 지방관이 역임한 동이교위와는 계통이 다르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또한 기능에서 유사한 서융교위의 사례는 교위 직의 책봉호 수여 역시 지역세계에서의 우월한 지위를 인정한 증거가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지역세계에서의 패자라는 고구려의 국제적 지위와 관련하여서는 503년 북위 宣文帝와 고구려 사신의 대화를주목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북위 황제는 동방 지역세계의 안정을 고구려에 맡겼으니 그 책임을다하라고 선언하였다. 이 공언이 있음으로 해서 그에 후속하여 수여되었던 동이교위의 책봉호는 그 名號에 내포된 제도적 의미를 온전히 살릴 수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북위로부터 영호군관 직을 받았던 여러 나라들가운데 유독 고구려만이 그 명호에 부합하는 독자적 세력권을 인정받았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新出 墓誌자료를 통해 본 遼西 豪族의 존재 양상과 隋‧唐의 懷遠鎭 鎭守

        이성제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70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he existence of powerful clans (豪族) in the Liaoxi region (遼 ⻄) and the issue of deploying forces in Hoewonjin (懷遠鎭), using newly discovered grave records from the Sui and Tang Dynasties. From 520 to the late 6th century, powerful clans in different parts of the Central Plain (中原) maintained order in local societies while all authorities of the Northern Dynasty could not exercise their ruling power. In particular, they possessed local soldier (鄕兵) groups and thus their position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change of situation. In the Liaoxi region, Han Sang (韓詳) and Han Gi (韓曁), who were thefather and son, and Jo Semo (趙世 摸) were from such powerful clans. This seems to be the reason why Koguryeo won over powerful clans in the Liaoxi region. It was not exactly winning over local powers to elicit cooperation and support from them in the process of expanding a territory or ruling, which would likely be the case in any era. Koguryeo needed the support and cooperation of powerful clans in the Liaoxi region in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Late Northern Wei (北魏). The political and military capabilities of powerful clans in the Liaoxi region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for Koguryeo to establish a foothold there and expand its influenc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found that Sui was paying attention to Seobyeon (⻄邊), Koguryeo, using Han Gi, who was from a powerful clan in the Liaoxi region from the fact that Han Gi died in Yotaek (遼澤). This was not known before. The history of Han Sang and Han Gi, the father and son, shows that powerful clans in the Liaoxi region had cooperated with Koguryeo for its influence there for a long time since 520, but by the late 6th century, they worked as an advanced guard for Sui. Sui entered the Liaoxi region and established their military bases called Jin (鎭) and Su (戍) (Su) at the forefront, and Hoewonjin (懷遠鎭) and Nohajin (瀘河鎭) were part of the military bases. Their main mission was to defend the border with Koguryeo. By 611, Hoewonjin and Nohajin were operated as military supply bases for the army invading Koguryeo, which indicates that they werelocated behind thefront line. Sui operated them as military supply