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무조신화와 네팔 설화의 상관성 연구 - 바리공주 이본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이정재 동아시아고대학회 2008 동아시아고대학 Vol.17 No.-

        남방 실크로드 상에 위치한 네팔에서 바리공주 관련 자료를 발견하여 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소위 네팔의 바리공주 이본은 한국의 기본형에 충실히 일치하고 있으며 나아가 동해안—경상도의 이본군과 더욱 구체적으로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 2년 전에 이정재가 연구한 우즈베키탄 자료와의 비교에서 바리공주의 국제성을 보여주었는데, 이번 네팔 자료의 발견은 이를 보강하는 의미있는 자료라 하겠다. 자료의 비교를 위해 기존의 이본 연구방법을 취하였으며 그 검토과정에서 드러난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한국 바리공주의 무조신화적 성격은 한국의 특수한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아직 변이의 과정에 있음을 지적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동해안경상도 이본군을 한국바리공주의 한 변이형으로 간주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이 둘의 비교에서 특히 모티브 ‘남장하기’와 ‘남장 시험하기’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 모티브는 실크로드 상에 위치한 설화군의 한 특징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그동안 방치해왔던 바리공주 원형 논의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I found a variant of shaman song Pari pricess in Nepal. I would like to research it comparing with a korean shaman song. Pari princess is very important folklore-material not only for the study of korean shamanism but also comparative research of oral literature. Pari princess shaman myth is usually regarded as an origin of korean shaman. But it is only a special phenomenon in Korea. I think it is a proccess of making of myth in shamanism. In korea this shaman song have a lot of variety. The variants is needed to analyse for the shamanistic and literal understanding. A method of research those variants is to set up standard form and compare with that each other. But this way show a limitation of analyse. A Problem was to make a original form of Pari princes in shaman myth. To establish an origin myth was not easy, because it is too complex to find it in a lots of materials. It is needed to find a varant in foreign country. I have found it on the road of silkroad two years ago. A international variant of Pari princes shaman song is recorded in folklore of usbekistan. I have found a new variant in Nepal. Result of this compared research between korea, usbekistan and Nepal is that the three variants have a same type, and especially have similar structure with variants of Donghae-kyungsan province. So in two ways of silkroad, namely North- and South silkload, are founded variants of pari princess myth related with koreans. It is enough to give a opportunity of discuss about origin form of pari-prince shaman song in the world.

