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국 성인발달장애인 조지레인 케어홈 운영사례연구

        이진승 한국장애인개발원 2017 장애인복지연구 Vol.8 No.2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best direction for the community small residential facilities for adult development disabled people in the Korea Republic by understanding the analyze the specific cases of residential care home for adult development disabled people in the UK. To accomplish this goal, we reviewed the service users, safety, employee management of George Lane care home in the UK.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for care service provision facilities for adult developmental disabled in Korea are as follows. Suggestion that ‘Detailed record and management of service user’s files’, ‘Individual service enhancement’, ‘Introduc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trict facility safety management’, ‘Completion of essential training course for employees’, ‘Role for focus on service user’s care at facilities’ and ‘Use alternate staff’.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소규모 거주시설의 바람직한 운영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장애인 거주시설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분석하고 영국 조지레인 케어홈의 서비스 이용자, 시설안전, 종사자 관리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9개월간의 참여관찰을 통한 현장조사연구와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성인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소규모 거주시설에 주는 시사점은 ‘이용자 파일의 자세한 기록과 관리’, ‘개별적인 서비스 강화’,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 도입’, ‘엄격한 시설 안전관리’, ‘종사자의 필수 교육과정 이수’, ‘충분한 직원과 보상’, ‘돌봄에 집중할 수 있는 역할 구분’, ‘대체인력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중고물품 판매훈련이 발달장애인의 작업행동평가에 미치는 효과

        이진승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6 장애와 고용 Vol.26 No.4

        본 연구는 중고물품 판매훈련이 발달장애인의 작업행동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3년 5월부터 2014년 7월까지 H 장애인복지관 중고물품 판매훈련에 참여한 7명의 성인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행동평가를 실시하였다. 작업행동평가는 직업인성프로파일(Work Personality Profile)에서 발췌한 문항을 재구성하였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작업행동평가의 전체 총점은 사전 80.71점에서 사후 95점으로 14.29점이 증가하였으며 작업역할인식 및 책임성, 감독자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의사표현력, 작업수행능력, 일상생활기술 등 6가지 영역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work behavior of the sale of used goods for vocational training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was to measure the change in work behavior assessment targets seve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H Disabled Welfare Center sale of used goods for vocational training from May 2013 until July 2014.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 in behavior on the job it was reconstructed using a job behavior assessment scale items Excerpt from the Work Personality profile(WPP). Apply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ork for them and utilizing work behavioral assessment scale to measure the degree of change in Prior, intermediate, post-assessment scores. Results of study the work behavioral assessment score increased by 14.29 points to 80.71 points after 95 points in the full score. As well as the entire sub-element job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recognized,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showed that both positive effects on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bility to communication skill, ability to work performance, daily living skills .