bases because it had deeply encroached on Koguryeo's west coast. On the other hand, right after Sui’s invasion of 612-613 failed, renowned and high-ranking military commanders deployed forces in Hoewonjin. During this period, Hoewonjin’s nature as a military base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t can be seen from the position ‘dongbukdodaesa (東北道⼤使)’ that Hoewonjin was a key military base for defending the North-eastern area for some time. It was a measure to prepare for the aftermath of the failure in invading Koguryeo. From this perspective, the record on Josadalmyoji (趙士達墓誌) that Jo Sadal, who fought for Tang's invasion of Koguryeo in 645 during the reign of Emperor Taizong, deployed forces in Hoewonjin tells us a specific aspect of the crisis caused by the failure in invading Koguryeo. Records in Josadalmyoji compared Jo Sadal’s deploying forces in Hoewonjin to Yu Gon’s (劉琨) brilliant exploit when he alone defended Habuk (河北) against the Former Zhao (前趙) and the Later Zhao (後趙) during the late Western Jin Dynasty (⻄晉). This shows that the blow suffered by Tang was more serious than expected as Hoewonjin had been a key military base of the Zhongyuan Dynasty and had been prepared in the eastern Liaoxi region since the Sui Dynasty. 새로 나온 隋唐代 묘지자료를 이용하여 遼⻄ 豪族의 존재 양상과 懷遠鎭의 鎭守 문제를 살펴보았다. 520년대에서 6세기 말까지 中原 각지의 호족들은 北朝 제정권이 그 통치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던 상황에서 재지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존재였다. 특히 이들은 鄕兵집단을보유하고 있어 그 거취가 정세 변화에 중요한 변수가 되었는데, 요서지역에서는 韓詳‧韓曁 부자나 趙世摸 같은 이들이 그러하였다. 고구려가 요서지역 호족을 확보했던 것 역시 이러한이유에서였다고 보인다. 여느 시대에나 있을 법한 영역 확대나 지배과정에서 현지 세력의 협조,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포섭이라기 보다는 ‘北魏 末’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고구려는요서 호족들의 지지와 협력이 필요했던 것이다. 요서 호족의 정치‧군사적 역량은 요서로 진출한 고구려가 이 지역에 거점을 마련하고 세력을 확대해 나가는데 상당한 역할을 해 줄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한기가 遼澤에서 사망했다는 사실에서 수가 요서호족 한기를 내세워 고구려 ⻄邊을 살피고 있었다는, 그동안알지 못했던 내용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상‧한기 부자의 이력은 요서 호족이 520년대 이래 상당 기간 고구려의 요서 경영에 협력했지만, 6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수의 첨병으로활약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요서로 진출한 수는 그 최전선에 군사기지로 鎭‧戍를 세웠는데, 懷遠鎭과 瀘河鎭이 그 일부였다. 이들의 주 임무는 고구려 방면의 국경을 방어하는 것이었다. 그러던 회원진과 노하진이 611년 무렵에는 고구려 침공군의 군수 보급기지로 운용되었다는 것은 이들이 전선의 후방에 자리잡게 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들을 보급기지로 운용할 수 있을 만큼 수는 고구려의 서변을 잠식해 들어와 있었던 것이다. 한편 612‧613년의 침공이 실패로 끝난 직후에 모습을 보인 회원진은 當代에 이름을 떨친고위급 무장들이 이곳의 진수를 맡았다는 점에서 종래와 다른 성격의 기지였다. ‘東北道⼤使’ 의 직으로 보아 한동안 동북 방어의 핵심기지 역할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침공의실패가 불러올 후폭풍에 대비한 조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645년 당 태종의 고구려 침공에 종군했던 조사달이 이듬해 회원진을 진수했다는 <趙士達墓誌>의 기재내용은 고구려 침공 실패가 불러온 위기의 구체적인 양상을 우리에게 전해준다. 묘지는 그의 회원진 진수를 ⻄晉末 홀로 河北을 지키면서 前趙와 後趙에 대항했던 劉琨의 활약에 견주었다. 회원진은 수대 이래 요서 동부에 마련된 중원왕조의 핵심기지였다는 점에서 당이 입은 타격이 생각 이상으로 심각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 KCI등재