      • KCI등재

        원본 이론과 트랜스 이론-원본사고와 삼중체계 및 초월을 중심으로-

        이정재 한국민속학회 2018 韓國民俗學 Vol.68 No.-

        Kim Taekon’s Arche-Pattern theory was compared to the Archtype theory of Eliade and Jung, however, it contains key differences. Arche-Pattern theory posturates that the return to Chaos occurs in the early stages of construction and then attemps to solve the problem of cosmos. Meanwhile, Lee Joungjae’s triple structure attempted to overcome a differential technology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human psychological phenomena and how cultural instruments worked. The principles of operation of the two were structured separately, yet the mechanism of operation was identical. Trance theory is an extension of this debate. It posits that humans should use their first pure consciousness to solve the problem of existence. Based in the basic attributes given to humans. This essential characteristic is also projected into human-made culture, so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can be identified in all cultural institutions of the past and present. Moreover, cultural institutions have such a transcendental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transcendental devices are embodied culturally, and community cultures play a role in teaching and motivating members on a regular basis and creating transcendental motivations. Culture is not only about transcendental transformation but also about transcendence. Transcendental variability means a departure from reality. This departure relates to the cultural phenomenon created by humans, and results in the following precepts: 1. Human beings are composed of spirit(soul), body, and energy(it named to korean Young, ki, jil) and are compatible. 2. The soul is a superconscious, top-level consciousness, and to human beings. 3. Superconsciousness is defined as the ultimate point of reach and the absolute balance of (space) correlation. 4. The above process is projected and synchronized. 5. Human beings and cultures are given a structure that develops into a circular triple structure called ‘conceptual reality-real reality’. 6 heory is establish the development of the above contents. 김태곤의 원본이론은 엘리아데와 융의 원형론과 비교되지만 차이점이 있었음을 살펴봤다. 그것은 그가 언급한 카오스로의 회귀가 시공초월의 단계에 있다는 것이고, 무속은 그 영역의 의미를 가져와 코스모스에 적용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데 있다고 했다. 그가 한 인간의 심리현상과 문화기제의 작동방식을 구분하지 않고 한 미분적 기술을 이정재의 삼중구조는 극복하려 하였다. 둘에 작동되는 원리를 구분하여 구조화하였으며, 그 작동 메카니즘은 동일하다고 했다. 트랜스이론은 이런 논의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트랜스는 인간이 존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초월의식을 활용해야한다고 했다. 인간에게 주어진 원초적 속성에 근거한다고 했고 관련된 논거를 요약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런 본질적 속성은 인간이 만든 문화에도 투사되어 과거와 현재의 모든 문화기제에서 삼중구조의 양상이 확인된다고 했다. 나아가 문화기제는 그런 초월적 변환을 계시한다고 하였다. 즉 초월적 장치를 문화적으로 내재화하며, 나아가 공동체의 문화는 구성원에게 규칙적으로 가르치고 동기를 부여하고 초월 동기를 유발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문화는 초월적 변환 자체이면서 초월을 가리키는 것이다. 트랜스의 초월변성은 현실에서의 이탈을 의미한다. 이는 떠남과 일탈의 속성을 가지는데 인간이 만들어낸 제 문화현상이 상관된다고 했다. 앞선 논의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정리를 할 수 있다. 1. 인간은 영․기․질 즉 정신, 육체, 영(혹은 리기(理氣))으로 구성되며 상호호환적이다. 2. 영은 인간에게 초월의식이며 최상위 의식이고, 근원이자 원본이다. 3. 초월의식은 궁극의 도달점이자 (우주적)상호관계의 절대적 균형추로 규정․작동된다. 4. 인간의 제 문화는 위의 과정이 투사된 동기화 과정이다. 5. 인간과 문화는 ‘전(前) 현실-초현실(초월의식)-현실’이란 순환적 삼중구조로 전개된다. 6. 위의 내용이 포함되어 전개된 것을 규명하는 작업이 트랜스이론이다.

      • KCI등재

        화순 조간대 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의 공간적 종다양성에 관한 연구

        이정재,강경철,김종철 한국패류학회 200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7 No.1

        1999년 9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제주도 안덕면 화순리 화순화력발전소 인접 5개 지점 조간대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순화력발전소 인접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은총 6 문, 13 강, 24 목, 49 과, 97 종이 출현하였다. 조간대 상부구역의 제 1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 제 2우점종은 군부 (Liolophura japonica), 테두리고등 (Patelloida saccharina), 배무래기 (Notoarmea schrenckii) 이였다. 중부구역의 제 1 우점종은 울타리고등 (Monodonta labio), 작은조무래기따개비 (Chthamalus challengeri), 고랑딱개비 (Siphonalia japonica), 군부 (L. japonica), 울타리고등 (M. labio)이였으며, 제 2 우점종은 배무래기 (N.schrenckii), 울타리고등 (M. labio), 진주담치 (Mytilus edulis), 거북손 (Mitella mitella), 군부 (L. japonica) 이였다. 하부구역의 제 1 우절종은 꽃고랑딱개비 (Siphonalia sirius), 작은조무래기따개비 (C. challengeri), 해변말미잘(Actinia mesembryanthemum), 테두리고등 (P. saccharina), 울타리고등 (M. labio) 이였으며, 제 2 우점종은 배무래기 (N. schrenckii), 군부 (L. japonica), 석회관갯지렁이(Serpula vermicularis), 울타리고등 (M. labio)이였다. 조간대 종다양도지수나 균등도, 풍부도는 하부구역이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 비하여 컸다. The distribution and seasonal changes of the intertidal macrobenthos community was performed on five intertidal rocky stations of Hwasoon at Jeju Islands September 1999 to August 2000. The macrobenthos was composed of six phyla, 13 classes, 24 orders, 49 families, and 97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 zones were Nodilittorina exigua, Notoacmea schrenckii, Liolophura japonica and Patelloida saccharina. Those of the middle zones were Monodonta labio, Chthamalus challengeri, Siphonalia japonica and Liolophura japonica. Those of the lower zones were Siphonalia sirius, Patelloida saccharina, Chthamalus challengeri, and Liolophura japonica. The community dominance indices of the upper zone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middle and lower zones.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 all investigated zones were highest in station 1 and lowest in staton 3. But, species richness was highest in station 1 and lowest in station 4.

