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기구를 통한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이명진,정우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정책연구 Vol.- No.-

        북한은 과거 단절과 폐쇄의 생존전략을 추구하여 왔으나 북한 내부의 심각한 식량난, 남한의 햇볕정책과 중국의 시장경제 전환 등 내외부 요인에 의하여 최근 대외개방과 화해정책으로 일부 선회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1년 제정된 과학기술기본법에서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을 명시하고 있어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과학기술 교류협력은 비이데올로기적이고 비정치적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남북한 교류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국제기구를 통한 과학기술 교류협력은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국제기구를 통한 과학기술 교류협력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양자간 교류협력의 경우 교류협력 대상국간의 과학기술력 격차에 따라 시혜자와 수혜자로 양분될 가능성이 높은 바 국제기구를 통하여 일방적인 자존심 손상을 회피하고 협력과 교류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둘째, 당사국간 갈등이 발생할 경우 이를 중재할 제3의 메카니즘이 존재함으로서 갈등의 확산과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양자간의 협력이 아니라 다자간 협력으로 제도화됨으로서 보다 일관되고 견고한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제기구를 통한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대북한 교류협력에는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국제 정치외교적 변수가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외부요인이 안정되었을 경우를 상정하고 국제기구를 활용한 남북 교류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은 상호 신뢰기반 구축과 통일기반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는 「과학기술기본법」에 근거 조항을 마련하고 있다. 북한은 대내외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개방정책으로 일부 선회하고 있는 바 당사국인 남북한 모두 교류협력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과학기술 협력을 강화하고자 하고 있으며 대북한 교류협력에 있어 국제기구 등 다자간 메카니즘을 활용하여 우회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특히 북한의 연구개발 체제의 대외개방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다. 북한에서 일부 사용하고 있는 독립채산제나 주체 경제이론에서 언급하고 있는 물질적 자극을 통한 창조적 열성의 제고 등은 미약하나마 이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다음에는 국제기구를 통한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방안을 다음과 같은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첫째 국제기구 혹은 프로그램의 신설이다. 이 유형은 대북경수로 사업이나 두만강지역개발 사업의 경우처럼 국제기구인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를 설립하거나 UNDP의 지역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등 대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하는 다자간 메카니즘을 구축하고 그 참여국의 일원으로서 우리나라가 참여하는 방안이다. 대북경수로 사업과 두만강지역개발 사업의 경우에서 보듯이 국제기구 및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대북한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느냐의 관건은 지속가능한 추진체제의 구축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즉 두 사례에서 보듯이 국제기구 및 프로그램의 신설 목적에 대한 정치외교적 합의, 이해 당사국간의 사업경비 배분 등 실질적 사업추진 방안에 대한 사전적 합의, 사업 추진의 구체적 요소별로 법적 근거의 마련 등이 사업을 지속적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요인이 된다. 둘째 기존 국제기구의 관련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UNESCO기존 프로그램을 활용한 방안이 대표적인데, UNITWIN/NESCO Chair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남북한 대학에 UNESCO 석좌교수를 설치하거나, 대학-산업체-과학 파트너십(UNISPA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한국의 민간기업이 재정을 분담하고 북한 대학이 국제 수준에서 비교우위가 있는 특정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그 외에도 UNESCO 본부가 직접 운영하는 국제지질학협려계획(IGCP), 아시아과학기술정책네트웤(STEPAN) 등의 네트웤을 남북한이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 국제기구의 기존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은 정치외교적 합의, 타당성 조사, UNESCO의 기존 프로그램 및 네트웤 활용, 한국의 독자 기금/프로그램 추진과 같은 단계적 절차를 거칠 필요가 있다. 그외에도 남북한 정보기술(IT) 산업 협력에서는 산업표준화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산업표준 관련 국제전문기구의 협의과정을 활용하는 방안이 여기에 포함된다. 셋째 국제 공동연구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지구환경금융(GEF)의 지원을 받아 한·중 공동으로 수행되는 ‘황해광역해양생태계 조사 연구사업(Yellow Sea Large Marine Ecosystem, YSLME)`에 북한을 참여케 하거나, ’동해광역생태계 연구사업‘을 추진하여 한국, 일본, 러시아, 북한과 공동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이다.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인 IGBP의 핵심사업인 GLOBEC의 4대 지역사업 중 CCC(대구와 지역변화)에 참여하여 중장기적으로 북한을 포함한 다자간 공동연구 추진을 검토할 수 있다. 넷째 국제협약의 이행 메카니즘과 연계하는 방안이다. 기후변화협약에서 도입한 탄소배출권거래제도를 대북한 산림 에너지 협력에 활용할 수 있다. 기후변화 협약의 구체적 일정을 제시한 교토의정서에서는 당사국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을 지원하기 위하여 CO2 배출권의 거래를 인정하는 메카니즘을 제시하였다. 산림 및 에너지 분야에서 대북 교류협력시 교토의정서의 CO2 배출권 거래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국제기구에 기금을 출연하여 북한에 재정, 기술을 지원하는 유형이다. 국제기구를 활용할 경우 단기적으로는 국제기구의 기존 프로그램 및 예산을 활용하여 이를 추진할 수 있으나, 국제기구의 프로그램 및 예산은 모든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남북한 협력 사업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재정적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남북한 협력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금을 국제기구에 별도로 설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여섯째 제3국의 대학 혹은 학회를 활용하는 방안이다. AIT 등의 국제대학, 국제고려학회 등의 국제학회의 연구인력이 대북한 학술 교류협력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 우리나라가 참여 지원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우리 주도의 프로그램에 동 연구인력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마지막으로 기존 국제협의체에 북한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이다. 예컨대 아태경제협의체(APEC)의 과학기술 활동에 북한을 옵저버 자격으로 참여케 하는 유형이다. 아태경제협력체(APEC)의 산업과학기술 실무그룹 등에 북한의 참여를 유도하고 실무그룹 차원의 공동연구 프로젝트에 북한을 참여케 한 후 우리나라도 참여국의 일원으로 다자간 연구를 수행하면서 후속 남북한 연구협력을 추진하는 방안이다.