      • KCI등재후보

        중고령 발달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주간보호시설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이진승 한국장애인개발원 2019 장애인복지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르게 증가하는 중고령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주간보호시설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중고령발달장애인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중고령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발달장애인을 위한 주간보호시설 서비스는 ‘적극적인 정보제공과 가족지원강화’,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주간서비스 확대’, ‘투명한 재산관리 지원과 후견인 연계’, ‘미래계획(주거) 수립지원’, ‘건강과 안전관리와 제도개선’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ervices that are needed in day care centers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the data related to the middle-aged and elder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he middle-aged and elder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using day care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ay care services for them, such as 'Active Information Provision and Strengthening Family Support', 'Expand Day Services for Social Interaction', 'Transparent Property Management Support and Guardianship', 'Future Planning(residential)' and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and System Improvemen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중고령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종사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이진승,이준우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5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program to provide the professional staffs in a day care center for th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effective learning system which can help them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at work. There is a threefold process in this study. First, the study indicates the ideal approaches of educational system for the staffs at a day care center for th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reviewing researches on a) the status reports of their performance; b) current number of personnels working at the center; c) the need of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 for the personnel; and d) examples of other educational systems used at such centers in other countries. Secondly, through the research analyses, the study provides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ies provided by the staffs on FGI scale. Lastly, according to the analyses on the work performances of the personnels, Delphi research was performed three times to identify the areas of weaknesses in educational systems for the personnels and the hierarchy of the improve-needed area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22 programs were selected for educating the staffs in day care centers for the me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first Delphi survey 24 education programs were suggested but 2 programs were excluded because those programs were not meet the standard value. This study then indicates 10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uttermost important and urgent after the second and third Delphi research by the panel of professionals in this field. 본 연구는 중고령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시설에서 바람직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종사자가 갖추어야 하는 전문성 확보에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기능과 현황 그리고 종사자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해외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본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고령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시설에서 현재 업무를 수행중인 종사자와의 FGI를 실시하여 업무를 분석하였다. 셋째, 파악된 업무를 기반으로 종사자에게 필요한 교육의 영역을 제시하기 위해 총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을 통해 종사자의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하는 영역과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중고령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해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분석하여 기준치 미만인 2개의 교육프로그램은 제외하고 22개의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우선 교육프로그램을 도출하기 위해 중요도-시급도를 분석하여 중요도와 시급도가 높은 순으로 10개의 우선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제품에 있어서 아날로그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의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이진승,신수길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본 논문은 "상징적기능이란 자신의 오감을 통하여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고 이러한 과거의 경험들이 우리의 뇌 속에 저장되어 사물을 바라볼 때 떠오르는 새로운 이미지정보를 말하며, 이러한 이미지정보로서 아날로그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는 그러한 이미지를 밝히기 위한 첫 번째 단계 연구로서 인간의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아날로그이미지(ANALOG IMAGE : AI)와 디지털이미지(DIGITAL IMAGE : DI)가 무엇인지를 객관적 실험을 통하여 밝혀내고 그렇게 확정된 가치들을 디자이너에게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들에게 5가지샘플을 보여주고 제품의 형상으로부터 느껴지는 상징적인 의미로서의 AI와 DI에 대한 이미지강도를 7점 척도에 체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5가지샘플을 AI와 DI순서로 나열하게 하였다. 또한 베른트 뢰바하의 이론을 중심으로 제품의 형상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10가지 시각정보 요소를 정하여 피험자들에게 샘플을 보여주고 AI와 DI를 판단하는데 영향을 미친 강도를 각 요소별로 7점 척도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품으로부터 강한 AI와 DI를 느끼고 있었으며 그 느낌은 일정한 순서의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제품의 10가지 형상요소별 AI와 DI를 구분하는 이미지강도의 7점 척도평가에서도 모든 형상요소들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액정크기」, 「질서감 및 복합성」, 「제품의 두께감」순서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 symbolic function refers to new image information that comes to mind when one looks at things after one has had diverse experiences through one's five senses and there exist analogue image and digital image as such image information." So through objective experiments, this study examines what the analogue image (AI) and digital image (DI) that are stored in human memory are, and attempts to provide the designers with the values determined in this way as design guidelines. After showing 5 different types of samples to the subjects, I had them check the intensity of images of AI and DI as symbolic meanings that they felt from the shapes of the products, and had them list those 5 types of samples in order of AI and DI. Based on Bernd Lobach's theory, 10 visual information elements that are accepted from the shapes of the products were selected and after showing the samples to the subjects, I had them evaluate the intensity that exerted influence on judging AI and DI by element based on 7-point Likert scale.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felt strong AI and DI from the products and those feelings showed definite orders and patterns. It was also found that all shape elements exerted effects in the 7-point Likert scale of image intensity distinguishing between AI and DI by 10 shape elements of products. Among those elements, 'LCD size,' was found to exert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the sense of order and complexity,' and 'the sense of thickness of products.'

      • KCI등재후보

        고령발달장애인 개인별지원계획 수립 활성화 방안모색

        이진승,고영진,박현주 한국장애인개발원 2018 장애인복지연구 Vol.9 No.2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esirable direction of establishment of individual support plan for the elder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ccomplish this goal, we analyzed the data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GI study with employee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pport Center, older carers of the elder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employees and building networks', 'Strengthening understanding about the elderly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rengthening the Services targeting the elderl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dividual Support Plans' P.R', 'It suggests the need for 'community based 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발달장애인의 개인별지원계획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고령발달장애인 관련 기존의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적 검토를 통해 도출된 자료를 기반으로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종사자, 중·고령발달장애인 보호자 및 고령 발달장애인 전문가와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고령발달장애인의 개인별지원계획 수립 활성화를 위해서는 ʻ인력전문성강화와 네트워크 구축ʼ, ʻ고령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강화ʼ, ʻ고령발달장애인 연령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강화ʼ, ʻ개인별지원계획 홍보ʼ, ʻ지역단위 운영ʼ의 필요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중년기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의 현황과 과제

        이진승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4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5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lternative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day care center for middle aged adults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ervice in the day care center for adults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the disabled people but also for their families, when the center provides the caring and rehabilitation services during the day time. They have got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ir childhood. When they becomethe middle aged adults, their parents become the elderly. For the elderly people it is very difficult to care their adult children. It seems clear that the special day care center is necessary for the middle aged adults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cause the center can provide the fitted service with consideration for their age, and help their parents to reduce the load of accumulated caregiving. Moreover, we can say that the need for the day care center will be increased. However, there was not many the research on this issue.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understanding the middle aged adults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 day care center for them, and suggest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and policy. 본 연구는 중년기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일상생활에 있어 돌봄이 필요하고 자립과 스스로의 권리옹호가 어려운 발달장애인을 주간에 보호하며 필요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주간보호시설은 장애인 당사자 뿐만 아니라 그 가족에게 매우 중요한 서비스이다. 어려서부터 장애가 발생하여, 일생동안 특별한 돌봄과 보호가 필요한 발달장애인이 중년기 나이에 접어들게 되면서 동시에 고령화 되어가는 부모가 자녀를 돌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누적된 돌봄의 부담을 경감시켜 주기 위한 목적과 중년기 연령대에 적합한 맞춤형 서비스의 필요성을 고려할 때 중년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특화된 주간보호시설이 필요하며 앞으로 이러한 욕구는 증대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중년기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시설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기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시설과 관련하여 중년기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운영 방안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