      • KCI등재

        대합 Meretrix lusoria 치패의 폐사에 관한 연구 : (1) 대합치패의 천공복족류 Neverita didyma , Natica severa 에 의한 천공율에 관하여 (1) Boring Rates of Drills on the Young Bivalve , Meretrix lusoria

        이정재 한국수산학회 196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 No.1

        1. 筆者는 1968年 5月부터 12月에 걸쳐 大蛤初期稚貝의 穿孔率과 穿孔腹足類 2種을 確認하였다. 2. 自然集團에서의 自然치斃死率은 12.1%이었고 이中 穿孔斃死率은 38.1%였다. Neverita didyma Natica severa의 穿孔의 형태는 다 같이 外徑이 크고 內徑이 작은 噴火口3. 型이었고 穿孔되는 部位는 殼頂部位에 大部分 集中되었다. 4. 穿孔된 구멍의 內外直徑의 差는 種貝의 殼長이 커짐에 따라 컸으며, 殼長 1∼3㎜인 稚貝의 구멍의 外直徑은 0.4∼0.5㎜, 3∼6㎜에서는 0.7∼0.9㎜, 6∼13㎜에서는 0.9∼1.2㎜였다. 5. Neverita didyma의 畵夜의 穿孔率은 夜間에 훨씬 높았고 日平均 1.7個體의 稚貝를 穿孔하였다. 이는 Natica severa의 穿孔率에 比해 훨씬 높았다. 6. 穿孔率은 여러가지 要因에 依하여 많은 差異를 볼 수 있었다. 卽 Natica severe인 경우 條件에 따라 0.25에서 0.5까지의 穿孔率을 나타냈다. 1. This paper deals with the natural mortality of the early young bivalve, Meretrix lusoria, (less than 13㎜ in shell length) and the perforations bored in the bivalve by boring snails, Neverita didyma and Natica severs.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the Kunsan area and in the laboratory from May to October of 1968. 2. The natural mortality of the field population during this period was 12.1% and among this number 38.1% were drilled by boring snails. 3. The common species of the Naticid gastropods, boring snails-Neverita didyma and Natica severs - are encountered in the habitat of M. Lusoria. The perforations drilled by these species were broadly bevelled. 4. The location of the holes on the valves varied widely, while most of holes on the valves were located at a relatively definite umbo position. 5.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of the holes varied in proportion to the shell length of the clam; each ranging in shell length from 1 to 3㎜, 3 to 6㎜, and 6 to 13㎜, and the outer diameters were 0.4-0.5㎜, 0.7-0.9㎜ and 0.9-1.2㎜.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differed in proportion to the shell length of the clam. 6. Predation rates of Neverita didyma was much greater at night than during the day at room temperature. An average of 1.7 young clams was drilled and consumed, per snail, per day. This rate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Natica severa. 7. Predation rates varied in proportion to the shell length of the clam and the shell height of the snail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제주도 남부연안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1.가피도와 마라도 조간대의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

        이정재 한국패류학회 199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7 No.1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on the intertidal zones of Gapa and Mara islets were carried out from March to June 1991. The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and identified were composed of 7 phyla, 14 classes, 29 orders, 68 families and 132 speies in Gapa islet and of 7 phyla, 12 classes, 23 orders, 49 familis and 90 species in Maara islet. The first and second dominant species and the community dominance indices of the upper tidal zones of Gapa and Mara islets were Nodilittorina exigua, Pollicipes mitella and 79.01, 69.77 respectively. However, the dominant species of the middle and lower intertidal zones of the two islets were not identities and different among the tidal z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