      • KCI등재

        DNN 및 LSTM 기반 딥러닝 모형을 활용한 태화강 유역의 수위 예측

        이명진,김종성,유영훈,김형수,김삼은,김수전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12S

        Recently,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extreme heavy rains and localized heavy rains have increased due to abnormal climate, which caused increased flood damage in river basin. As a result, the nonlinearity of the hydrological system of rivers or basins is increasing,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lead time is insufficient to predict the water level using the existing physical-based hydrological model. This study predicted the water level at Ulsan (Taehwagyo) with a lead time of 0, 1, 2, 3, 6, 12 hours by applying deep learning techniques based on Deep Neural Network (DNN) and Long Short-Term Memory (LSTM) and evaluated the prediction accuracy. As a result, DNN model using the sliding window concept showed the highest accurac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7 and RMSE of 0.82 m. If deep learning-based water level prediction using a DNN model is performed in the future, high prediction accuracy and sufficient lead time can be secured than water level prediction using existing physical-based hydrological models. 최근 이상 기후로 인해 극한 호우 및 국지성 호우의 규모 및 빈도가 증가하여 하천 주변의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또는 유역 내 수문학적 시스템의 비선형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물리적 기반의 수문 모형을 활용하여 홍수위를 예측하기에는 선행시간이 부족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Deep Neural Network (DNN) 및 Long Short-Term Memory (LSTM)기반의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울산시(태화교) 지점의 수위를 0, 1, 2, 3, 6, 12시간에 대해 선행 예측을 수행하였고 예측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sliding window 개념을 적용한 DNN 모형이 선행시간 12시간까지 상관계수 0.97, RMSE 0.82 m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DNN 모형을 활용하여 딥러닝 기반의 수위 예측을 수행한다면 기존의 물리적 모형을 통한 홍수위 예측보다 향상된 예측 정확도와 충분한 선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A Fully-microfabricated SWCNT Film Strain Sensor

        이명진,홍현표,민남기,이동일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10

        This paper presents a fully microfabricated strain sensor made of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SWCNT) film for force and weighing measurements. Key issues involve the deposition of the SWCNT films with strong adhesion to the backing materials, the integration of SWCNT films into existing microtechnologies for batch-fabrication, and the bonding of the strain sensors to a binocular spring element. The batch-fabricated SWCNT strain sensors showed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changes and externally applied strain. The sensitivity of the SWCNT sensors wa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30 times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foil-type strain gauges.

      • KCI등재

        협동적인 분산 환경에서 BDI 에이전트를 위한 협상 기법

        이명진,김진상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3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1 No.3

        Agents in multi-agent systems (MAS) are required to achieve their own goals. An agent's goal, however, can conflict with others either when agents compete with each other to achieve a common goal or when they have to use a set of limited resources to accomplish agents' divergent goals. In either case, agents need to be designed to reach a mutual acceptable state where they can avoid any goal conflicts through negotiation with others to achieve their goals. In this paper, we consider a BDI agent architecture where belief, desire, and intention are the three major components for agents' mental attitudes and represent resource-bounded BDI agents in logic programming framework. We propose a negotiation algorithm for BDI agents solving their problems without goal conflicts in distributed cooperative environments. Finally, we describe a simple scenario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negotiation algorithm implemented in a negotiation meta-language. 멀티에이전트 시스템에서 에이전트는 각자 달성해야 할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 에이전트들이 하나의 공통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 경쟁을 하는 경우거나 혹은 각자의 서로 다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한된 자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에이전트들은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충돌이 발생할 때 에이전트들은 각자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에이전트들과의 협상을 통해 목표의 충돌이 없는 일치 상황에 도달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멀티에이전트 시스템에서 믿음(belief), 소망(desire), 그리고 의도(intention)로 설명되는 BDI 구조가 각 에이전트가 가져야 할 정신적 태도의 핵심 요소라고 가정하고,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BDI 에이전트를 논리 프로그래밍의 틀에서 표현한다. 또한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진 BDI 에이전트들이 자원이 제한된 협동적인 분산 환경에서 상호간의 목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협상을 통해 각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협상 알고리즘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협상 메타 언어로 구현한 예제 문제의 실험 결과를 기술한다.

      • KCI등재

        이중편파 레이더의 강우 추정 알고리즘별 수문학적 적용성 평가

        이명진,이충기,유영훈,곽재원,김형수,Lee, Myungjin,Lee, Choongke,Yoo, Younghoon,Kwak, Jaewon,Kim, Hung Soo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1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use the radar rainfall in hydrology. However, in the case of weather radar, the beam is block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observation such as mountain effect, which causes underestimation of the radar rainfall. In this study, the radar rainfall was estimated using the Hybrid Sacn Reflectivity (HSR) technique for hydrological use of weather radar and the runoff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GRM model which is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radar rainfall correction and runoff simulation for 5 rainfall events, the accuracy of the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using the HSR technique (Q_H_KDP) was the highest with an error within 15% of the ground rainfall. In addition, the result of runoff simulation using Q_H_KDP also showed an accuracy of R2 of 0.9 or more, NRMSE of 1.5 or less and NSE of 0.5 or more. From this study, we examined the application of the dual-polarization radar and this results can be useful for studies related to the hydrological application of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