        650년대 전반기 투르크계 북방세력의 동향과 고구려 - 고구려 사절이 아프라시압 궁정벽화에 그려진 배경에 대한 검토

        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5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figures who are believed to be Koguryo envoys appear in the wall painting of Afrasiab Palace, and considered that the scene of the wall painting are portraying the actual fact that the envoys visited Samarkand (康國). However, this wall painting also depicts the envoys of the Tang Dynasty. Could it be possible that the envoys of the two countries in a hostile relationship faced each other in a third countr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recall the embarrassment and anger that were observed when Emperor Yang of Sui (隋煬帝) faced with the envoys of Koguryo in 607 at Yazhang (牙帳) of Qimin Khan (啟民可汗) of Eastern Turkic Khaganate (東突厥). The scene of the wall painting, in which the envoys of Koguryo and Tang are standing side by side in the courtyard of Samarkand, is hardly seen to be depicting the fact. The wall painting depicts Turkic people with the king in the center. This scene, as if they are watching the king’s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by his side, seems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Samarkand was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Turkic Khaganate (西突厥). On the other hand, Tang’s envoys are in the line waiting for their turn to offer presents. The depiction of the wall painting shows that the Tang did not have a huge influence over Samarkand. In this regard, it is presumed that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and the world view of Samarkand which placed the figure of Koguryo at the corner of the wall painting did not originate from Tang. The Kul Tigin inscription shows a perspective that Koguryo is a country at the eastern end. Therefore,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and the world view of the wall painting may have originated from Western Turkic Khaganate. Furthermore, the image of wearing a Jou-gwan (鳥羽 冠, feathered hat) and a sword was also derived from other origins than Tang. While, the figures are politely gathering their hands together in the images from the Zhongyuan (中原, the Central Plain), those images of the wall painting are depicted as warriors with swords at their side. The exchange between Koguryo and Turk took place in various ways for a long time. Furthermore, Turkic people were mobilized in the Koguryo’s front by Sui or Tang. The image of Koguryo which they had from the exchange was beyond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of the eastern end and a country of the sunrise. Considering that Western Turkic Khaganate or Samarkand felt the power of Tang extending to Central Asia, would not they consider Koguryo’s power as a remarkable force? It is then considered that such an impressive presence, as well as powerful Tang’s envoy, was enough to make the reign of King Barfuman more glorious. This i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Koguryo envoys in the wall painting of Afrasiab Palace. 그간의 연구는 고구려 사절로 보이는 인물들이 벽화에 등장하고 있다는 점을 중시하여 이 장면은 이들이 강국(康國)을 방문한 사실을 묘사한 것이라고 이해하였다. 그런데 이 벽화에는 당(唐)의 사절도 그려져 있다. 적대관계에 있던 양국의 사절이 제3국에서 대면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이었을까. 이와 관련하여607년 동돌궐(東突厥) 계민가한(啟民可汗)의 아장(牙帳)에서 수 양제가 고구려사절을 마주했을 때 보였던 당혹감과 분노를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 고구려와당의 사절이 강국의 왕정(王庭)에 나란히 서 있는 벽화의 내용은 사실을 묘사한장면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이다. 벽화에는 돌궐인들이 왕을 중앙에 두고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마치 왕의 국정 운영을 곁에서 지켜보고 있는 듯한 모습인데, 당시 강국이 서돌궐(西突厥)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었던 사실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반면 당의사절은 예물(禮物)을 바치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대열 속에서 보인다. 적어도 벽화의 묘사는 강국에 미치고 있던 당의 영향력이 대단치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고구려인의 모습을 벽화의 끝자락에 배치한 강국인의 지리인식(地理認識)과 세계관(世界觀)은 당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고 본다. 고구려가 동쪽 끝에 있는 나라라는 인식은 <퀼 테긴 비문>에 보인다. 벽화의지리인식과 세계관은 서돌궐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조우관을 쓰고 칼을 찬 모습의 도상 역시 당이 아닌 다른 계통에서 유래되었다고본다. 중원(中原)에서 나오는 이미지들이 비무장(非武裝)으로 공손히 두 손을 모으고 있는 모습인 데 반해, 이 도상은 허리에 칼을 찬 무인으로 묘사하고 있다는점에서 그러하다. 돌궐과 고구려는 장기간에 걸쳐 다방면에서 교류하였다. 나아가 돌궐인들은 수(隋)나 당(唐)에 의해 고구려 전선(戰線)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이렇게 해서돌궐인들이 가지게 되었을 고구려에 대한 이미지는 동쪽의 끝, 해가 뜨는 나라라는 지리관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서돌궐 혹은 강국인이 중앙아시아까지 그 세력을 뻗어오고 있는 당의 위세를 피부로 느끼고 있는 현실에서, 그러한 당의 거듭된 공격을 헛되이 만들고 있던 고구려의 저력은 그야말로 눈부신 것이 아니었을까. 그렇다면 이렇게 인상적인 존재야말로 강성한 당의 사절과 함께 바르후만왕의 치세를 보다 더 영광스럽게 보여주는 등장인물이 되기에 충분했다고 여겨진다. 아프라시압 벽화의 고구려 사절이 가진 역사적 의미는 여기에 있었던 것이다.

      • 실험을 통한 블륵 Lifting Lug의 Padeye Hole 강도 평가 및 Lug 구조 평가

        이성제,황외주,오영태,하수호,김윤호,이수배,김상홍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선체 블록 등의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사용되는 리프팅 러그의 경우 padeye hole의 강도가 전체적인 구조 안전성에 중요한 평가 인자가 된다. 하지만 러그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명확한 설계 기준이 있는 반면에 padeye hole의 국부적인 변형 및 안전성은 그렇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샤클핀과 러그 홀의 직경차이가 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러그 홀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설치 된 pad plate가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인장 실험과 비선형 정적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